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 고정된 짧은 대퇴 주대 주변에 발생한 Vancouver 분류 C형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반복적인 실패 - 증례 보고 -

        최병열 ( Byeong Yeol Choi ),조홍만 ( Hong-man Cho ),박지연 ( Jiyeon Park )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1

        최근 짧은 대퇴 주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다양한 형태의 삽입물 주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66세 여자 환자로 양측 고관절에 짧은 1B형 대퇴 주대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수술 후 2개월에 Vancouver 분류 C형의 삽입물 주위 골절이 발생하였다. 골절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과 내고정을 시행하였으나 동일한 부위에 불유합과 금속판 파절이 반복되어 발생하였다. 저자들의 증례에 대한 수술의 과정에 짧은 1형 대퇴 주대 주변에 발생하는 Vancouver 분류 C형 골절의 치료 후 실패를 일으킬 수 있는 많은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short femoral stem (type 1 cementless stem) is being increasingly used to perform total hip arthroplasty; however, various types of intra- or postoperative periprosthetic fractures have been reported in recent times. A 66-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bilateral total hip arthroplasties using a type 1B femoral stem was admitted 2 months post-operation for a Vancouver type C periprosthetic fracture. She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however, we observed recurrent non-union and plate breakage at the same site. In this case report, we discus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reatment failure in patients with a Vancouver type C periprosthetic fracture following type 1 femoral stem implantation.

      • KCI등재

        족저부에 발생한 석회화된 혈관 평활근종: 증례 보고

        신충식,최병열,Shin, Chung Shik,Choi, Byeong Yeol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8 No.1

        Angioleiomyomas are relatively uncommon benign tumors originating from smooth cells of a blood vessel. Although curative by surgical excision, they are rarely diagnosed definitely before surgery. We report on a case of calcified angioleiomyoma occurring on the sole, which was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without recurrence and a review of literature is presented.

      • KCI등재

        말초동맥 혈관 질환의 치료 결과에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이 미치는 영향

        신충식(Chung-Shik Shin),최병열(Byeong-Yeol Choi),박승범(Seung-Bum Park),김경태(Kyung-Tae Kim),김태호(Tae-Ho Kim),김철승(Chul-Seung Kim),한규담(Kyu-Dam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LSS)이 동반된 말초동맥 질환(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환자의 경피 경관 혈관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의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간헐적 파행에 대하여 PTA를 시행 받은 PAD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 심한 LSS가 동반된 22명을 A군으로, LSS가 없거나 경미한 23명을 B군으로 정의한 후 PAT 시행 후 증상의 호전 정도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PTA 후 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Walking Impairment Questionnaire (WIQ) 점수는 양 군에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01, <0.001). 하지만 VAS, WIQ 및 변형된 MacNab 점수에 따른 결과는 A군에서 덜 만족스러웠다(p<0.001, <0.001, p=0.03). 추가적인 척추 수술을 받았던 경우는 2예에 불과하였다. 결론: PAD와 LSS가 동반된 군이 PAD만 있는 군에 비하여 PTA 결과가 덜 만족스러웠으나 대부분의 환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in patients with concurrent lumbar spinal stenosis (LSS)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PTA for intermittent claudication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wenty-two patients with severe LSS were included in group A and 23 patients with no or mild LSS in group B. The symptomatic improvement after PTA was comparatively evaluated. Results: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Walking Impairment Questionnaire (WIQ) scor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PTA in both groups (p<0.001, <0.001). However, according to VAS, WIQ and modified MacNab scores, results of group A were less satisfactory (p<0.001, <0.001, p=0.03). Only 2 patients underwent additional spine surgery. Conclusion: In results of PTA, the PAD associated LSS group showed less improvement than the PAD only group, but most patients showed symptomatic improvement with conservative treatment.

