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소재 설화 <도화녀와 비형랑>의 공연예술적 변용 양상과 가치

        하경숙 ( Gyeong Suk Ha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7 No.-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는 일연이 쓴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에 실려서 전하고 있다. 이 설화는 진지대왕의 도화녀를 향한 애정이 사후에야 결실을 맺게 되는 결연(結緣)담과 반인반귀(伴人伴鬼)인 비형랑의 출생과 신이한 행적을 중심으로 하는 영웅담으로 그동안 문학적 소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설화 <도화녀와 비형랑>를 모티프로 한 뮤지컬과 연극을 통하여 창작자들은 설화를 새롭게 재창조하였는데, 공연예술로 변용한 작품에는 그동안 잠재되어 있던 사회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가치관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뮤지컬 <도화녀와 비형랑>은 원전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애정문제에 비중(比重)을 두어서 작품을 다루고 있는 한편 연극 <로맨티스트는 죽었다>에서는 사회적인 문제에 집중하여서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熱望)을 작품 속에서 다루고 있다. 그렇지만 이 두 작품 속에는 분명히 현실에 대한 섬세한 관찰이 엿보인다. 불신(不信)과 위기(危機)로 점철된 오늘의 사회적 현실을 보여주기 위해서 창작자들은 과거의 모습에 열중하고 형상화한다. 또한 저항(抵抗)과 일탈(逸脫)의 형식을 찾아 나선 대중들에게 원형적이고 본래적인 것에 대한 중요성과 회귀(回歸)를 촉구하고 있다. 뮤지컬 <도화녀와 비형랑>과 연극 <로맨티스트는 죽었다>는 다양한 주제로의 확장을 통하여 원전의 가치를 고양(高揚)시키는 한편 그동안 문학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이나 혹은 모호한 부분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현실의 대중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공연되었다. A tale, <Dohwanyeo and Bihyeongrang> is passed down by being included in the eccentric part of Samguk Yusa written by Ilyeon. This tale was widely used as literary materials with the relationship story that King Jinji`s affection for Dohwanyeo gets results after their death and the epic stor about a half-human and half-ghost, Bihyeongrang`s birth and amazing activities. Creators newly recreated the tale through musicals and dramas of <Dohwanyeo and Bihyeongrang> motif and the works transformed as performing arts includes potential human desire and values about society. A musical, <Dohwanyeo and Bihyeongrang> faithfully maintains the original text and gives weight to the love affairs, but a drama, <Romancist is dead> focuses on social problems and so expresses aspirations for a new era. However, these two works clearly reflect on the delicate observation about reality. Creators are absorbed in and embody the past images in order to show the present-day reality of our society riddled with distrust and crises. And also, they are sensitizing and urging people to the importance of prototypical and primary things urge. The musical, <Dohwanyeo and Bihyeongrang> and the drama, <Romancist is dead> enhanced the values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expansion into various topics and detailedly explained the parts not noted or the ambiguous parts in literary history all the while and two works were performed so that they might appeal to the public.

