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편영화 <980g> : 커트와 리듬이 등장인물의 감정변화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현철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HD 단편 영화 <980g>의 제작 절차에 따라 작성된 제작 보고서로써, 2018년 5월말부터 2018년 9월까지 후반 작업 편집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서론에서 영화편집의 기술적인 측면과 이론서술을 진행하였고 본론에서 영화 제작 단계에 관한 기본적인 이야기와 후반작업 과정과 그 과정에서 직면했던 문제점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논술하였다. 영화 편집을 하면서 커트와 리듬에 대한 상호관계를 다시 한 번 연구해보았고, 또 커트와 편집 리듬이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주는 영향들을 상세하게 서술하였고, 심층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단편영화<980g>은 감동적인 가족영화이다. 본 작품의 실마리는 980g인 장난감이다. 이 고가의 장난감을 기준으로 인물들 사이의 갈등이 발생하고 그 갈등이 결국엔 장난감으로 해소가 된다. 제목에서 보여주는 980g은 극중에 등장하는 장난감의 무게이자 아버지의 사회적인 지위와 그 아버지의 가정에서의 위치를 보여주는 장치이기도 하다. 1kg도 안 되는 가벼운 무게이지만 또 한 가볍지만은 않은 존재인 셈이다. 영화는 이런 장치를 가지고 주인공 호현의 심리변화와 감정변화를 보여주고 또 아내와 딸에 의해 변화하는 그의 심리를 과장하지 않고 세밀하면서도 잔잔하게 보여주고 있다. 편집 측면으로 봤을 때, 잔잔한 가족영화의 특성상 전체스토리의 진행 속도가 느려 약간의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관객들이 주인공의 정서에 몰입이 되고 그 정서대로 또 연출과 편집자가 의도한 방향대로 영화를 읽어간다면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이 되었다. 또 그런 편집을 보여주기 위하여 계속 고민하고 여러 차례의 수정을 진행하였다. 리듬의 중요성을 깨닫고 정확한 리듬을 보여주기 위해 타이밍을 조절하고 속도를 조절해봤으며 또 스토리의 긴장감을 잡고 편집을 진행했다. 감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편집 기법인 평행편집, 시선편집 및 몽타주기법 등 다양한 기법을 시도해보았지만 그중에서도 롱 테이크로 배우들의 호흡을 그대로 보여주는 방법이 우리 영화에서 가장 좋은 방법이었음을 느꼈고 또 그런 기법으로 이야기의 흐름을 보여주었다. 본 편집을 진행하는 과정에도 필자는 일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작품인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를 여러 차례 분석하고 그의 편집방식에 대해서 심도 깊게 연구해보았다. 편집이란 이미 촬영이 된 여러 개 숏을 연결하여 새로운 시퀀스를 만들고 또 그 시퀀스를 연결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각각의 시퀀스에는 스토리가 있어야 하고 의미 없는 시퀀스가 영화 속에 등장해서는 안 된다. 이 관점을 항상 머릿속에 명기하고 편집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총 3개 부분으로 나뉘어져있다. 첫 번째는 단편영화의 기본적인 개요와 연출자의 연출의도 및 등장인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영화를 만듦에 있어서 각 파트 별 제작 일정과 최종 단계인 후반작업을 위한 준비 사항들을 논술하였다. 세 번째로는 각 씬별 편집 과정과 어떻게 이 이야기를 새롭게 창조하였고 또 주인공의 감정을 보여 주었는지를 연구 논술하였다. 이 작품을 통해 편집자가 영화에 주는 영향력과 영화에서 편집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영화는 보통 연출자의 작품이라고 많이들 말하지만 연출자와는 또 다른 시각에서 작품을 봐야함을 깨닫는 과정이었다. 작품을 만들어감에 있어서 어떻게 하면 관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또 우리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지 필자는 매 순간 고민을 이어갔다. 그리하여 결론부분에서 단편영화 <980g>을 편집하면서 느꼈던 점들과 아쉬웠던 점들 그리고 과거에서부터 이론적으로 내려 온 수많은 편집기법들이 모든 영화에서 좋은 방법인지 필자의 의견을 서술했다.