      • KCI등재

        미추 경막외 신경 주사 후 발생한 Serratia marcescens에 의한 척추 경막외 농양

        유창은(Chang-Eon Yu),최병열(Byeong-Yeol Choi),김경태(Kyung-Tae Kim),박영철(Young-Chul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4

        Serratia marcescens에 의한 척추 감염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위험 인자가 없는 78세 남자 환자가 미추부 경막외 신경 주사 후 발생한 심한 요통 및 발열, 하지 위약 및 대소변 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척추 추간판염 및 경막외 농양이 확인되어 수술적 감압 및 배농을 시행하였다. 균 동정 결과 S. marcescens에 의한 경막외 농양으로 밝혀졌다. S. marcescens는 면역 저하된 환자에서 병원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나 경막외 주사 후 척추의 경막외 농양이 발생한 경우는 처음이어서 이에 대한 저자들의 경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pinal infection due to Serratia marcescens is very rare. A 78-year-old male patient withoutany risk factor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chief complaints of severe back pain, fever, weakness in both legs, and bowel dysfunction, following caudal epidural injec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spondylodiscitis with epidural abscess. Surgical decompression was performed and the epidural abscess was removed. The cultures isolated S. marcescens , which can cause nosocomial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S. marcescens spinal epidural abscess following epidural injection,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골극 형성에 대한 관여인자

        정의섭(Eo-Sub Jeong),최병열(Byeong-Yeol Choi),신충식(Chung-Sik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목적: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 후 인접분절 골화 형성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외상 28명,퇴행성 경추질환 47명). 추시중 골화의 발생 시기 및 빈도를 확인하였고 외상군과 퇴행성 질환군에 따른 발생 빈도를 비교하여 연부조직 손상이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유합 범위, 나이, 수술 시간 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과: 총 33예(44%)의 환자에서 골화가 관찰되었다. 술 후 1년 이내 관찰된 경우가 5예(15%), 1-2년 사이에 관찰된 경우가 10예(30%), 2-3년 사이에 관찰된 경우가 13예(40%), 3년 이후 관찰된 경우가 5예(15%)였다. 유합 범위만이 골화의 발생과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연관을 보였다(p〈0.001). 외상군과 질병군의 비교에서 골화의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3). 결론: 인접분절 골화 형성은 술 후 관찰되기까지 상당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며 연부조직의 손상 정도보다는 유합에 따른 인접분절의 과도한 부하가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f adjacent level ossification development (ALOD)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75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two years. Twenty-five patients were related with trauma and 47 patients were diagnosed as degenerative cervical disorder. We assessed the incidence, location and timing of ALOD, and compared the incidence of ossification between trauma and degenerative disease groups to know the effect of soft tissue damage. We also review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sification at adjacent level and the factors, such as fusion level, age, operation time, duration of follow-up, and the presence of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as well as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OYL). Results: Ossification developed in 33 patients (44%). Five cases (15%) were detected during the first year after surgery, 10 (30%) cases detected during the second year after surgery, 13 (40%) between second and third year, and 5 (15%) cases of more than three years after surgery. Only the fusion level wa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ossification statistically (p<0.001). Age, operation time, duration of follow-up, sex ratio, presence of OPLL, and OYL were not 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ossification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LOD between the trauma group and degenerative disease group (p=0.3625). Conclusion: To detect ALOD, it needs a long time for follow-up after surgery. We thought that ALOD is affected by excessive loading at the adjacent level after fusion rather than severity of the soft tissue damage.

      • KCI등재
      • KCI등재

        전방 경추 수술 후 발생한 세균성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

        함동훈(Dong-Hun Ham),최병열(Byeong-Yeol Choi),정명철(Myung-Cheol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6

        척추 수술 후 뇌수막염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치명적일 수 있다. 49세 남자 환자가 제5, 6 경추부의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압박성 척수증 진단하에 전방 경추부 감압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았다. 술 후 심한 경부통 및 경부 강직, 발열이 발생하였고 수술 일주일 째 갑자기 사지 마비 증상을 보였다.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뇌척수액 검사상 세균성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이 확인 되었다. 환자는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받았으나 결과는 불량하였다. 저자들은 전방 경추 수술 이후 발생한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 증례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eningitis after spinal surgery occurs rarely but can be fatal. A 49-year-old male was diagnosed with compressive myelopathy due to cervical disc herniation at the C 5, 6 level and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He complained of severe neck pain and stiffness with fever postoperatively and one week after surgery, the patient presented with abrupt tetraplegia. The follow-up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revealed bacterial meningitis complicated by myeliti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steroid, but the outcome was poor.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meningitis combined with myelitis following anterior cervical spinal surgery.

