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수행동과의 상관관계

        최효선 ( Hyo Seon C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을 밝히고 각 유형별 교수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데 있다. 이는 향후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에 적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을 학자형, 사려형, 학원강사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과 효과적인 교수행동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어교원의 일반적 변인(성별, 교직경력, 자격사항, 전공유형, 성격유형)과 의사소통 유형?교수행동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원의 일반적 변인과 성격유형에서 한국어교원의 교직경력은 2년 이상에서 4년미만 경력의 교사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한국어교원들은 한국어를 가르칠 자격을 갖추고있었으며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을 이수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의 성격 유형에서는 ISTJ, ESTJ, ISTP 순서로 많았으며 대부분 감각형(S)과 사고형(T) 판단형(J)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은 학자형 교사가 62%로 가장많았고, 다음으로 사려형 교사가 32%, 학원강사형 6%로 분류되었다.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수행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학자형의 교사가 가장 효과적인 인지적 교수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려형의 교사가 가장 효과적인 정의적 교수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수행동 간의 인과관계에서는 학자형과 사교형의 교사들 이 인지적?정의적 영역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6개 하위요소 모두 긍정적인 영향관계에 있음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의 성별, 교직경력, 자격사항, 전공유형과 의사소통 유형?교수행동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교직경력이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한국어교원의 성격유형과 의사소통유형 교수행동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사교형이 외향성(E)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고 학자형은 감정(F)에서 부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현재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는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이나 교수행동, 개인적 변인에 대해서는 다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어교사론’과 같은 교사교육에 대한 과목을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필요한 영역으로 포함시켜서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을 고려하여 각각의 유형에 맞게 장점을 살리고 부족한 점은 보완하고 강화될 수 있도록 강의 실습을 지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어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 교직경력에 대한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한국어교원의 특성에 맞는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 of communication of korean teacher into scholarly style, Social style, Classroom lecturer style and try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types and the effective teaching behavior. this study also try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variables and communication type&teaching behavior. In general variabl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teachers who have 2~4years of careers shows the highest teaching careers as korean teacher and most of the korean teachers are qualified for teaching korean or completes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or proceed their study to the graduate school. In typ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most of them proved to be Sensing(S), Thinking(T) and Judging(J) type. in communication types of the korean teacher, 62% of them is proved to be the scholarly style, 32% is proved to be the reflective style and 6% is proved to be the academy instructor style. In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type and teaching behavior, the scholarly teacher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 level in cognitive area and the influential teacher shows the high correlation level in affective area. In the correlation among sex, teaching career, qualifications, major, communication types & teaching behavior of the korean teacher, the teaching career turned out to have the most correlation with them. It`s recommended that the new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uch as ``the theory of korean teacher`` should be developed as a part of necessary qualification of the korean teacher by apply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the education for the teachers is needed by utilizing these information about their communication typ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careers. and all this for the proper education of teachers to reconsider the whole quality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경인지역 대학생의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성민정(Min-Jung Sung),최효선(Hyo-Seon Choi),장경자(Kyung-Ja Ch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경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정도를 알아보고,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평가하여 일반사항, 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이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자가 지식을 묻는 문항에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와 ‘잘 알고 있다’로응답한 비율이 52.9%이었으며, 친환경농산물인증마크를 올바르게 선택한 학생은 50.9%이었다. 나머지 40.1%의 학생들이 오답으로 선택한 것 중 농산물품질인증마크가 65.8%로 가장 많았으며,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정부와 민간기관에서 병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 87.0%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조사한 요인별 결과, 친환경농산물의 이미지에 대한 5문항의 평균 점수는 3.84±0.68로 높게 나타났으며, 5문항 중 ‘친환경농산물은 건강에 좋은 것이다’라는 문항이 3.95±0.84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품질인증마크가 붙은 친환경농산물은 믿을 수 있다’의 평균 점수는 3.70±0.92로 가장 낮았다. 셋째, 환경에 대한 태도 3문항의 평균 점수는 3.51±0.73 이었고, 3문항 중 ‘환경은 후세들을 위하여 최대한 보전하는 것이 원칙이다’라는 문항이 4.16±0.9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이러한 환경보전 의식과 후세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농약에 대한 태도 2문항의 평균 점수는 3.58±0.87로 농약의 과다 사용과 잔류에 대한 불안감이 높았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자가 지식 정도는 친환경농산물의 이미지, 환경에 대한 태도, 농약에 대한 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증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가격인하’에 대한 의견이 48.3%로 가장 많았고, ‘믿을 수 있는 생산자와 제조회사의 확립’ 21.2%,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강화’ 15.0%, ‘구매 장소의 다양화’ 11.9%, ‘친환경농산물의 품질 향상’ 8.3%, ‘품질인증표시제도의 강화’ 4.4% 순이었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들은 친환경농산물을 환경과 건강에 좋은 농산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친환경농산물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좋은 인식은 구매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구매 시 단순히 ‘가격’을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게 해 줄 것이고, 끊임없는 유통 구조의 개선과 친환경농산물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는 친환경농산물의 ‘가격 인하’로까지 이어질 것이다. 소비자로서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지고 올바르게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중매체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수행하여야 하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품 선택 및 소비자 교육을 실시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perceptions 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nowledge level and opinion about these products. The subjects were 387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 This survey was condu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Male subjects were 53.2% and female subjects were 46.8%. 52.9% of the subjects have knowledge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lso 50.9% of the subjects knew certification label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hereas 13.4% knew certification author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average scores of 'imag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ttitude towards environment', 'attitude towards agrichemical' were 3.84±0.68, 3.51±0.73 and 3.58±0.87, respectively. In regard to 'imag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p<0.05), self-recognition of health status (p<0.05) and self-knowledge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0.001). In regard to 'attitude towards environment',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recognition of health status (p<0.05), self-knowledge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0.001), and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cate authority (p<0.01). In regard to 'attitude towards agrichemical',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p<0.001), self-recognition of health status (p<0.05), supplements for health (p<0.05) and self-knowledge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0.001). Therefore, various education program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to make right food choices.

