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역기능적 태도,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식, 스트레스 장애 간의 구조경로 분석

        최승애,정현희 한국상담학회 2004 상담학연구 Vol.5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interrelations among dysfunctional attitude, stress perception, coping style and stress-related disorder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model was proposed to explain the interrelations among dysfunctional attitude, stress perception, coping style and stress-related disorder variables. Path analysis, using LISREL, was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Subjects were 535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K university in Daegu city.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dysfunstional attitude predicted significantly stress-related disorder through mediating process of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 It was also found that dysfunctional attitude caused stress-related disorder by promoting stress perception and passive coping.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중에서 역기능적 태도,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식 및 스트레스 장애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트레스와 심리적 장애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상정하고, 이 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잘 부합되는지를 구조경로분석(LISREL Version 8.30)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K대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535명이었다. 분석 결과, 역기능적 태도는 스트레스 지각,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스트레스 장애에는 직접적이지 않고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방식을 거치는 간접적인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기능적 태도가 잠정적인 상황을 스트레스로 지각하게 하고, 그 상황에 대해 보다 소극적인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트레스 장애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 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사티어 변형 체계적 치료를 경험한 내담자의 사례 분석

        최승애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1 No.1

        This study provides a case of a female client in her early sixties who has lived with a her husband with serious alcoholic and domestic violence problem for 40 years using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At the end of the counselling, the life quality of the client has improved, and ultimately the affirmative alteration of marital relationship has occured.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of seventeen sessions and a follow-up session. By providing the abridged recordings of sessions, this study showed intrapsychic change process and transformation from the Icerberg analysis. From the Icerberg viewpoint, the client has moved on from the state of helplessness and anger to hope and desire. From the intrapsychic point of view, the resentment toward her husband and the low self-confidence changed into the recovery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of her life and the expansion of her self. The present cas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use of multiple intervention strategies of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provides effective therapeutic benefits to the old female client whose problems were closely related to family issue, yet family or couple was unavailable. 본 연구의 사례는 알코올 중독과 가정폭력 문제를 가진 가해자 남편을 상담에 참여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40여년을 피해자로 살아온 60대 노년 여성을 사티어 변형 체계적 치료 이론에 근거하여 상담한 사례이다. 상담 결과로서, 내담자는 자신의 빙산의 변화를 통하여 삶의 질 향상과 궁극적으로 부부 상호작용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자료 수집은 상담 전체 17회기와 추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요약과 함께 빙산의 변화 분석과 내담자의 심리내적 변화과정 분석을 사용하여 내담자의 자기(self) 차원의 변화, 즉 변형이 일어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빙산 변화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을 때, 내담자는 무기력과 분노의 상태에서 희망과 열정의 방향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심리내적변화과정 분석을 통해서는 정체 상태에서 상대방에 대한 원망 및 자기의 위축 상태에서 자기 삶의 대한 책임의식 회복과 자아의 확장의 상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해, 부부나 가족 모두가 상담에 참여할 수 없는 노인 여성 내담자에게 사티어 변형 체계적 치료의 여러 치료적 개입방법이 효과적인 치료적 이득을 제공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김은영,김정기,최승애,남태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6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 total of 346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from 310 students were analy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depression, difficulty in emotions, and smartphone addiction. Furthermor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조절곤란이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경상북도 소재 P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대학원생 310명(남학생 182명, 여학생 128명)이 우울척도, 스마트폰 중독척도, 정서조절곤란에 응답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정서조절곤란은 모두 다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원)생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완전 매개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울과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정서조절이 미치는 영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상담 현장에서 가지는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자비가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상담자경력을 조절변인으로