      • 水平 排水材의 强度와 通水能에 관한 實驗的 硏究

        玄喆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many technical and operational factor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horizontal drain method. The potential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is very much influenced by material characteristic of horizontal drain. Hence, this study has an object for the strength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discharge capacity of new horizontal drain as well as in-situ drain. Tests are performed for two types of drain, named Type-H and Type-C according to their core shap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rengths of in-situ drains are smaller than those of new drains. Also, we calculated the mobilized strength during the installation of horizontal drain. The result is 38.1kgf. From the results of strength test, present drains showed good application to use and it is estimated that reduction of strengths are not seemed to affect the efficiency of horizontal drain method directly. Discharge capacity tests are performed using two methods by their confined conditions. One is standard membrane-confined test suggested in ASTM D 4716 and the other is improved clay-confined test proposed by Miura et al(1998). Test results showed that, without the affection of drain type, discharge capacity was reduced with time and confining pressure, while the latter showed much more reduction in discharge capacity than the former. In addition, discharge capacity of in-situ drain was closer to that of clay confined test result. The reason of this is that the clay-confined tests has more similar condition with in-situ drain condition, such as clay-filter contact, creep and clogging of filter. As a result, testing the discharge capacity in the laboratory, clay-confined test method is recommended.

      • 高强度コンクリ-トおよびマスコンクリ-トの溫度應力豫測に關する基礎硏究

        현철 東京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7631

        고강도 콘크리트 및 매스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해 시공초기부터 콘크리트의 온도상승 및 온도균열 발생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강도콘크리트의 경우는 단위 시멘트량이 많기 때문에 단기간에 급격한 온도상승이 발생하여 일반적인 부재크기에도 온도균열이 발생할 가능 성이 크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온도이력 및 온도응력을 예측하여 시공실시전에 콘크리트배합, Pre_Cooling 및 분할시공 등의 온도 균열방지방법을 수정,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위에 지적한 필요성에 의거하여 고강도콘크리트 및 매스콘크리트 시공시의 온도균열발생의 예측을 위해 시멘트의 수화반응모델을 이용한 콘크 리트의 온도상승예측모델 및 강도발현모델의 확립에 대하여 연구하여 그 결과 에 기초하여 콘크리트부재의 온도이력 및 온도응력예측을 하여 시공이전 단계 에서의 온도균열발생억제시스템으로서의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설명한 모델을 이용하여 각종 시멘트의 수화발열속 도,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2) 타설온도 및 물시멘트비에 관계없이 콘크리트의 단열온도상승을 정도높게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했다. (3) 본 모델에 의한 콘크리트 부재의 온도이력예측가능성이 확인되었다. (4) JCI 예측식과 본 모델을 비교한 결과, JCI 예측식의 경우가 본 모델에 의한 예측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5) 단열양생 및 항온양생의 콘크리트의 강도발현과 시멘트의 반응율과의 관계는 양생조건에 관계없이 Powers식으로 표현가능하다고 사료된다. (6) 시멘트의 수화반응모델로 계산된 시멘트의 반응율 및 Powers식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온도응력예측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7)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온도이력, 온도응력 예측방법을 적용하여, 온도균열방지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ンクリ-トの實大部材の溫度履歷および溫度應力發現に關する予測結▣と試驗結果との比較を通じ, コンクリ-1,の溫度上昇,および溫度應力發現の予測システムとしての可能性を檢討した. そして多樣な部材を檢討對象として, 各種セノントおよび各種打▣み溫度での溫度應力發生を予測し, 溫度應力發生抑制の觀点から問題点を指摘した. そして, JCl予測式の係數をコンクリ-卜斷熱溫度上昇試驗結果から定量化した値と, JCl方式により求めた値を比較し問題点を指摘した. また, 同一の熱定數でコンクリ-ト部材の溫度履歷についてJCI予測式による予測値と本モデルよる予測値を比較した結果, JCI予測式の方が本モデルによる予測より高い値を示した. これは斷熱溫度上昇試驗結果から求めたJCI予測式では斷熱狀態ではない表面部でも中,L,部と同等の發熱が行われていると假定していることになり, 溫度變化によるセメントの發熱速度變化を表現できないためである. 