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최정윤(Jeung-Yun Choi),정진철(Jinchul Jeong),이정미(Jung-Mi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1

        대학의 기능 수행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어 대학의 질 제고와 대학의 질 평가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의 질 개념을 정립하고, 정립된 질 개념에 터하여 대학의 질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종합적인 문헌분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목표/목적 달성, 고객요구충족, 가치부가 측면을 강조한 투입-과정-산출 체제로서의 대학의 질 개념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대학의 질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인증평가, 대학순위평가, 학생설문조사, 학습성과평가 등 4가지 유형의 질적 수준 분석 도구에 포함된 지표들(6개국 13개 평가도구)을 분석한 뒤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전문가 검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최종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은 투입-과정-산출 차원에서 기관목표, 인적자원, 물적자원, 교육과정, 학습활동, 교육산출, 연구산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표가 대학의 질 제고를 유도하는 순기능 역할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conceptual scheme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and to develop a set of structured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approaches in foreign countries. Reviewing extensive literatures regard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 conceptual scheme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in which three representative approaches such as a goal-accomplishment approach, a customer-satisfaction approach, and a value-added approach were emphasized, was proposed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was defined as a function of harmonization of input-process-output elements of universitie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four types of approaches including university accreditation system, commercially- producted university ranking system, college student survey, and direct assessment of students' learning outcomes were reviewed. Finally thirteen sets of evaluation indicators out of six countr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analyses focused on the format, the content, and the primary concept of the quality in each instrument and a draf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structured. The draf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verified through a panel of professionals. The final indicators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consist of three dimensions and seven areas. The input dimension comprised institutional goals,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process dimension, curriculum and learning process areas were included. And, finally, the output dimension consists of educational outputs and research output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and utiliz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 KCI등재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한 대학 몰입의 영향요인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 분석 : Tinto의 대학-학생 상호작용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최정윤(Choi Jeung-Yun),신혜숙(Shin, Hye S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세 시점 종단데이터와 Tinto의 대학-학생 상호작용 모델을 활용하여 초기 대학 몰입 형성에 기여하는 대학 입학 전 학생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초기 대학 몰입이 학생이 대학 내 학업 및 사회적 체제에 통합되는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업적 통합 및 사회적 통합은 후기 대학 몰입과 학업성취도와 어떤 구조적 관계를 갖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으로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종단교육연구2005’의 6차년도와 7차년도, 9차년 도 자료가 있는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즉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의 대학 입학 이전 교육적 특성과 대학 재학 중 교육 경험을 연계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대학 입학 전 학생 특성-초기 대학 몰입-대학 재학 중 학업 및 사회적 통합 정도-후 기 대학 몰입-학업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회귀모형 분석에서 부모의 지원 정도가 높을수록, 수능등급이 높을수록, 학 생의 초기 대학 몰입 정도가 높았다. 초기 대학 몰입 정도는 학업적 통합과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적 통합은 다시 후기 대학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다른 요인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대학 재학 중 사회적 통합은 후 기 대학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대학 몰입은 학업적 통합과 사 회적 통합을 매개로 후기 대학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기 대학 몰입은 부모의 교육 지원 수준과 입학 전 수능등급의 영향을 고 려했을 때에도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terminants of pre- and post- commitment to institution and their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s measured by college GPA(grade point average). In pursuit of this inquiry, this study is theoretically anchored by Tinto's interactionist theory of college student departure.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commitment to institution at the time of college entrance,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during college attendance, post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college GPA. For this, this study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KELS longitudinal data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The analysis of SEM shows that family support and academic preparation during high school influence initial commitment to institution at the time of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SEM analysis, initial commitment to institution affects greater integration into academic and social system within college. Greater academic integration then subsequently leads to post commitment to institution, and finally leads to higher college GPA. On the other hand, social integration is found to affect post institutional commitment negatively,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confounding variables. This study also finds that academic and social system within college mediates the effect of initial institutional commitment on post institutional commitment.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at post institutional commitment affects college GPA, even after accounting for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and academic preparation during high schoo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교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특성 요인 탐색

        최보금(Choi, Bo Keum),최정윤(Choi, Jeung Y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대학교수의 이직 및 소속대학에 대한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대학교수의 직업만족도는 대학교육 질 제고와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주제이지만 그간 국내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교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자료는 전국 56개 4년제 대학에 재직 중인 2,424명의 대학교수들이 참여한 대학의 교수학습에 관한 설문조사((KEDI NAFET) 결과에서 추출하였다. 교수 직업만족도는 급여, 승진, 교육 및 연구 과업 등과 관련한 8개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였다. 1수준 모형에는 성별, 연령, 직위, 전공, 정년보장여부, 강의 및 연구 비중, 연구생산성, 대학 기관 및 학과에 대한 교수의 인식 등 다양한 개인 특성 변수를 투입하였고 2수준 모형에는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 변수를 투입하였다. 종속변수인 교수 직업만족도의 분산에서 대학 간 차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7%로 교수의 직업만족도는 대부분 개인 특성 간 차이로 설명되지만 대학 간 차이에 기인한 부분도 있었다. 다층모형 분석 결과, 직위가 높을수록, 비정년 트랙이나 정년미보장정년트랙보다는 정년트랙에 있을 때, 소속 대학 내 주 활동이 강의 위주 연구보다는 강의에만 집중될 때 교수의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도 직업만족도 차이와 관련이 있었는데 인문계열 교수에 비해 사회계열, 의약학계열, 예체능계열 교수의 직업만족도가 더 높았다. 또한 소속대학이 연구 및 교육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한다고 인식할수록, 소속 대학 학생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수의 직업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교수 개인 특성을 통제한 후 대학의 구조적 특성 변인의 효과를 검토하였을 때, 사립대학에 비해 국립대학 교수가, 비수도권 대학에 비해 수도권 대학교수의 직업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 및 정부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faculty job satisfaction. Samples including 2,424 faculty members from 56 universities were drawn from a national survey of faculty(KEDI NAFET). To identify determinants of faculty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ed multi-level modeling, in which the level-1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rank, academic field, tenure status, relative work load between teaching and research, and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and departmental effort to improve teaching and research. The level-2 model estimated the effects of structural features of university including control, location, and size. Results show that faculty job satisfaction is associated with rank, tenure status, academic field, and positive perceptions of students. Also, faculty members whose primary work at the university involves teaching only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s compared to those whose primary work involves both teaching and research. Notable 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job satisfaction is related with faculty members’ perceptions of sufficient support for research from institution and efforts to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from department.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institutional difference partly accounts for the variance of faculty job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ontrol and location ha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of university faculty.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higher education policy,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등록금 충당율'에 따른 장학금 효과 분석