      • KCI등재

        향가 〈찬기파랑가〉의 정체성과 현대적 변용

        하경숙(Ha, Gyeong Suk)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찬기파랑가〉는 신라 제 35대 경덕왕(景德王, ?~765년, 재위: 742년~765년)때에 충담(忠談)이 화랑이었던 기파랑(耆婆?)을 추모하면서 지은 10구체 향가로 한국문학사에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았다. 〈찬기파랑가〉는 신라 경덕왕 때 지어진 것으로 판단하는데 구전(口傳)되다가 문자로 정착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그것을 신라 시대의 언어나 곡조(曲調)라고만 한정할 수 없다. 이는 시공을 초월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당대인들이 지닌 감수성(感受性)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신라인의 의식(意識)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노래이다. 〈찬기파랑가〉는 신라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향유되어지는 노래이다. 또한 많은 신라향가 작품 중에서 명확하게 작품의 성격이 규명되지 않은 채로 현대적 변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가 〈찬기파랑가〉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고종석의 소설 『찬 기 파랑』에서는 주인공 기파랑을 행동하는 지식인의 모습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사회적 현실과 배경을 연계하여서 서술하였다. 이는 현대인에게 가장 필요한 요소(要素)를 판단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복잡한 현실을 살아가는 대중들에게 삶의 가치를 알게 하려는 시도이다. 또한 향가 〈찬기파랑가〉를 재창조한 현대 시인들은 작품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으나 대부분 원 작품을 해석하던 태도에 치중하고 있다. 이들은 현실에 대한 깊은 탐구(探求)와 험난(險難)한 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이상적(理想的)인 인물에 대한 그리움을 적극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뮤지컬 <화랑>에서는 향가 〈찬기파랑가〉의 모티프가 되는 화랑의 모습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인물형으로 설정하고 작품 속에 골고루 배치(配置)하여 대중들에게 공감을 주었다. 아울러 그 당시 인물들이 겪었던 현실의 문제와 관심의 대상을 현대적인 소재들과 연계하여 이해하게 하였다. 향가 〈찬기파랑가〉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작품의 작가들은 불안(不安)과 강박관념(强迫觀念)에 시달리는 대부분의 현대대중들이 살아가는 현실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그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한편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을 섬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또한 현실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여 대중에게 호응을 얻어서 이 작품들은 지속적으로 대중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Changiparangga”, hyangga of 10-line verse which Chungdam created for revering hwarang, Giparang’s memory during the era of Sila 35th King Gyeongdeok (?~763, Reign: 742~765) was loved for a long time in Korean literature. “Changipa rangga” is considered to be created at the era of Sila King Gyeongdeok and given it was passed down orally and then established as characters, we cannot restrict it to only language or melody of Sila period. It is a song which not only shows people’s sensibility of the time based on the lyricism transcending time and space but also helps to understand Sila people’s domain of consciousness. “Changiparangga” is a song which has been consistently enjoyed from Sila to present time. Furthermore, the modern transformation has been performed with its character not clearly investigated among many Sila hyangga works. In Jongseok Go’s novel, Chan Gi Parang modernistically transforming hyangga “Changiparangga”, he described his novel by setting up the main character, Giparang as a practical intellectual and linked various social realities and backgrounds. This is an attempt to get our contemporaries both to determine the most primary element and to perceive the value of life. And also, the modern poets who reinvented hyangga “Changiparangga” tried to shed new light on the work, but most of them only are focusing on interpreting the original work. They are just actively expressing the deep search for reality and the longing for an ideal person in the public who live a rough life. In a musical, “Hwarang”, the hwarang, the motif of hyangga “Changiparangga”, was set up as an active and aggressive character type and was evenly arranged in the work and so the public felt a empathy with it. Moreover, it let people understand the practical problems and major concern which the person had at the times by connecting them and modern materials. The writers who modernistically transformed hyangga “Changiparangga” are constantly observing the modern public’s reality who suffers from anxiety and an obsession and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m and based on their observation, they are delicately describing their works. And also, their works based on realistic values are continuously being at the center of attention from the public.