第7章は結論で, 本硏究を總括し, その成果と今後の課題について述べている. 以上のように, 本硏究はセノントの水和反應モデルを利用し, 各種條件の下でのセメントの水和發熱速度, セメントの反應率, 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 コンクリ-ト部材の溫度上昇および溫度應力發現を統一的に予測できるシステムを提案し, その實用性を確認したものである. 第1章の序論では, 木硏究の背只, りf究の「】的および構成について述ぺている.第2章では, 旣往の硏究の現狀を調杏して川】題点を指摘し, 木りf究の意義を明ら力,にした. 旣往のU「究については, ヒメンl,の水和反應モデル, コンクリ-卜の溫度上昇·予測モデルおよびコンクリ-1,の强1cc發現予測モデルについて調杏した. 第3章では, セメントの水和反應を精度よく表現できるセノント反應モデルの確立を試み, 環境溫度を變數とした各種七ノントの水和發熱速度試驗および水和率試驗を迪じ任意の環境溫度での水和反應モデルの妥當性と實用性を確認した. 本硏究では水和反應モデルとして, 友澤によって提案されたモデル (式1) を利用した. モデルの各係數は水和發熱試驗結果から定量化した. 環境溫度變化による反應速度變化を表現するためア-レニウス式で各係數を整理し, 溫度が任意に變化した場合の反應速度の予柳jが可能となった. 高性能AE減水劑によって生じる初期潛在期の予測も反應速度モデルの初Jリ1物質移動係數で表現できた. そして高爐セメントの水和擧動をセメントと高爐スラグの相互反應と考え, セメント反應モデル(式l) とスラグ反應モデル(式2) を利用し予測することで, その妥當性を確認した. β:セメントの密度 Cw:水和生成物の外側の水の濃度 レ :水とセメントの反應の化學量論比を質量基準で決定したものα:未反應率 ro:水和開▣時の未反應セメントの粒子徑 kr:セメントの化學反應速度 kd:外部皮膜內の擴故係數D:內部生成物內の擴散係數 S(α ·)=ゆ(d ·) · f(α ·) -------(2) 下 S(α·):ゆ(α·)f(α·): 高爐スラグの反應速度 α·:高爐スラグの未反應率 有效水酸カルシウム濃度水和反應モデル(=式1)と同一式. ただし, 各係數はスラグに關する係數 セメントの水和發熱速度試驗結果から定量化した各係數を利用し, 水和の進行に伴う反應水量減少モデル(式3) を提案することにより, 桓溫養生の各種セノントの反應率を養生溫度に關係なく精度よく予測できることが確認された. この 結果によって, 本モデルをTIl Jl1することでセノン卜の初Jリ1及び艮ル1の反應擧動を予測できることが確認された. Cw=exp[Cw:水の濃度 o。 :反應率 - n (α 。 - m)] n, p :m= p · 定數 W/C:水セメント比(V/C)】/3 第4章では, 第3章の結▣に基づいてセメント種類, 水セメント比および打▣み溫度を變えたコンクリ-トの斷熱溫度上昇試驗を行い, セノントの水和發熱速度モデルおよび反應水量減少モデルの各係數を各セノントの種類ごとに決定した. その係數を用いることにより, コンクリ-トの斷熱溫度-L男·を精度よく シミュレ-ションすることができた. 特に, 高性能AE減水劑によるセメント反應の初期潛在期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初期溫度上昇の停滯も表現できた. 以上のことから, 水和反應モデルによる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予測では, 從來の斷熱溫度上昇實驗だけに基づいた方法では予測不可能であった部材各部分の溫度勾配によるセメントの發熱速度變化及び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予測を行うことが可能となった. 第5章では, 各種養生條件でのコンクリ-ト强度試驗を通じ, セメントの反應率より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を予測する方法の確立を試みた. 斷熱養生および桓溫養生した供試體の壓縮强度發現とセメントの反應率との關係は, 養生溫度および養生方法と關係なく, セメントの反應率で强度發現を予測するPovers式(式4) で一應表現できた. そして各セメントの係數Aは, ビ-ライトが多いセメントほど大きい値を示し, 同じ反應率であればビ-ライトが多い方が强度增進が大きくなることが考えられた. また水セメント比が低いほど係數Aの値が大きくなった. また, 斷熱養生がコンクリ-トの壓縮强度と靜彈性係數との關係に及ぼす影讐は少なく, 兩者の關係を示す旣往の實驗式とよい一致を見せた. r =A · [X(α)]l/3 -------(4) f:强度 A, n:定數 X(α):ゲル-スペ-ス比 第6章では, 以上の硏究結果に基づいて行った高强度コンクリ-ト及びマスコ - 3 - 高强度コンクリ-トおよびマスコンクリ-トの溫度應力予▣に閱する基礎硏究 綸 文 要 旨 マスコンクリ-トや高强度コンクリ-トにおいては, セメントの水和熱による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やそれによる溫度應力のため, 構造物に溫度ひび割れを發生させ, 構造物の耐久性にも影響を與▣えている. 特に高强度コンクリ-トの場合には, 單位セメント量が大きいため, 短期問に急,速な溫度上昇が生じ, 通常の部材寸法でも溫度ひび割れが發生する可能性が大きい. 溫度ひぴ割れ發生を予測するためには, まず部材の溫度上昇や溫度分布の予測モデルが必要であり, これに關して從來より多く硏究がなされ< 予測モデルも提案されている. 現在, 土木學會や日本コンクリ-ト工學協會ではコンクリ-トの斷熱溫度試驗結▣から求めた式を採用しているが, 比較的に斷而が小さい部材では, 放熱などの影響で水和發熱狀態が斷熱狀態とは異なるところがあり, この場合, 斷熱溫度上昇試驗の結果を部材全體に適用すると現實より高い溫度履歷で溫度解析をすることになる. 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は基本的にセメントの水和反應に伴う發熱によるもので, 溫度によるセメントの水和發熱速度の變化を考感した溫度上昇モデルが必要である. コンクリ-トの强度も積算溫度による旣往の予測方法では適用範圍が限定され, 樣樣な養生條件下での予測の精度が指摘されている. コンクリ-ト强度は當然, セメントの水和反應によって發現し, 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を理論的に表現するにはセノントの水和反應から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を予測できるモデルが必要である. 本硏究は, 上記で指摘した必要性に基づき, 高强度コンクリ-トおよびマスコンクリ-トの溫度應力の予測のため, セメントの水和反應モデルを利用した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予測モデルおよび强度發現モデルの確立について硏究し, この結果に基づいてコンクリ-ト部材の溫度履歷及び溫度應力予測を行い, その溫度應力予測システムとしての適用性について檢討したものである. 本硏究は7章で構成されており, その內容は以下のように要約される.

