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유자, 금귤, 레몬 및 라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비교

        홍영신,이임식,김경수,Hong, Young Shin,Lee, Ym Shik,Kim, Kyong Su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유자와 금귤을 수입되는 레몬 및 라임과 비교하였을 때 정유성분의 유용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자, 금귤, 레몬 및 라임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위하여 재증류한 n-pentane/diethylether(1:1, v/v) 혼합용매 100 mL를 사용하여 SDE 방법으로 3시간동안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로 확인하였다. 유자, 금귤, 레몬 및 라임에서는 각각 104종(3,713.02 mg/kg), 87종(621.71 mg/kg), 103종(3,024.69 mg/kg) 및 106종(2,209.16 mg/kg)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4종의 Citrus속 과일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limonene으로 확인되었으며, peak area는 각각 유자 35.03%, 금귤 63.82%, 레몬 40.35% 및 라임 25.06%로 나타났다. Limonene 이외에 유자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gamma}$-terpinene, linalool, ${\beta}$-myrcene, (E)-${\beta}$-farnesene, ${\alpha}$-pinene 및 ${\beta}$-pinene 등이며, 금귤에서는 ${\beta}$-myrcene, ${\alpha}$-pinene, (Z)-limonene oxide, (E)-limonene oxide, geranyl acetate 및 limonen-10-yl acetate 등 순으로 동정되었다. 레몬의 주요 향기성분은 ${\gamma}$-ter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geranyl acetate, neryl acetate 및 (Z)-${\beta}$-bisabolene 등 순이며, 라임은 ${\gamma}$-terpinene, ${\beta}$-pinene, (Z)-${\beta}$-bisabolene, neral, geranial 및 neryl acetate 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4종류 과일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이 동정되었으며,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산 유자 및 금귤은 향료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레몬과 라임의 대체제로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in yuzu and kumquat cultivated in Korea for comparison with those in lemon and lim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itrus fruits (yuzu, kumquat, lemon and lime) were extracted for 3 h with 100 mL redistilled n-pentane/diethylether (1:1, v/v) mixture, using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SDE).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s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aroma compounds analyzed were 104 (3,713.02 mg/kg) in yuzu, 87 (621.71 mg/kg) in kumquat 103 (3,024.69 mg/kg) in lemon and 106 (2,209.16 mg/kg) in lime. Limonene was a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 in four citrus fruits. The peak area of limonene was 35.03% in yuzu, 63.82% in kumquat, 40.35% in lemon, and 25.06% in lime. In addition to limonene,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gamma}$-terpinene, linalool, ${\beta}$-myrcene, (E)-${\beta}$-farnesene, ${\alpha}$-pinene and ${\beta}$-pinene in yuzu, and ${\beta}$-myrcene, ${\alpha}$-pinene, (Z)-limonene oxide, (E)-limonene oxide, geranyl acetate and limonen-10-yl acetate in kumquat. Furthermore, ${\gamma}$-ter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geranyl acetate, neryl acetate and (Z)-${\beta}$-bisabolene in lemon and ${\gamma}$-terpinene, ${\beta}$-pinene, (Z)-${\beta}$-bisabolene, neral, geranial and neryl acetate in lime were also dete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our citrus fruits was different. Also, yuzu and kumquat are judged to be worthy of use alternatives for lemon and lime widely used in the fragrance industr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호박류의 조리방법에 따른 무기질 성분의 변화

        홍영신(Young Shin Hong),김경수(Kyong Su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0