      • KCI등재

        웹 기반 강좌에서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영숙 ( Young Sook Jung ),최효선 ( Hyo Seo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호작용이 주요한 성공 요인이라 인식되고 있는 웹 기반 강좌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웹 기반 대학원 강좌에서 실시한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 토론 참여도와 온라인 토론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 및 토론 참여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참여도와 관련된 요소들을 학습자 요소, 교수자 요소, 동료학습자 요소, 기술환경 요소로 분류하여 유의미한 요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한 설계 요소를 반영하여 온라인 토론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학기가 종료된 이후 약 2주간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61명의 응답 결과를 가지고 카이제곱 검정과 로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둘째, 온라인 토론 참여도가 높을수록 "배운 지식의 응용", "동료학습자와의 친밀감 증대", "문어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 "온라인 토론 기술 향상"의 교육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온라인 토론 참여도가 높을수록 "학습자의 자발적 의지", "학습에의 유용성", "흥미로운 주제"라는 토론 참여 동기에 대해 긍정적으로 동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요소 중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사회성이 온라인 토론 참여도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results/participating motivations in online discussion; and (2) to investigat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learner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amo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eachers, peer learners, and technical environment.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d chi-square statistic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1) overall, learners perceived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 of online discussion using strategies to promote interactions; (2) the learner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ly associations not only with four factors among 8 educational results, but also with three factors among 6 motivations; and (3) learner`s self-regulated competency and social abili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learner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 KCI등재

        원격교육의 매체선정 고려요소: 교수자, 매체개발자, 기술전문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최경애 ( Kyung Ae Choi ),최효선 ( Hyo Seo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2

