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國立大學團地內の福利厚生施設の整備水準と計劃に關する硏究 : 김종석

        김종석 東京工業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48639

        복리후생시설은 대학단지내에 있어서 학생과 교직원의 생활을 유지함과 동 시에 대학의 복리후생시설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으며 본 논문은 대학 단지에 있어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대학단지의 복리후생시설에 대하여 면적기준이란는 관점으로부터 충실도,정 비격차와 단지특성과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분석하여 정비의 방향성을 제시함 과 동시에 미시적인 건물로서의 대학회관의 현황으로부터, 금후의 건축구성을 제시하고, 복리후생시설의 최적배치계획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 로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으로서 대학단지에 있어서의 복리후생시설정 비에 관한 역사적인 흐름을 개관하고, 교육, 연구활동을 유지하는 역할의 중 요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본 논문의 목적을 설명하고 있다. 더욱이 기왕연구 와의 관련으로부터 연구의 의의, 연구에 사용한 방법과 본 연구 구성을 총괄 적으로 논하고 있다. 제2장부터 제5장까지를 본문으로 하고 복리후생시설에 대해서 제2장, 제3장에서는 기준면적 및 정비격차와의 관계로부터 양적인 정 비를 검토하고 제4장에서는 질적인 정비로서 대학회관의 건축적 구성의 분석 을 행하고, 제5장에서는 복리후생시설의 최적배치계획의 모델을 제안하고 있 다. 제2장 건축기준면적에 대한 충족상황에 대하여 단지의 학부구성, 단지간의 분담, 복리후생시설의 건축복합현황, 대학회관의 설치현황등의 정비에 관한 제요인과의 관계로부터 분석했다. 제3장 복리후생시설의 정비격차와 대학단지특성에서는 경제학분야등에서의 격차척도에 관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학생일인당에 착안해서 국립대학단지에 있어서의 복리후생시설의 정비격차의 현황을 검토했다. 제4장 대학회관의 기능과 건축적구성계획에서는 금후의 복리후생시설의 질 적 정비에서 중심이 되는 대학회관을 대상으로 면적과 기능의 관점으로부터 건축적구성을 분석했다. Positron annihilation is useful as a probe in the study of electronic structure in a wide range of condensed matter systems. Positron lifetimes often hold key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f defect electronic states. Al though the experimental data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f defects in solids, the analysis of that information in terms of local defect structure may be difficult. Many of these problems of data analysis could be resolved with theoretical calculations of the expected positron lifetimes for the bulk materials and associated defects. Until now, most of theoretical calculations of the positron lifetimes in defect crystals have been based on parameterized fits to experimental data. In systems such as these where the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is incomplete or uncertain, parameter-free tools are essential. A first-principles method for the self-consistent calculation of the positron states in many electron systems has been developed, but some important features have not been fully implemented. In this work,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s are carried out for positron bound states by using the self-interaction corrected, local spin density approximation of density functional theory and by using the linear combinations of atomic Gaussian orbitals to the point cluster in the embedded-cluster method for crystals. Positron lifetimes are calculated for the halide and alkali atomic systems (H-:e+, F-:e+, Cl-:e+, Li:e+, and Na:e+) for several bound states. These calculations provide the reference for the lifetime shift by including crystal field in alkali halides (LiF, NaF, LiCl, and NaCl). Finally, the well-documented crystal system can be applied into the positron bound states in defect centers (F,:e+) in the alkali halides listed above, and the local features of the positron bound states can be analyzed from relationships between the annihilation rates and the lattice constants for alkali fluorides (LiF, NaF) and the corresponding alkali chlorides (LiCl, NaCl).

