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브릿지스쿨 초등학급의 보조공학 적용 사례

        한경임(Kyung-Im Ha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브릿지스쿨의 초등학급에서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보조공학지원에 대해 관찰한 것을 소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자는 1년간 브릿지스쿨에서의 참여관찰을 통해 초등학급의 학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되는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해 관찰하고 내용을 정리하였다. 초등학급의 재학생은 모두 7명이었으며, 뇌성마비와 의사소통장애, 지적장애, 대뇌피질성시각장애(CVI)를 중복으로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관찰 현장인 브릿지스쿨 초등학급 담당 직원은 특수교사 1명, 언어치료사 1명, 보조공학사 2명, 보조교사 5명이었다. 연구자는 보조원으로 참여하며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브릿지스쿨의 보조공학 서비스를 인지발달과 문해력 지원, 의사소통 지원, 모빌리티(이동성)지원, 일상생활 기능 지원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인과관계 개념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문해력 관련 보조공학 서비스 지원은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글 쓰기 소프트웨어와 컴퓨터의 활용이 많았다. 둘째, 의사소통 지원에서는 노테크에서 하이테크까지 다양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가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일상생활기능 지원에서는 식사 시간에 가능한 스스로 식사하도록 하기 위해 학생 개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보조공학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모빌리티 지원에서는 손 사용이 자유로운 워커를 이용해 휴식시간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도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보조공학을 적용할 때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

        한경임(Han Kyung-Im),한경화(Han Kyung-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 단위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540명으로 여교사 378명, 남교사 162명이었다. 특수교사는 334명이었으며, 특수학급 교사는 206명이었다.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였으며, 변인별 차이검증을 위해 ANOVA와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그 이하 경력의 교사들보다, 그리고 중등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심이 많았다. 또한 15년 경력 이상의 교사들이 다른 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행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5년 이상 10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행평가를 위해 서술기록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와 교육청 차원의 지원으로 특수교사들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학교 환경조성을 요구하였고, 교사 차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방법, 평가 일체화를 적용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및 학생 수행평가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정책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wareness, current status and support reque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 Method: Participants were 540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378 females and 162 males. 334 teachers of them worked in special school and 206 teachers worked in special day classroom. Results: First,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ers who had career more than 15 years had highest interest.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had higher recognition about curriculum reconstruction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day classroom teachers. Relation to current curriculum reconstruction status, teachers who had career more than 15 years did it more than other teachers. Special school teachers did it more than special day classroom teachers. Second,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Teachers had career less than ten years recognized highest necessity. Most of teachers used narrative record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as support request on school and education district, teachers required referenc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based on instruction. Conclusion: This results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field training program and referenc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어 폐쇄음 VOT

        한경임(Han, Kyung-Im)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코기토 Vol.- No.75

        본 연구는 폐쇄음 VOT에 방언과 성별, 두 가지 요소가 영향을 끼치는지 제주방언과 대구방언 화자들이 발화한 음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측정된 VOT값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폐쇄음의 발성유형과 조음장소가 방언 그리고 성별 간 VOT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았다. 폐쇄음의 평균 VOT값을 비교해 본 결과 방언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또한 폐쇄음의 발성유형과 조음장소가 VOT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본 결과 제주방언 VOT가 모든 발성유형에서 대구방언보다 짧게 나타났으며, 각 방언에서 경음, 평음, 기음이 구별되는 삼분대립을 보였다. 발성유형 VOT 분포영역에 있어 대구방언은 분포영역 간 간격이 일정하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제주방언은 평음과 기음 간 분포구별이 뚜렷하지 않음을 보였다. 제주방언의 이러한 특성은 서울방언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20대 화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는 대구화자들에 비해 제주화자들이 서울방언에 더 가까운 발음을 구사한다고 볼 수 있다. 조음장소에서는 제주, 대구방언 모두에서 양순과 치경 간 VOT 차이가 없었으나, 연구개와는 구별되는 이분대립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VOT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길게 나타났으며, 발성유형별 VOT 분포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뚜렷한 삼분대립을 보였다. 반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기음과 평음 구별이 덜 뚜렷한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여성의 기음과 평음 구별이 덜 분명한 특징을 보여주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서울방언 특징과 유사하며,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서울방언을 구사하려는 경향이 더 강한 결과라고 해석된다. 따라서 성별이 VOT에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단순한 남녀 간 성도차이에 근거를 둔 보편적 음성원리라기 보다는 보편적 음성원리와 사회 음성학적 요소의 결합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성별 간 조음장소 VOT는 방언과 마찬가지로 평음과 기음 차이가 없는 이분대립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 will investigate how voice onset time (VOT) in Korean stops is differently realized in dialect and gender by comparing the Jeju and Daegu dialects. Second, I will examine how VOT varies with the laryngeal category and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Korean stops in dialect and gender. As for the VOT realization in Jeju and Daegu dialects, the laryngeal category for VOT in the two dialects shows a 3-way contrast. However, these two dialects are different in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quartile ranges for the three laryngeal categories. Compared with Jeju dialect, the range for lenis and aspirated stops in Daegu dialect is more distinctive. As for the VOT in gender, the laryngeal category, like dialect, shows a 3-way contrast. When compared with males, the interquartile ranges for lenis and aspirated stops in females show a substantial overlap, while the range for fortis stops are more distinctive than the ranges from the other two categories. The gender difference in VOT can be explained by a combination of sociophonetic patterns, laryngeal anatomy and physiology, but not solely by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place of articulation for both dialect and gender shows a 2-way contrast in VOT. That is,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labial and alveolar positions, but velar is distinctive from the other two positions.