      • 김기영의 「하녀」 연작 연구 : 영화적 특성과 근대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현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김기영 영화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의 대표작인 「하녀」 연작 분석을 통해서 인물들의 욕망의 양상과 근대화 시기에 내재된 공포의 요소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김기영 감독은 1990년대에 컬트 영화 감독으로서 재발견되었다. 1960년대 흥행 감독으로 알려졌던 김기영이 ‘컬트’ 감독으로서 다시금 부상한 것은 1990년대 당시 사회·문화적 조건과 영화사의 측면에서 그 의미가 파악된다. 김기영 감독이 컬트 감독이 된 사회·문화적 현상의 이면에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젊은 비디오 매니아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리고 한국 영화사를 살펴보았을 때 리얼리즘에 경도된 우리나라 영화계에서 주목받았던 영화들은 역사적 배경을 드러내는 예술 영화나 사실주의 드라마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김기영의 영화는 리얼리즘으로 재편되었던 한국 영화사의 흐름을 더욱 다양하게 바라볼 수 있는 지점을 제시해준다. 김기영의 영화들은 하나의 장르로 파악할 수 없다. 그는 영화 안에서 멜로드라마와, 공포, 서스펜스 등의 다양한 장르들을 혼합시키고 있다. 리얼리즘적인 요소와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비리얼리즘적인 요소가 서로 상충하면서 내러티브가 전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로 김기영이 장르들을 혼합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김기영 영화들은 김기영만의 장르 영화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것은 김기영 영화가 다른 멜로 드라마나 호스티스물과의 관계 속에서 태어났지만, 구체적인 상황의 전개에서는 다른 영화들이 아무런 반성없이 사용하고 있는 관습을 뒤집어 보여주는 데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하녀」는 액자식 구성으로 되어 있다. 김기영 감독은 이렇게 편집상 주요 내용을 가운데 두고, 전반부와 후반부의 내용을 끼어 넣음으로써 관객들에게 영화에서 받은 충격을 감소시키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전반과 후반의 사실적인 내용과 중간의 공포와 괴기, 멜로와 판타스틱이 섞인 내용과의 충돌로 단순한 괴기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당시 대중들의 생활상에 깊게 파고들어감으로써 더욱 강한 공포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하녀」는 허구와 실제의 모호한 경계선상에 위치하면서 핵가족화되는 당시 한국 사회의 변화를 담아낸 작품이다. 「화녀」는 탐정 수사물의 구조를 띠면서 서스펜스의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동식과 하녀가 죽은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은 현실의 이야기이고, 하녀를 집에 들여놓음으로써 벌어지는 사건들은 회상으로 제시된다. 김기영의 대표작인 「하녀」 연작은 그의 영화적 특징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대표작이다. 피아노, 탁자, 침대, 스테인드 글라스와 같은 근대의 소품들을 집안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물질의 추구를 통해 번듯한 가정을 꾸리려는 허망한 욕망의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고, 반사광선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명암의 대비를 통해 인물의 어두운 욕망의 그림자를 재현해 내었다. 조명으로 영화의 분위기를 통제 할 수 있기 때문에 야외보다 실내적인 세트를 선호했던 김기영 감독답게 물질의 부를 상징하는 2층집은 폐쇄적으로 구조되어 있다. 이는 물질에 경도되어 인간적인 유대가 점점 사라져가는 당시의 시대상을 세트의 구조로 표현한 것이며, 발코니의 문만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써 하녀의 엿보기를 통한 욕망의 충족을 효과적으로 담아냈다. 또한 하녀가 부인의 권유로 아이를 떼어낸 후 사용되는 단선적이고 음울한 음향의 사용을 통해 공포의 분위기는 더욱 증폭된다. 결국 김기영의 대표작 「하녀」는 영화적인 기법과 감독의 시대적 인식이 잘 융합된 작품이다. 「화녀」와 「화녀 ‘82」에서도 기본적인 내러티브전략은 동일하되 인물의 설정만 차이를 보인다. 물질적인 부를 축적하려는 동식의 아내의 욕망은 더욱 가시화 되고, 동식의 성적 욕망을 억제하려는 의지는 더욱 약하게 나타난다. 하녀의 인물설정도 더욱 구체화되어 심리적인 동기의 개연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리고 「화녀」 이후는 칼라 영화이기 때문에 조명과 함께 색채의 사용을 통해 인물의 심리를 드러낸다. 붉은 색과 푸른색을 통해서 인물들의 욕정과 욕망, 그리고 공포의 분위기를 물씬 풍겨내는 것이다. 「하녀」는 사랑하는 남자를 두고 벌어지는 멜로영화의 삼각관계의 구도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즉 사랑을 얻기 위한 구도가 아니라 사회의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한 싸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여공인 경희는 노동에 찌든 자신을 구원해줄 남성을 필요로 하고, 경희보다도 못한 대접을 받으며 살았던 하녀에게도 신분상승의 욕구는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들에게 동식은 쉽게 유혹할 수 있는 대상이며, 아내만 몰아내면 그동안 쌓아왔던 중산층 가정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하녀의 욕망은 아내의 욕망과 동일하다. 사회의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한 욕망은 한 남자를 얻기 위한 다툼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녀」는 1960년에 실재 있었던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이고, 이 영화를 통해서 감독은 근대화에 대한 인식을 담아내었다. 1960년대는 국가 주도형 근대화 정책으로 인해서 여성들을 공적영역으로 호출한 시기였다. 