      • 韓國における高等敎育機會と學歷社會の構造に關する社會學的考察 : 社會階層とジエンダ一を中心に

        김미란 東京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사회적 지위달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여성의 학력을 중심으로 한국에 있어서의 교육기회확대와 사회계층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한국의 교육 기회확대 과정을 정원정책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의 고등교육기회 확대정책은 국민의 높은 교육열에 부응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결과적으로 고등교육의 대중화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교육비를 학생과 학부형이 부담하는 사학을 중심으로 확대되어 교육기회의 구조적 불평등이 온존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교육확대의 배경이 된 한국사회의 메리토크라시(업적주의) 의식을 계층구조와 연관시켜 검토했다. 정부의 고등교육 기회확대정책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던 [교육열]의 배경에는 사회경제적인 지위의 획득에 학력이 중요한 수단이 되는 학력사회라는 사회구조의 특징이 있음을 시사했다. 의식면에서도 1980년의 고등교육 대중화를 축으로 교육기회에 대한 계층간 불평등의식이 약해져, 사회경제적인 지위달성에 필요한 학력취득에 있어서 출신계층보다는 능력과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업적주의 의식이 강해지고 있음을 검증했다. 그러나 이러한 의식과는 반대로 현재 한국에서는 계층구조의 고정화가 경제적인 지위보다는 문학적 활동을 통해 진행되고 있음을 분석했다. 제3장에서는 서울시내의 8개 대학 학생조사를 통하여 고등교육 진학기회가 부모의 직업뿐 아니라 학력이라는 문화계층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전문 대학과 4년제 대학이라는 고등교육기관의 타입과 일류대학과 다른 대학이라는 대학 랭크에 따른 교육기회에도 계층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검증했다. 이를 남녀별로 분석하여 남자의 경우에는 고등교육 타입과 랭크에 부모의 경제적 문화적 계층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지방 출신자가 서울 소재의 일류대학에 진학하고 있으나 여자의 경우에는 출신지역과 관계없이 출신 계층이 일류대학 진학을 좌우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고등교육 기회가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진학은 물론 일류대학 진학에는 계층간의 차이가 차이가 존재함으로 사회의 계층 재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제4장에서는 개인의 능력에 의해 교육기회가 부여된다는 메리토크라시 의식이 계층간의 교육기회 불평등을 은폐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한국 대학생의 의식 구조의 특징을 고찰 하였다. 먼저 교육에의 경제적 심리적 투자라고 할 수 있는 가정의 [업적지향 사회화]가 교육기회의 차이를 생성시키는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계층별 학력/학교력 의식을 분석한 결과 상류계층에서는 [교양]을 사회적으로 낮은 계층에서는 [취직]을 중시하는 학력 의식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계층간의 의식의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력/학교력을 사회에서의 능력의 지표로 여기는 메리토크라시 의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검증하여 학력/학교력에 의한 직업지위 획득과정이 정당화되는 학력사회구조를 확인했다. 특히 남자보다 여자의 경우 교육에 대한 가치가 계층에 따라 다르며 그러한 가치의 차이가 능력으로 변환되어 계층간의 불평등을 형성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분석했다. 고등교육 진학기회나 학력/학교력 의식이 여자에게 더욱 선명하다는 분석을 토대로 제5장에서는 사회계층과 젠더라는 이중의 재생산과정을 이해하고 양자의 관계를 분명히 하기위해 여학생의 의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학생 의식의 분석을 통해 여자의 학력/학교력의 취득이 사회계층의 재생산에 공헌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여자=가정이라는 사회의 젠더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 韓國における靑年期 無氣力傾向に關する硏究 : 日本との比較を通して

        이상란 東京大學 大學院 2003 해외박사

        RANK : 248623

        1. 문제 및 목적 최근 부각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수업 장면을 중심으로 한 의욕저하는 중도퇴학자의 증가에 의해 반증되고 있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그 배경과 발생 경로를 밝혀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의 수업장면에 대한 의욕저하를 청년기 '무기력(apathy)'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할 뿐만 아니라 인과모델을 통해 그 발생경로를 명료화 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일반 청소년집단으로 그들 안에 잠재된 의욕저하 즉, '무기력 경향'에 주목한다. 이는 일반 청소년 중 수업장면에서 의욕저하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은 채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 성향이 내재된 청소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또, 한국의 청소년이외에, 일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여 비교학적 차원에서 한국의 청년기 무기력 경향의 실상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무기력 경향(apathy tendency)'은, '일반청소년 중 학습장면에 대한 부정적 증상을 행동적 차원으로 드러내고 있지 않으나, 그 증상을 잠재적으로 내포하고 있어 의욕저하를 보이는 상태'로 정의한다. 2. 논문의 구성 및 각 장의 내용 본 논문은 모두 5부8장으로, 연구결과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우선 제1장에서는, 중도퇴학자의 증가 등 한국 청소년들을 둘러싼 상황을 분석하였고, 한국에서의 무기력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제2장은, 지금까지 외국에서 연구되어 온 청년기 무기력 경향에 관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점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방향에 따라, 제3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기력 경향에 관한 질문지 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대학생의 무기력 경향은 일본 대학생의 그것과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는데, 한국대학생의 무기력 경향은 고교시절 진학동기의 불명확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제3장의 시사점을 참조로, 제4장에서 한국 고교생을 대상으로 무기력 경향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전형적인 무기력 경향을 보이는 인포먼트를 추출하였다. 