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적 시민과 시민교육을 받을 헌법적 권리 –시민교육법제화를 위한 헌법적 시론–

        홍석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고려법학 Vol.0 No.86

        Through the recent candlelight revolution, the Korean people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constitutional conversation. The candlelight protests led to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marking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in South Korea’s political history. The series of protests will be recorded as a historical event which illuminated the remarkable patience and outstanding civic attitude of the Korean citizenry, who amid the national crisis trusted the constitutional procedures and refrained from exhibiting fury. However, the long-awaited, fully transparent constitutional conversation may find itself confined to the public gatherings themselves and may fade away with the inevitable dispersal of the protestors. The problem is that the one-time experience in the public squares does not necessarily lead one to internalize constitutionalism within oneself and thereby become a true constitutional citizen nor does it lead to the completion of a citizens’ constitution. Perhaps a new constitutional crisis situation will unfold. Therefore, legislation of civic education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nstitutional conversation is a most urgent task. Especially, because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the right to receive civic education, legislators bear the obligation to materialize the right through laws and regulations. The only problem is formulating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basic framework that shall be stipulated in the laws and regulations. An explicit criterion or equivalent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 should be decided, after a comprehensive determination of the requirements of subparagraphs 4 and 6 of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and immanent criteria such as constitutional ideology and the historical context. 우리 국민은 지난 촛불혁명을 통해 과거 광장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헌법적 대화를 경험했다. 이는 우리 헌정사에 초유의 사건으로 기록될 현직 대통령에 대한 파면결정까지 이끌어냈다. 국가적 위기 상황 앞에서 헌법에 마련된 절차를 끝까지 신뢰하고 그 분노를 자제했던, 우리 국민의 놀라운 인내력과 위대한 시민성을 보여준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그러나 모처럼 활짝 열린 우리 국민의 헌법적 대화가 다시 광장에 갇혀 사라질 수도 있다. 문제는 광장에서의 일회적 경험만으로는 입헌주의를 내면화한 진정한 의미의 헌법적 시민(주권자)으로 자신을 형성할 수도, 헌법을 국민의 헌법으로 완성할 수도 없다는 점이다. 어쩌면 새로운 헌법적 위기 상황을 초래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헌법적 대화의 제도화를 위한 시민교육의 법제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이다. 특히 입법자는 우리 헌법에서 시민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를 법률로써 구체화시켜야 할 입법 의무를 진다. 다만 입법자가 반드시 법률로써 정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이 무엇인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문제이다. 이는 우리 헌법 제31조 제4항과 제6항 규정의 요건, 헌법의 명시적 기준 내지 이에 준하는 규정의 존재 여부, 그리고 헌법 내재적 기준으로서 입헌주의의 이념과 역사적 맥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자치조례안의 법적 쟁점과 입법적 과제(시사점): 경기도 학교자치조례안을 중심으로

        홍석노 대한교육법학회 2019 敎育 法學 硏究 Vol.31 No.2

        The ordinances on school autonomy have been enforced by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South Jeolla Province, respectively, after many twists and turns. Actually, the ordinances had been suspended by the Supreme Court, but both were enacted again early this year. It is all because the laws do not rescribe the issues related to school autonomy systematically as a whole.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huge controversy over the illegality in the ordinances. Gyeonggi Province first had attempted to enact the ordinance vainly in 2016, but tried again this year. After all these legal disputes and the concerns about the burden to schools, we just end up wondering if we are missing the legal benefit from enacting the ordinance. We should make sound legislative policy judgments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n why school democracy and school autonomy are needed. 그동안 학교자치에 관한 조례는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현재 두 건이 시행되고 있다. 하나는 「광주광역시 학교자치에 관한 조례」(2019)이고, 다른 하나는 「전라북도 학교자치조례」(2019)이다. 모두 대법원의 결정으로 효력이 정지되었다가, 올 초 다시 제정되었다. 그동안 법률로써 학교자치를 해결하지 못하자, 조례로써 그 해결을 시도하여 제정된 것이다. 그만큼 학교자치에 관한 조례는 항상 위법성 논란에 시달려왔다. 경기도는 2016년 처음 조례 제정을 시도했다가(박승원의원안), 올해 다시 시도하고 있다(천영미의원안). 그동안 학교자치에 관한 조례가 위법성 논란에 시달리다 보니, 그리고 현재는 이 조례가 학교 현장에 부담이 될 것을 걱정하다 보니, 처음 학교자치 법제화를 통해 거두려는 법적 실익은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오늘날 학교민주주의와 학교자치는 왜 필요한 것인지를 진지하게 숙고하여 입법 정책적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 SCOPUSSCIEKCI등재

        가토에서 실험적 두개내압 항진에 대한 Lidocaine의 영향

        홍석노,김재휴,강삼석,우정현 대한신경외과학회 1987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6 No.1

        Effect of infusion and bolus injection of lidocaine on the pressure response to the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CP) was investigated in urethane-anesthetized rabbits. 1) Arterial blood pressure (BP) and ICP were significantly raised by infusing saline (0.05㎖/min) into an epidural balloon. 2) Infusion of lidocaine (0.5 ㎎/㎏/min) into an ear vein minutely inhibited the elevation of BP and ICP when infusing saline into an epidural balloon. However, infusion of lidocaine (1.5 ㎎/㎏/min) markedly inhibited the elevation of BP and ICP. 3) Repeating the infusion of saline into the epidural balloon with intervals, the duration reached to the level of 80-10㎜Hg ICP was gradually shortened. Each depressor response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jection of lidocaine (3㎎/㎏) was similar. The first injection transiently reduced the elevated ICP, but the second and third injection reduced that significantly and the reducing effect was gradually prolonged according to .repeating the lidocaine inje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lidocaine could delay the elevation of ICP and reduce the previously increased ICP by infusing saline into an epidural balloon.

