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실패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홍송이(Song-Ee Hong),이승희(Seung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에게 실패내성이 요구되는 영역을 탐색하고 ‘대학생 실패내성 척도(CSFT: College Student Failure Tolerance)’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문헌연구와 서면조사(대학생 10명)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면담을 위한 질문을 작성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반구조화된 면담(대학생 13명)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겪는 실패 경험을 구체화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대학생과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작성된 12문항에 대하여 예비검사(대학생 150명)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확정된 10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검사(대학생 818명)를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에는 탐색요인분석과 확인요인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공인타당도 검증에서 준거 척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구조 모형에서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2,000번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문항내적합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면담 단계에서 대학생들의 실패 경험과 관련된 6개 영역의 이야기를 추출하여 각 주제별로 실패내성의 2개 하위요인(실패원인분석, 실패극복신념)을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한 예비검사에서 2개 구성요인별 5개 문항 즉, 10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셋째, 본검사에서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의 잠재변인과 각 5개 관찰변인의 구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하위요인인 실패원인분석과 실패극복신념의 변별타당도, 요인별 해당 문항들의 수렴타당도도 검증되었다. 신뢰도는 실패원인분석 0.75, 실패극복신념 0.79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그릿, 학습무동기 척도를 준거로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실패원인분석, 실패극복신념, 그릿, 학습무동기 간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구조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실패극복신념은 실패원인분석과 그릿 및 학습무동기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실패내성 측정의 의의와 본 연구가 대학생 실패내성 향상 및 관련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the college student of failure tolerance (CSFT)’ to understand the failure tolera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Six storie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and two questions for each story. After preliminary test, an survey of 10 questions was administered to the 818 college students along with the Grit and Academic amotivation scale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an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with the criterion scales in verifying concurrent validity. The mediating effect in the causal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bootstrapping method 2,000 times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o analyze reliability,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Resul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ose five areas (Grade management, Aptitude for major, Self-management, independency, Career preparation) were contracted to two factors (‘Analysis of the cause of failure’ and ‘Belief in overcoming fail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CSFT fits to th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 validity of CSFT, the causal model of ‘Analysis of the cause of failure’ and ‘Belief in overcoming failure’, ‘Grit’, and ‘Academic amotivation’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Failure tolerance’, the higher the ‘Grit’, but the lower the ‘Academic amotivation’.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Belief in overcoming failure’ played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Analysis of the cause of failure’ and ‘Grit’, and between ‘Analysis of the cause of failure’ and ‘Academic amotivation’.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α) of the CSFT were satisfactory, ranging from .75 to .79.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measuring the college students’ failure tolerance and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종교생활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불교를 중심으로

        홍송이(Hong Song Hee),김학주(Kim Hak Ju) 韓國佛敎硏究院 2015 불교연구 Vol.42 No.-

        The study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religious life to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in Singapore called as a religious society. Using 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498 Buddhists aged 55 and above were sampled for this study. The English structured survey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Malay, and Tamil to include all races in Singapore. The religious life was measured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variables such as the importance of religion, attendance of religious services, the frequency of pray and chanting Buddhist sutra, the frequency of meditation, volunteer participation, and family's religious participation and intensity. Multiple indicators of life satisfaction were analysed via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the associations among the nine indicators of life satisfaction,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high life satisfaction(38.96%), middle life satisfaction(53.21%), and low life satisfaction(7.83%) group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dentified the positive impact of religion on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pattern. Specifically, the importance of religion, attendance of religious services, volunteer participation, and family's religious participation and intens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s of being classified into higher life satisfaction groups. These study findings corroborate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life among Buddhist older adults in Singapore and suggest an empirical evidence for incorporating religious contents into gerontological practice. 본 연구는 종교사회라 일컫는 싱가포르에서 종교생활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 주요 관점을 발전시켰다. 첫째, 특정 종교의 사회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내재적 · 외재적 종교 생활 변수들을 측정하고, 둘째, 종교생활의 외연적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가족종교 변수들을 추가하였으며, 셋째,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다차원성 및 그 잠재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발전된 통계 방법을 선택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싱가포르 55세 이상의 불교신자들 498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차원적인 삶의 만족도 지표들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후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이용하여 종교생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9개의 삶의 만족도 지표를 이용하여 3개의 집단이 분류되었다: 상위(38.96%), 중위(53.21%), 그리고 하위집단(7.83%). 개인차원의 변수로는 삶에 대한 종교의 중요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절이나 사원의 방문과 같은 종교활동 참여, 종교기관에서 행하는 봉사활동의 참여 등 외재적 종교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증가했지만, 참선 또는 기도나 경독과 같은 내재적 종교 실천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가족종교 활동의 참여 정도와 실제 시간은 모두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종교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종교의 역할을 노인복지 분야에 활용하여, 불교와 융합된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했으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가치 실현과 가족중심의 종교생활을 지향하는 실천적 종교로의 방향을 제언한다.