        정주리,임채원,최승애,이유정,김은영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empathy, self-efficacy, and burnout with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counseling experience in a sample of counselors.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counselors working in a variety of setting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age, counseling experi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had a main effect and an interaction effect with age on empathy. In addition, both counseling experience and self-compassion had a main effect, and self-compassion and age had an interacting effect on self-efficacy. Furthermore, both age and self-compassion had a main effect on burnout. In sum, self-compassion predicted counselors’ empathy, self-efficacy, and burnout, and age moderated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empathy and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linical ap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연령과 상담자 경력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자기자비가 상담자들의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다양한 상담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상담자 108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가 분석되었다. 먼저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상담자의 연령, 상담경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관계, 소진과는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상담자의 공감능력을 예측하는 데 주효과 및 연령과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데는 상담자의 상담경력, 자기자비의 주효과 및 자기자비와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자의 소진을 예측하는 데 연령과 자기자비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기자비는 상담자의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연령은 자기자비가 상담자의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데 조절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상담 및 후속연구에 갖는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실수염려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 우울을 매개로

        정주리,김은영,최승애,이유정,김정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concern over mistake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college life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4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perfectionistic concern over mistakes failed to direct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but showed a serial mediating effect through depression. Social support (i.e., from friends, professors, and parents) and depression showed serial mediated relation from stress to suicidal ideation. However, only support from parents had a 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as well.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ofess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실수염려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친구, 교수, 부모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대학원생 446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실수염려 완벽주의는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우울을 통해 다중 매개할 뿐, 직접 매개하지는 않았다. 친구나 교수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 역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우울을 통해 다중 매개하였으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직접 매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부모지지의 경우는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우울을 통해 다중 매개 할뿐만 아니라 직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과 대학원생들의 자살을 예방하는데 있어 부모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상담에서 갖는 함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들의 타당화 연구

        정주리,김은영,최승애,이유정,김정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Compassion Scales(K-FCS). The Fear of Compassion Scales are comprised of three scales: the fear of compassion for others scale, the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scale, and the fear of compassion for self scale.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that the fear of compassion for others scale has two factors, and the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scale and the fear of compassion for self scale have one factor, respectivel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FCS was good. The K-FCS was positively related to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and self-criticism, and negatively related to self-compassion and importance. The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scale and the fear of compassion for self scal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athic concern, as well. 본 연구는 Gilbert, McEwan, Matos와 Rivis(2011)가 개발한 자비불안 척도들(the Fear of Compassion Scales)을 한국어로 번안한 후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들(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Compassion Scale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비불안 척도들은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Fear of compassion for others) 척도, 타인에게서 받는 자비불안(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척도, 자기자비불안(Fear of compassion for self) 척도를 통칭하는 것이다. 총 473명의 표본을 무선적으로 절반으로 나눈 다음, 236명의 표본 1의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표본 2의 237명의 자료를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 척도는 2요인 구조를 가지고, 한국판 타인에게서 받는 자비불안 척도와 한국판 자기자비불안 척도는 각각 1요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분석 결과,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들의 내적 일치도는 양호하였다. 타당도 분석 결과, 자비불안 척도들은 애착불안, 애착회피, 자기비난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자기자비, 중요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타인에게서 받는 자비불안과 자기자비불안은 공감적 관심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음주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 우울,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정주리,김은영,이유정,최승애,김정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motives. A total of 35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252 men and 106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perform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motiv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initiating relationships, and self-disclosure. Enhancement motiv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gender, anxious attachment, and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s. Coping motive was predicted by depression, anxious attachment, and self-disclosure. Conformity motive was predicted by depression, anxious attachment, initiating relationships, and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s. In addition, college students' drinking problem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social motive, enhancement motive, and coping motive, but not by depressio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ofess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음주문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음주동기(사교동기, 고양동기, 대처동기, 동조동기)에 심리사회적 변인들(우울,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학부생, 대학원생 358명(남학생 252명, 여학생 106명)이 참여하였다.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교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애착불안, 애착회피, 처음 관계 맺기, 자기 노출로 나타났고, 고양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성별, 애착불안, 대인갈등 다루기로 나타났고, 대처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 애착불안, 자기 노출로 나타났고, 동조동기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우울, 애착불안, 처음 관계 맺기, 대인갈등 다루기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문제에 미치는 음주동기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변인, 음주동기, 심리사회적 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음주문제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음주문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사교동기, 고양동기, 대처동기로 나타났고, 우울, 성인애착, 대인관계 능력은 음주문제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서 심리사회적 변인이 각각의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뿐만 아니라 음주동기가 대학생들의 음주문제를 예측하고, 개입하는데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상담현장에서 갖는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