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광수와 『대한인정교보』 9, 10, 11호에 대하여

        최주한 ( Ju Han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6 No.-

        본 논문은 1913년 늦가을 대륙방랑의 길에 올랐던 이광수가 1914년 러시아 자 바이칼의 수도 치타에 6개월여 간 체류하면서 관여했던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 지 방총회의 기관지 『대한인정교보』 9, 10, 11호에 실린 자료들을 새롭게 발굴하여 소 개하고 있다. 기왕에 ‘.’ 혹은 ‘외.’라는 필명으로 게재된 몇 편의 자료와 익명으로 발표된 두 편의 자료가 더 발굴되어 단편적으로 소개된 바 있으나, 이 논문에서 는 9, 10, 11호의 편집 및 집필이 전적으로 이광수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논구하고자 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1장에서는 우선 이광수가 9, 10, 11호의 편집 및 집필에 관여하게 된 경위를 밝히고, 2장에서는 이광수가 관여한 9호부터 전면적으로 개편된 편집 체제의 형식적·내용적 특징에 대해 논했다. 마지막으로 3 장에서는 이광수가 쓴 것이라고 판단되는 문장들에 대해 가급적 구체적 근거를 들 어 소개했다. 일제의 통제가 미치는 신문·잡지에 발표된 글과는 달리 검열을 의식 하지 않은 사유를 그대로 접할 수 있는 만큼, 대륙방랑시기 이광수의 문필활동에 대 해서는 물론 오산시절과 2차 유학시절, 그리고 상하이 임시정부시절을 잇는 사상적 연속성을 살피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introduces the materials written by Lee kwangsoo which was carried in the [Korean Greek Orthodox Church Journal] No. 9~11. The journal was published by Siberian part of the Korean Nationl Association. Lee Kwangsoo had engaged the journal staying Chita, capital of Zabaikal six months. While some research papers which had written under the pen name of ‘bae(비)’ 혹은 ‘obibae(외비)’ and two materials not identified were introduced already, this thesis asserts that Lee kwangsoo had led editing and writing of the [Korean Greek Orthodox Church Journal] No. 9~11. To assure the assertion, I clarify the background which Lee kwangsoo had engaged in the editing and writing of the journal in Chapter 1, I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form and matter of the journal reformed thoroughly by Lee kwangsoo from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No. 9 in Chapter 2, I introduce by discerning the materlals written by Lee kwangsoo in Chapter 3. As we can see the bare thinking of Lee kwangsoo in the materials where was not conscious of inspection of Japanese colonial gaverment, these materials are important to illuminate literary activity on time of Continental Wandering, but also the continuity of thinking of Lee kwangsoo from the time of Osan School, the Second Studying in Japan to time of Shanghai Temporary Goverment.

      • KCI등재후보

        이광수와 식민지 문명화론

        최주한(Choi Ju-h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7

        1910년대 생물 진화론에 토대를 둔 이광수의 문명화론은 식민지로 전락한 민족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방편으로 ‘살음’에 기초한 문명 정신과 실생활 위주의 교육을 강조하며 조선에 문명을 채용할 것을 주장한다. 이는 ‘독립’을 최우선 과제로 내걸었던 일본 문명화의 길과 갈라지는 지점으로서, 독립의 전망이 불투명했던 1910년대 조선의 식민지적 환경의 절박함을 말해준다. 이러한 이광수의 문명화론은 이후 진화론과 결별하면서 동등한 인류의 일원으로서의 조선 민족의 존재 가치를 꾀하는 ‘신문화의 산출’이라는 방향으로 轉回하는데, 이 또한 조선의 독립을 성급한 요구로 간주하여‘정치’를 배제하는 식민 종주국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던 식민지적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가 곧 독립을 포기하고 다만 식민 체제에 순응하여 사는 것을 의미했다고 단정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다. 비록 독립을 괄호에 쳐두었을망정 1910년대 이광수의 문명화론은 어디까지나 민족적 생존과 번영이 곧 독립의 전제라는 점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Lee Kwangsoo’s idea of civilization which adopted evolutional civilization in the 1910's asserted to Joseon application of civilization which emphasized civilized spirit based on ‘living’ and pragmatic education. His idea of civilization had different view of civilization in Japan at Meiji Era which put up the core of civilization in the independence of nation. This shows the emergency of colonial circumstance of Joseon who seemed vague to be independence. His idea of civilization turned to the production of ‘neo-culture’ which depends on the equal value as a member of the human race of Joseon, departed the evolution theory. And this shows the limit of colonial too, because the compromise the japanese colonial ruling which neglected the demand of independence of Joseon and eliminated ‘politics’ from the people of Joseon. But even if it put a independence in bracket, his idea of civilization is based on that national existence and prosperity are a premise of the independence of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광수의 『단종애사』와 영월 ― 부재하는 민족국가의 역사지리적 상상력