      • KCI등재

        요양보호사에 의한 노인의 신체억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송이(Song Iee Hong),박서영(Seo Young Park)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3

        2008년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이래로 요양보호사는 한국 노인 돌봄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해왔으나, 요양보호사에 의한 시설학대의 가파른 증가 속도는 초고령 사회의 돌봄 위기를 초래할 만큼 요양보호사의 역량과 자질이 위태롭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요양보호사의 직무 중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이 크게 저하된 노인들에게 사용되는 신체억제는 학대와의 경계가 매우 불분명하여 지속적인 인권침해 논란이 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2017년 3,000여개의 재가노인복지시설 및 재가장기요양기관으로부터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3,859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억제 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억제 인식, 신체억제 목격경험, 노인인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요양보호사의 10.7%가 노인 대상자에게 신체억제를 수행한 적이 있었으며, 둘째, 요양보호사들이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행위의 빈도, 그들이 다른 요양보호사에 의해서 행해지는 신체억제행위의 목격빈도, 그리고 직접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신체억제 행위 사이에 개연성이 있었다. 셋째, 신체억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을수록 신체억제 행동이 줄어들었고, 넷째, 다른 요양보호사들의 신체억제 행위를 목격한 경험이 있는 요양보호사가 신체억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노인의 성격 때문에 인권침해가 발생한다고 응답한 요양보호사들이 신체억제 경험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신체억제 인식 및 인권의식이 낮거나 낮을 경향이 높은 요양원 환경에서 신체억제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체억제를 근절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 요양보호사 개인 수준의 인식 개선에서 나아가 조직문화, 다시 말해 돌봄이라는 것이 인권에 기반한 케어문화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of 2008, licensed caregivers for older adult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Korea. In contrast to such trends, their care capacity has been socially concerned about violation against human rights such as elder abuse including physical restraints. The distinction between physical restraints and physical abuse is ambiguous at care settings which has brought in hot debate o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caregivers’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and reasons of elder abuse and their witness of physical restraints are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restraints on older adults. We used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3,859 licensed caregivers working at about 3,000 day care centers across the nation in 2017. First, we found that 10.7% of caregivers performed restrictive interven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witness of others’physical restraints, and their own physical restraints are related to each other. Lastly, logistic regressions confirmed that caregivers’poor 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more witness of physical restraints by other caregivers, and higher perception of victim’s personality problems mainly causing elder abuse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use of physical restrai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 environment insensitive to human rights might lead to elder abuse by over-utilizing physical restraints. Also, it is fundamental to develop professional care culture of licensed caregivers towards person-centered care.

      • KCI등재

        학부모의 자녀교육참여 영향 변인 탐색

        홍송이(Song Ee Hong)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학부모의 자녀교육참여 관련 변인을 탐색한 것으로, 중학교 1학년 자녀를 둔 강원도 지역 학부모 6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학부모 관련 변인을 사회경제적 변인군(부모의 학력, 가구소득 수준)과 심리적 변인군(학부모효능감, 자녀양육 스트레스, 자녀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으로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심리적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와 학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부모의 심리적 변인군이 사회경제적 변인군보다 자녀교육참여에 대하여 더 높은 설명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는 학부모효능감과 가정에서의 자녀교육참여, 학교에서의 자녀교육참여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자녀학습참여에 있어 학부모의 심리적 변인이 중요함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수준 높은 자녀교육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학부모효능감과 학교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dictors of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 s education(PI).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683 parents in Gangwon Province with first-grade children in middle school. Parents’socioeconomic variables (parents academic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arental efficacy, satisfaction with child s school, and parental stress) were measured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stimate predictions of two variable groups (S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PI.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estim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PI. Th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had a greater prediction on the PI than the socioeconomic variab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ified model was satisfied with criteria of SRMR, GFI, AGFI, NFI, TLI, and CFI. Parental stress had the mediat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both home-based and school-based involvement. However the mediate effect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hild s school and PI. Those findings imply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are mo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 s education and suggest that a variety of supports are required to be provided to promote the parental 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child s school and reduce the parental stress for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 s education as well.