      • KCI등재

        문화 : 고려가요 <쌍화점>의 후대전승과 현대적 변용

        하경숙 ( Gyeong Suk Ha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1

        남녀의 색정적 사랑을 나타내는 고려가요<쌍화점>은 고려 충렬왕(忠烈王:재위 1274~1308) 때의 가요로 작자미상의 곡이다. <쌍화점>은 궁중의 연회에서 연행한 작품으로 『악장가사』에 실려 전하고 있으나, 남녀 사이의 노골적인 성관계를 노래했다는 이유로 조선 성종 때에는 ``남녀상열지사`` 또는 ``음사(淫辭)``라고 하여 사람들이 기피하자 약간의 개작(改作)을 했다. 그러나 고려가요 <쌍화점>은 단순히 궁중연회에서 쓰이던 가창(歌唱)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로의 변형을 꾀하고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 받으면서 후대인의 관심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쌍화점>을 후대에 와서 변용한 창작자들은 고려시대의 고려가요를 자신이 처한 현실의 상황에서 설명하면서 그들이 지향하는 바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급암 민사평의 악부에서는 퇴폐적인 당시의 성윤리와 평민의 현실적인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서포 김만중의 악부에서는 사대부가 겪는 부조리한 정치세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고 자 했다. 악부로 변용한 <쌍화점>에서는 단순히 ``성(性)``의 문제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처한 사회적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도전을 통해 고려가요 <쌍화점>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현대시, 현대소설, 영화에서는 현대의 작가들이 지향하는 주제가 극명하게 드러났고, 양심을 잃은 시대에 대하여 세밀하게 통찰하기를 바라는 견고한 경고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쌍화점>의 후대 작가들은 일상적이고 평범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인간의 현실적인 삶의 모습을 재현하고,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금기라는 욕망과 현실을 현대인의 감각에 맞추어서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Ssang hwa jum>, a song from Goryeo which represents a carnal desire is a song made in the time of king Chung reul(1274~1308) by an unkown author. <Ssang hwa jum> is told to be performed in the banquets held in the palace, according to <Akjanggasa>, but it was reformed in the time of king Sungjong,when it was avoided for singing about a sexual behavior between a man and a woman openly. However <Ssang hwa jum>, a song of Goryeo, did not stop as a song sung in banquets, but went under various changes in genre, which gave it new life and endless attention from the following generations. The creators who changed the songs explained the song according to their current conditions and actively explained what they were aiming for. In a poem version by Gupam Minsaepeung, is a story between a man in power and a woman who`s identity is unknown, showing the corrupt sexual ethics of that time and a realist life of a commoner. In the work of Seopo Manjungkim, he tried to hold the unfair political world a noble faces. It can be seen that the poem versions of <Ssang hwa jum> does not only hold ``sexual`` problems but also holds the social problem they were facing. In the various modern poems, novels, and films which were made from continuous challenges towards <Ssang hwa jum>, the goals the artists were aiming for were clearly visible and held a strong message of warning to the generations that lost their honesty, asking them to take a deep look inside. The modern poets that changed <Ssang hwa jum> used normal and average materials to express the modern life of men and realistically showed the taboo known as cravings and reality, suitably to the modern taste. In the novel <Ssang hwa jum> by Hansuk jeong, she is trying to change the lives of the modern men. She emphasizes on the need of a reality where men, who has the ability of perception, and socially weak mix together and communicate, and actively expresses the periodical situation and will that we must change. In the movie, is shows the sexual want of a woman and expresses the current gynocentric situation which is seeking its identity. Since the song <Ssang hwa jum> was not isolated in that era and went through various methods by the following artists to fit their current situation, we will try to approach the various undertone the original holds.

      • 고전 시문에 나타난 한식(韓食)의 의미와 양상 - 냉면(冷?)을 중심으로 -

        하경숙 ( Ha Gyeong Su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7 동양문화연구 Vol.27 No.-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인 냉면(chilled buckwheat noodle soup)은 말 그대로 차가운(冷) 국수(麵)다. 냉면은 그 기원이 고려 말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고, 전통 음식으로 평양과 함흥, 진주 등 각 지역의 환경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다. 냉면은 순조에서부터 헌종, 철종, 고종에 이르기까지의 임금이 즐겨먹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특이한 점은 냉면이 일상적으로 먹는 궁중음식은 아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냉면은 예로부터 아주 큰 부자나 양반들만 점유할 수 있는 권력의 음식이 아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이르면 냉면이 대중적으로 확산되는데 왕과 양반들 뿐만 아니라 일반 평민들도 냉면을 자주 먹었으면 면만을 따로 사서 먹거나 음식점에서 냉면을 팔기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냉면은 다양한 음식 재료를 섞어서 먹는 음식으로, 처음에는 매우 단순한 음식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양한 재료를 넣고 비비거나 육수를 부으면 기존의 속성이 흔들리고 다양한 맛을 낸다. 서구화된 입맛을 지닌 한국인에게 바쁜 시간에 쫓기거나 개별적으로 식사를 해결하는 일들이 증가하면서 많은 현대인들이 한 그릇의 냉면을 섭취로 인하여 포만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우리나라의 냉면은 매우 다양한 특질을 가졌으며, 지역의 산물로만 한정하여 볼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다양한 층위에서 접했던 문화적 산물로 그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The traditional Korean dish "Naengmyeon" (chilled buckwheat noodle soup) literally means cold (冷) noodles (麵). It was created in the late Koryo dynasty. As a traditional dish, it reflects the environment and culture of each region (e.g. Pyongyang, Hamheung, Jinju). It seems that kings (from King Sunjo, King Heonjong, and King Cheoljong to King Gojong) enjoyed i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it is not regarded as a usual royal dish. It has not been a dish only for people in power (the super-rich and the Yangban (part of the traditional ruling class or gentry of dynastic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old times. Notably, it was populariz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commoners as well as kings and the Yangban would have eaten it frequently - they would have bought only the noodles to eat or restaurants would have sold it. At first sight, it appears a very simple dish made of a mixture of various ingredients. But when various ingredients are put in the bowl and are stirred, or meat broth is poured into it, the qualities of the ingredients and meat broth do not remain the same and various tastes are created. As Koreans with a westernized appetite are more frequently pressed for time or eat by themselves more frequently, many modern people can feel full and satisfied with a bowl of naengmyeon. Korean Naengmyeon has a great variety of characteristics. It should not be seen only as a local product but should also be seen as a cultural product that various classes of people of the whole nation have been able to taste, which is its deep meaning.