        신혜숙(Shin, Hye Sook),최정윤(Choi, Jeung Y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장학금 수혜수준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대학적응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영향이 가구소득과 대학소재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7~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등록금 대비 장학금이 50% 이상인지에 따라 '높은충당율' 집단과 '낮은충당율'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때 성별이나 가구소득, 부의 교육연한 등의 학생 배경변수와 학교 소재지 및 설립유형 등의 대학 특성 외에도 장학금 수혜 이전의 사전점수를 통제하여 '장학금의 순수한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장학금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와 대학적응이 더 높았다. 특히 장학금을 충분히 받은 학생들이 장학금을 적게 받은 학생들에 비하여 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 수혜 대상에 따른 장학금의 차별적 효과를 보면, 수도권 대학에 비하여 비수도권 대학에서 학업성취도 및 대학적응에 대한 장학금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장학금을 충분히 받은 경우 대학적응에 대한 장학금의 효과가 두드러졌다. 장학금을 통한 등록금 부담 경감이 학업성취도 향상과 대학적응 제고에 효과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장학금 지원 확대의 논리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비수도권 대학 재학생과 가구소득이 낮은 학생 집단에서 장학금의 긍정적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는 소외 계층에 속한 학생이 학자금 지원 효과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정된 재원 내에서 장학금 지급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현실적 여건으로 인해 정책적 타깃 설정해야 할 경우, 정책 결정에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inancial aid in the form of grant affects two college outcomes(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especially focusing on whether the grant effect differs by family income and institutional location. This study defines the extent of benefits of receiving grant by categorizing student samples into three groups; "no coverage" group(the reference group) includes students who don't receive any grant; "high coverage" group includes those whose total amount of grant covers more than 50% of tuition; "low coverage" group includes those whose total amount of grant covers less than 50% of tui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grant, each of the "low coverage" and the "high coverage" group is compared to the "no coverage" group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results show that receiving grant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outcomes; both group 2 and group 3 have higher scores on achievement and adjustment than group 1,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covariance including pre-test scores. This study also finds out the differential effect of grant by income and institutional location; the effect of receiving grant for students of local universities is strong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Also if students receive grant enough to cover 50% of tuition, the effect of receiving grant gets stronger for students with less family income. This study shows that reducing burden of tuition by offering grant can improve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grant is stronger for lower income students and students attending local universities than for their counterparts. This suggests that the financial aid policy should be targeted to a certain group, if necessary.

      • KCI등재

        내부수익률법에 의한 계열별 대학교육 투자수익률 분석

        이정미(Lee, Jung-Mi),한유경(Han, You-Kyung),최정윤(Choi, Jeung-Yun),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2

        이 연구는 내부수익률법을 활용하여 대학의 전공계열별 개인적 수익률 및 사회적 투자수익률을 산출함으로써 고등교육 재정정책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대졸자의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5.77%이며, 의약 9.60%, 교육 7.88%로 수익률이 높게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6.05%이며, 의약 9.43%, 교육 8.98%로 나타났다. 한편, 남자 대졸자의 개인적 투자수익률은 6.65%이며, 의약 11.05%, 교육 8.95%로 나타났다. 여자 대졸자의 개인적 투자수익률은 7.38%이며, 의약 11.79%, 교육 10.53%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대학의 계열별 직․간접교육비, 투자수익률을 고려하여 고등교육재정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계열별 등록금 및 장학금 수준의 적정화 및 차등화, 학자금 대출의 계열별 차등 지원, 대학 통합공시지표 항목 등에 관한 정책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financial policy in higher education through estimating social and private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by using Internal Rate of Return. Male colleg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were 5.77%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9.60%, those in the education 7.88%. Female college graduates' social rate of return were 6.05%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9.43%, those in the education 8.98%. Meanwhile, Male college graduates' private rate of return were 6.65%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11.05%, those in the education 8.95%. Female college graduates' private rate of return were 7.38% and those in the medical were 11.79%, those in the education 10.53%.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y improvements such as deciding priority of investment to higher education considering direct, indirect expenditures and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by major, expanding investment to engineering, optimizing and differentiating level of tuition and scholarship, differentiating support for school loan depending by majo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