제5장은 선정된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접을 실시,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grounded theory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험경쟁이 심각한 한국의 사회적 상황과 부모로부터 받는 심리적 프레셔가 진학동기의 불명확성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무기력경향과 연관되고 있다는 발생 모델을 생성하였다. 특히, 남자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은 여학생 보다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그들의 자아이미지 중에는 타의적 부모-자녀공생관계가 존재하였고, 부모의 자신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 및 지배적 양육태도 등에 의해, 남자 고교생들의 내면에 높은 심리적 부담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들이 보이는 성격상의 특성은 강박행동 및 강박관념, 현실회피경향 및 공허감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위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제6장에서는 한국고교생은 무기력 경향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할 목적으로 한국고교생을 대상으로 '무기력 경향'이외에 '진학동기의 불명확성', '진로 미결정', '자아동일성'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양적 데이터는 공분산 구조분석을 거쳐 인과모델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특히 남자고교생의 경우, 경쟁적 수험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진학동기의 불명확성은, 진로미결정을 매개변수로 무기력경향의 하위변수 '자기부전감'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동일성 미확립 상태는 무기력경향의 하위변수 '소극·수동'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7장은 제6장에서 획득된 결과를 참고로, 동일한 질문지를 일본고교생에게 실시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인과모델을 구성하여 양국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은 각각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한국남자고교생에 있어서 자아동일성의 미확립이 무기력 경향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끝으로, 제8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고, 한국의 청소년에게 보이는 무기력경향에 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끌어냈다 한국의 대학생의 경우, 고교시절 대학진학에 관한 동기가 불명확한 측면이 대학생활에 대한 의욕저하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것은, 한국의 청년기 무기력경향에 관해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이라 하겠다. 이에 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질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은 특히 남자 고교생이 보다 심각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 이면에는 수험 경쟁에 의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학교생활 패턴이 존재하고 있고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는 성적에 관한 프레셔 및 지나친 기대감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양적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은 진학동기의 불명확성 이외에 진로 미결정 상태, 자아동일성의 미확립 등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발생되는 무기력 경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성격상의 특성은, 강박경향, 회피·공허감 및 대인관계에서의 소극성 등, 성격상의 위축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과제 본 논문은 '무기력(apathy)'이라는 테마로,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초로 실시한 연구 결과다. 또, 무기력에 관한 질문지를 직접 작성하여 한국과 일본에 걸친 폭 넓은 비교조사 연구를 실시하였고, 방법면에서는 grounded theory 및 공분산 구조분석 등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법을 종합하여 한국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apathy tendency)의 구조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3부의 질적 연구결과로부터, 한국 청소년의 무기력 경향은, 단순히 본인의 내면적 요인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 학교 및 사회 환경이라는 생태학적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이 보이는 무기력 경향에 대응할 즈음에, 가정, 학교 및 사회가 구조화된 체계를 갖고 대응책을 모색하여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생태학적 시스템상의 대안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양적 연구 등을 통해 각 하위시스템 별 요인을 보다 명료화시키는 작업이 요청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얻어낸 양적·질적 결과들은, 앞으로 임상장면에서 무기력 경향을 보이는 보다 다수의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검토·보완해 나갈 것이 요구된다. 그러한 후속 작업을 통해, 한국사회의 문화적 배경에 따른 청년기 무기력 경향의 특징에 대한 보다 명료하고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 高强度コンクリ-トおよびマスコンクリ-トの溫度應力豫測に關する基礎硏究