      • KCI등재

        교육을 받을 권리의 헌법적 개념과 성격

        홍석노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4

        What is the meaning of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n essential aspect of human existenc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can only be deduced through the process of systematically explaining how the right to education was recognized in the Constitution.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made by academic constitutional studies are limited. Their shortcomings may stem from confusion concer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to education, as stated in Article 31 (1) of the Constitution. The Right to Education recognized in Article 31 (1) of the Constitution, when considering its provisional form, its year of adoption and the terms of actual protection expressed in its phrasing, is a “’narrow interpretation’ of the basic right focusing on the Right to Learn.” Therefore, a wider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Learn, independent from the structured system of education, is protected under a different constitutional value.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uniqueness of the Normbereich, the process of relativization, and its role as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dicator, the Right to Education is a basic right that is similar in nature to the Right to Freedom, a social and universal right. The Right to Education as a basic social right is in particular a subjective constitutional right, and is in general a universal human right that comprises three of the four indicator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 this regard, issues such as homeschooling and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foreign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rising from this new constitutional reality can be actively embraced, and can align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Finding a concrete standard of judgment regarding the proactive duty of the nation and its fulfillment of such obligations can be problematic. Such a judgment will have to rely on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enshrined in South Korea’s Constitution. 인간 존재에 있어서 특별한 활동으로 여겨지는 교육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이러한 물음에 대한 응답은, 결국 교육을 받을 권리가 어떻게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얻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헌법학계의 전통적인 해석은 이를 설명하는데 한계를 보여 왔으며, 이것은 특히 헌법 제31조 제1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개념과 법적 성격에 관한 혼동(混同)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헌법 제31조 제1항에 보장된 교육을 받을 권리는 문구(文句)의 규정양식, 제정 연혁, 실효적 보장의 조건 등을 고려할 때, “‘좁은 의미’의 학습권이 중심이 되는 기본권”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시스템과 무관한 이른바 ‘자기교육(自己敎育)’으로서 광의의 학습권은, 다른 헌법적 가치의 보호아래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육을 받을 권리는 그것이 보장된 역사적 배경, 규범영역(Normbereich)의 특수성, 상대화 논의 과정, 국제적 인권성 지표 등 을 고려할 때, 자유권과 사회권, 보편적 인권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는 기본권이다. 특히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교육을 받을 권리는 헌법의 주관적 권리이며, 국제적 인권의 4가지 지표 가운데 3가지 이상을 획득한 보편적 인권이다. 이렇게 볼 때 홈스쿨링, 다문화 사회에서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문제 등 변화된 헌법현실을 적극 수용할 수 있고, 국제적 인권 보장의 수준에 합치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동권리에 상응하는 국가의 적극적인 의무의 내용과 의무이행위반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 기준이 문제될 수 있는데, 이것은 우리헌법에 보장된 교육을 받을 권리의 체계적인 해석을 통해 기대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사회적 정의(Social Justice) 실현을 위한 헌법상 경제질서의 재해석 가능성

        홍석노,이재희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3

        Article 119 of the Korean Constitu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understanding of Article 84 of the 1948 Korean Constitution, which first envisioned the economic order of our Constitution. The economic order of the 1948 Constitution was a call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in the economic sphere, and the pursuit of economic democracy with political democracy. The 1948 Constitution had concreted a system for realizing economic democracy with social justice through its preamble, general provisions, fundamental rights protection, economic provisions including Article 84. Though Korean Constitution had made some changes to the degree and scope of its realization, but the Constitution's conception of economic order have not fundamentally altered. Article 84 of the 1948 Constitution placed economic equality,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and state regulation and coordin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t its core, and made economic freedom and economic equality two equal and complementary pillars. From this perspective, Article 119(1) of the Korean Constitution confirmed the economic freedom that is already premised, and Article 119(2) is a request for regulation and adjustment for the pursuit of social justice, and Article 119(1) and Article 119(2) need to be understood as two axes that function equally. 현행헌법 제119조는 우리 헌법의 경제질서를 처음 구상하였던 1948년 헌법 제84조의 이해를 지향하여 해석해야 한다. 1948년 헌법의 경제질서는, 경제영역에서의 사회적 정의 실현 요청, 정치적 민주주의와 함께 기능하는 경제적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1948년 헌법에는 제84조를 포함하여 전문, 총강, 기본권조항 및 경제의 장에 있는 개별규정들을 통해 사회적 정의에 부합하는 경제 민주주의 실현체계가 구상되었던 것이다. 이후 헌법개정들을 통해 그 실현정도와 범위에 대한 일부 변화는 있었으나 헌법의 경제질서에 대한 구상이 근본적으로 변경되었던 것은 아니다. 1948년 헌법 제84조는 경제에 있어서의 평등, 사회정의 실현과 경제발전을 위한 국가의 규제와 조정을 핵심에 둔 것이고, 경제적 자유와 경제적 평등을 대등한 두 축으로 하여 상호보완적으로 기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헌법 제119조 제1항은 이미 전제되어 있는 경제적 자유를 확인하는 것이고, 제119조 제2항은 사회적 정의 실현을 위한 규제와 조정 요청으로서 제119조 제1항과 제2항은 상호대등하게 기능하는 두 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