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개념, 해석 그리고 헌법개정

        최운도 ( Woon Do Choi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3 국방연구 Vol.56 No.4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hree aspects concerned with collective self-defense of Japan: concept, pros and cons, legal process in the permission. What is at stake in Japan`s adoption of the collective self-defense, what are the major issues in the pros and conds of the debate, and what is the probability in realizing the change? Abe`s government believes that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is one part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Yoshida doctrine, which has been leading what so called Post-war System. After experiencing the several revolutions in military affairs and the changes in balance of power, the revisionists argue, the existing interpretation is too restrictive and does not meet the demands of the current situation. This paper argues that even though Abe`s policy is taking the posture following the U.S. demand for expansion in its security role, Abe`s eventual goal is beyond just the cooperation with the U.S. and it will bring about the nullification of the pacifism which had been argued to be planted on Japanese soil since the end of the War.

      • KCI등재

        일본의 독도 영유권주장에 있어서의 전략 분석

        최운도 ( Woon Do Choi ) 현대일본학회 2014 日本硏究論叢 Vol.40 No.-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에 있어서의 일본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영유권 논란에 있어서 일본은 애당초 무주지 선점의 논리를 자신의 영유권 주장의 권원으로 삼았으나 1962년부터는 역사적 권원을 주장하는 것으로 전환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을 보강하였다. 이는 첫째, 고문헌에 나타나는 독도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관한 기록들 중 명칭과 고지도에 있어서의 약점을 공격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는 도해면허의 발급을 실효적 지배의상징으로 삼아, 안용복의 담판을 중요한 계기로 삼는 우리의 역사적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조약과 그 과정에서의 러스크 서한을 또 다른 논거로 삼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주장은 전략적 사고와 목표 속에서 진행되어 왔다. 첫째, 상대방의 약점을 집중공격하라. 둘째, 상대방의 강점은 약화시켜라. 그리고 셋째, 자신에게 유리한 제3자의 견해를 끌어들이는 것이다. 이에 더 보태어 일본은자신의 주장의 문제점과 국내의 낮은 관심을 적극적 교육활동과 국내외 홍보활동을 통해 고양시킴으로써 협상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일본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감정적 홍보 보다는 신중한 학문적 주장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Japan`s strategy on its sovereignty claim over Dokdo. In the debates between the two government of Korea and Japan for the process of reaching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Japan switched its ground for claim in 1962, from the principle of terra nallius to the principle of historical recognition. Since then, Japanese refutation of Korean claims and emphasis over its own claim focused on three issues. First, Japan intensified its attack on the naming of Dokdo in the old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location of the island on the old maps printed in Chosun dynasty. Second, while establishingthe issue of voyage license to Ullengdo by Tokugawa Bakuhu as a symbol of effective controlover Dokdo, Japan tries to invalidate the records on Ahn Yong-bok case which is perceivedas the critical date for Korean sovereignty claim over Dokdo. Third, Japan wants to reinforceits claim by citing the phrases in “the Rusk message”, whose validity on the judgement on the issue is questioned even by US Department of State. The strategy is following theserules: 1) Intensify the attack of enemy``s weakness, 2) Try to weaken the enemy``s strongpoints, 3) Invited the interference of the third party. Recently, Japanese government isadopting the fourth rule: Educate its public to claim for the issue, so as to increase the bargaining power of the government. At this stage, our strategic response should be focusedon spreading our claim to international community based upon academic and prudenceresearch results.

      • KCI등재

        한일관계의 거버넌스: 한일 지자체교류를 중심으로

        최운도 ( Woon Do Choi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7 韓國 政治 硏究 Vol.26 No.2

        2012~2015년의 사상 최악이라 불린 한일관계 속에서 지자체 간 교류와 협력은 정부 간 교류와 다르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글은 “지자체교류는 한일 정부 간 관계 악화와 관계없다”는 가설에 대한 1차적인 데이터 분석에 해당한다. 11개 교류분야 중 9개 분야에서 지자체교류는 국가 간 관계 악화를 답습하였다. 그러나 지자체 간 교류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두 분야인 행정교류와 인적교류는 국가 간 관계의 악화와 관계없이 유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적어도 한일관계에 관한 한, 정부 간 관계를 벗어난 독자적인 거버넌스의 발전은 매우 제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일의 정부 간 관계는 국민여론과 NGO들의 정책 뿐 아니라 지자체교류마저도 동기화시켜왔다. 그러므로 한일관계의 개선과 관리가 국익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지자체교류에 있어서 행정교류와 인적교류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들 두 분야에 대한 리더십 강화와 재정지원을 통해 향후 한일관계 악화에 대한 완충과 관리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differed from intergovernmental exchanges in the Korea-Japan relationship during the period of 2012~2015. In 9 out of the 11 exchange programs, the local governments followed the deterioration of bilateral relations. However, administrative exchanges and personnel exchanges, which are highest in frequency, have shown a tendency to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deterioration of inter -government relations. It tells that as fa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concerned,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governance beyond 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is very limited. Therefore, if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Korea-Japan relations are necessary for national interes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dministrative exchanges and human exchange in the local government exchange. By strengthening leadership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se two areas, we can expect for the buffer role in the fluctuation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일관계와 일본의 국가전략 :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

