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공정 변수가 부직포 여과재의 포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
홍영기,Hong, Young-Ki 한국섬유공학회 200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3 No.5
Meltblown process is one of the major processes for nonwoven filters.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meltblown nonwoven filters made of isotatic- polypropylene(i-PP) was examined for the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die and air temperatures, die-to-collector distance(DCD) and attenuation air flow rate at the die.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non-woven filter was found to increase with decreasing DCD, with increasing die temperature, or with increasing air flow rate. In addition, the quality factor of non-woven filter was excellent with increasing DCD in meltblown process like this.
신형식 역삼투 복합막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담수화 성능평가
홍영기,송경헌,문덕수,김현주,Hong, Young-Ki,Song, Kyung-Hun,Moon, Deok-Soo,Kim, Hyun-Ju 한국섬유공학회 200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3 No.6
Asymmetric reverse osmosis(RO) composite membrane, which are organic/inorganic RO composite membranes by new mode, based on cellulose acetate and polyamide with nano particle tourmaline substance in order to develop a new desalination membrane having high selectivity and permeability were prepared. The practical separation performances of new RO composite membranes were investigated on seawater desalinization, especially for deep ocean water.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new RO composite membranes were discussed with the variation of applied pressure and temperature. The permeation flux of new RO composite membranes was investigated using module unit composed of RO plate-frame type modules and spiral wound type modules. The rejection and the flux for new RO composite membrane were $99.0{\sim}99.3%\;and\;7.0{\sim}23.3l/m^2$ hr in deep ocean water at $20^{\circ}C$,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new RO composite membranes for deep ocean water was very steady-state with long experiment time.
홍영기 ( Young Ki Hong ),임동혁 ( Dong Hyeok Im ),김상철 ( Shan Cheol Kim ),이재수 ( Jae Su Lee ),이대현 ( Dae Hyun Lee ),김성기 ( Sung Ki Kim ),한새론 ( Sae Ron Han ),김국환 ( Gook Hwa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작물의 생육에는 토양의 수분, 전기전도도, 산도 등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토양 pH는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pH는 질소, 인산, 칼륨 등 양분의 용해도,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성, 그리고 대부분의 화학 변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작물의 영양분 흡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항목이다. 작물재배에 적당한 토양 pH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산성 내지 중성이 토양 pH에서 생육이 양호하다. 작물의 양분흡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토양 pH측정은 현재 토양분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현장에서 즉시 측정 가능한 센서 개발이 필요하다. 실시간으로 토양의 수분,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pH를 동시에 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토양센서의 측정 항목은 토양 pH, 전기전도도, 함수율, 온도 이며, pH는 이온선택성전극(ISFET, 인(P), 규소(Si))과 기준전극(염화은(AgCl),염화칼륨(KCl))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pH 측정한다. 또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2개의 전극을 설치하였고,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전기전도도 및 함수율을 측정한다. 또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서미스터를 설치하여 전기전전도의 온도 보정에 사용하고 있다. 제작한 토양센서의 시작기를 이용하여 성능평가를 위하여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토양은 모래(coarse sand, 입자크기 500~250㎛)와 점토(fine sand, clay, 입자크기 250㎛이하)를 이용하여 모래와 점토를 중량비율(50% : 50%)로 섞어 준비하였다. 또한 토양 pH 및 함수율 변화는 기지의 pH 용액(samchunn pere chemical co.,LTD., korea)을 사용하였다. pH 변화는 pH3.0 ~ pH10의 8수준으로 하였고, 수분변화는 pH 용액의 첨가량으로 조절하였으며, 6수준(30, 40, 60, 80, 100, 120㎖)으로 하였다. 토양용기에 충전이 끝난 후에 용기 내 토양수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토양용기에 캡을 씌어 24시간 안정화 시간을 가진 다음에 측정을 하였다. 제작한 토양센서 시작기로 측정한 후, 토양 pH 및 전기전도도 측정은 토양분석법(EC1:5)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지의 pH용액을 대상으로 한 경우, 측정한 전위차(기전력)의 변화를 나타냈다. pH가 높아질수로 전위차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pH와 전위차의 상관관계가 0.99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서영(Seo-Yeong Jang),김현빈(Hyun-Bin kim) 대한전기학회 2022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11
세계자원연구소에 따르면 꾸준히 증가하는 인구를 위해선 추후에 기존 생산량의 약 70% 이상의 식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예상한다. 그러나 농업인들은 자연재해보다 자주 발생하는 병충해로 인한 피해로 원활한 작물 생산에 고충을 겪고 있다. 사람이 작물들의 상태를 매번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에 병충해를 미리 예방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농가는 대체로 전문가에게 병충해 분류의 자문을 구한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병충해는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농업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작물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병충해 피해를 입은 작물을 분류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이미지 분류 분야에 자주 쓰이는 컨볼루션 신경망(CNN)을 이용할 것이다. 그중에서도 기본적인 모델과 전이 학습 기반인 사전 훈련 모델 ResNet50으로 병충해 작물 이미지분류 성능을 평가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로 농가는 병충해 작물을 조기에 파악하고 이는 신속한 방제로 이어져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근치적 절제술 후 Vater씨 팽대부암의 예후 인자 및 생존율 분석
홍영기(Young Ki Hong),정준(Joon Jeong),박준성(Joon Seong Park),정은주(Eun Joo Jung),이용상(Yong Sang Lee),박영년(Young Nyun Park),윤동섭(Dong Sup Yoon),최진섭(Jin Sup Choi),이우정(Woo Jung Lee),지훈상(Hoon Sang Chi),김병로(Byong Ro 대한외과학회 2004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66 N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