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킹파우더 첨가 시래기 간장조림의 품질특성

        김나정,한귀정,김하윤,한혜민,박보람,Kim, Na-Jung,Han, Gui-Jung,Kim, Ha-yun,Han, Hye-min,Park, Bo-Ram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tried to develop Siraegi by boiling it down in soy seasoning sauce with excellent sensory attributes and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 of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s, dried radish leaves. Sugar content of the seasoning sauce were finally established at 30% (w/v) compared with the starch syrup, which was added to the sauce through sensory evaluation among four groups, 0%, 30%, 60% and 100%. The texture (breaking strength) of Siraegi which was boiled for 30 minutes in water with baking powder was reduced by showing softening effect ranging from 7.6% to 42.1% as the amount of added baking powder was increased. The color of braised Siraegi produced with prepared a seasoning sauce and different content of baking powder, the br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baking powder. The reduction effects of breaking strength ranged from 25.6% to 43.9%, resul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pH of braised Siraegi with a seasoning sauc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71 to 6.04 as the amount of added baking powder was increased, while its acidity was decreased.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hardness and toughness as the values dropped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01),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group with adding 0.2% baking powder was best (p<0.001). In conclusion, baking powder could be considered as softening agent shorting the cooking time and improvement of the acceptability. Furthermore, it was expected that the newly developed soy sauce barised Siraegi using the dried radish leaves would be successfully utilized by side dishes in the food preparation industry.

      • KCI등재

        말티톨 첨가 구운떡의 품질 특성

        김희정(Hee-Jung Kim),유선미(Seon-Mi Yoo),한혜민(Hye-Min Han),박보람(Bo-Ram Park),한귀정(Gui-Jung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rice cake added with maltitol syrup. The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baked rice cak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maltitol syrup. Hunter"s color values of baked rice cak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maltitol syrup.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appearance, moistness, chewiness, hardness, and overall acceptance of baked rice cake prepared with added maltitol syrup were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baked control rice cake. Hunter"s color values and texture properties of baked rice cake added with 10% maltitol syrup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aked control rice cake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Hunter"s color L values of baked rice cake de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rate of hardness increase in baked rice cake with maltitol syrup was lower than that in baked control rice cake during storage. The Avrami exponents (n) of baked control rice cake and baked rice cake added with 10% maltitol were 2.418 and 2.098, respectively. The time constants (1/k) of the former and latter were 43.860 and 60.976, respectively. Overall, addition of 10% maltitol syrup improved the texture, sensory propertie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of baked rice cake.

      • SCIEKCI등재
      • KCI등재

        시설 및 노지 재배 오디의 숙기에 따른 기능성 성분 함량 분석

        김하윤(Ha Yun Kim),이지영(Ji Young Lee),황인국(In Guk Hwang),한혜민(Hye Min Han),박보람(Bo Ram Park),한귀정(Gui Jung Han),박종태(Jong Tae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시설 및 노지에서 재배된 오디를 숙기별로 분획하여 phenolic acid, flavonoid, anthocyanin의 구성성분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요 phenolic acid로 caffeic acid, coumaric acid, ferulic acid, sinapic acid가 확인되었고, 각각 96.37~824.00 μg/g, 19.45~68.23 μg/g, 4.50~18.66 μg/g, 15.61~29.27 μg/g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시설 및 노지 오디의 caffeic acid 및 sinapic acid의 함량은 숙기 초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oumaric acid는 일정 함량을 유지하였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감소하였으며, ferulic acid는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설 및 재배방법 간에는 전체적으로 노지 재배 오디의 phenol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Flavonoid 성분 중 quercetin과 kaempferol의 함량은 각각 44.17~1,661.73 μg/g 및 108.67~360.20 μg/g의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Quercetin은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kaempferol은 노지 재배 오디의 경우 일정량을 유지하였으나 시설 재배 오디의 경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배방법 간에는 quercetin이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kaempferol은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초기에는 높았다가 중간 단계에서는 낮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Anthocyanin 중 주요성분은 cyanidin, delphinidin, malvidin, pelargonidin이 검출되었으며, 각각의 함량은 30.43~6,443.88 μg/g, 0~52.10 μg/g, 1.06~1,650 μg/g, 1.92~401.97 μg/g 범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Anthocyanin은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배방법별로는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성되었거나 숙성 전단계의 오디가 활성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시설 재배보다는 노지 재배 오디의 성분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능성 성분이 풍부한 함량을 가진 숙기 단계를 고려하여 오디를 수확한다면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Contents of phenolic acid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of mulberries (Morus alba L.) cultivated in a greenhouse (GH) and open field (OF) were evaluated by HPLC during maturation. In the case of phenolic acids, caffeic acid (96.37∼824.00 μg/g), coumaric acid (19.45∼68.23 μg/g), ferulic acid (4.50∼18.66 μg/g), and sinapic acid (15.61∼29.27 μg/g) were detected. The major phenolic acid was caffeic acid, and its content increased in the initial stage and decreased in the last stage. The phenolic acid content of OF mulberries was higher than that of GH mulberries. Contents of two major flavonoids, quercetin, and kaempferol, were 44.17∼1,661.73 μg/g and 108.67∼360.20 μg/g, respectively. Quercetin content decreased with maturation stage, whereas kaempferol content remained constant in GH mulberries but increased in OF mulberries. In the case of cultivation methods, quercetin content of OF mulberries was higher than that of GH mulberries. Contents of cyanidin, delphinidin, malvidin, and pelargonidin were 30.43∼6,443.88 μg/g, 0∼52.10 μg/g, 1.06∼1,650 μg/g, and 1.92∼401.97 μg/g, respectively.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with maturation stage, and anthocyanin content of OF mulberries was higher than that of GH mulberries. OF mulberries in the last stage of maturation had higher contents of functional substances than other conditions.