그러나 가부장제가 만연해 있는 사회에서 여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비서, 미장원, 마담, 양공주, 공장 직원 등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 당시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자율적인 근대 여성의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서구 상품을 소유하고자하는 욕망과 성적인 유혹을 통해 계급상승을 꿈꾸는 하층계급 여성들은 근대의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특히 여공과 함께 식모는 급속한 산업성장과 도시화의 시기에 값싼 노동력을 공급하였다. 비록 이 소녀들이 착취의 대상이기는 했지만 1960년대와 1970년대 영화들은 종종 여공과 식모를 중산층 가족에 대한 잠재적 위협으로 보는 유력한 시각을 보여주었다. 어린 시골 소녀들은 도시의 주부들에게 유혹적이라는 의심을 받았다. 계급 반목을 성애로 대체하는 「하녀」는 새로운 사회적 타자들에 의해 제기된 도시 중산층의 불안감을 그려낸 영화인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desire aspects of characters and an element of fear immanent during modernized periods focusing on 「The Housemaid」 trilogy, which is one of his masterpieces, after dealing with the traits of Kim Ki-young''s films. The director, Kim Ki-young was rediscovered as a cult director in the 1990s. It could be possible because of the video mania which looks for new trends different from the accomplished generation, for Kim Ki-young known as a box-office director in the 1960s to raise to the surface once again as a cult director. Kim Ki-young''s films gives a vantage point to see the flow of the Korean film history reorganized in realism with a variety of angles. Kim Ki-young''s films cannot be limited within a genre. He mixes various genres such as melodrama, fear, and suspense in one film. The way he mixes genres is that a narrative is unfolded in a vortex of conflicts between realism and, non-realism elements unrealistic and fantastic. On account of this respect, it is not proper to think of Kim Ki-young''s film as only his own genre. This is ascribe to Kim Ki-young''s attempts in his films to overthrow conventional practices which were, on the contrary, used in the other films without self-examination. 「The Housemaid」 is made of a framework of lattices. Kim Ki-young director, I think, intends to lessen the impact experienced through a movie by means of latticing the principle contents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latter half in a process of edit. But it ends in inspiring more fear than a mere thriller movie by proving into the real lives of common people, which is arisen from the confrontation between realistic aspect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and unrealistic lattices including fear, mystery, melodrama and fantasy inserted into them. According to this, 「The Housemaid」 can be considered as a work in which a changing Korean situation suffering atomized family at that time is described in a borderline between fiction and facts. In addition, 「The Housemaid」 stresses the effect of suspense following the structure of a detective film. 「The Housemaid」 trilogy, a Kim Ki-young''s representative, contains all kinds of his cinematic features. It shows a mood of empty desire seeking for materials by which a decent family is thought to become true through the arrangement of modern properties here and there in the house, and represents a shadow of desire immersed in characters by contrasting light and darkness produced from a fitting usage of the reflection of light. A second floor house standing for material wealth is structured closed, which reflects Kim Ki-young''s peculiarity of preference for indoor sets rather than a field in order to control a cinematic mood through illumination. That house, as a frame of set, expresses the phases of the times when human relationships become weaker and weaker owing to people''s concentration on materials, and