        현철 東京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8623

        고강도 콘크리트 및 매스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해 시공초기부터 콘크리트의 온도상승 및 온도균열 발생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강도콘크리트의 경우는 단위 시멘트량이 많기 때문에 단기간에 급격한 온도상승이 발생하여 일반적인 부재크기에도 온도균열이 발생할 가능 성이 크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온도이력 및 온도응력을 예측하여 시공실시전에 콘크리트배합, Pre_Cooling 및 분할시공 등의 온도 균열방지방법을 수정,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위에 지적한 필요성에 의거하여 고강도콘크리트 및 매스콘크리트 시공시의 온도균열발생의 예측을 위해 시멘트의 수화반응모델을 이용한 콘크 리트의 온도상승예측모델 및 강도발현모델의 확립에 대하여 연구하여 그 결과 에 기초하여 콘크리트부재의 온도이력 및 온도응력예측을 하여 시공이전 단계 에서의 온도균열발생억제시스템으로서의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설명한 모델을 이용하여 각종 시멘트의 수화발열속 도,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2) 타설온도 및 물시멘트비에 관계없이 콘크리트의 단열온도상승을 정도높게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했다. (3) 본 모델에 의한 콘크리트 부재의 온도이력예측가능성이 확인되었다. (4) JCI 예측식과 본 모델을 비교한 결과, JCI 예측식의 경우가 본 모델에 의한 예측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5) 단열양생 및 항온양생의 콘크리트의 강도발현과 시멘트의 반응율과의 관계는 양생조건에 관계없이 Powers식으로 표현가능하다고 사료된다. (6) 시멘트의 수화반응모델로 계산된 시멘트의 반응율 및 Powers식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온도응력예측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7)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온도이력, 온도응력 예측방법을 적용하여, 온도균열방지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ンクリ-トの實大部材の溫度履歷および溫度應力發現に關する予測結▣と試驗結果との比較を通じ, コンクリ-1,の溫度上昇,および溫度應力發現の予測システムとしての可能性を檢討した. そして多樣な部材を檢討對象として, 各種セノントおよび各種打▣み溫度での溫度應力發生を予測し, 溫度應力發生抑制の觀点から問題点を指摘した. そして, JCl予測式の係數をコンクリ-卜斷熱溫度上昇試驗結果から定量化した値と, JCl方式により求めた値を比較し問題点を指摘した. また, 同一の熱定數でコンクリ-ト部材の溫度履歷についてJCI予測式による予測値と本モデルよる予測値を比較した結果, JCI予測式の方が本モデルによる予測より高い値を示した. これは斷熱溫度上昇試驗結果から求めたJCI予測式では斷熱狀態ではない表面部でも中,L,部と同等の發熱が行われていると假定していることになり, 溫度變化によるセメントの發熱速度變化を表現できないためである. 第7章は結論で, 本硏究を總括し, その成果と今後の課題について述べている. 以上のように, 本硏究はセノントの水和反應モデルを利用し, 各種條件の下でのセメントの水和發熱速度, セメントの反應率, 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 コンクリ-ト部材の溫度上昇および溫度應力發現を統一的に予測できるシステムを提案し, その實用性を確認したものである. 第1章の序論では, 木硏究の背只, りf究の「】的および構成について述ぺている.第2章では, 旣往の硏究の現狀を調杏して川】題点を指摘し, 木りf究の意義を明ら力,にした. 旣往のU「究については, ヒメンl,の水和反應モデル, コンクリ-卜の溫度上昇·予測モデルおよびコンクリ-1,の强1cc發現予測モデルについて調杏した. 第3章では, セメントの水和反應を精度よく表現できるセノント反應モデルの確立を試み, 環境溫度を變數とした各種七ノントの水和發熱速度試驗および水和率試驗を迪じ任意の環境溫度での水和反應モデルの妥當性と實用性を確認した. 本硏究では水和反應モデルとして, 友澤によって提案されたモデル (式1) を利用した. モデルの各係數は水和發熱試驗結果から定量化した. 環境溫度變化による反應速度變化を表現するためア-レニウス式で各係數を整理し, 溫度が任意に變化した場合の反應速度の予柳jが可能となった. 