      • 싱가포르 노인주거정책: 현황과 비판적 논의

        홍송이(Hong, Song lee)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3 한림고령사회연구 Vol.1 No.1

        Housing is a basic need to maintain independent living, human dign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of housing policies specialized for older adults. As an aging society, Singapore has initiated a variety of housing options for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Indeed, public housing in Singapore is tailored to meet different needs of heterogeneous older adults. Therefore I critically review housing policies and programs specialized for older adults in Singapore. Three main housing strategies are conceptualized. First, housing policies for mutual family support include (1) Multi-generation priority scheme, (2) Rent and purchase scheme, (3) Married child priority scheme, (4) Higher-tier family CPF housing grant, (5) Higher-tier singles CPF housing grant, (6) Higher income ceiling for extended family, and (7) Aging-in-place priority scheme. Second, monetization options for retirement income comprise (1) Studio apartment scheme, (2) Lease buy back scheme, (3) Subletting flat/room, (4) Downsizing, and (5) Silver housing bonus. Third, programs for elder-friendly physical environment encompass (1) Barrier-free accessibility program, (2) Lift upgrading program, (3) Project LIFE, and (4) Selective enbloc redevelopment scheme. This paper presents the systematic groundwork for critical analysis on housing policies.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I discuss specific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advanced for senior housing policies and programs. 안정된 주택 및 주거는 노년기에 인간으로서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고 독립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요인이 다. 이에 한 나라의 주거정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운영이 노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공주택정책을 사회통합의 수단으로 주거복지정책을 발전시켜온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최근 강화된 노인주거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들이 특화된 노인 대상에게 어떠한 정책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노인을 위한 싱가포르 주거정책은 3가지로 구 분할 수 있다. 첫째, 가족 협력을 통한 독거노인가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써의 주거정책이다. 이 정책은 자 식들이 부모와 같이 거주할 경우 공공주택의 추첨확률을 높여주는 정책, 부모의 집과 가까운 거리의 집을 자식이 살 경우 그에 따른 자금 및 추첨확률을 높여 주는 정책, 확대가족의 확산을 위한 정책, aging-in-place를 실현하기 위한 노인 자신들 의 지역사회에서 거주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등을 포함한다. 둘째, 퇴직 후 노후소득이 감소하면서 나 타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주택을 노후소득보장과 연계시키는 정책들이다. 싱가포르 노인들이 선호하는 큰 규모의 집에서 규모를 줄여 다운사이징을 장려하는 정책, 역모기지 정책, 스튜디오 아파트로 이주하여 주택 매매 후 차익을 노후 소득보장 에 연결시키는 정책들이 있다. 셋째, 노인의 거주 및 이동과 관련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노인의 주거와 관련된 삶의 질 을 향상시키려는 정책들이 있다. Universal design을 적용한 노인의 주거 개선사업, 오래된 공공주택의 엘리베이터를 설치 및 개보수하는 사업, 주택 재개발 사업 등이 발전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정책 및 프로그램들의 핵심내용을 분석하고, 싱가포르의 사례 분석결과를 통해 노인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정책적 함의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북한 이탈 주민의 정신건강