expresses effectively a housemaid''s satisfying her own desire by peeping through the door at a balcony treated transparently. Also, the mood of horror is amplified by the use of a straight and gloomy sound effect. In the end, 「The Housemaid」, a Kim Ki-young''s representative, can be said to blend cinematic skills with the director''s perception of the times with effectiveness. In 「The Woman of Fire」 and 「The Woman of Fire ''82」, a principle narrative strategy is the same as that of 「The Housemaid」, but differences appear only in a creating process of characters. A desire of Donsik wife''s trying to accumulate materials comes to be divulged more strongly, but Dongsik''s will to restrain sexual desire seems to be weaker. The creating of characters in 「The Housemaid」 is embodied more concretely, which results in the expression of psychological probability in a motivation with more distinctness. Psychology of characters is exposed by the use of colors with an illumination because the films after 「The Woman of Fire」 are color films. The use of red and blue can affluently create the mood of horror as well as characters’ desires. 「The Housemaid」 shows many differences from a triangular love affair in melodrama, which centers around a hero. In other words, it is concerned with the struggle to secure vested rights, not the fight to win the lover. Kyeonghee who is a worker at a factory now needs a man to escape from deteriorated circumstances, while a housemaid who have suffered a more despised treatment than Kyeonghee also had a desire to gain a higher social posi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very natural. Dongsik is thought be a target whom they can attract with ease, and they can possess the middle class family towards which they have a constant dream only if they dispel his wife. After all, a desire of the housemaid''s is the same as that of Dongsik''s wife. The desire to gain a higher social status evolves into a combat to obtain a man. The motif of 「The Housemaid」is based on the facts, which really occurred in the 1960s. A director tried to describe the perception of modernized aspects by this film. The 1960s was the era of calling women to the public area due to the modernizing policy led by a nation. The jobs allotted to women, however, were strictly limited such as a secretary, a beauty parlor, a madam, a foreigner''s whore and a worker at a factory under the dominance of a patriarch system. At that time, women''s social debouchments were not developed into an acquirement of self-identity of the autonomous modern woman. A low class woman to dream of possessing Western goods and rising to a higher social position through sexual attraction was regarded as a threat against modernity. Sometimes in the films of the 1960s and 1970s, especially, a female worker and a housemaid were depicted as a potential danger to the middle class family. 「The Housemaid」 in which class conflict is replaced with sexual love is a movie describing an anxiety of the civil middle class scared by the advent of new social others.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는 조기 탈분극 양상의 심전도와 가상 조직-혈관 내 초음파 소견과의 상관관계