高性能AE減水劑によって生じる初期潛在期の予測も反應速度モデルの初Jリ1物質移動係數で表現できた. そして高爐セメントの水和擧動をセメントと高爐スラグの相互反應と考え, セメント反應モデル(式l) とスラグ反應モデル(式2) を利用し予測することで, その妥當性を確認した. β:セメントの密度 Cw:水和生成物の外側の水の濃度 レ :水とセメントの反應の化學量論比を質量基準で決定したものα:未反應率 ro:水和開▣時の未反應セメントの粒子徑 kr:セメントの化學反應速度 kd:外部皮膜內の擴故係數D:內部生成物內の擴散係數 S(α ·)=ゆ(d ·) · f(α ·) -------(2) 下 S(α·):ゆ(α·)f(α·): 高爐スラグの反應速度 α·:高爐スラグの未反應率 有效水酸カルシウム濃度水和反應モデル(=式1)と同一式. ただし, 各係數はスラグに關する係數 セメントの水和發熱速度試驗結果から定量化した各係數を利用し, 水和の進行に伴う反應水量減少モデル(式3) を提案することにより, 桓溫養生の各種セノントの反應率を養生溫度に關係なく精度よく予測できることが確認された. この 結果によって, 本モデルをTIl Jl1することでセノン卜の初Jリ1及び艮ル1の反應擧動を予測できることが確認された. Cw=exp[Cw:水の濃度 o。 :反應率 - n (α 。 - m)] n, p :m= p · 定數 W/C:水セメント比(V/C)】/3 第4章では, 第3章の結▣に基づいてセメント種類, 水セメント比および打▣み溫度を變えたコンクリ-トの斷熱溫度上昇試驗を行い, セノントの水和發熱速度モデルおよび反應水量減少モデルの各係數を各セノントの種類ごとに決定した. その係數を用いることにより, コンクリ-トの斷熱溫度-L男·を精度よく シミュレ-ションすることができた. 特に, 高性能AE減水劑によるセメント反應の初期潛在期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初期溫度上昇の停滯も表現できた. 以上のことから, 水和反應モデルによる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予測では, 從來の斷熱溫度上昇實驗だけに基づいた方法では予測不可能であった部材各部分の溫度勾配によるセメントの發熱速度變化及び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予測を行うことが可能となった. 第5章では, 各種養生條件でのコンクリ-ト强度試驗を通じ, セメントの反應率より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を予測する方法の確立を試みた. 斷熱養生および桓溫養生した供試體の壓縮强度發現とセメントの反應率との關係は, 養生溫度および養生方法と關係なく, セメントの反應率で强度發現を予測するPovers式(式4) で一應表現できた. そして各セメントの係數Aは, ビ-ライトが多いセメントほど大きい値を示し, 同じ反應率であればビ-ライトが多い方が强度增進が大きくなることが考えられた. また水セメント比が低いほど係數Aの値が大きくなった. また, 斷熱養生がコンクリ-トの壓縮强度と靜彈性係數との關係に及ぼす影讐は少なく, 兩者の關係を示す旣往の實驗式とよい一致を見せた. r =A · [X(α)]l/3 -------(4) f:强度 A, n:定數 X(α):ゲル-スペ-ス比 第6章では, 以上の硏究結果に基づいて行った高强度コンクリ-ト及びマスコ - 3 - 高强度コンクリ-トおよびマスコンクリ-トの溫度應力予▣に閱する基礎硏究 綸 文 要 旨 マスコンクリ-トや高强度コンクリ-トにおいては, セメントの水和熱による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やそれによる溫度應力のため, 構造物に溫度ひび割れを發生させ, 構造物の耐久性にも影響を與▣えている. 特に高强度コンクリ-トの場合には, 單位セメント量が大きいため, 短期問に急,速な溫度上昇が生じ, 通常の部材寸法でも溫度ひび割れが發生する可能性が大きい. 溫度ひぴ割れ發生を予測するためには, まず部材の溫度上昇や溫度分布の予測モデルが必要であり, これに關して從來より多く硏究がなされ< 予測モデルも提案されている. 現在, 土木學會や日本コンクリ-ト工學協會ではコンクリ-トの斷熱溫度試驗結▣から求めた式を採用しているが, 比較的に斷而が小さい部材では, 放熱などの影響で水和發熱狀態が斷熱狀態とは異なるところがあり, この場合, 斷熱溫度上昇試驗の結果を部材全體に適用すると現實より高い溫度履歷で溫度解析をすることになる. 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は基本的にセメントの水和反應に伴う發熱によるもので, 溫度によるセメントの水和發熱速度の變化を考感した溫度上昇モデルが必要である. コンクリ-トの强度も積算溫度による旣往の予測方法では適用範圍が限定され, 樣樣な養生條件下での予測の精度が指摘されている. コンクリ-ト强度は當然, セメントの水和反應によって發現し, 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を理論的に表現するにはセノントの水和反應からコンクリ-トの强度發現を予測できるモデルが必要である. 本硏究は, 上記で指摘した必要性に基づき, 高强度コンクリ-トおよびマスコンクリ-トの溫度應力の予測のため, セメントの水和反應モデルを利用したコンクリ-トの溫度上昇予測モデルおよび强度發現モデルの確立について硏究し, この結果に基づいてコンクリ-ト部材の溫度履歷及び溫度應力予測を行い, その溫度應力予測システムとしての適用性について檢討したものである. 本硏究は7章で構成されており, その內容は以下のように要約される.