        송이(Song Ii Ahn),전덕인(Duk–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김현(Hyun Kim),나래(Narei Ho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2 사회정신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북한 이탈 주민의 국내 입국 인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정착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정신건강 관련 증상의 유병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북한 이탈 주민의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신건강 서비스 요구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경기도 군포시에 거주 중인 성인 북한 이탈 주민 56명을 대상으로 4명의 훈련된 북한 이탈 주민 조사원들이 직접 대면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구학적 정보 및 탈북 관련 요인, 주관적 건강 인지, 정신건강 서비스 요구도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고 벡 우울 척도와 벡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우울 및 불안 증상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대상자의 39.3%가 우울 증상을 호소하였고 42.9%가 불안 증상을 호소하였다. 우울군에서 무직인 경우(p=0.021), 정신건강 관련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p<0.001), 북한에 직계 가족이 있을 경우(p=0.029)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불안군에서 주소득원이 정부 보조인 경우(p=0.001), 무직인 경우(p<0.001), 기초생활 수급자인 경우(p=0.038), 의료 급여 1종 대상자인 경우(p=0.018), 정신건강 관련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p<0.001), 주관적 건강 인지가 좋지 않은 경우(p=0.035)가 더 많았다. 그러나 탈북 동기(우울군 p=0.767, 불안군 p=0.727), 탈북 과정(우울군;체류 국가 수 p=0.448, 체류 기간 p=0.450, 불안군;체류 국가 수 p=0.268, 체류 기간 p=0.386), 현재 가족과의 동거(우울군 p=0.581, 불안군 p=0.139)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북한 이탈 주민들의 정신건강 서비스 요구도는 높았으며 상담 치료와 심리검사를 원하고 있었다. 결 론 : 북한 이탈 주민의 상당수에서 우울 또는 불안 증상이 나타났으며 과거 탈북 관련 요소보다는 경제적 상태와 주관적 건강 인지와 같은 현재 상태와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서비스 요구도 또한 선행 연구와 달리 높아 북한 이탈 주민의 우울 및불안에 초점을 맞춘 정신보건 서비스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Many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en settled down in South Korea, and they have been suffering from pre-migration trauma and resettlement stress. And there are not enough systematic studies about general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refugees. Our aim is to evaluat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se symptoms, and to investigate mental health service needs for North Korean refugees. Methods : 56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North Korean adult refugees who lived in Gunpo-si. We trained 4 North Korean refugees as interviewers. The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North Korean subjects and made the subjects to submit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bout demographic factors, factors related to defectio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service needs. And the subjects were assess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Beck anxiety inventory to measure depressive and anxious symptoms, respectively.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T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In 56 subjects, 39.3% of subjects showed depressive symptoms and 42.9% of them had anxiety symptoms. Unemployment (p=0.021), having mental illnesses (p<0.001) and lineal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p=0.029)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depressed subjects. Also anxious subjects had having government grant as main income (p=0.001), unemployment (p<0.001), being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0.038), medical aid type 1 (p=0.018), bad perception of subjective health (p=0.035), and mental illnesses (p<0.001). But factors related to defect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r anxiety symptoms. Many subjects reported to need mental health service and they want to get psychotherapy and psychological test.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many North Korean refugees have depression or anxiety symptoms. And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symptoms and current status, such as financial problem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rather than factors related to defection. And they wanted mental health services more than our expectation. Further evaluation about mental health services focusing on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is needed for North Korean refugees.

      • KCI우수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heory of Transition to College Student : A Sequential Mixed Method of Grounded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대학신입생 전환 이론 개발과 검증 : 근거이론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순차적 혼합 연구

        홍송이(Hong, Song-E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이 대학에 전환하는 과정을 탐색하여 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관련 변인을 구성하여 그 이론이 타당한지 검증하는 것이다.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파악하였고, 구축된 전환 이론 모형을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론의 타당성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거주 형태에 따라 기숙사, 자취, 통학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구조 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분석을 하였다. 근거이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112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조방정식 검증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학에 대한 기대감과 자신감을 높게 가질수록 대학생으로 전환을 잘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자신의 전환에 대한 만족감과 대학에 대한 만족감도 높아졌다. 둘째, 자기 관리를 잘 한다고 생각할수록 전환을 더 잘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전환만족도와 대학만족도도 증가하였다. 셋째, 자신의 전환에 대한 인식과 전환만족도는 기대감과 자신감 및 자기관리와 대학에 대한 만족 사이에서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분석 결과, 자취와 통학 집단 사이에서 전환만족이 대학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으로의 전환과 적응을 위한 교육 정책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of students’ transition to college and to confirm that theory.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first-year transitio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grounded theory,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stablished transition theory. The validation of the theory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xisted in the structural model for dormitory, self-catering, and commuting to school.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study, 112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SEM, first, the higher the expectation and confidence in college, the better the transition and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Second, the better the first-year students did at self-management, the better they transitioned,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transition and college. Third, transition and satisfaction with transition played a role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expectations and confidence, as well as between self-man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and this resulted in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multi-group analysis, there was only on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ransition on satisfaction with college, and that was between the self-catering and commuting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for student transi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인권의식 척도 타당도 연구

