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과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과제 : TPACK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최윤소,손환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agenda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PE TPACK by interrogating the current status of technolog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these academical backgrounds, this study has suggested three significant agenda to promote the capabilities on TPACK in PE practic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ased on utilizing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which would help PE build the solid foundation of PE TPACK. The absence of PE TPACK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critical issues among PE teachers when they are trying to use technologies in their classes. Second,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PE TPACK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entail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To build the evaluation system, descriptive researches on utilizing technologies in PE classes should be performed, which help develop educational tool for PE TPACK. Third, sophisticating and diversifying PE TPACK should be required by sharing many cases of PE TPACK among PE teachers. The answers of three agenda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PE practices, especially PE teachers, to manage high quality PE class with utilizing technologies. Lastly, this study concluded with feasible suggestions to realize the significant agenda in PE practice.

      • KCI등재

        ‘운동하는 장애인’에 대한 장애인 체육 분야 종사자의 인식 유형 탐색

        최윤소,김기운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orkers’ perceptions on attitudes toward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who engage in the field of sport disability. To this end, it adopted the Q methodology, a subjective study method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and collected them from 32 workers in the athletic association and the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 which operate/manage the disability sports programs, and analyzed the data of them. The findings show that the types of sports workers’ perceptions on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type perceives the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as ‘passive subjects in need of aid’. The second type perceives the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as ‘independent and active subjects’. The third type perceives the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as ‘super creeps overcoming their limits’. It is thus found that most of sports workers such as the type 1 and the type 2 have narrow-minded views on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oncluded that sports workers’ narrow-minded perceptions may act as a factor which frames disabilities of the disabled, in that stigma against or acceptance of disabilities depend on how they perceive the ‘exerciser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인 체육 현장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지닌 ‘운동하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관성 연구 방법인 Q 방법론을 채택하였으며, 장애인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운영·관리하는 장애인체육회 및 시설관리공단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운동하는 장애인’에 대한 체육 종사자의 인식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운동하는 장애인을 ‘도움이 필요한 수동적 주체’로 인식하는 유형이다. 제1유형의 참여자는 위험성이 따르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운동하는 장애인을 주위의 도움과 관심이 필요한 수동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해당 유형의 참여자가 과반이라는 점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두 번째 유형은 운동하는 장애인을 ‘독립적이며 능동적 주체’로 인식하는 유형이다. 즉, 능동적이고 독립적인 주체로써 운동하는 장애인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다. 세 번째 유형은 운동하는 장애인을 ‘한계를 극복한 슈퍼크립’으로 인식하는 유형이다. 이처럼 제1유형과 제3유형과 같이 대부분의 체육 분야 종사자는 운동하는 장애인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운동하는 장애인’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장애 편견 혹은 장애 수용과 관련한 태도가 달라진다는 측면에서, 체육 종사자의 편합한 인식이 운동하는 장애인에게 장애를 구조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남북체육교류·협력과 남북공동올림픽 유치를 위한 정책과제 제안

        최윤소,고은하 한국사회체육학회 202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8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tasks required for inter-Korean sports exchange·cooperation to ensure long-term sustainability.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Delphi method and the following are the study findings. Results: First, in the ‘inter-Korean exchange·cooperation’ category, atotal of 13 tasks were finally derived and experts reached the highest consensus on ‘establishing long-term vision and legacy for inter-Korean sports exchange.’ In addition, the experts reached a high consensus on the tasks of ‘providing exchange measures for each ev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nad ‘building national consensus for inter-Korean sports exchange·cooperation.’ Second, in the category of ‘preparing for co-host Olympics,’ a total of 4 tasks were finally derived. The consensus was highest on the task to‘s ecure validity for budget support for each organization that aims to co-host Olympics,’ and the next highset consensus reached among the experts was ‘providing measures to attract global corporate sponsorship to secure the budget of the co-host Olympics.’ However, the experts could not reach a consensus on ‘establishing team identity to form a single inter-Korean team,’ so it was excluded from the final task.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for the study findings to enhance the sustianability of inter-Korean sports exchange·cooperation and be used as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 policies to attract and hold a successful co-host Olympics.