        최운도 ( Choi Woon-do ) 현대일본학회 2016 日本硏究論叢 Vol.44 No.-

        2006년의 1차 내각의 출범 때부터 아베내각은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을 정권의 목표로 삼아왔다. 본 연구는 그 정권의 목표를 국가전략이라는 틀에 비추어, 미일관계와 안보전략 분야에 있어서 2차 아베내각 4년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일본의 전후체제란 요시다 독트린과 그 제도화를 말한다. 일본은 경제번영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한바 있으나 바로 그 전후체제에 매몰됨으로써 방위분야에서의 대미의존을 지속해 왔고, 자주적인 국가전략의 수립이 불가능했다는 것이 일본의 보수우익의 판단이다. 그러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체계적인 노력의 출발점이 아베 내각의 국가안전보장전략이다. 이 문서는 국가전략으로서 갖추어야 할 많은 요소들-국가이념의 제시와 국익 분석, 위협요소를 고려한 구체적 행동 계획 등-을 갖추고 있다. 국가안전보장전략과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허용하는 안보법제 등은 치밀하게 계획된 일련의 법제도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일본 안보정책의 대미 의존은 계속되고 있지만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평화헌법의 속박으로부터는 벗어난 만큼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은 이제 개헌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Prime Minister Abe proclaimed "Breaking-away from the Postwar Regime" as the primary policy goal of his cabinet of 2012, which had been suspended for the unexpected early termination of his first cabinet of 2006. This research is to perform the 4-year mid-term evaluation of the accomplishments in the U.S.-Japan alliance and Japan`s security policy innovation in terms of that policy goal. Postwar system was in large part made up by the Yoshida Doctrine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Japan lacked its own national strategy because it was enjoying the economic prosperity with the help of the dependence on the U.S. security guarantee. One of the efforts to escape from the old system i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approved by the Abe`s second cabinet. The strategy has many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o be called as a national strategy and it is placed in the carefully-planned web of policies and laws. Even though Japan`s dependence on U.S. security commitment is continuing, it is getting out of the constraint of the Peace Constitution with the legalization of Collective Self-Defense, and moving toward the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Article 9.

      • KCI등재

        일본 민주당의 대미 외교정책에 대한 평가

        최운도 ( Woon Do Choi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8 No.-

        본 연구는 54년 동안 일당우위의 지배를 유지해 온 자민당을 제2당으로 끌어 내리고 집권한 민주당의 집권 3년간의 대미정책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민당과 민주당의 대미정책에 대한 정당간 비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민주당3년을 구성한 세 내각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먼저 정당 간 비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다. 첫째, TPP 참가와 후텐마기지 이전 문제는 자민당 정부도 실현하지 못하였으며, 미일관계 회복을 제일의 외교목표로 삼고 있는 아베정권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민당이민주당 보다는 우호적인 미일관계를 유지해 올 수 있었던 것은 점진적인 역할 분담의 확대를 통해 여전히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 셋째, 하토야마와 오자와를 비롯한 민주당 총리들은 중국의 부상에 대해 잘못된 대응을 하고 있었다. 단적으로 말해 현실을 무시한 이념과 이상에 기초한 외교정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없는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그룹이 경합하는 민주당의 구성이 외교정책에서도 일관성의 유지를 어렵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n the evaluation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and US-Japan relationship under the governments of Japan Democratic Party. Fairness of the evaluation requires the comparisons in performance among the three JDP cabinets as well 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JDP governments with the previous governments of Liberal Democratic Party. This reflects the fact that when JDP achieved the landslide victory in the general election of 2009, the party was the mixture of the heterogeneous factions. In general, JDP could not take off the label of anti-Americanism which had been deeply attached even before its seizure of power, even though the following cabinets tried to keep distance from the image. JDP governments made wrong judgement that the China has already risen and US declined. The three cabinets also shared the lack of support from bureaucrats while lacking the experience in running the government. Furthermore they also had the disregard on the process of consensus gathering in common.