      • KCI등재

        조선후기 시조(時調)에 나타난 가족(家族)의 양상

        하경숙(Ha, Gyeong-Suk)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가족은 사회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면서 동시에 창작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삶의 상황과 심상(心象)을 잘 구현하는 소재이다. 특히 조선후기 시조에는 가족이라는 사회속의 여성의 역할과 삶의 모습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처럼 시조에 나타난 가족 내의 ‘여성’이 보여준 일탈과 갈등의 상황은 여성 자신이 지닌 사실적인 욕망을 상세히 재현하는 것이다. 이는 여성에게 주어진 ‘사회(社會)’적 상황을 배제하고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조선후기 시조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은 제도속에 부여된 역할이라도 사회적 규범과 강요로 더 이상은 제어(制御)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통 사회에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는 소지가 충분하지만, 여성이 자신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조선후기 시조에는 세태에 대한 풍자 등의 수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상세히 설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여지는 상황을 설정하여 축첩이나 가정의 불화 등의 부정적 모습을 그려낸다. 다시 말해 이들이 표면적인 대결을 하거나 체제에 불응하는 것을 전면으로 내세우지는 않지만 더 이상 신분제도는 가족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무엇보다 시조 속 여성 인물이 지닌 갈등과 욕망은 표면적으로는 ‘가족’이라는 굴레에 얽혀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대와 사회가 강요하고 있는 여성에 대한 규범에서 발생한 것으로, 여성에게 강요된 사회적 환경으로 자신을 살피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다양한 체제와 환경의 유입으로 삶에 대한 새로운 의지와 힘을 가졌다. Family is not only the smallest unit of society but also is a material that successfully realizes the life circumstances and the life images (心象) the creator intends to explain. Notably, in late Joseon sijo (a Korean traditional poetic form that emerged in the Goryeo period) roles of females and aspects of their lives in the families, societies, are clearly shown. In this way, the "female" deviation and conflict circumstances displayed in that genre - the females inside the families - materialize in detail the realistic desires they themselves have. This cannot be fulfilled with the exclusion of the `social` (社會) circumstances given to the females. The females in the genre show that even roles given within an institution can no longer be controlled (制御) by social norms and coercion.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that this rises as an issue in a traditional society; but they are stating their circumstances enthusiastically. The genre depicts negative aspects (e.g. concubinage, family troubles) by setting up visible situations, rather than gives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issues by using techniques such as the satirization of social situations. That is, they did not have open confrontations or put forward their disobedience to the system but cause us to realize that the status system does not greatly affect family formation any longer. Above all, it seems that the conflicts and desires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genre had were shown to be entwined with the yoke "family" on the surface. This arose from the norms for females that times and society are imposing -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y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y did not look after themselves. But they came to have a new will and new strength to live as various institutions and environments flowed in.