        홍송이(Hong Song Iee),심혜인(Sim Hye 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실시된 「노인인권실태조사」연구에서 사용한 노인인권의식 척도의 타당도를 검사함으로써, 이 척도가 노인복지서비스 내 노인인권의식에 대한 차별적 진단 도구로써 사용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주간·야간 재가서비스, 2018년 노인여가복지서비스(노인복지관 및 노인 일자리 지원기관), 2019년 방문요양·목욕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이용자, 시설장, 시설직원 및 요양보호사를 포함한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이차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3개년 동안 ‘자유권, 평등권, 사회권, 학대받지 않을 권리, 권리옹호’ 총 5개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조사한 19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연구참여자, 21,469명을 대상으로 SPSS와 Mplu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확인적요인분석 모델 적합도 뿐만 아니라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도 적합한 수준으로 검증되었으며, Amo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동일성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권, 사회권, 평등권, 차별받지 않을 권리, 권리옹호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19개 노인인권척도가 취약한 노인을 포함한 인권침해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 내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사정도구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대규모 분석대상을 포괄함으로써 보다 보편적인 타당성이 담보되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으로, 노인인권침해에 대한 제도적 현장 기제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진단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human right scale for older person could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the diagnosis of awareness on human rights among social welfare agency staffs and their service users. The human right scale consists of five domains with total 19 items: freedom, equality, social rights, rights not to be abused, and rights for advocacy. From 2017 to 2019.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ifferent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n a total 21,469 data were analyzed except missingnes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via Mplus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ized return coefficient was above the reference value as suitable, and the concentration feasibility was secured through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value. The whole results confirmed the verification level of measurement scale. These results suggest more active utilization of the human right scale for elder protection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against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노인의 자원봉사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제도적 역량 분석

        홍송이(Song Hee H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이 연구는 노년기 자원봉사 양과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역량의 실증적 사정을 시도함으로써 노인들의 낮은 자원봉사 참여와 불안정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고령 사회가 노인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43개의 싱가포르 사회서비스 조직들의 자원봉사 관리자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차원적인 13개의 하위척도를 측정함으로써 기존의 제도적 역량의 실증적인 측정 도구를 발전시키고, 잠재적 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하여 자원봉사조직의 제도적 역량의 위계적 유형을 구조화하고, 그에 따른 노인 자원봉사 모집, 유지, 그리고 수행에 있어서 분명한 조직성과 차이를 제시했다. 조직성과로 이어지는 자원봉사 조직의 제도적 능력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역할 개발, 훈련, 및 그들을 위한 환경 개선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전문적인 노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차별화된 노인 자원봉사의 역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노인의 역량을 이해하고 사정하려는 자원봉사 조직의 시도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 자원봉사를 확대하기 위한 자원봉사 조직의 전략적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실천적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Considering how to close a big gap between actual and potential older volunteer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institutional capacity of volunteer organizations which refers to the 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to offer service roles for older adults. This study measured 13 subdomains of institutional capacity from 43 human service organizations. Latent Profile Analysis classified three hierarchical structure: High group (19%); moderate group (28%); and low group (54%). Organiza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oles specialized for older adults are critical to differentiating their institutional capacity. Such configuration influenced 1) higher number of older volunteers that are currently filled, 2) increased number of older volunteers compared with the year before, and 3) higher average volunteering hours and duration. Hence, the enhancement in institutional capacity of volunteer programs may guarantee older adults productive engagement through volunteering.

      • KCI등재

        Aging-in-Place를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비판적 이해: 싱가포르 사례연구

        홍송이 ( Hong Song-i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최근 노인복지정책에서 핵심 목표가 되고 있는 Aging-in-Place(AIP)의 관점에서 싱가포르 정부가 발표한 노인복지정책 개혁안 중 AIP를 정책 목표로 언급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그 구체적인 실행방안들의 핵심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AIP 정책들이 노후의 주거 정주성을 지원하기 위한 3개 영역(물리적 내부성, 사회적 내부성, 자서전적 내부성)과 생활수행 독립성을 지원하고 있는지에 관한 4가지 영역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대상은 주택 현금화 정책, 고령친화 환경 조성 정책, 지역사회 서비스 정책, 그리고 노후활동 지원 정책이다. 이 정책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책 자료집, 연구 보고서, 학술논문 등의 문헌자료와 정책결정자 인터뷰 보도 자료, 신문, 총리 독립기념일 연설문 등이 중요한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싱가포르의 AIP를 위한 핵심 노인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을 포함한 유사한 고령 사회문제를 겪고 있는 아시아 고령국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view of aging-in-place(AIP), this study introduced and critically reviewed the current aging policies and programs in Singapore. The target policies consisted of four domains: housing monetizing options, elder friendly environment policy, active aging programs, and community care services. In terms of how the AIP policies and programs support older adults` long-term stability of residence and independent function of daily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government documents and reports, web sites, journal articles, policy makers` interview reports, newspapers, and Prime Minister`s national rally speeches. The analytical information suggests future directions on welfare expansion beyond residualizm, transfer from social investment-oriented approaches, infrastructure of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integrated service networks and delivery systems, balance between direct support for older adults and indirect support through their families, multi-ethnic cultural sensitivity, and special AIP programs tailored for vulnerable targets uncaptured by the current welfare system. The findings could offer useful tips on aging-in-place for better designing aging policies and programs to other aging countries in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