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근린지역 보행로 폭의 일관성 비교

        정우진(Jeong, Woo Jin),홍수정(Hong, Su Jeong),오흥운(Oh,Heung Un)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7 No.-

        본 연구는 국내와 일본의 근린지역 보행로 현황을 파악하여 폭의 일관성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폭의 일관성 비교를 위해 근린지역 보행로의 폭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고, 국내 및 일본의 근린지역 보행로 현황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근린지역 보행로 폭의 일관성을 비교한다. 일본 근린지역 보도총폭은 330~445cm로 국내 근린지역 보도총폭 237~420cm보다 크다. Frontage Zone 폭은 일본이 60~65cm로 국내 60cm와 유사하지만 국내의 경우 Frontage Zone 폭과 보행가용폭 평균의 차이가 크며, 일본에 비해 폭의 표준편차가 크다. Pedestrian Zone 폭은 일본이 172~325cm로 국내 0~295cm보다 크다. 국내의 경우 Pedestrian Zone 폭과 보행가용폭 평균의 차이가 크며, 일본에 비해 폭의 표준편차가 크다. Furniture Zone 폭은 일본이 135~331cm로 국내 90~225cm보다 크다. 국내의 경우 Pedestrian Zone 폭과 보행가용폭 평균의 차이가 작으며, 일본에 비해 폭의 표준편차가 작다. 결론적으로 국내는 유효보도폭에 포함되는 Frontage Zone과 Pedestrian Zone 폭의 표준편차가 일본에 비해 크다. 국내 보행로의 유효보도폭은 일관성이 떨어지며, 휠체어이용자를 위한 유효보도폭 2m이상의 폭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구간이 발생한다.

      • 보행량에 따른 보행전용존 권장폭 산출식

        정우진(Jeong, Woo Jin),홍수정(Hong, Su Jeong),김희수(Hee soo Kim),오흥운(Oh,Heung U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만을 위한 공간인 보행전용존의 권장폭 산출식을 제시하여 근린간선지역의 보행랴엥 따른 보행전용존 권장폭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외 문헌 검토를 통해 최대 보행량, 보행자간 평균간격, 보행자 1인 점유폭, 보행자 평균통행속도를 고려하여 보행전용존 폭 산출식을 도출한다. 도출된 산출식을 통해 근린간선지역 보행전용존의 권장폭을 제시한다. 근린간선지역의 보행전용존 폭은 보행행태가 일반걸음으로 보행량이 24명/분이하일 때 1.4m, 보행량이 24~30명/분일 때 1.7m, 보행량이 30~40명/분일 때 2.3m, 보행량이 40~50명/분일 때 2.8m, 보행량이 50~60명/분일 때 3.4m, 보행량이 60~70명/분일 때 4.0m, 보행량이 70~80명/분일 때 4.5m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행행태를 반영한 보행밀도를 통해 보행량에 따른 근린지역 보행로의 보행전용존 권장폭을 산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초고속주행에 적합한 변속차로 길이 연구

        정우진 ( Jeong Woo-jin ),홍수정 ( Hong Su-jeong ),이성식 ( Lee Seong-sik ),오흥운 ( Oh Heung-u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6 교통안전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기존 국외의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현재의 차량특성과 도로환경, 안전성 및 운전자 행태 변화를 고려한 초고속도로(설계속도 140km/h) 변속차로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방법론으로 기존 논문을 참고하여 변속차로 영향요소 검토를 통해 적합한 영향요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국외 초고속주행에 따른 변속차로 길이 산정방법으로 보외법을 통한 본선에서 가·감속을 시작하는 경우와 연결로에서의 가·감속을 시작하는 경우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본선에서 가·감속을 시작하는 경우” 연결로설계속도 70km/h일 때 감속차로는 178m, 가속차로는 507m로 제시하였다. “연결로 진입 후 가·감속을 시작하는 경우” 최적길이 산출, 연결로 설계속도 70km/h일 때 감속차로는 247m, 가속차로는 710m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dicated different criteria needed for present highway designs based on the different type of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stics, road environments, safety and a driver's behaviour changes. From the chosen influence effect, design different avenues of speed-change lane were investigated using method that starting case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mainline and ramp according to domestic speed highway based on formula in foreign length of lane changing. As the results, in starting case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mainlin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n mainline, acceleration lane length was proposed 507m and deceleration was 178m when RDS was 70km/h, And also in startiong case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ramp, acceleration lane length was suggested 710m and deceleration was 247m when RDS was 70km/h. (HDS=Highway Design Speed, RDS=Ramp Design Speed)

      • Movie Title 내러티브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김성훈 ( Kim Seong Hun ),홍수정 ( Hong Su Jeong )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3 디자인과학연구 Vol.6 No.2