      • 高麗螺鈿の硏究 : 東京國立博物館所藏重要文化財毛利家傳來高麗螺鈿菊花文經箱の復元模造製作を通して

        이란희 東京藝術大學大學院 2000 해외박사

        RANK : 248623

        本硏究は東京國立博物館所臟重要文化財毛利家傳來「高麗螺鈿菊花文□箱」(以下本□箱とする。)の復元模造製作を通して、高麗螺鈿の傳統的技術を探ることが主要な目的の一つであり、また、破損·後補·修理によって損なってしまった本□箱の本來の狀態を再現することも硏究目的である。特に、現存する高麗螺鈿の最古例である本□箱においてまだ未解決である技術的な面に主眼を置き、材質硏究の問題についてはX線透視撮影調査、螢光X線分析調査などの分析結果を參考にし、科學的調査に基づく新しい視点から高麗螺鈿の硏究を行った。今回は新しく調査した資料を加え、關連する高麗螺鈿の技法的特徵について再分析と比較を試み、さらに古代中國及び日本の螺鈿技法と高麗螺鈿技法との關連性についても考察した。 I.東京國立博物館所臟毛利家傳來「高麗螺鈿菊花文□箱」の現狀 本□箱の復元模造製作のため、實測を行い、材料と技法について肉眼で觀察し、また肉眼で判り難い木地の材質と構造·金·成分については科學的分析資料を適用した。本□箱は蓋を閉じた狀態で高さ260mm 幅378mm奧行192mmであり、意匠の構成は、蓋表に俯瞰菊、面取り部分に菊唐草文と牡丹文、蓋□と身の四側面には立菊文が3次元的に配置される。蓋の中央には「大方廣佛華□□」の文字が螺鈿で表されるとともに、伏彩色を施した玳瑁、金屬線が巧妙に嵌□されている。 木地の材質はX線透視によって、針葉樹の松に近いことが判明した。 外側には黑漆が、內側には朱漆が使われ、その剝落した部分から□かせている布は、# 80程の麻布である。本□箱の貝の種類は、厚さ0.2mm程度のやや厚めの鮑貝が使われ、菊花辯の長さは4mm、葉の長さは4~5mm、 連珠文の直徑は2mm、X文と花形文は4mmと、細かい截貝を組み合わせて文樣を構成している。蓋の面取り部分の牡丹文は殆ど現在失われているが、他の遺物との比較考察によって、その原形を復元することができた。本□箱には六十卷乃至八十卷の華□□を納めるために、順番を意味する千字文の數字がそれぞれの箱の短側面に記されていた。しかし、本來なら正面である□箱の番號部分を無視して紐金具が付けられたようで、その紐金具は後補と考えられる。この番號部分の螺鈿文字は「黃二」の文字である可能性が高いことを本調査において提示することができた。 II.製作(實驗及び結果) 貝の切り方の實驗では、工具として系鋸·針·小刀を選び、實驗を行った。その結果、小刀で貝を一枚ごとに切ることによって少しずつ不整形になるが、全體的な模樸は自然なバランスを保ち、本□箱のやや厚みがある貝の切り方と感じが似てく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作業に慣れてくると、大量に作ることも可能である。 本□箱に使われている單線と二種類の□線(一本の□線と、二本の□線を合わせた矢羽文□線)の金屬線については、螢光X線分析によって、單線は錫(40%)と鉛(60%)を主成分とした合金であり、□線は銅(70-75%)亞鉛(20%以下) 鉛(5%以下)を主成分とした合金の鍮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また、これと關連する高麗螺鈿の金屬線技法については、四角截線と丸針線などの諸說があったが、肉眼で見てもX線寫眞を參考にしてみても、單線の場合は四角の線または丸線にも見え、均等の幅ではなく曖昧であるということがわかった。實驗の結果本□箱の錫(40%)と鉛(60%)の合金屬線は、金屬板から切斷した細長い素材を平らな鐵板の上で回しながら、ハンマ-で叩いて作る「自由鍛造法」の技術で作られた可能性が高い。菊花文の花芯に嵌□されている玳瑁伏彩色は、透明度が高い玳瑁の黑色部分を用意し、0.2~0.3mm程度の厚みまで摺りおろし、顔料の朱を膠と混ぜ、片面に二回塗ったものを幅1mm程度の四角に切り、朱を塗った面を下に向けて花芯の位置に膠で接着させた。 本□箱の漆下地と휴□漆の工程では、實物から塗膜を取って成分分析をすることが出來ないので、肉眼調査を行い、電子顯微鏡を用いて塗膜に殘された材質や塗□技術の分析を試みた韓國古代漆器資料分析を參考にした。本□箱に用いられた黑色のやや粗い粒子が多く含まれている漆下地については、韓國古代の漆下地であるウシ骨粉下地を使用した可能性が高い。また、□漆は、荒い下地の粒が透けて見える程度の透明感のある黑い漆であり、光によってはやや赤味がかった黑褐色にも見える、自然な明るい黑い色である。古代韓國の黑い漆を參考にしてみると、本□箱では陽取り漆を2~3回うすく重ねて塗った可能性が高く、從って復元模造製作工程では自クロメによる透明漆を下塗と上塗として薄く2回塗ることにした。 III.比較考察 高麗螺鈿の技法的特徵と編年について考察してみると、韓國國立中央博物館所藏漆草木水禽圖螺鈿描金香箱は意匠·材料·技法などに本□箱との共通点が多く、製作時期を把握するうえで重要な資料となる。この香箱の製作時期は、主文樣である草木水禽文から推測すれば11~12世紀頃と考えられており、本□箱も螺鈿描金草木蒲柳水禽文香箱よりわずかに遲れる時期か、ほぼ同時期に製作された可能性が考えられる。本□箱と螺鈿描金草木蒲柳水禽文香箱は、現存する高麗螺鈿の中ではゆとりある意匠構成と古樣の雰圍氣を持つ最高水準の作品である。 奈良國立博物館所藏菊唐草文玳瑁螺鈿圓形合子とメトロポリタン美術館所藏螺鈿菊唐草文洲浜形合子は菊唐草文の表現、螺鈿と玳瑁伏彩色、金屬線を倂用している点で本□箱と同じ技法であるが、文樣配置は全體的に細密になって古樣を感じさせる空間的なゆとりはなくなっている。また、京都桂春院所藏螺鈿菊唐草文洲浜形合子とボストン美術館所藏螺鈿菊唐草文花形合子にも、同じ玳瑁伏彩色が使われているが、菊花辯の複雜化による變化や切透技法が現れている。 東京國立博物館所藏高麗螺鈿菊唐草文□箱とボストン美術館所藏高麗螺鈿菊唐草文□箱、奈良國立博物館所藏高麗螺鈿菊唐草文□箱·德川美術館所裝高麗螺鈿菊唐草文□箱については、同じ時代のものとして東京國立博物館所藏高麗螺鈿菊唐草文□箱とボストン美術館所藏高麗螺鈿菊唐草文□箱のほうは下端文樣の變化が少し見られるが、これらの□箱類の意匠と技法は本□箱の意式から變化が現れている。 北村美術館所臟黑漆牡丹唐草文螺鈿□箱は、根津美術館所臟黑漆樓閣人物圖螺鈿手箱と類似樣式のものであり、この樓閣人物圖螺鈿手箱は元時代に製作された螺鈿であるかどうかはまだ確定できないが、工人の直接往來による技術習得、傳來品の摸倣などの關りがあったと考られる。古代中世日本の螺鈿は精緻な切透し技法が發達しており、高麗螺鈿との影響關係はまだ見當たらないが、これからの科學的調査によって何らかの技術の共通点が見つけられることも考えられる。 おわりに 本硏究は實際に本□箱を復元模造し、技法、材質、意匠の問題について、具體的に調査したものである。特に肉眼で確認できない部分は電子顯微鏡調査とX線透視撮影調査及び、螢光X線分析調査などの科學的分析方法を適用し、材質の解明とともに、未解決であった技術的な面を明らかにした。また、他の高麗螺鈿との比較考察や、中國と日本の古代螺鈿との比較考察を試み、高麗螺鈿との關連性に接近した。技法的影響關係において不確實なことは、これから科學的な硏究調査でさらに解明できると考えられる。本硏究過程で新たな事實が發見され、漆芸文化財の保存、またそれに關連する多くの硏究分野に役立てられること願うものである。