        현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서론 : 심전도에서J점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탈분극 양상은 보통 ST 분절 상승의 정상변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에서는 심실성 부정맥 및 돌연 심장사와 같은 치명적인 상황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관상동맥에 의한 심장질환이 이런 질병들의 가장 흔한 원인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는 조기 탈분극 양상이 관상동맥 심장질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는 조기 탈분극 양상과 죽상경화반의 가상 조직–혈관 내 초음파 소견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관상동맥증후군으로 중앙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았던 총 1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당시의 심전도를 분석하여 조기 탈분극 양상의 유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조기 탈분극은 최소 2개의 연속된 리드에서 0.1mV 이상의 J점 상승으로 정의하였다. 의심 병변에 대해서는 관상동맥 조영술, 혈관 내 초음파를 통한 그레이 스케일 및 가상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조기 탈분극은 총 37명 (33.6%)의 환자에서 발견되었다. 양 군간 기저 위험요인 분포에 차이는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 최소 내강 직경이나 협착 비율, TIMI 혈류등급에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혈관 내 초음파 소견 상 (1) 가장 적은 내경의 면적이 더 좁았고 (3.62 ± 2.03 mm2 vs 2.90 ± 1.08 mm2, p=0.017). (2) 죽상경화반의 부하가 더 높았으며 (59.78 ± 10.18 % vs 65.62 ± 14.12 %, p=0.029, 괴사성 핵의 비중이 가장 높은 부위) , (3) 치밀칼슘의 비율이 더 적었고 (8.99 ± 6.34 % vs 4.96 ± 3.17 %, p<0.001, 평균), (8.77 ± 8.02 % vs 3.45 ± 3.36 %, p<0.001, 내경 면적이 가장 적은 부위) (4) NC/DC비가 더 높았으며 (2.79 ± 1.91 vs 4.94 ± 2.40, p<0.001, 평균), (5.74 ± 9.78 vs 19.02 ± 28.47, p=0.009, 내경 면적이 가장 적은 부위) (5) 얇은 덮개의 섬유죽상반의 빈도가 더 높았다 (35.62 % vs 56.76 %, p=0.042). Background: Early repolarization pattern (ERP), characterized by "J-point elevation," is generally known as a normal variant of ST-segment elevation.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unexpected associations with ventricular tachyarrhythmia and sudden cardiac death (SCD) even in patients without structural heart diseases. Coronary heart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uch condi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ERP may have association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he primary goal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RP and plaque characteristics assessed by VH-IVUS. Methods: A total of 110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nd virtual histology–intravascular ultrasound (VH-IVUS)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ERP in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first clinical presentation. ERP was defined as J point elevation at least 0.1mV in at least two contiguous leads. The plaque characteristics of culprit lesion were analyzed with coronary angiography, greyscale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and VH-IVUS prior to PCI comparing both groups. Results: ERP was observed in 37 patients (33.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aseline risk factors of acute coronary syndrome between the two groups. The plaque characteristics of culprit lesion by angiography, such as minimal lumen diameter, percentage of stenosis, and TIMI flow grad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greyscale IVUS and VH-IVUS of the patients with ERP showed (1) narrower minimal lumen area (3.62 ± 2.03 mm2 vs 2.90 ± 1.08 mm2, p=0.017), (2) higher plaque burden (59.78 ± 10.18 % vs 65.62 ± 14.12 %, p=0.029) in the site with maximal necrotic core, (3) lesser dense calcium component (8.99 ± 6.34 % vs 4.96 ± 3.17 %, p<0.001 in the average), (8.77 ± 8.02 % vs 3.45 ± 3.36 %, p<0.001, in the site with minimal lumen area), (4) high NC/DC ratio (2.79 ± 1.91 vs 4.94 ± 2.40, p<0.001 on average, and 5.74 ± 9.78 vs 19.02 ± 28.47, p=0.009 in the site with minimal lumen area), and (5) higher incidence of TCFA (35.62 % vs 56.76 %, p=0.042). Conclusion: Early repolarization pattern (ERP) had associatio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re vulnerable plaque assessed by VH-IV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