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9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I)

        홍세선,이진영,Hong, Sei Sun,Lee, Jin 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6

        In 2019, about 134 million ㎥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an estimated 880 quarries and pits in 17 metropolitan governments.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cities were Gyeonggi-do,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Gyeongsangbuk- do, Chungcheongnam-do, in order decreasing volume,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bout 71% of total product. Of the total domestic aggregates produced in 2019, about 31 % was sand and about 69% was gravel. It estimated that of the 134 million ㎥ of aggregates in Korea in 2019, about 50.3%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41.4% by forest aggregate, 3.3% by land aggregate, 1.7% by sea aggregate and 1.7% by washing each other, and 0.7%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ers of domestic aggregates. The most crushed and forest aggregate was extracted at the Gyeonggi-do and Gyeongsangnam-do, respectively. Land aggregate was mainly extracted at Gyeongsangbuk-do and Gangwon-do. Therefore, in the future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resources,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primary policy direction for screening crushed and forest aggregate. 2019년에 국내에서 채취된 골재에 대하여 광역시도별로 채취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년에 전국에서 채취된 골재는 약 1억3천4백만 ㎥로 이 중 모래는 약 4천1백만 ㎥, 자갈은 약 9천3백만 ㎥가 채취되었다. 골재원별로는 선별 파쇄골재(50.3%)가 가장 많이 채취되었으며, 산림골재(41.4%), 육상골재(3.3%), 바다골재(1.7%), 선별세척(1.7%), 하천 골재(0.7%) 순이다. 이는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국내 골재채취의 주생산지임을 말해준다. 권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국내 골재 채취의 약 30%를 점하며,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이다. 주로 채취되는 골재는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다. 경기도는 선별파쇄골재가 가장 많이 채취되며, 경상남도는 산림골재가 가장 많이 채취된다. 또한 육상골재는 경상북도와 강원도에서 채취가 가장 많이 되는 등 지역에 따라 채취가 용이한 골재의 종류가 다르다. 2019년도 골재채취의 특징은 하천골재와 바다골재의 채취가 현저히 줄어든 반면 선별파쇄와 산림골재의 채취가 증가하여 전체 골재채취물량의 약 90%가 넘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골재자원의 향후 수급에 있어 선별파쇄와 산림골재에 우선적인 정책방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소화산들의 화산활동 기록

        홍세선,이춘오,임재수,이진영,안웅산,Hong, Sei Sun,Lee, Choon Oh,Lim, Jaesoo,Lee, Jin Young,Ahn, Ung Sa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1

        이번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소화산들에 대한 40Ar-39Ar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내 어리목 상수원 부근에 위치하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 및 조면암이 192 ka 내외로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였으며, 동수악의 알칼리현무암 184 ka 내외, 만세동산의 조면현무암 153 ka 내외, 장구목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35 ka 내외, 어승생악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23 ka 내외, 삼각봉의 조면암 106 ka 내외 등으로 10만년 이상의 연대를 보인다. 10만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으로는 윗방애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94 ka, 성널오름의 알칼리현무암 92 ka, 물장올의 전이질현무암 81 ka, 영실조면암 71 ka, 보리악의 조면안산암 73 ka, 윗세누운오름과 윗세족은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서 각각 76 ka, 93 ka, 흙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60 ka, 방애오름과 알방애오름의 전이질현무암은 각각 59 ka, 83 ka, 백록담의 조면암 47 ka, 한라산 북벽의 조면암 35 ka, 윗세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41 ka, 성널오름을 관입한 조면암 32~43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 39 ka, 서중천 지류하천의 조면암 37 ka 내외의 연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로 추정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화산활동은 약 192 ka에서 홀로세 직전의 17 ka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 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과 같이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용암류의 흐름 또는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형성은 지표상에 노출된 용암으로 볼 때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 동부지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reports the Ar-Ar dating results for the volcanic rocks from small volcanoes(oreum) of the Hallasan Nature Reserve. According to the age of 40Ar/39Ar,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about 192 ka ago. The basaltic trachyandesite and trachyte located in the Y valley near the Eorimok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represent an age of about 191~192 ka, showing the oldest record of volcanic activity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small volcanoes older than 100 ka are Y Valley in Eorimok area (192±5 and 191±5 ka), Dongsu-Ak (184±19 ka), Mansedongsan (153±5 ka), Janggumok-Orum (135±6 ka), Eoseungsaengak (123±9 ka), Samgagbong (105±2 ka). And the small volcanoes younger than 100 ka are Witbangae-Oreum, Seongneol-Oreum, Muljangol, Yeongsil, Bori-Ak, Witsenueun-Oreum, Witsejokeun-Oreum, Heugbuleun-Oreum, Bangae-Oreum, Albangae-Oreum, Witsebuleun-Oreum, Baengnokdam, Nongo-Ak. According to the eruption of trachytes,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bout 8 volcanic activities. Among them,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rachyte dome, such as Wanggwanneung, Samgakbong, Yeongsil, and Baengnokdam, and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flow or dyke of trachyte. The volcanic activity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northwest area, to in the southern area, and in the eastern area, and finally volcanic activit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Baengnokdam.