      • 上繪付の傳統的技法と制作における現代的展開について

        박필임 東京藝術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8607

        상회기법은 저화도 750℃~850℃소성에 의한 것으로 유리질의 다양한 발색을 얻을 수 있는 제2차적인 장식이다. 그 연구의 동기는 필자가 일본의 사가현 아리타에 유학을 하게 되면서 일본의 색회도자기의 화려하며 섬세한 표현에 깊이 관심을 갖게 된 것에 기인한다. 그것은 한국의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그러한 도예장식표현기법이 없었음을 알게 되고서부터이다. 역사적 관점에서 상회(색회)도자기의 발달과정을 고찰해 보면 일본의 상회도자기는 아리타지역에서 조선도공에 의해 자기토(磁器土)가 발견됨(1616)에 따라 자기문화를 꽃피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17세기에 기술적으로 완성되었고, 섬세하고 정교한 아리타의 색회자기가 만들어진다. 중국은 송(宋) 시대에 상회기법이 시작되었으며, 명(明) 시대에는 기술적인 완성과 더불어 조형미가 정점에 달하게 된다. 그러나 한국의 조선도자에는 상회도자가 제작되지 않았다. 그 요인으로는 유교사상에 따른 장인 천시 풍조로 인해 기술의 계승과 보존, 개발 등이 불가능케 됐다고 생각한다. 또 국가의 정책상 고려에 반해 조선왕조는 엄격한 검약적 생활과 소박한 정신을 표방했기에 도자문화에 다양한 색채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외부적 요인으로 두 번에 걸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의해 전국의 가마는 붕괴되는 등 경제력을 잃게 되었으며 도공은 의욕을 상실, 조선도자문화는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사회·문화·예술 분야에서 그 이유를 다양하게 추측해 보았으나 그밖에 또 다른 요인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일본의 전통적 상회기법으로는 이로나베시마(色鍋島)를 예로 들었다. 이로나베시마의 기법은 각 공정이 분업화·전문화되어 있으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 완벽성과 품격을 존중하며 추구하고 있기에 그 제작공정 및 기법을 소개했다. 그리고 동경예술에대학 도예과의 역사적 흐름 속에 상회도예의 원류를 소개하며 그 맥이 작가의 개성과 현대적 표현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제작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그 제작 과정을 상세히 기술 소개했으며 문제점을 논했다. 필자의 상회기법의 제작은 아리타적 기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동경예술대학의 도예과의 원료조합에서 얻은 안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욱이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을 응용 표현하며 자연 속에서의 데생을 도안화 했다. 필자의 작품제작에선 다양한 기법을 소화해내고 있어 독자적인 표현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의 기본이 되는 필자의 조형의식은 도예 작업에서 완벽성에 의한 공예성과 치밀성에 가장 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아이덴티티의 확립은 맹목적 형식적 반복적인 모방이 아니라 민족성을 갖고 자신이 태어나면서 지금까지의 삶 속에서 축적된 에너지가 작품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도예분야는 가장 자연적인 소재인 흙으로 만들어 불을 통해 완성되는 예술이다. 불을 통해 완성되는 예술인만큼 매력과 두려움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으며, 경외하는 마음으로 자기자신을 승화시켜가는 것이 도예작업과정이라고 생각한다. 필자가 대상에서 생명감을 감지하고 내면세계에서 승화시켜 상회기법으로 포현하는 것은 삶에 대한 정열의 표출이며 창조주에 대한 신앙인으로서의 신앙고백임과 동시에 기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현대도예에 있어서 상회기법의 필요성과 문제점 등도 살펴보았으며, 한국민의 문화의식의 향상과 경제적 안정에서 오는 다양한 도예문화의 요구에 따라 상회기법의 응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한국민의 생활과 정서에 맞는 색상과 디자인을 가진 도자기의 개발은 우리문화를 한층 풍부하고 윤택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 한국도자의 국제적인 인지도가 회복되기를 기대하며, 모든 도예가의 분명한 목적의식과 작가정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끊임없는 도예가의 노력과 연구와 아울러 한국현대도예상회기법을 정착시키기 위한 과제와 함께 그 전망도 밝다고 생각한다.

