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병환 선문대학교 통일사상연구원 2001 통일사상 연구논총 Vol.9 No.-
박이문 교수는 생명윤리학이 구체적이고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문하면서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첫째, 삶의 객관적 현실의 여러 조건들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초적 연구가 필요하고 둘째, 그러한 연구와 지식에 기초해서 우리가 택해야 할 삶의 가치를 재검토하고 우리가 선택해야 할 '가장 합리적인' 가장 보편적으로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그리고 실제로 모든 경우에 다같이 적용될 수 있는 행동의 지침 즉 윤리적 규범을 구상해 내야 한다. 궁극적으로 생명윤리학은 모든 학문이 그러하듯이 철학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셋째, 생명윤리학은 이론적 작업에 그쳐서는 안되고 구체적 설천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생명윤리학은 하나의 '운동'으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윤리는 실천의 학이다. 과학과 합의되지 않은 윤리는 공허하며, 윤리와 합의되지 않은 과학도 맹목이다. 통일사상에서는 과학과 윤리는 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과학자도 과학자이기 이전에 윤리학자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생명과학은 생명윤리의 동의를 전제로 할 때에만 우리 인간에게 복된 도구가 될 수 있다. 통일사상의 존재론은 과학과 윤리의 합의의 토대를 마련해 주고 있다.
최병환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論文集 Vol.47 No.-
Metaphysics or ontology is the part of clearing the origin and the structure of being. Therefore, it has a dual structure. The one is the part of the law or pattern of being, and the other is the part appearing of that. In discussing metaphysics, the theory of matter-form in western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Li-chiin eastern philosophy are commonly the base of theory of being. In studying the substance as the true being, Platon's and Aristoteles' theory of matter-form in wester society and the theory of Li-chi eastern society are the model of it. Besides, the theory of Sungsang-Hyungsang in Unification Thought is a new theory of being.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se three ideas more deeply throughout these discussion, we can understand the principle and the action of beings more de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