      • KCI등재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홍세선,이창범,박덕원,양동윤,김주용,이병태,오근창,Hong Sei Sun,Lee Chang Bum,Park Deok Won,Yang Dong Yun,Kim Ju Yong,Lee Byeong Tae,Oh Keun Cha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5

        국내에서의 골재의 수요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빠르게 증가되어 왔다. 국내 골재 생산량 중 하천골재의 비율은 약 25%, 바다골재 20∼25%, 육상골재 약 5%이며, 산림골재는 약 40∼50%를 점하며 거의 모든 굵은 골재의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산림골재는 지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서울, 부산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산림골재로서 개발되는 암석은 심성암류 27%, 변성암류 32%, 퇴적암류와 화산암류가 각각 18%를 차지한다. 암종별로 보면 전체 골재석산에서 화강암 대상이 25%, 편마암 20%, 사암 10%, 안산암 1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석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국내 암석 종류 중 15개 암종에 불과하지만 골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석재 이용 암종의 2배인 29종으로 심성암류는 화강암, 섬장암, 섬록암, 반화강안, 반암, 규장암, 맥암 등이며, 화산암류는 유문암, 안산암, 조면암, 현무암, 응회암, 화산각력암 등이다. 또한 변성암류에서는 편마암, 편암, 천매암, 슬레이트, 변성사암, 규암, 혼펠스, 석회규산염암, 각섬암 등이 사용되고, 퇴적암에서는 사암, 셰일, 이암, 역암, 석회암, 각력암, 쳐트 등이 이용된다. 이들 암종들 중에는 석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셰일, 이암, 화산각력암 등이 포함된다. 석재에서는 화강암이 70∼80%의 점유빈도를 보이지만 골재에서는 25% 정도의 점유율만을 보인다.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되는 암종은 편마암으로 전체 점유율 중 20% 정도 차지한다. 그리고 사암과 안산암이 10% 내외 정도의 점유율을 보인다. 도별 점유현황을 살펴 보면 충북에서 심성암의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전북, 강원, 경기도의 순으로 심성암의 점유율이 감소하며 경남과 전남이 12%, 10%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70∼80%의 심성암 점유율을 보이는 석재자원과는 매우 다른 형태이다. 전남지역은 화산암 골재가 50% 이상이며, 경남은 퇴적암 골재가 50% 이상을 점한다. 또한 변성암의 골재 사용비율은 경기도, 충남에서는 거의 50% 수준에 육박한다. 골재 석산은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며 오히려 전북에서의 골재 석산의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강원도가 골재석산의 수가 가장 적은 편이다. The demand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80s. About 25% of the total aggregate production is derived from riverine aggregates, 20% to 25% from marine sands, 40% to 45% from crushed aggregate and the rest 5% to 15% from old fluvial deposits. The abundance of crushed coarse aggregates varies in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ountry, but in general it can be concentrated in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s, five main cities. Typical rock types of the Korean crushed stones are classified as plutonic rocks of 27%, metamorphic rocks of 32%,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of 18%,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coarse aggregate used in the country is obtained from granite (25% of total) and subordinately gneiss (20%), sandstone (10%) and andesite (10%). Although rock types using as dimension stone are only fifteen, those as aggregate amount up to twenty nine rocks. These rocks consist of plutonic rocks such as granite, syenite, diorite, aplite, porphyry, felsite. dike and volcanic rocks such as rhyolite, andesite, trachyte, basalt, tuff, volcanic breccia and metamorphic rocks such as gneiss, schist, phyllite, slate, meld-sandstone, quartzite, hornfels, calc-silicate rock, amphibolite. And sandstone, shale, mudstone, conglomerate, limestone, breccia, chert are main aggregate sources in tile sedimentary rocks. The abundance of plutonic rocks is the highest in Chungcheongbuk-do, and decreases as the order of Jeollabuk-do, Gangwon-do and Gyeonggi-do. In Jeollanam-do, volcanic aggregates occupy above 50%, on the contrary sedimentary aggregates are above 50% in Gyeongsangnam-do.

      • KCI등재SCOPUS

        2022년 한국의 골재

        홍세선(Sei Sun Hong),이진영(Jin Young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6