      • 朱耀翰と日本近代詩

        양동국 東京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8607

        근년에 들어 우리 현대시의 비교문학적 연구는 일본을 중심으로 다각적으로고찰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서구시와 일본근대시의 중개자이며, 한국 현대시태동의 주역인 유학생들의 일본 문단내의 활동에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것 이 사실이다. 그 이유로 우선 미성숙된 문학 수업기의 일본어로 된 작품이라는 편견과, 그 이상으로 실제 작품을 발굴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였기 때문이 다. 그러나 그들이 일본 시단에 발표한 작품을 직접 대해 보면, 충분히 미독할 가치가 있는 수준의 작품이 적지 않다. 특히 한국 현대시의 본격적인 도래를 알린 주요한의, 일본 문단내의 활약에는 적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1912년에 도일하여 명치학원 중등부와 제일고등학교(현 동경대학 교양학부, 1년 중퇴)에서 수학한 요한은 중등부 재학시절부터 『문예잡지』 『수재문단』 『문장세계』등, 당시 유수의 투고잡지에 시, 엣세이, 그리고 일본 전통시가인 하이꾸, 단카등을 발표한다. 또한 일본근대 자유시운동의 선구자인 가와지류코(川路柳虹)가 설립한 서광시사의 특별사우가 되어 동인시집 『반주』, 시전문지 『현대시가』의 동인이 되어 연이 어 시작품을 발표한다. 1919년 5월 상해에 망명하기까지 요한은 자유시 37편, 엣세이 1편, 하이쿠(俳句), 단카(短歌)등, 총 50여편의 시작품과 많은 단평을 일본어로 발표하였다. 본고는 상기한 것처럼 기존연구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시작품과신자료를 보충하여, 요한의 일본어에 의한 전작품의 정리 소개와 작가론적인 연구의 결락을 메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요한시의 특질과 관련지어 일본어로 씌여진 초기의 시작품과 후에 한국어로 발표된 작품과의 관련성에 주목하며, 문학성의 검증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3장으로 되어있는데이하 간략하게 그 내용을 기술한다. 제1장에서는 요한의 일본문단 데뷔와 시인으로서의 성장과정을 『문예잡지 』 『문장세계』등에 가작으로 당선된 새로운 자료를 중심으로 천삭했다. 동시에 초기 일어시에 보이는 서구 근대시와의 영향문제와 전통회귀를 보이며 불놀이를 발표할 때까지의 행적과 문업을 고찰했다. 제2장에서는 일본근대시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특히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미키로후(三木露風), 하기하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郞)등과 의 영향관계를 천삭해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요한의 시인으로서 성장과정과 한일근대문학의 관련양상을 여실히 엿보여 준다. 제3장에서는 처녀시집 『아름다운 새벽』을 중심으로 요한시의 특질과 한국현대시에서 요한시문학의 위치와 그 의의에 주안점을 두었다. 요한의 초기 일어시는 한국현대시의 태동 배경을 알려주며, 그가 주도한 시험적인 자유시 는 그후 한국현대시의 수준을 한층 높이는 촉매의 역할을 하였다. 그의 적지않은 일어시작품은 앞으로 더욱 심층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한일비교문학연구 와 그 교류에 크게 기여할 것임은 말할나위도 없을 것이다.

      • 秘密分散共有法および認證コ-ドに關する硏究

        송유진 東京工業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운동능력의 인자구조를 검토함에 있어서 직교인자해와 사 교인자해 어느쪽이 보다 적절한 방법인가, 또 그 인자구조에 있어서의 성차는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추출, 해석된 인자의 실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인 자의 추정식을 결정하며, 남여별로 추정된 인자에 대해 일반운동 능력의 평가를 위한 테스트 베터리를 작성하고 평가척도를 구성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1930년대에서 1983년까지 행해진 운동능력의 인자구조, 인자구조의 성차, 테스트베터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문제와 가설이 설정되었다. 이 가 설에 따라 신뢰성, 타당성,객관성 등을 고려하여 38항목의 테스트가 선택되었다. 그리 고 남자대학생 173명과 여자대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여 구해진 성적 으로부터 신뢰도를 검토하여 인자분석을 위한 해석변량으로서 34항목이 결정되었다. 이러한 자료(34×34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상관행렬)로 부터 상관행렬을 작성해서, 다 인자모델의 입장에서 이 상관행렬에 공통성의 추정치로서 SMC를 대각선요소에 대입하 여 주 인자해법, 알파인자해법, 캐노니칼인자해법을 적용해서 얻어진 회전전의 인자패 턴행렬에 Normal Varimax기준에 의한 직교다인자해와 Oblimin기준에 의한 사교다인자 해를 도출해서 인자를 추출했다. 추출된 인자의 해석방법은 각 인자에 유의한 인자부 하량을 나타내는 변량의 그 인자의 전분산에 대한 공헌도 등 3가지 관점을 고려했다. 인자구조의 성차의 검토는 인자해석의 용이성 등 5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인자의 추정에는 완전추정법을 적용해서 추정식을 결정하고 남여에 공통으로 추출된 인자에 대해서는 인자추정의 정밀도는 나타내는 중상관계수, 실용성 등을 고려해서 테스트 베 터리가 작성되고 각 인자별로 5단계의 평가척도가 구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