      • SCOPUSKCI등재

        국내 육종 고구마 전분의 이화학 호화 및 소화 특성

        백혜림(Hye Rim Baek),김하람(Ha Ram Kim),김경미(Kyung Mi Kim),김진숙(Jin Sook Kim),한귀정(Gui Jung Han),문태화(Tae Wha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2

        국내에서 육종한 11가지 고구마의 전분 특성을 구명하여 새로운 식품 소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전분의 이화학, 호화 및 소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스 함량은 12.5-17.4%의 범위를 보였으며, 아밀로펙틴 가지 사슬 분포는 시료 간에 유사하였다. 증미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자량이 가장 컸으며 대유미 전분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모든 고구마 전분의 X선 회절 양상은 C형 중에서도 A형에 가까운 C<SUB>a</SUB>형을 나타내었다.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열 특성에서 11품종 고구마 전분 중 신율미와 증미의 호화 온도가 높았고, 해피미는 낮았다. Rapid Visco Analyser로 페이스트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호화시간은 전분 입자의 크기, 최고점도, 강하점도와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해피미가 가장 낮은 호화 온도와 치반점도를 보였고 강하점도와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가 높았다. 소화 특성에서 증미의 RS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신율미와 해피미는 SDS 함량이 많았다. Physicochemical, pasting, and digestion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es from 11 Korean cultivars were investigated. Starch granules were variably oval, round, polygonal, spherical, and bell-shaped, and of 10.2-15.3 μm in mean particle diameter. Amylose contents varied from 12.3 to 17.4%. A similar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was found in each of the cultivars. The portion of B3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amylose leaching. Thermal propertie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howed high values of gelatinization temperatures in Shinyulmi and Jeungmi starches, but a relatively low value in Daeyumi starch. All starches exhibited a Ca-type diffraction pattern. Differing patterns were observed in swelling factors,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contents of rapidly digestible starch, slowly digestible starch, and resistant starch ranged from 9.6-17.4, 31.4-45.6, and 35.7-62.8%, respectively. In Rapid Visco Analyser profile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sting parameters such as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final viscosity, and breakdown.

      • KCI등재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숙기별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활성

        이지영(Ji Young Lee),황인국(In Guk Hwang),박보람(Bo Ram Park),한혜민(Hye Min Han),유선미(Seon Mi Yoo),한귀정(Gui Jung Han),박종태(Jong Tae Park),김하윤(Ha 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오디 생산과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숙기별 pH, 적정산도, 유리당, 유기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안토시아닌,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pH와 적정산도는 시설의 경우 각각 3.52~4.91 및 0.47~2.63% 범위였고, 노지의 경우 각각 3.52~4.70 및 0.43~2.19% 범위로 숙도 단계에 따라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숙도별로 pH는 점차 높아졌고, 적정산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재배 방법별로는 후기 단계로 갈수록 시설 재배가 유의적으로(P<0.01) pH와 적정산도 모두 높아졌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와 glucose가 검출되었고 함량은 각각 0.44~4.85% 및 0.43~4.79% 범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숙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재배 방법별로는 유의적으로(P<0.01) 시설 재배의 유리당 함량이 높았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citric acid, D-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가 검출 되었고, 각각의 함량은 0.47~2.50 g/100 g, 0.22~0.53 g/100 g, 0.23~0.49 g/100 g, 0.29~ 1.04 g/100 g의 범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숙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는데, 주로 citric acid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으로 보인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노지 재배 오디는 171.74~482.98 mg/100 g, 시설 재배 오디는 126.21~471.41 mg/100 g의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고, 숙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마지막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에서 유의적인(P<0.05) 차이로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시설 재배 오디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2.72~174.60 mg/100 g, 94.34~197.53 mg/100 g의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노지 및 시설 재배의 경우 모두 함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가 증가하였다.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시설 재배에 비하여 모든 숙도 단계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총 안토니시아닌 함량은 각각 0.00~337.43 mg/100 g, 0.00~349.85 mg/100 g의 범위로 나타났고, 숙도별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DPPH 항산화 활성은 각각 62.15~337.76 mg AA eq./g, 81.57~313.23 mg AA eq./g 범위를 나타내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력은 증가하였고, 숙도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ABTS 항산화력은 각각 61.10~663.03 mg AA eq./100 g, 77.02~784.43 mg AA eq./100 g 범위를 나타내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총 항산화력은 증가하였고 숙도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오디의 경우는 충분히 숙성된 후 수확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품질 상 차이가 없고 장마철 수확기인 오디의 특성상 수확량이 많고 오염의 가능성이 적은 시설재배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peness between greenhouse (GH) and open field (OF) cultivation. The mulberries were divided into five degrees of ripeness.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pH, acidity,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s of free sugar, organic acid,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were investigated. pH level increased slightly while acidity de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peness. Fructose and glucose were detected in mulberries as the major free sugar. Fructose and glucose increased rapidly during ripening. Citric acid was major acid and decreased considerably during ripenin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increased considerably in the last stage of ripening.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mulberry from OF were higher than from G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rapidly in mulberries of the last degree. Contents of functional components were not greatly different between GH and OF, whereas content of free sugar in GH was higher than that in 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