        최주한 ( Choi Ju-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1 No.-

        이광수의 『단종애사』와 영월이라고 하면 자연스레 슬픔과 비애의 정조가 떠오른다. 첩첩산중에 자리한 쓸쓸하고 적막한 유배지이자 단종의 슬픈 영혼이 머무는 곳이라는 통념화된 이미지 탓이다. 그러나 『단종애사』에 그려진 영월을 슬픔과 비애의 정조로만 채색하는 것은 작가 이광수의 의도는 물론 당대 독자들의 반응과도 어긋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의도와 당대 독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단종애사』가 널리 대중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보는 한편, 이광수의 『단종애사』와 영월을 부재하는 민족국가의 역사지리적 상상력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기존 논의에서 간과되어 왔던 단종과 영월의 이미지를 재구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단종애사』에 그려진 영월을 부재하는 민족국가의 은유적 공간이자 민족국가의 회복을 기약하는 공간으로서 새롭게 자리매김하였다. To linking Lee Kwang-soo's Sad Story of King Danjong and Yeongwol come to mind for the emotion of sadness and griefs. It is because of the conceptualized image that Yeongwol is a lonely and deserted exile in the deep high mountains and a place where the sad soul of Danjong. However, it is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s well as the reaction of readers of the day, to paint with only the emotion of sadness and griefs on Yeongwol depicted in Sad Story of King Danjong.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 why Sad Story of King Danjong was widely succeeded mainly by Lee Kwang-soo's intention and his readers' reactions. And it reinterpreted the image of King Danjong and Yeongwol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by reexamining Sad Story of King Danjong and Yeongwol in terms of a historical-geographical imagination of absent nation state. As a result, it was able to reestablish that Yeongwol depicted in Sad Story of King Danjong is not only a metaphorical space of absent nation state, but also a space pleding the recovery of nation state.

      • KCI등재
      • KCI등재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최주한 ( Ju Han Choi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70 No.-

        The planning of Lee Kwang-su`s nation reformation was a long-term project which took place und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The idea first emerged during his second period of study abroad when he worked at the Joseon Academy. The idea then took on shape when he worked at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was introduced to Dosan`s Heongsadan ideal. After returning home, the idea was reestablished under the stimulus of the Chondogyo cultural movement. The idea was finally made into blue print through the novel “The story of hoesang”. But existing research has only given attention to “The essay of nation reformation”( 1922). Therefore,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conditions Lee Kwang-su`s project of nation reformation that were present from its inception to established form, to the prospects which he emphasized concerning nation reformation, and to his strategic writing. This article shows that Lee Kwang-su`s long term attention for the nation problem wa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universal ethical-national community against the West and Japan`s orientalized information of the Joeson nation.

      • KCI등재

        ‘번역된 (탈)근대론’으로서의 『무정』 연구사

        최주한(Choi, Ju Han)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의 『무정』론을 대상으로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 ‘번역’이라는 관점의 도입이 가져온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 이를 토대로 작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서 ‘번역’이라는 관점의 도입은 한국 근대문학의 기원 혹은 형성을 문제삼으면서 한국 근대문학의 근대성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시각을 열어주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최초의 근대소설이라는 정전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무정』에 연구자들의 관심이 쏠렸고, 그 어느 때보다도 다양한 시각의『무정』론이 쏟아져 나왔다. 이 가운데 근대적 사랑-연애의 번역적 실천에 주목한 논의들은 그간『무정』=민족적 계몽의 서사라는 관점 아래 논외로 밀려나기 일쑤였던 사랑-연애 담론을 근대적 감정과 가치에 기반한 근대성의 또 다른 영역으로 부각시킴으로써『무정』의 근대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고 있으며, 서구(일본)의 근대적 제도 및 문화에 내재한 제국주의/식민주의의 번역적 실천에 주목한 논의들은 제국과 식민지 간의 권력 관계 구성을 문제삼음으로써『무정』의 근대성을 탈식민적 시각에서 검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이들『무정』론은 근본적으로 민족주의/(탈)식민주의의 양극화된 연구 패러다임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다. 그토록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무정』의 번역적 실천에 관한 논의는 종국에 ‘민족’의 창안이거나 ‘식민화된 주체’의 탄생으로 귀결되곤 했다. 보다 최근의 논의들은 제국의 시선과 민족의 시선을 동시에 의식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번역 주체의 곤경을 통하여『무정』의 번역적 실천에 내재한 균열과 모순에 주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이 역시 병리학적 징후들에 주목하는 과정에서 저항 혹은 재전유의 흔적들을 간과하고 있다.『무정』의 근대성 형성에 관여한 번역적 실천에 관한 연구가 최대한 자의성을 배제하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이광수라는 ‘(콘)텍스트로의 귀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thesis reviews the outcome and limits of importing translation frame into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y, especially Mujeong in the latter half of 1990"s. And it raises the need of author investigation. Importing translation frame into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made us think moderni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newly, while investigating the origin or trac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o many studies of Mujeong has produced from this frame. The arguments over translational practice of modern love have illuminated the modernity of Mujeong newly by locating love discourse on another modern field based on modern feelings and values. The arguments over translational practices of imperialism immanent in system and culture of western(Japan), has made us think newly modernity of Mujeong from the post-colonial point of views, while investigating power structure between imperial and colony. But these Mujeong studies were not free from the nationalism and colonialism poles. These studies have reduced to invention of national or birth of colonized subject. Recent studies have illuminated crevice and inconsistency in translational practices of Mujeong while investigating the troubles of translational subject who had to consider imperial eyes and national eyes. But these studies failed to notice the traces of resistance or reappropriation engaged in translational practice in Mujeong, while looking at pathological symptoms. To decrease the arbitrariness and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translational practices studies on Mujeong, we need author study, that is returning to context of Lee, kwangs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