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 학습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다중단계 삶(multi-stage life)의 관점에서

        하지영(Jiyoung Ha),이로미(Romee Lee),허경미(Gyeong Mi Heo) 한국노년교육학회 2022 노년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수명연장 시대, 초고령사회에서 인생주기를 다중단계 삶(multi-stage life) 의 관점으로 바라볼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기존 여성세대와 다른 경험, 학력 수준, 정체성, 욕구 등을 지니지만 출산, 육아와 양육 등으로 경력단절의 위험도가 높아 생애장기적으로 삶의 질과 주관적 만족감이 낮아질 수 있는 여성 중년층에 초점을 맞추어이들의 학습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중년여성의 학습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논문 66편을 선정하고, 다중단계 삶의 관점에의거하여 연구들의 일반 동향, 중년여성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특징,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장애요인과 해결방안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및 논의 결과, 현재까지의 중년여성 학습에 관한 연구들이 지닌 세 가지 문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이론적 분석틀이 대체로 전환학습론에 편중되는 경향성과 이에 따른 연구방법의편중 및 표집에 따른 경험의 기술과 해석이다. 관련해 둘째, 각종 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학습경험이 전반적으로 ‘지연된 경험’으로 보고되고 있어 생애를 통해 지속해온 다양한 학습경험에 대한 고려가 누락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셋째 대학 학위과정으로 대표되는 형식교육 경험에서의 어려움이 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해결방안이개인적이고 관계적인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상기 도출된 문제들에 기반하여 중년여성을 포함한 성인친화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연구 차원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studies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from the multi-stage life approach. The women in selected 66 studies feature different experience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women who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rough systematic review as a research method, general trends of the studies,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the challenges and obstacles in learning and the suggestions addressed by the researchers of these studies were explo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key problems of the studies were derived. First,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s a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 chosen in many studies tends to be problematic to be a explanatory lens of understanding middle-aged women as learners due to possible bias in the participant selection. Seco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women are generally reported as ‘delayed experiences’ which may obscure the existence of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Third, challenges and obstacles experienced in the learning process were mainly reported in the field of formal education, but the solutions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are largely limited to individual efforts. Based on these critiques,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build a robust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for middle-aged adults including these women.

      • KCI등재

        1930년대 동해횡단항로와 조선총독부 해운정책

        하지영(Ha Ji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본 논문은 조선 북부와 동북만주지역을 둘러싼 정치·군사적 정세 변화, 조선총독부의 북선개발정책, 그리고 기선회사들 간의 관계 속에서 동해횡단항로가 어떻게 경영되었 는지 조선총독부와 조선우선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동해횡단항로는 일제의 대륙 침략을 위한 최단거리 교통로이자 조선 북부지역 개발을 위한 해상교통로였다. 조선 북 부지역 개발을 통한 조선 중심의 대륙경영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던 조선총독 부는 조선우선을 통해 이를 실현시키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조선우선은 수익성이 나 빴던 동해횡단항로 경영에 적극적이지 않았지만 ‘국책회사’였던 만큼 조선총독부의 정 책에 협조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조선총독부의 적극적 지원 하에 상당한 금액의 항로 보조금을 교부받았으므로 수지타산은 맞출 수 있었고, 여타 기선회사들과의 경쟁에서 도 유리한 지위를 점할 수 있었다. 동해횡단항로에서의 조선총독부와 조선우선의 ‘상생관계’는 전시체제가 강화되는 1930년대 후반 더욱더 공고해졌다. 일본 정부가 동해횡단항로에 대한 일원적 통제를 강 화한 것에 대응해 조선총독부와 조선우선은 ‘조선특수성’ 논리를 내세우며 ‘로컬선 (Local Line)’을 사수하였다. 이는 조선을 기반으로 한 대륙침략정책을 구상하고 있던 조 선총독부의 정치적 목적과 동해횡단항로에서의 화물 수송을 통해 이윤을 획득하려 한 조선우선의 경제적 목적이 부합한 결과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우선은 ‘북선개발’이라는 조선총독부 식민정책에 기여하는 한편 전시 특수를 톡톡히 누리며 상당한 이윤을 획득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Chosun Yusen Corporation s the East Sea Crossing Route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 surrounding the Northern Chosun and Northeastern Manchuria region,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s Northern Chosun Development Poli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building companies. The East Sea Crossing Route was the shortest route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and the maritime route for the development of Northern Chosun.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which had a political purpose of continental management centered on Chosu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northern part of Chosun, showed a strong will to manage the East Sea Crossing Route. Chosun Yusen was not active in the management of the East Sea Crossing Route where profitability was poor, but as a “national company,” it was forced to cooperate with the policie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However, with the support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 substantial amount of route subsidies was issued, so the balance of payments could be met, and it could have a favorable position in competition with other shipbuilding companies. The “Win-Win Relationship” between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Chosun Yusen on the East Sea Crossing Route was further strengthened in the late 1930s when the war system was strengthened. In response to the Japanese government s strengthening unified control over the East Sea Crossing Route,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Chosun Yusen took the “Local Line” with the logic of “speciality of Chosun”. This was the result of the match between the political objective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which was envisioning a continental invasion policy based on Chosun, and the economic objectives of Chosun Yusen, which attempted to gain profits through cargo transportation on the East Sea Crossing Route. Chosun Yusen contributed to the colonial policy of the ‘Northern Chosun Development’ by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was able to gain considerable profits by enjoying the special war.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의 업무 실태 및 만족도 조사