      • KCI등재

        「허황옥 설화」의 의미 양상과 인물의 특질

        하경숙 ( Ha Gyeong-su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허황옥은 허황후(許皇后)라고도 하며, 김해 김씨(金海金氏)와 김해 허씨(金海許氏)의 시조모이다. 허왕후에 대한 기록은 『三國遺事』「駕洛國記」와 「金官城婆娑石塔」조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이며 16세의 나이로 하늘의 계시를 받아서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이 되었다. 허황옥과 관련된 이야기에는 교역시대 이후 탑, 무덤, 붉은기, 신어(神魚)가 등장한다. 이들이 취급한 주요 물품에는 비단(능라), 금, 차, 소금, 쌀 등이 존재한다. 수로왕과 결혼하기 위해 멀리 아유타국에서 배를 타고 온 허황옥의 이야기는 고대의 ‘국제(國際)결연담’이라는 의미와 이주여성, 문화의 혼재, 선진문물의 수용이라는 다양한 측면을 부각하고 있다. <허황옥 설화>에서는 고대사의 역사를 밝힐 수 있으며, 고대 해상교류를 통한 문물의 교류와 문화교류의 모습을 그릴 수 있는 증거가 나타난다. 허황옥이라는 새로운 문화 유입자를 통해 선진문물을 접하고 그 속에서 ‘쌍어’가 서사의 중요한 화두로 작용하고 있는데, 다양한 종교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쌍어’는 다양한 사람들의 기원과 소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 안에는 다양한 문화의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쌍어’를 통해 사람들의 이동과 교류 등 고대인들의 삶의 모습을 상세히 알 수 있다. 허황옥이 지닌 주체성과 독립성은 여성이 지닌 근원적 생산성과 풍요성과 별개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스스로의 삶을 구현한 것이다. 고대 가야의 여성인 허황옥은 여성의 능력을 실천하고, 새로운 도전의 면모를 보여준다. 이는 현실에서 자기의 목소리를 내며 주체적인 삶을 실현하고자 한 현대의 여성들과 다르지 않다. 아울러 <허황옥 설화>는 해상을 통한 이동과 정착의 과정에서 보여주는 경로의 선명함과, 교류와 충돌을 바탕으로 한 융합을 보여주며 그 속에 주체성을 지닌 여성의 모습과 문화현상의 단면이 분명하게 형상화되어 있다. Heo Hwang-ok is also called Heo Hwang-hoo and is the progenitor mother of Gimhae Kims(金海金氏) and Gimhae Heos(金海許氏). The records of Heo Hwang-ok are contained in 「Karagguggi(駕洛國記)」 of 『Samgukyusa(三國遺事)』 and in the Buddhist law of 「Geumgwangseong Pasaseoktap(金官城婆娑石塔)」. She was the princess of Ayodhya(阿踰陀國) and became a wife of King Suro of Garakguk at the age of 16 after receiving a divine revelation of Heaven. The ‘Migration’ of Heo Hwang-ok 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cultural mix’. In the story of Heo Hwang-ok, pagoda, tomb, red flag and spiritual fish are described. Major articles that they traded in were silk(twill damask and brocade), gold, tea, salt, rice and others. The oce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ir migration and trade and its route is clear. The story of Heo Hwang-ok, who came by ship from Ayodhya to get married to King Suro emphasizes the meaning of ancient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various aspects, such as a migrant woman, cultural mix and acceptance of advanced culture. The < Heo Hwang-ok Tale > can explain the ancient history and shows proof of exchange of goods and cultures through ancient marine trade. They experienced advanced culture through a new cultural inflow agent, Heo Hwang-ok and ‘Twin Fish’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story. Twin Fish here is regarded as a trace of various religions. ‘Twin Fish’ can be connected to prays and wishes of many different people and different cultures are represented in here. ‘Twin Fish’ helps in understanding life styles of ancient people, including migration and trade in detail. The identity and independence of Heo Hwang-ok represents her life as a practical woman, not being separated from fundamental productivity and abundance of women. As a woman in ancient Gaya, Heo Hwang-ok practiced female abilities and displayed a new challenge. This is not different from modern women trying to raise their voices and live independent lives in reality. Additionally, the < Heo Hwang-ok Tale > reveals the clear route in the process of migrating via the ocean and settling down, and fusion, based on exchange and collision and clearly represents an independent woman and cross sections of the cultural phenomenon.