      • KCI등재

        패전국 일본이 본 우리의 광복

        최운도(Choi Woon-do)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군사 Vol.- No.96

        What did the Korean liberation of 1945 mean to Japan? Why is it important to Korea of today? Japanese perception of disparagement and degradation on Koreans, which began to be formed since early modern period had been expanded and reproduce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discriminated as an inferior being but they were mobilized during the war on an equal basis as one of Emperor"s soldiers and as one of Empire"s subjects. Japanese has been perceiving Koreans based on double standards. When the war was over and Japan had to embrace its own defeat, Japanese society went through with apathy toward Koreans. When its own interest is at stake, as was in war reparations and the treatment of Koreans in Japan, they viewed Koreans only as the subject of its own colonial rule but neither as Japanese citizens nor as the citizens of Allied powers. This perception is reflected into the legal frameworks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Korea-Japan Treaty of 1965. Excluded from the list of signature countries in San Francisco Peace Treaty, Korea had to face the negotiation table for property claims against Japan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Even though Korea"s limited claims on war-time damages excluding the reparations on Japan"s colonial rule was not considered in the pearce treaty and had be dealt in the separate bilateral negotiation. The illegality and invalidity of the Annexation Treaty of 1910 was not confirmed in the Korea-Japan Treaty and the issue was stitched up without final decision. The economic aid, which was the main topic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was interpreted as the fund for the claims against Japan by Koreans and as the congratulatory donation for independence. Because of this ambivalence, Japan has kept avoiding its legal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 reparations and compensation during the last 70 years. Korean liberation, as long as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concerned, will be completed only when Japan changes its perception on Koreans and accepts the invalidity of the Annexation Treaty of 1910.

      • KCI등재

        일본의 위기관리와 미 ․일 위기관리체제 - 신가이드라인과 유사법제를 중심으로 -

        최운도(Woon-do Choi)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5 동서연구 Vol.17 No.1

        지난 수년 간 일어난 일본의 방위정책 관련 법제의 변화와 정책의 변화를 일본의 위기관리체제라고 하는 새로운 시각에서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사법제와 신가이드라인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일본유사와 주변유사가 일본 위기관리 연구의 대상이 되고 미일 공동작전체계의 분석과 국내동원체제의 분석이 핵심임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일본이 다른 나라와는 크게 다르지 않은 위기관리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음의 세가지 관점에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첫째는 틀은 갖추었으나 실행의 내용에는 아직 일본의 방위정책이 가진 구조적 한계를 고스란히 앉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제약을 앉은 틀마저 생겨난 지 불과 10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즉, 유사법제가 성립되기 전에는 국내 동원체제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위의 분석은 향후 일 본의 방위정책 변화가 위기관리라는 측면에서 어떠한 방향성을 지닐 것인지를 예측하 도록 한다. 정보의 수집과 분석, 배포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미국과의 관계에서 보다 자율적인 위치를 점하려 할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TMD와 C4I의 효율적 구축을 위해 미국과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반면, 위기 여부의 판단에 대해 서는 자율성을 확보하고자 할 것이다. 미국 과의 조정 메커니즘에서의 목소리를 높이기 위해서는 후방지원 활동에 대한 분야별 확대와 자율성의 증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창사 30주년 특집 : 미국의 귀환과 동아시아 지역협력 아키텍쳐: 동아시아 지역주의 협력의 G2화?

        김기석 ( Kee Seok Kim ),최운도 ( Woon Do Choi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2 東亞 硏究 Vol.31 No.1

        2011년 인도네시아의 발리에서 개최된 제 5차 EAS에 오바마 대통령이 참가함으로써 미국은 이제 공식적으로 동아시아 협력체의 일원이 되었다. 기존 동아시아 정치경제 구조의 복합성, 중국의 부상 및 동아시아의 지형변화, 미국의 역내 영향력 및 역할변화 등 복합적 요인들이 밀접히 상호 연계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국의 EAS 참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급속히 발전되어 왔던 동아시아 협력체제의 전반적 구조와 향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이다. 이를 보이기 위해 이 논문은 전후 미국이 취해온 동아시아 지역협력 전략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아시아로의 귀환을 실행하고 있는 오바마 행정부의 대 동아시아 전략구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나서 보다 구체적으로 오바마 행정부의 대 EAS 전략 및 그에 대응하는 동아시아 주요국들의 현 단계에서의 대응 전략을 간략히 살펴본 후, 그것이 동아시아 협력체제에 미칠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본다. 이 논문의 주장은 미국의 귀환이 외형적으로 동아시아 협력의 G2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없지 않으나 실질적으로 정치안보, 금융, 무역, 비전통적 안보 등 영역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변화된 동아시아의 역내 지형에서 동아시아 국가들 역시 보다 적극적인 전략으로 이에 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verall nature and broad aspects of the political economic impacts of the American re-engagement in the EAS and East Asian regionalism. It posits that a series of complicated structural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of East Asian political economic landscape, the rise of China and drastic changes in the East Asian power structure, the shifts of the US political influence and roles in the East Asian region may affect the nature and aspects of the impacts of the US reengagement. The main argument of this essay is that the overall feature of East Asian regionalism may show the aspects of the G2-nization between the two super powers for the time being, but the detailed aspects and achievements of regional cooperation will be varied depending on the issue areas such as political-security, finance, trade and non-traditional cooperativ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