      • KCI등재
      • KCI등재

        Increments and Phonetic Analysis in Korean

        한경임(Kyung Im Han) 언어과학회 2004 언어과학연구 Vol.30 No.-

        A recent study on turn-continuations in English (Walker: 2001) shows that each type of increments can be classified in terms of a unique cluster of interactional, phonetic, and lexico-syntactic properties. However, Korean does not seem to be the case. Specifically, since increments in Korean data take either single adverbs or adverbs of adverbial phrases for each type of increments in most cases, I classify them in terms of the meanings in increments to the host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increments in Korean conversation: weakening increments, emphasizing increments, explanatory increments, and delimiting increments. In this paper, I will demonstrate that a lexical or syntactic form is not one of the criteria, but phonetic properties can be good factors to distinguish between one category and another in Korean data.

      • KCI등재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한경임 ( Kyung Im Han ),문현미 ( Hyun Mi M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각 요인별 교사 자신이 갖추고 있는 정도에 대한 자기 평가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참여대상은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경남의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 300명이었다. 연구를 통해 초등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영역에 대한 하위 요인을 도출하고,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교사 소양 영역의 하위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들 스스로 교사 소양 영역의 각 하위요인을 얼마나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자기평가에 대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factors of the teacher`s refinement competen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population statistics variables. 300 questionnaire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Varimax factor analysis, t-test and F-test. As a result, the teacher`s refinement competen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were divided into 3 sub-factors: devotion and sacrifice, convinced view of education and positive coping attitude. The higher teachers` career were, the better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ach sub-factor except convinced view of education. The higher teacher`s career, taking a Master`s degree, qualification were, the better they evaluated their self devotion and sacrifice, convinced view of education and positive cop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ing license program of the university, the recruitment of teachers, and the evaluation of teachers in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인식 연구

        한경임 ( Han¸ Kyung-im ),권상희 ( Kwon¸ Sang-h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K시에서 일반 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 중등 장애 학생을 양육하며 2020년 1년간 원격수업을 경험한 초등 장애 학생 학부모 6명과 중등 장애 학생 학부모 5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 형식의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갑작스럽게 시작된 원격수업은 가정에 부담이 되었다. 교과별 원격수업의 형태는 실시간 화상 수업, 과제물 수업, 녹화된 동영상 수업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학부모들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한계와 어려운 점과 불만족뿐만 아니라 효과성과 만족감에 대해서 다양하게 보고하였다. 셋째, 초, 중등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의 다양화와 개별화, 교사의 역할 변화, 학부모의 역할 변화, 행정가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원격수업의 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원격수업의 실태와 경험 그리고 개선점은 향후 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원격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시사점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secondary school in Gyeongnam. Their age was over 40 years and under 50 years.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was seven autism,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deaf. Results: First, the sudden beginning of on-line based class increased burden to parents. The type of on-line based classes was carried out variously using real time on-line classes, home assignment and record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parents told some limits, difficulties, dissatisfaction, and de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and some effects and satisfaction and 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in COVID-19 situation. Third, the parents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int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n-line based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the role change of teache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n-line based class manag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형제에 대한 상호작용 기술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경임 ( Kyung Im Han ),임민숙 ( Min Suk 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은 일반적인 구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과정과는 달리 독특한 의사전달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AAC를 사용하는 장애 아동뿐 아니라 의사소통 상대방에 대한 교육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AC 사용 뇌성마비 아동의 형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의사소통 상대방 훈련이 AAC 사용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0세-13세의 AAC를 사용하는 뇌성마비 아동 3명과 각 아동의 형제 3명이었다. 의사소통 상대방에게 의사소통 상호작용 기술인 메시지 확인하기, 모델링 제공하기, 잠깐 멈추고 기다리기의 세 가지 기술을 사용하도록 지도함에 따라 AAC 사용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역할, 의사소통 기능, 의사소통 성과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ystem. Subjects were three nonspeak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ged from 10 years to 13 years and their non-handicapped siblings aged from 8 years to 15 years.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was to teach three interaction strategies : modeling with an AAC aid, Confirming of message of chrildren using AAC and waiting with pause time.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AAC using children-their siblings.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iblings acquired communication interaction strategies easily and used them effectively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ir sister or brother using AAC. Second, the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increased the variety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using AAC. Third, the communication partner traing on the siblings increased the initiative communication role of children using AAC. Fourth, the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increased successful communication outcomes of children using AA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