      • KCI등재

        일반논문 : <헌화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과 가치

        하경숙 ( Gyeong Suk Ha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헌화가>는 신라 제 33대 성덕왕(聖德王) 때에 어느 견우노옹이 지은 4구체 향가로 순정공의 아내 수로부인이 천길이나 되는 바닷가 절벽 위에 있는 꽃을 탐내자 신원 미상의 소를 몰던 노인이 꽃을 꺾어다 바치면서 부른 노래이다. <헌화가>는 향가 작품 중에서 가장 다채롭고 흥미로운 내용을 지니고 있어서, 고도의 상징적인 코드와 철학을 이해해야하는 다소 규정하기 어려운 성격을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헌화가>는 단순히 신라의 향가로만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장르로의 변용(變容)을 통하여 대중들에게 삶의 방향과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시공을 초월하여 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매체와 콘텐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헌화가>는 축소되거나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작품의 위상을 확장시켰다. 그 중에서 현대소설, 현대시, 뮤지컬을 통해서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는데 <헌화가>는 구전되다가 문자로 정착한 후 신이성과 흥미성을 바탕으로 그 유연성(柔軟性)이 검증되어서 현대에까지도 대중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현대인의 생활상을 실제적으로 그려내는 한편 시대상황을 충실히 묘사(描寫)하면서 대중의 생활태도를 반성하게 하고 있다. 향가 <헌화가>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작품이나 콘텐츠에서는 작가의 세계관이 분명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그것은 대중들과 이분(二分)화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치를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장르로의 소통은 원 텍스트의 매력과 가치를 훼손(毁損)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원전에 대한 세밀한 연구와 접근을 전제로 해야 한다. <Heonwha-ga> is the old person who he with all cows which do not understand social position when hey I overcharge, and a pure heart argument open to the Sunjeong-gong`s wife Surobuin envies a certain flower in used Hyang-ga on seaside precipice at the time of the 33rd Silla King Sungdok is the song which sang while old man gives a flower a song of offering of flowers. It is a work having the character that it is hard to prescribe a little that most various, a song of <Heonwha-ga> has interesting contents in Silla Hyangga, and must understand symbolic cord and philosophy of, altitude. A song of <Heonwha-ga> is not prescribed only in Hyangga of Silla simply and transmits a live direction and meaning to the public through convenience to many genres. I let you expand phase of a work while he did not become extinct when I transcended space-time, and a song of <Heonwha-ga> was shortened in spite of various mediums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with a change of cultural environment, and coping with a straw mat change sensitively. Though it is lighted up through an existing pair novel, modern poetry, musical again newly in that, the flexibility is inspected in a base, and, as for the song of <Heonwha-ga>, it is loved new reason and interest characteristics by the present age public after having been firmly established in a letter. And I reflect on way of life of the public while describing a situation of the times in substantiality while I begin to draw a way of life of modern people for the existence. A view of the world of a writer is set in a work and the contents that tranformed a song of <Heonwha-ga> the present age clearly, and, it forms straw mat agreement not it being become the public for two minutes. However, you must do understanding to various genres assuming a minute study and approach for the, original because you may damage charm and value of a House text.