        하지영 ( Ha Jiyoung ),윤형준 ( Yun Hyungjun ),김영교 ( Kim Young Ky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업무 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C시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 6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고유 업무의 중요도에서는 장애학생의 개인욕구지원, 교수-학습 지원, 그리고 문제행동 관리지원이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는 업무로는 현장학습 도우미와 식사지도, 그리고 학교 내 이동으로 나타났다. 고유 업무 외 잡무여부를 묻는 응답에서는 “하고 있다”의 응답률이 높게 나왔으며, 잡무 유형으로는 담당학급과 교내외 청소, 그리고 사무 업무보조와 같은 행정업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만족도에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만족하는 이유로는 수월한 학급업무와 수업진행에 대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당특수교사와의 협력관계 실태에서는 근무기간에 따른 다양한 업무전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업무관계에서도 상호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담당특수교사와의 협력관계 실태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담당특수교사와의 업무관계에서 만족하고 있는 반면, “인간적인 무시 면”에서 높은 불만족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보조원의 근무여건의 개선과 역할, 업무 만족도 등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반적인 업무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k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68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t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 Cit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presented here: First, as for the importance of peculiar task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dividual need support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nd problematic behavior support were their important tasks. The tasks they actually do the most were helpers on field trips, eating guidance, and movement inside schools.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had miscellaneous duties in addition to their peculiar tasks, they responded that they do a lot. As for types of miscellaneous duties, classes, cleaning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office work assistance were investigated.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orking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because of easy class work and teaching support. Third, as for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used diverse communication ways and were cooperative each other. Fourth, as for satisfaction in cooperation between them, they were satisfied, but they were very unsatisfied in that they were ignored and did not have humane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task management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 KCI등재

        지역 평생학습 파트너십의 다양성

        장원섭(Wonsup Chang),하지영(Jiyoung Ha),차민영(Minyoung Cha),최은정(Eunjung Choi),고영준(Youngjun Koh)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미래교육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지역의 평생학습 파트너십이 그 지역이 갖는 맥락적 특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자는 국내 네 지역의 평생학습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네 지역이 지리적 위치와 규모, 인구구성, 산업형태, 교육여건 등에 있어서 매우 상이한 경제사회적 맥락과 상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지역마다 평생교육 제공 주체들과 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맺음의 차이도 두드러지게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각 지역들은 파트너십의 인식과 실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진화 단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우리나라가 아직은 평생학습 파트너십의 경험이 적고 지역의 여건과 사정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지역의 고유하고 독특한 다양성의 전제아래 더욱더 발전적 파트너십의 실천을 수행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We examined how local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s were related with the local contexts i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e conducte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lifelong learning practitioners from four cities. We confirmed that the cities had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geographical situation, demographic compositio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industry, educational conditions, and so on. According to these situations, they had some different networks or partnerships among lifelong learning providers from governmental, civil, corporate, college sector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four cities were variou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for awareness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 From the findings, we suggested local cities should try to develop their own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s because they had very various local conditions and situations and experiences of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한문고전문헌의 기계번역 평가방안 탐색