      • KCI등재

        선수경력자의 성공적인 진로전환을 위한 정책사업 방향 탐색

        최윤소,김기운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om a multidimensional (individual, soci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ormal athlet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career transition and, based on th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olicy program for successful career change. Methods For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formal athletes who succeeded in or are preparing for career trans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 First, as for the individual dimension, it is necessary to relieve anxiety of the athletes preparing for career transition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current related projects. Second, as for the social dimension,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attitudes of supervisors and parents toward career transition restricted the career preparation and exploration activities of athletes. Lastly, as for the institutional dimension, as the career support program for formal athletes carried out so far was operated separately without connection, it was found that support for career transition was not effectiv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not only as a source in preparing a framework for career exploration for (formal) athletes but also as a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outcome of the current program for athlete career transition support in Korea an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rom mid- to long-term perspectiv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경력자가 진로전환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경험한 애로사항을 다차원적인 관점(개인적, 사회적, 제도적 차원)에서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진로전환을 위한 정책사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전환에 성공한 선수경력자와 진로전환 준비를 하고 있는 선수경력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인적 차원에서는 진로전환을 준비하는 선수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불안감 해소와 현재 추진 중인 사업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차원에서는 진로 전환에 대한 지도자 및 학부모의 부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진로 준비 및 탐색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차원에서는 그동안 수행된 선수경력자 진로지원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체계가 상호 연계성 없이 단발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진로 전환을 위한 효용성 있는 지원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해당 연구의 결과는 선수 및 선수경력자를 위한 진로탐색 준비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데 밑거름이 될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 추진 중인 선수진로지원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사업의 효용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스포츠 영역에서 다문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윤소,김기운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 영역에서 이루어진 다문화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사회학적 관점에서해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토픽 모델링을 연구 분석 기법으로 채택하였다. 자료수집은 ‘스포츠-다문화’, ‘체육-다문화’를 키워드로 하여 한국학술정보(KISS)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등재된 국내 학술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해당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토픽 모델링 결과는 총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스포츠 복지에 기반한 다문화 정책’으로 스포츠분야 내 다문화 관련 다양한 연구들이 최근 다문화 정책 패러다임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두 번째 범주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체육 수업을 통한 관계 형성 및 적응’으로 선행연구들이대부분 결혼이민자 가족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구 대상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스포츠 활동 경험을 통한 문화 습득 및 교류’로 국제적 표준 지표로 사용되는 다문화 수용성 지표들의 하위 범주를 고려하여 연구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마지막 범주는 ‘스포츠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다문화 흡수’는 스포츠 분야 내에서 다문화 정착을 위한 현장 중심의 연구가 부족했음을 제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사회에서 스포츠가 다양한 교육적, 문화적, 사회적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오늘날 다문화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실효성 있는 학술적, 정책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research trends in sports andexamine it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Method For this purpose, topic modeling was chosen as theanalytical technique. Data collection centered on the keywords ‘sports-multiculture’ and ‘physicaleducation-multiculture,’ and examined research papers registered on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Service System (KISS)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Result The results of the topicmodeling centered around 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first category,‘multicultural policy based on sports welfare,’ suggests that diverse multicultural research in sports doesnot align with the recent paradigm of multicultural policies. The second category, ‘building relationshipsand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school,’proposes expanding the target of research since precedent research is mostly centered on transnationalmarriage families and adolescents. The third category, ’acquisition and interchange of culture byexperiencing sports activities,‘ suggests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to consider subcategories of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dicators used as international standard indicators. The final category,’absorption of multiculture through sports programs,‘ indicates a lack of field-oriented research formulticultural settlement in sports.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earch findings will stimulate active academic andpolitical discussions, aligning with today’s multicultural paradigm for sports to exert various educational,cultural, and social functions in society.