      • KCI등재

        『환구음초(環?吟艸)』에 나타난 지식인의 근대문명 인식과 특질

        하경숙 ( Ha Gyeong Suk ),구사회 ( Gu Sa Hoe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김득련의 『환구음초』는 그가 1896년 4월 1일에 한양을 출발하여 10월 20일 복명하기까지의 민영환(閔泳煥)을 따라 러시아황제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오면서 쓴 기행시집으로 사행 과정에서 지은 작품을 모아 사행시로 엮은 것이다. 여기에는 총 111제(題) 136수(首)로 사행의 일정대로 작품을 싣고 있다. 사행이 중국, 일본, 미국, 영국, 네델란드, 독일, 러시아, 몽골의 8개국을 7개월동안 여행하는 것이었는데 사행기록을 담당했던 김득련이 그동안의 견문과 감상을 한시로 옮긴 것이다. 『환구음초』에는 김득련이 지닌 문학적 재능과 시적 감수성이 작품 전반에 나타나며 여행과정에서 보았던 도시와 도로, 교통과 통신, 철도와 기차, 건물과 호텔, 영화와 연극 등을 담았다. 박물관과 미술관, 도서관, 예배당, 전화기나 전등과 같은 전기 시설, 동물원과 식물원, 천문대와 조선소 등을 방문하여 그 내용을 시로 기록하였다. 주로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황홀하고 신기한 경험을 집약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환구음초』는 우리 한문학사의 마지막 시기에 이루어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시와 사행이라는 전통과 새로운 문화적 환경의 경험이라는 대비적 요소를 중심으로 19세기 말의 격동기 조선의 지식인 김득련이 자신이 체험한 서양문명과 그에 대한 인식을 작품 전반에 선명하게 그리고 있다. 또한 이국에서의 경험을 서술하면서 그속에 그가 접한 서양의 문화 체험과 충격을 사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여기에는 19세기 말의 격동기 조선의 지식인의 일면을 보여주었다. 그가 경험한 서양문명과 제도를 통해 그가 바라보는 신문명에 대한 인식과 낙후된 조선의 환경과 시대에 대한 복잡한 심경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서구의 발전된 문물을 접하면서 문명 담론을 형성하는 동시에 낙후된 조국의 현실을 되돌아보면서 갖게된 다양한 심정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서구 체험과 견문(見聞)의 기록인 김득련의 『환구음초』는 조선이 새로운 근대 문명을 만나고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는 발판으로 작용하였다. Hwanjinkeumcho by Kim Deuk Nyon is a traveler's collection of poems he wrote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1, 1896, when he started from the then capital Hanyang, and October 20, 1896, when he submitted a report of his mission - he accompanied Min Yeong Hwan (閔泳煥) on the travel for the coronation of the then Russian emperor. The collection consists of quatrains he wrote during his private travel. It contains a total of 111 topics (題) and 136 poems (首) according to the travel schedule. As for 7 months of the private travel around 8 countries (China, Japan, America, Britain, the Netherlands, Germany, Russia, Mongolia), he in charge of recording the travel expressed the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the impressions in the Chinese poems. The overall work shows his literary talent and poetic sensibility and contains the cities, road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ailways and trains, buildings and hotels, films and plays, etc. he saw during the travel. They visited museum, art gallery, library, church, electrical facility (e.g. telephone, light), zoo and botanical garden, observatory and dockyard, etc. and recorded the details in the poems. He intended to describe the blissful and novel experiences intensively by mainly using figurative expression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reated at the end of our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With the tradition - Chinese poetry and private travel - and experiences of new cultural environments as the center (the tradition and the experiences of the new cultural environments are an contradistinctive element), Kim Deuk Nyon (the intellectual of the turbulent Chosun Dynas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s vividly portraying the Western civilization he experienced and his perceptions of it in the overall work. Also in the description of his experiences in the foreign countries, his experiences of the western culture and the culture shock are realistically represented as imagery. Here one side of an intellectual of the turbulent Dynasty then was shown. Through his experience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systems, we can guess at his complex state of mind about his perceptions of the new civilization and about the backward Chosun environment and age. Notably, He not only forms a civilization discourse while encountering the Western advanced culture, but we can know about various feelings he came to have while he reflected on the reality of his backward homeland. But the work, a record of his experiences and knowledge (見聞) of the West, served as a stepping stone to Chosun encountering new modern civilization and furthering it.

      • KCI등재

        융복합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모색

        하경숙(Ha Gyeong Su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이 논문은 새로운 융복합(融複合) 시대를 맞이하여 선문대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摸索)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수많은 대학이 학제간 통합주제를 교양과목에서 다루면서 학문간의 벽이 무너지고 있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융복합 주제 중심의 교양과목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핵심 내용은 글로벌 시대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와 배려와 나눔, 실천 등으로 글로벌 시대의 교양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을 강조하는 것이다. 융복합이라는 화두는 변화하는 시대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융복합형 학문의 필요와 확대에 따라 단일 전공 중심 교육에 대한 우려의 의견이 제기되면서 그동안의 교양교육보다 보다 한층 강화된 교양교육을 실행하는 상황이다. 이에 선문대학교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가 융복합 시대에 알맞은 학습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선문대 글쓰기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사회 문화적 환경이 요구하는 학문적 역량을 배양하고, 침체된 기초 학문을 부흥하기 위해 글쓰기 교육의 심화가 절실하다. 아울러 선문대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에서는 다양한 매체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의 글쓰기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창의성의 증진방안을 마련하고, 다양한 방식의 토론, 이성과 감성의 발현 등을 통합적으로 결합한 교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seek (摸索) direction of Sunmoon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in the new era of convergence (融複合). People should know that interdisciplinary walls are collapsing as numerous universities has recently dealt with interdisciplinary topics in the liberal arts. The core content commonly dealt with in the liberal arts focusing on convergence related topics includes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onsideration, sharing, putting ideas into practice and highlights such cardinal virtues that the educated of the era should have. The topic ‘convergence’ is becoming a core competence in the changing times. With the necessity and expansion of integrated disciplines in our society, concern about education focusing on single major has been voiced and therefore more strengthened liberal arts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 compared to before. For this reason, as for Sunmoon University’s cours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it is necessary to set a learning objective and direction appropriate for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convert the existing objective and direction into the new one. To help the university’s writing learners develop their academic capability required by the new social-cultural environment and to revive basic disciplines, it is desperate to intensify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its cours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should highlight the necessity of integrated writing based on the use of various media. Al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self-directed learning, come up with effective methods of promoting creativity, and develop and improve constantly education systems that integrate elements such as various methods of debates, expression of reason and sensibility.