        정성훈 ( Jung¸ Sunghoon ),하지영 ( Ha¸ Jiyoung ),김우정 ( Kim¸ Woojeong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이 글은 기계번역을 이용한 한문고전 번역물의 품질평가 방법을 살펴보고, 품질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번역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고립어인 한문 고전문언문은 문체가 다양하고 문법상의 변화도 복잡하다. 또한 기계번역은 평가기준·평가목적·평가비용·텍스트의 종류 등도 함께 고려하여야 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간편한 번역 품질 평가모델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 자동평가는 기계번역의 어떤 요소가 번역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 수 없으며, 점수가 가장 높은 기계번역 모델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기계번역 품질에 대한 타당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그리고 평가기준도 평가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대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수동평가가 필요한데, 평가자 각각의 경험이나 수준이 존재하고, 평가기준에 대한 이해가 다를 수 있으며, 평가 환경이나 차수에 따른 차이 등 주관에 치우칠 우려도 불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동평가와 수동평가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기계번역기의 성격과 목적에 맞는 평가방법을 찾아 적용하되, 기계번역 모델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평가방법이 기계번역 모델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해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everal methods of translation quality evaluation on the classical chinese using machine translation, and suggest some ways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quality evalu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The classical chinese, an isolated language, have diverse styles and complicated grammatical changes.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develop a reliable and easy translation quality evaluation model because machine translation should also consider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purposes, evaluation costs, and types of text. Automatic evaluation does not know which elements of machine translation affect translation quality, and although it can show the highest scoring machine translation model, it does not guarantee validity for machine translation quality. In addition, evaluation criteria may vary depending on the evaluation model and may require a large amount of data.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manual evaluation is required, which may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r level of the appraiser, understanding of the criteria, and the environment or number of evaluations. Therefore, conside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utomatic and manual evaluation, an evalu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machine translator shall be found and applied, but a measure shall be develop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translation model. And ultimately, these evaluation methods should help identify and improve the problems of the machine translation model.

      • KCI등재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차태훈(Cha Taihoon),전승우(Chun Seungwoo),하지영(Ha Jiyo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2

        현재 우리나라에는 발렌타인데이를 비롯해 50개가 넘는 데이가 있다. 그러나 이 중 참여자들에 의해 참여되고 있는 데이는 극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데이를 의례의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Rook(1985)의 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하나의 데이 구성요소 4가지인 데이용품, 데이스크립트, 데이역할, 데이청중이 명확하게 인식하면 할수록 그들의 데이 참여의지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들을 통해 데이 구성요소 4가지가 명확하면 명확할수록 데이의 참여정도가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로 설정되지 않았지만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의 4가지 구성요소와 제품구매의도의 관계에서 데이참여가 매개변수의 역할을 한다는 추가적인 가설을 도출했다. 이것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데이구성요소와 제품구매의도 관계에서 데이참여의 매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more than 50 ""Days"" in Korea such as St. Valentine"s Day. Out of these, only a limited number of ""Days"" are publicly observed. This study approaches the Days from the viewpoint of ritual. With in-depth interviews, we found that Rook(1985)"s 4 ritual elements including ritual artifacts, ritual script, ritual role, and ritual audience play key roles for individuals in participating in the Days. In addition, using a survey, this paper confirmed the findings of the in-depth interviews. Besides, this paper conducted an additional analysis regarding the mediating role of an individual"s participation intention on his or her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 relating to the day.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하지영 ( Ha¸ Ji Yo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의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학술지 논문 114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여 10년 가까이 꾸준히 발표되어 왔으며, 2020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라서는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주제와 내용에 따라서는 부모의 양육과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다음으로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에 대한 부모 인식,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 인식’, ‘부모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부모의 양육’ 등 주제별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와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향후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smart media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 total of 114 articles published from 2012 to 2020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lated research began to be published in 2012 and has been published steadily for nearly a decade, with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2020. Second, the study subjects showed the greatest number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research type, an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he most as a data collection method. Forth,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and conten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followed by parents’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Lastly, major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opics such as parents’ awareness of smart media use, parents’ use of smart media, parents’ smart media guidance, and parenting were analyz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appropriate use of smart media by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