        본 연구는 애호박, 쥬키니, 단호박 및 늙은호박 조리방법에 따른 무기성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리방법은 데치기, 전자레인지 및 찌기를 이용하였으며, 조리시간은 3분, 5분 및 10분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시간에 따라 3가지 조리방법을 이용하여 조리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분쇄 후 microwave법을 이용하여 분해하였으며, 다량 무기성분은 ICP-OES로, 미량 무기성분은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종의 호박에 함유된 다량 무기성분은 칼륨, 인, 칼슘, 마그네슘, 황, 철, 아연, 나트륨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미량 무기성분은 망간, 구리, 루비듐, 바륨, 니켈, 크롬, 갈륨, 코발트, 리튬, 바나듐, 셀레늄 순으로 검출되었다. 4종의 호박에 함유된 무기성분은 데치기, 전자레인지 조리 및 찌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데치는 조리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조리시간에 따른 무기성분의 함량 변화는 조리시간이 증가할수록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5분과 10분에서 큰 차이를 확인하였다. 미량 무기성분의 함량은 조리방법과 조리시간에 따른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호박의 종류에 따른 무기성분의 조성은 비슷하였으며, 무기성분의 함량은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애호박과 늙은호박의 무기성분은 찌는 조리법에서 높은 잔존율을 보였으며, 쥬키니와 단호박은 전자레인지 조리 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조리방법과 시간은 호박의 무기성분 잔존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ree cooking methods, boiling, microwave, and steaming, on elemental compositions of green pumpkin, zucchini, and sweet and ripened pumpkin. The cooking methods were carried out at 3, 5, and 10 min. The samples were then dried, crushed, and decomposed by microwave-assisted digestion method. Macro elements were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whereas ICP-Mass Spectrometer (ICP-MS) was used for micro elements determination. From the results, macro elements were present in the order of K, P, Ca, Mg, S, Fe, Zn, and Na in all analyzed pumpkins. Among micro elements, Mn, Cu, Rb, and Ba, were present at high levels. For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boil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centrations of elements. Cooking time affected concentrations of elements in the same manner with larg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l contents in samples cooked for 5 and 10 min. Regarding micro elements contents, both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Similar elemental compositio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in all pumpkin types were observed. Green pumpkin and ripened pumpkin showed high retention rates of inorganic components upon steaming, and zucchini and sweet pumpkin showed high retention rates upon microwave cooking. Conclusively, cooking method and time affect amounts of residual inorganic ingredients in pumpkin.

      • KCI등재

        전자선 조사한 건조 멸치류에서 유도된 지방분해산물의 분석

        홍영신(Young Shin Hong),김경수(Kyong Su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2

        건조된 국멸치와 지리멸치 및 밴댕이에 1, 3, 5, 7 및 10 k㏉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비조사 시료와 조사된 시료에서 지방을 추출한 후 전자선 조사 시 유도 생성되는 hydrocarbon류를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hydrocarbon류의 함량 및 분해패턴은 GC/MS로 확인하였다. 전자선 조사된 건조 멸치류에서 palmitic acid로부터 생성되는 1-tetradecene(C14:1), pentadecane(C15:0)과 stearic acid로부터 1-hexadecene(C16:1), heptadecane(C17:0) 및 oleic acid로부터 8-heptadecene (C17:1), 1,7-hexadecadiene(C16:2)이 확인되었으며, 6종의 hydrocarbon류는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건조된 멸치류에서 유기용매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pentadecane(C15:0) 및 heptadecane(C17:0)을 제외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C17:1)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tetradecene(C14:1), 1-hexadecene(C16:1), 1,7-hexadecadiene(C16:2) 순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된 건조 멸치류에서 분석된 hydrocarbon류 중 1-tetradecene(C14:1), 1-hexadecene(C16:1) 그리고 8-heptadecene(C17:1) 및 1,7-hexadecadiene(C16:2)은 전자선 조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Radiation-induced hydrocarbon contents of dried anchovy, jiri anchovy, and large-eyed herring were evaluated following electron-beam irradiation at doses of 1, 3, 5, 7, and 10 k㏉. GC/MS identification of the induced hydrocarbons by irradiation was conducted after lipid separation by soxtec, followed by florosil column chromatography. 1-Tetradecene (C14:1) and pentadecane (C15:0) derived from palmitic acid, 1-hexadecene (C16:1) and heptadecane (C17:0) from stearic acid, and 8-heptadecene (C17:1) and 1,7-hexadecadiene (C16:2) from oleic acid were the major induced hydrocarbons in irradiated dried anchovy, jiri anchovy, and large-eyed herring samples. At the same irradiation dose, concentration of induced hydrocarbons differed from fatty acid composition and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radiation dose level.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such as 1-tetradecene (C14:1), 1-hexadecene (C16:2), 8-heptadecene (C17:1), and 1,7-hexadecadiene (C16:2), were confirmed as irradiation marker compounds. Therefore, these marker compounds could be used to distinguish electron-beam irradiated dried anchovy, jiri anchovy, and large-eyed herring from non-irradiated ones.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역난방용 한강 도강관의 음극방식 최적화에 대한 연구