      • KCI등재

        선문대학교 교양과목 <말하기와 글쓰기>의 현황

        하경숙(Ha Gyeong-Su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선문대학교에서는 2012년 1학기부터 <말하기와 글쓰기> 강좌를 신입생 전원이 한 학기동안 이수해야 하는 교양 필수과목으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은 대단히 의미 있고,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말하기와 글쓰기> 과목은 과거의 고정적인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그 위상과 역할에도 큰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고는 선문대학교의 교양과목인 <말하기와 글쓰기>의 교육현황을 살피고, 전망하여 그 위상과 역할을 설명하고자 한다. 선문대학교 <말하기와 글쓰기> 과목은 전반적인 말하기와 쓰기를 체계적으로 훈련함으로써 종합적인 의사소통 기반을 함양시키는 것을 중심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전공학문과 연계뿐만 아니라 취업 후 사회활동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목표와 방법, 시스템 등이 다소 원활하지 못한 것은 인정해야 할 부분이다. 이에 선문대학교 교양대학에서는 <말하기와 글쓰기>를 혁신(革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말하기와 글쓰기> 과목은 많은 해결책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제는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 중심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강의실의 규모와 강의 방식을 쇄신(刷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수 교수진을 적극 확보하여야 하며, 가능한 소수(少數)의 학생들로 <말하기와 글쓰기>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글쓰기의 피드백과 관련된 기구를 설치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과목의 교육적 효과를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수진의 안정적인 신분보장과 재정지원을 통해 우수 인력 선발 및 연구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아울러 타 학교의 선진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제도화하는 것이 앞으로 말하기와 글쓰기 과목의 성공과 가치를 극대화 하는 하나의 방안인 것이다. 덧붙여 <말하기와 글쓰기>의 수강생들에게는 여러 가지 학습 환경적 요인을 개선하여 학습에 대한 의욕과 수업에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이끌어 가도록 돕는 것이 시급하다. Sunmoon University has taken “Speaking and Writing” as required courses for liberal arts credits which all the freshmen have to take for one semester since first semester 2012. It has a great deal of meaning and suggests many things. Presently, “Speaking and Writing” has been out of past fixed image. And its status and role have been also changed quite a lot. So, this dissertation reviews the present status of educating “Speaking and Writing” at Sunmoon University and describes its status and roles with prospect. “Speaking and Writing” at Sunmoon University targets to train entire system of speaking and writing and improve comprehensive communication base. It also educates to support social activities after graduation as well as link to majors.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not that efficient in terms of targets, methods, systems, etc. somehow. Therefore, liberal arts school at Sunmoon University tries to innovate “Speaking and Writing”. In addition, the education on Speaking and Writing requires many solutions. Target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sides of leaners rather than educators. The size of classroom and ways to give classes need to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excellent professors need to be secured. “Speaking and Writing” has to be comprised of students as small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equipments related to writing feedback needs to be installed. Divers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education effect. Besides, securing stable status and financial support might help to hire superior professors and support their studies. Futhermore, to adopt advanced education system from other schools and systemize it can be a way to maximize success and value of “Speaking and Writing” in near future. Also, it is pressing matter that motives and participation should be brought to class by improving diverse study environment factors to students in “Speaking and Writing” class. Again, chances and motives need to be brought to make them participate in class actively so as to make learners-oriented classes fi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