        In 2022, the total of 129 million m3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Korea, a slightly decrease from the total production of 2021. Of these, about 44 million m3 of sand and about 84 million m3 of gravel were produced. About 41% of total quantity of aggregates were produced by permission and the rest were produced after declaration. It estimated that of the 129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2, about 54.9%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2.8% by forest aggregate, 2.2% by land aggregate, 6.2% by marine aggregate and 3.1% by washing aggregate, and 0.3%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ers of domestic aggregate in 2022.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Gyeonggi-do, Gyeongsangnam-do, Chungcheongnam-do, Incheon, Jeolla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Gyeongsangbuk-do in order decreasing volume. In 2022,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47 local governments, and the 10 leading producing local government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volume, Hwaseong, Pocheon, Paju, Ongjin, Youngin, Gwangju, west EEZ, Incheon Seo-gu, Namyangju, Asan.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10 leading local governments accounted for 31% of the national total. And 44 local governments have produc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each other. In 148 local governments that produced aggregate, a total of 800 active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 with 350 operations by river, land and forest aggregate, 450 operations by selective crushed and washing aggregate. 2022년에는 약 1억 2,874만 ㎥의 골재가 채취되었다. 이 중 모래는 약 4,427만 ㎥, 자갈은 약 8,447만 ㎥이다. 허가채취는 약 5,334만 ㎥, 신고채취는 약 7,540만 ㎥ 이다. 골재원별로는 선별파쇄에서 가장 많은 7,067만 ㎥가 채취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산림골재 4,214만 ㎥, 바다골재 797만 ㎥, 선별세척 403만 ㎥, 육상골재 286만 ㎥, 기타골재 70만 ㎥, 하천골재 37만 ㎥ 순으로 선별파쇄와 산림골재의 채취량이 전국 채취량의 약 87.6%에 달한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가장 골재를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전라남도의 순이다. 2022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4%인 147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다. 100만㎥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시군구는 44개이며, 이들 시군구에서는 전국 채취량의 72%인 약 9,269만 ㎥를 채취하였다. 2022년도에는 약 960개소 정도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00개소이다. 이중 허가채취장은 350개소, 신고채취장은 450개소이다. 선별파쇄가 약 407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는 187개소, 육상골재는 123개소 내외이다. 100만㎥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14개소이며, 1만㎥ 미만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105개소이다. 약 350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4.8년에서 최소 0.1년이며, 허가기간이 10년 이상인 채취장은 103개소이다. 2022년 이후에도 채취 가능한 채취장은 258개이지만 5년 내로 320여개 이상의 채취장이 개발종료되어 28개의 채취장만이 5년 이상 채취가 가능하다.

      • KCI우수등재

        종묘 어도박석 화강암의 재질특성 연구

        홍세선(Hong Sei Sun),윤현수(Yun Hyun Soo),이진영(Lee Jin Young),이병태(Lee Byeong Tae),이효민(Lee Hyo Min),송치영(Song Chi Young) 한국암석학회 2006 암석학회지 Vol.15 No.3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에 위치한 종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종묘의 어도에 깔려 있는 약 2,361개의 박석에 대해 규격과 재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박석에서는 암종, 암색, 입도, 광물조성, 화학조성, 대자율, 박석의 크기, 표면상태, 파손상태 등이 조사를 실시하여 박석의 특성을 해석하고, 박석의 규격조건을 설정하였다. 박석은 4종의 화강암류 즉, 담회색 세중립질 각섬석흑운모화강암, 담 회색 세중립질 흑운모화강암, 담홍색 중립질 내지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 홍색 중립질 내지 중조립질 흑운모 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 편암류로 구성된다. 이들 중 화강암이 99.8%이다. 박석의 평균크기는 65 × 46 ㎝(표준편차 12 × 7 ㎝)이며, 박석의 표면상태는 양호 34.7%, 보통 41.4%, 보통 이하 23.8%이다. 종묘 삼도박석에서 2조각 이상으로 깨져 있는 박석은 약 720장 30.5%이다. 담홍색과 홍색을 띄는 흑운모화강암, 화강암 이외의 암석과 표면상태가 보통이하인 박석은 원래의 박석부재는 아니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후세에 보수 과정에서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박석의 수는 약 560여장이다. 박석의 주요 부재로 사용할 수 있는 화강암의 규격은 담회색 흑운모화강암(미량의 각섬석 허용)으로 입도는 세중립질(0.5-3 ㎜)이며,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퍼다이트, 흑운모 등으로 된 lUGS 분류상의 화강암 영역에 속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iO₂ 성분은 70wt.% 이상, 대자율은 0.1 × 10<SUP>-3</SUP> SI 내외(최대 2 × 10<SUP>-3</SUP> SI 내외 허용)의 암석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For the characteristics of rock material and standardization, flagstones of the trifurcated path in Jongmyo Royal Shrine, registered as World Cultural Heritage,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petrographic, petrochemical and magnetic properties. The flagstones are composed mainly of pale gray fine to medium grained hornblende biotite granite, pale gray fine to medium grained biotite granite, pale pink medium to coarse grained biotite granite, pink medium to coarse grained biotite granite and minor pegmatite and schist. Flagstone represents the average size of 65 ㎝ × 46 ㎝ (standard deviation 12 ㎝ × 7 ㎝) and suitable (34.7%), common (41.4%) and unsuitable (23%) in roughness. It is interpreted that pale pink and pink granite, pegmatite, schist and other flagstones with unsuitable state are not original rock materials and were exchanged during restoration, in the past. The number of these non-original rock materials is about 560 flagstones. We suggests that the standard flagstone of the trifurcated path is pale gray fine to medium grained biotite granite (± hornblende in trace), 70 wt.% in SiO₂ content, and ±0.1 × 10<SUP>-3</SUP> SI in magnetic susceptibilit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