        매체환경의 변화로 원격교육의 매체선정 고려요소가 변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는 가이드라인 차원의 변화일 뿐 실제 원격교육 참여자의 매체선정 고려요소를 밝히는 경험과학적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원격교육 매체선정의 실제를 개선하기 위해 원격교육 현장의 매체선정 고려요소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원격교육 매체선정 관계자인 교수자, 매체개발자, 기술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들의 매체선정 고려요소에 대한 인식을 현재와 미래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원격교육에 참여하는 교수자 6인, 매체개발자 3인, 기술전문가 3인을 인터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현재 고려하고 있는 매체선정의 고려요소는 학습목표 및 내용의 성격, 학습내용의 제시방식, 학습활동 유형, 교수자요소, 학습자요소, 대학내부요소, 비용요소, 매체특성요소, 기술요소, 외부환경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의 매체선정 고려요소는 범주 측면에서 현재와 비슷하였으나 범주의 하위요소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이사항은 새로운 매체에 대한 부담감과 미래의 학습관련 테크놀로지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이 공존한다는 것이었다. 셋째, 미래에는 현재보다 대학의 내부요소가 매체선정의 주요 요소로 고려될 것이며, 현재의 ``콘텐츠 개발``보다는 학습자 입장의 ``전달통로``, ``학습활동``, ``평가 및 피드백``과 같은 요소가 매체선정의 중요한 고려요소가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의 매체선정이 학습의 질과 풍부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대학 내부의 의사결정 시스템과 코스개발 및 운영 지원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As high-tech devices become more common, which have mobility and powerful processing capabilities, there are some voices that the media selection factors must be changed when developing distance courses. But such research is lacking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are considered now an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ar future, when selecting the media for distance education courses by professors, media developers, and related technology experts. For this purpose, six professors, three media developers, and three technology experts were interviewed. As results, first, the current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media were th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sensory/delivery mode of learning content, learning activity, instructor factors, learner factors, organization factors, cost factors, media characteristics, technology factors, environment factors, respectively. Second, the future factors to be considered were similar to current ones in category but were somehow different in subcategory. Interestingly, there were two distinctive features, deliberations and positive expectations about new media were showed up at the same time. Third, they believed that it could be possible selecting media rationally based on the quality of learning in the future, and that the factors could be more considered such as organizational factors, delivery mode/media, learning activity factors, and assessment/feedback, also. It showed that,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distance teaching and learning, the distance education providers should focus on the quality of learning and richness of learning experience when selecting and using technology.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교육매체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성지훈 ( Ji Hoon Sung ),최효선 ( Hyo Seon Choi ),안효경 ( Hyo Kyung Ah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생들의 교육매체 활용 및 비활용 이유와 활용 방식을 탐색하고, 학습자 관점에서 교육매체 활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개념적 구성 틀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을 사용하였으며, A 원격대학의 5학기 이상 등록한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에서 제시하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방식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교육매체 활용·비활용 여부 결정에는 교육매체에 담긴 내용적 특성(내용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영향력, 매력성, 난이도), 기기적 특성(시간 유연성, 공간유연성, 사용편리성), 개인적 특성(학업에 대한 우선순위, 학습에 대한 접근방식, 매체활용환경 및 활용능력)이 고려되고 있으며,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들은 효율적인 시간 활용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내에서 교육매체에 담긴 내용적 속성, 교육매체의 기기적 속성, 개인의 학습 태도 및 환경을 고려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학습 방식을 창출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의 성인학생에게 학교에서 제공한 모든 교육매체를 진도에 맞추어 학습하기를 강요하기보다,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교육매체를 검토, 선택, 조정하는 전략적인 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학생들이 교육매체 활용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들이 교육매체 개발자 및 제공자에게 시사 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udents` use of educational media in a distance university focusing on why students use(or disuse) it and how they use it by employing grounded theory.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di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2 students selected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a distance university, grade, study area,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is study found that as adults with various roles, the students think efficient time management is critical for their study and develop their own ways of studying with educational media. They review and selec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media, and adjust their use of the educational media to their lives rather than studying with all the provided educational media step by step as the developers planned. They adjust their study period and time, and use two ways of studying with the educational media complementarily. In deciding what and how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students consider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and technology, and their individual environment and ability. In terms of contents, students emphasize the usefulness, the effect on the evaluation,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contents. Regarding the features of the technology, students propose that time flexibility, space flexibility and functions for convenient usage of the technology are important. In addition, students` priority of study in their various roles, their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ir life situation to access each media, and their ability to use them affect students` use of the educational media.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ers should help students create their own ways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rather than insisting students follow the developers` plan.

      • KCI등재후보

        군 병원 병동에서의 전자간호기록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간호진술문 개발

        박임희 ( Im Hee Park ),최지안 ( Ji Ahn Choi ),한자경 ( Ja Kyoung Han ),금경림 ( Kyeong Lim Keum ),심현옥 ( Hyeon Ok Sim ),이영선 ( Young Seon Lee ),정재은 ( Jae Eun Jung ),최효선 ( Hyo Seon Choi ),김유진 ( You Jin Kim ),정은영 ( E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2 군진간호연구 Vol.30 No.1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narrative nursing statements retrieved in a military hospital based on the ICNP(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Nursing Practice) system to develop the standard nursing statements, an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Method : Narrative nursing statements were retrieved in medical/surgical wards of a military hospital, and nursing phenomena, nursing action and other nursing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refined. Mapping statements with ICNP concepts and integration of statements were conducted. Content validity of Statements was examined by experts. Based on how well the ICNP system can explain a statement,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full, partial and non description classes, and frequency of each was investigated. Frequency & Percentage of the ICNP axes and concepts were examined. Results : From 56,193 statements, 2,236 standard nursing statements were extracted. Nursing phenomena statements took a larger portion than nursing action statements. Most of the statements were explained by the ICNP. Nursing statements used only 19.1% of ICNP concepts, indicating nursing officers document similar expressions. Military-specific concepts such as sick-leave were discovered. Conclusion : The standard nursing statements are the foundation for a new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promising quality ca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