        민성(Min Sung Hong),김우철(Kim Woo Cheol),이재승(Jae Seung Lee),영신(Young Shin Jeon),정준철(Joon Cheol Jeong),김정구(Jung Gu Kim) 대한설비공학회 202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0 No.6

        In this case study, we optimized cathodic protection (CP) design for river-crossing district heating (DH) pipeline under the Han River. This pipeline is not electrically insulated with other adjacent pipelines. Therefore, additional consideration for CP current loss to connected pipelines at both sides (North and South side) is needed. Furthermore, the anodes can be only installed at both side of pipeline. For these reasons, computational analysis of CP design was performed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Firstly, we discuss about the minimum current for CP of river-crossing DH pipeline which was found to be 100 A, although theoretical calculation result was 74 A. Obviously, computational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obtain more stable and reliable CP design in the real field.

      • KCI등재후보

        죽로차의 생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화합물 비교

        전동복(Dong-Bok Jeon),이순임(Sun-Im Lee),김재성(Jae-Sung Kim),홍영신(Young-Shin Hong),정인선(In-Seon Jeong),최성화(Sung-Hwa Choi),노은영(Eun-Yeong Nho),최지연(Ji-Yeon Choi),나임칸(Naeem Khan),서혜영(Hye-Young Seo),김경수(Kyong-Su Kim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1

        죽로차 생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화합물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생엽에서는 총 93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alcohol류가 32종으로 함량은 75.9 ㎎/㎏으로 동정되었다. 그 외 화합물로 aldehyde류, ester류, hydrocarbon류, keton류, 함질소화합물류, acid류 등의 함량은 22.7 ㎎/㎏으로 확인되었다. 반발효차에서는 총 76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alcohol류가 23종으로 함량은 59.0 ㎎/㎏이 확인되었다. Aldehyde류, ester류, hydrocarbon류, ketone류, 함질소화합물류, acid류 등 화합물은 44.9 ㎎/㎏으로 확인되었다. 죽로차 생엽에서 다량 동정된 휘발성 화합물은 (E)-2-hexenal, phenylethyl alcohol, geraniol 그리고 linalool이 총화합물의 31.5%를 차지하였고, 반발효차에서 각각 0.3, 1.2, 3.1 및 4.4 ㎎/㎏으로 동정되어 발효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반발효차에서는 (E)-nerolidol, indole, ethyl acetate, coumaran, (Z)-jasmone 등이 주요 화합물로 확인되었고, peak area의 합계는 전체 화합물의 31.0%에 해당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을 생엽과 비교 했을때 많은 양이 증가하였다. C6 화합물은 생엽에서 7.8 ㎎/㎏ 동정되었으며, 반발효차에서는 1.0㎎/㎏으로 많은 양이 감소하였다. Terpenoid의 화합물은 생엽과 반발효차에서 28.2 ㎎/㎏ 및 24.9 ㎎/㎏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기별 함량은 alcohol류과 aldehyde류를 제외한 ester류, ketone류, hydrocarbon류, 함질소화합물류의 함량은 발효시 증가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volatile compounds among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 of Zukro tea. Volatile compounds were extracted the using SDE method and analyzed by GC/MS. A total of 93 and 76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 respectively. Alcohols were the predominant chemical group, with a proportion of 76.96% and 56.85%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s. The major alcohol compound in both samples was phytol, which had a higher aroma threshold and resulted from hydrolysis of chlorophyll. Terpenoid compounds were present at 29.1 and 24.9 ㎎/㎏,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s, respectively. 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and geraniol were present as major volatile compounds at concentrations of 7.8 and 14.4 ㎎/㎏ in fresh leaves of Zukro tea,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se two terpene alcohols were 4.4 and 3.1 ㎎/㎏ in semi-fermented leaves. C6 compounds were present at 7.8 ㎎/㎏ in fresh leaves but decreased to 1.0 ㎎/㎏ in semi-fermented leave. The contents of esters, ketones, hydrocarbons, and N-containing compounds all increased after semi-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