      • KCI등재

        체육 분야 성(性)평등 연구 동향 분석: 사회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최윤소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trends like gender equality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opic modeling was applied as a research analysis technique. The keywords of this study are ‘physical education,’ sports,‘ ’gender equality’ and ‘gender awareness’ and all the academic research data after starting the discussion about the topic in the field of domestic physical education were fixed as the target of analysis. The topic modeling results that applied the keyword were derived into 5 upper categories (efforts to improve sexual culture in sports, female activities in the field of sports, gender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sociocultural gender that begins from biological gender differences, changes in gender awareness due to external factors). The research findings implied that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e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trategies although various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third categor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enhancement of the sensibility of gender awareness in teachers and leaders who initiat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on the front line of physical education at schools. The final two categories implied the need to actively discuss various forms of gender defined socially and culturally by diverging from the patterns of research focused on biological male and female adults.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d by suggesting the need to expand the spectrum of gender awareness research to extend the scope of gender awarenes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체육 분야 성(性)평등 연구 동향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을 연구 분석 기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체육’, ‘스포츠’, ‘성평등’, 그리고 ‘성인지’를 주요 키워드로 하여 국내 체육 분야에서 해당 주제로 논의가 시작된 이후 모든 학술연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키워드를 적용한 토픽모델링 결과는 총 5가지 상위범주(스포츠 성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 여성의 스포츠분야에서의 활동, 학교체육에서의 성, 생물학적 성차에서 비롯된 사회문화적 성, 외부요인에 의한 성인지 변화)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범주에서는 체육학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장치의 마련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학교체육 일선에서 학생들과 소통에 앞장서는 교사 및 지도자의 성인지 감수성 인식 제고를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 두 범주에서는 생물학적 성인 남성과 여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양상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다양한 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과 더불어 체육 분야 성인지 범위 확장을 위해서는 성인지 연구 스펙트럼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 KCI등재

        Trace the pathway of the slenderness: The History of Korean female body-shap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mericanization

        최윤소 한국여성체육학회 201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3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Americanization in Korea and the associated effects on Korean female body and body-car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looked closely at how Americanization developed and was defined within Korean society. Americanization played a powerful role in formulating dominant discourses on the ordinary Korean female body and westernized body, which is also closely connected with re-shaping female identities and sexuality in modern Korea. Based on these factors, this study concludes with significant interpretations that 1) body- care among ordinary Korean women in the 20th century should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overall process of Americanization, which had broad effects o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PE classes taught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influx of American cultures have triggered 'body-care' among ordinary Korean women.; 2) Korean society prefers Americanized female bodies, yet still wants women to adhere to the Confucian traditions of female sexuality, values, and social norms.

      • KCI등재

        체육학에서의 장애인 체육 연구동향 분석

        최윤소 ( Choi Yoon-so ),이예슬 ( Lee Ye-seul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학에서 장애와 장애인에 관한 연구주제를 시기별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체육학 분야에서 사회학적 접근에 기반 한 장애관련 연구범위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학술정보 서비스에서 ‘장애인’, ‘체육’을 검색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정제과정을 거친 후 시기별로 구분하여 TF-IDF 분석과 단어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TF-IDF 분석 및 단어 빈도분석 결과, 1기에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2기에는 지체장애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연구, 3기에는 지체장애인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주제의 단어가 자주 등장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결과 1기에는 ‘스포츠사회화’, ‘사회심리학적 요인’, ‘특수체육교육’, ‘운동생리학’, ‘장애인스포츠 지원 정책’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2기에는 ‘사회심리학적 요인’, ‘장애인스포츠 지원정책’, ‘체력평가’, ‘장애인 선수’, ‘특수체육교육’ 토픽이 도출되었다. 3기에는 ‘특수체육교육’, ‘패럴림픽’, ‘사회심리학적 요인’, ‘생활체육참여 지체장애인’, ‘운동효과’, ‘장애인 차별’ 토픽이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학 분야에서는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기반 한 장애인 엘리트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특수 체육교육 등에 관한 연구주제들은 시기에 구분 없이 꾸준히 등장하여 체육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필요한 연구임을 시사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시간을 거듭할수록 체육학 분야에서도 장애에 관한 논의가 장애학 분야와 같이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이 의학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에로의 관점으로 서서히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ociological approaches to expand the research spectrum of disability studies in the field of Kinesiology by analyzing periodic research trends on Disability-related studies in Kinesiology. Method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typing keywords ‘people with disability’, and ‘Kinesiology’ o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then the modified data was conducted by TF-IDF,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 first, the results of TF-IDF analysis, a majority of researches in the first period were about sports socialization, socio-psycho factors, special education in PE, sport physiology, policy develop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y; a majority of researches in the second period ware about socio-psycho factors, policy develop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y, fitness evaluation, athletes with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in PE; a majority of researches in the third period ware about special education in PE, Paralympics, socio-psycho factors,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of sports for all, effectiveness of exercise, and discrimination on disabilities. There are two significant conclusions as follow: first, socio-psycho factors as a an important research keyword in disability studies in the field of Kinesiology regardless of periods. Conclusion: Moreover, discussions on disabilit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inesiology have tried to adopt the social model approach, which has been tried by disability-studies to expand the concept and its scope on disability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