        영상의 세기, 영상 디자인의 세계는 끊임없이 확대, 발전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시대는 영상디자인이 어떻게 변해 가는가가 아니라 영상을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가 문제의 초점일 것이다. 뉴미디어 아티스트들이 영화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영화는 그것에 담고 있는 정보나 내용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많은 문화적 형식(소설, 연극, 신화, 그림 등)에 존재하는 내러티브를 이용한다. 사람들이 영화를 보러 간다는 것은 대부분 한편의 내러티브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의미한다. 영화의 무비타이틀은 그래픽요소가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으로 아티스트들이 스토리의 문법을 확장하고 이야기의 개념을 디자인으로 표현하는 무대인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가 시작되기 전, 극장에서 상영되는 무비 타이틀과 본 영화의 만족도 관계를 살펴보고 무비타이틀 영상의 시각적 표현 분석을 통해 영화의 언어적 내러티브인 현상학적 이야기가 영상 디자인에 어떻게 구성되고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틀 통해 영상 디자인 연구방향을 확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는데서 그 의의가 있다. Since the world of video images or their design continues to expand and develop, we are obliged to focus on now how the video designs will change but how we will have to design the video images. New media artists may learn much from the films. For the films use such narratives as derived from some cultural forms (novels, dramas, myths, paintings, etc.,) in order to convey their information and contents to the audience. When people go to a movie, they will communicate with a narrative in most cases. The movie titles show some graphic elements most conspicuously, and therefore, artists attempt to expand the grammar of their stories and express their concepts as design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s perception of the movie titles before performanc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ovies after performances, and thereby, analyzing the visual expressions of the video images for movie titles to determine how the phenomenological stories or the linguistic narratives of the movies can be composed and expressed in the video image desig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for some ground for future studies on video image designs.

      • KCI등재

        전방충돌경보(FCW)의 교통안전 증진효과 추정

        김형규,이수범,이혜린,홍수정,민혜령,Kim, Hyung-kyu,Lee, Soo-beom,Lee, Hye-rin,Hong, Su-jeong,Min, hye-Ryung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2

        자율주행의 핵심기술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중 대표기술인 전방충돌경보(Forward Collision Warning)를 대상기술로 선정하여, 주행시뮬레이션 실험 기반의 교통사고 예방효과를 추정하였다. 효과척도로 ①인지반응시간(s) ②감속도(m/s2) ③충돌여부(회)로 선정하여, 전방충돌경보 미설치시와 설치시의 변화량 측정하였다. 실험 시나리오는 운전자 전방의 차량의 급정거하는 시나리오(1)과 옆차로에서 차량이 끼어드는 시나리오(2)를 진행하였으며, 주간/야간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전방충돌경보장치를 설치하였을 경우, 인지반응시간(s)이 감소하였으며, 감속도(m/s2)는 감소하였다. 운전자의 위험상황을 빠르게 감지하여 여유로운 감속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에 따른 전방충돌횟수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반영하고 실험 시나리오를 다양화하면, ADAS의 설치효과를 증대시키고 다른 기술의 효과추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was selected as the target technology. The cognitive response time, deceleration, and impact were selected as the measures of effectiveness. And the amount of change with and without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was measured. The experimental scenarios included a sudden stop event (1)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driver and an event (2) in which the vehicle intervened in the next lane. All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day and nigh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ponse time and the deceleration rate decreased when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was installed. It was analyzed that the driver's risk situation could be detected quickly and the number of front-end collisions could be reduced as a result. Reflecting the driver's operating habits and diversifying the experimental scenarios will increase the installation effectiveness of ADAS and be used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other technologies.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에게 집단 인지훈련이 인지기능, 우울감, 삶의 질에 끼치는 효과

        고요한(Eyohan Ko),한명일(Myeong-Il Han),이건학(Keon-Hak Lee),홍수정(Su-Jeong Ho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21 노인정신의학 Vol.25 No.1

        Objective: There are reports that cognitive training improves cognitiv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However, the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training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munity-dwelling elderly aged 60 years or over. We collected demographic data and assessed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The Short form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SGDS-K),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GQOL-D). Cognitive training consisted of performing tasks for multi-cognitive domains. It was a paper- and group-based program, conducted 15 sessions each 60 minute. After the interven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reassessed.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6.1. Results: There were 206 participants. 162 participants completed the intervention, and were eligible for analyses. After the cognitive intervention, MoCA-K was improved 2.10±0.6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SGDS-K was decreased 0.57± 0.46 (p=0.003). GQOL-D was increased 1.65±1.64 (p=0.048). ANCOVA showed that the score change in MoCA-K was not influenced by baseline SGDS-K or baseline GQOL-D score. Conclusion: Group-and paper-based cognitive training could improve MoCA-K, SGDS-K, and GQOL-D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line SGDS-K and GQOL-D scores were not associated with cognitive training effect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