      • KCI등재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의 관절경하 장요건 절단술

        허순호(Soon Ho Huh),최병열(Byeong Yeol Choi),한상록(Sang Roc Han),정우철(Woo Chull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2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 환자에서 관절경적 장요건 절단술이 유용한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고관절 전치환술 후 지속되는 서혜부 통증 및 굴곡 시 통증을 호소하는 18명(19예 고관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 60세(범위, 50–69세)의 환자들에서 고관절 전치환술 후 증상발현까지는 평균 4개월(범위, 1–9개월)이 소요되었으며, 18명 환자 중 13명에는 직접전방접근법, 5명에는 측방접근법을 통한 고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었다. 병력청취, 신체 검사, 혈액검사, 단순 방사선촬영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영상 검사, 그리고 국소주사치료를 통하여 장요건 충돌을 진단하였다. 이들 모든 환자는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받았고, 역동적 신체 검사를 통하여 술장 내에서 충돌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근육부위까지 도달하도록 관찰된 건 부위 모두에 대하여 건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추시기간의 증상 및 통증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점수는 술 전 평균 58.4점(범위, 40–88점)에서 술 후 평균 35.0점(범위, 15–76점)으로 감소하였다. 시각통증등급도 마찬가지로 술 전 평균 4.0 (범위, 2–6)에서 술 후 평균 1.4 (범위, 0–4)로 감소하였다. 16명(88.9%)에서 통증 경감 및 하지거상 시 통증의 호전을 보였으며, 2명에서는 통증 잔존과 술 후 근력 약화를 보였다. 이후 추시기간에서 근력 약화는 호전되었다. 1명의 경우 소전자부에서 장요건 건절단술을 시행하였으나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관절부에서 한 차례 더 건절단술 시행 후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에서 고관절 관절경을 이용한 장요건 건절단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clinical outcome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if arthroscopic management is a useful method for 19 hips with iliopsoas tendon impingement (IPI)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THA).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19 hips), who complained of groin pain and flexion pain that persisted after THA from September 2013 to December 2019, were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The mean time to manifestation after THA was four months (range, 1–9 months) in patients of an average age of 60 years (range, 50–69 years). Thirteen out of 18 patients underwent THA using the direct anterior approach and five by the lateral approach. IPI was diagnosed by the med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blood test, radiographic examination using X-ray and computed tomography, and topical injection therapy. All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treatment and a dynamic arthroscopic physical examination after exposure to the iliopsoas tendon revealed impingement. Tenotomy was then performed on the muscle portion through the total tendon portion. Symptoms and pain levels of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perio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Results: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score decreased from an average of 58.4 (range, 40–88) before surgery to an average of 35.0 (range, 15–76) after surgery. Similarly, the visual analogue scale decreased from an average of 4.0 (range, 2–6) before surgery to an average of 1.4 (range, 0–4) after surgery. Sixteen patients (88.9%) showed pain relief and improvement in the straight leg raise test, and two patients showed postoperative muscle weakness and sustained pain. In the follow-up period, muscle weakness improved. One patient underwent arthroscopic iliopsoas tenotomy at the lesser trochanteric level but the symptoms persisted. The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one more tenotomy at the joint level. Conclusion: Arthroscopic iliopsoas tenotomy performed in patients with IPI after THA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 KCI등재

        경피적 척추 성형술 후 조기에 발생한 새로운 척추 압박골절

        김종길(Jong-Kil Kim),최병열(Byeong-Yeol Choi),박영철(Young-Chul Park),김동현(Dong-Hy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1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 대한 경피적 척추 성형술 후 조기에 발생하였던 새로운 연속 골절의 특성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로 경피적 척추 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인접 추체에 새로운 골절이 발생한 4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절 발생 시기에 따라 2군으로 나누었다. 3개월 내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가 22예(A군)였고 3개월 이후에 발생한 경우가 22예(B군)였다.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골밀도, 체질량 지수, 기존 척추 골절의 존재, 초기 골절 위치, 추간판 내 시멘트 누출, 시멘트 주입량, 추체의 높이 회복 정도, 후만각 교정 정도의 차이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골밀도, 체질량 지수, 기존 척추 골절의 존재, 초기 골절 위치, 추간판 내 시멘트 누출, 후만각 교정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멘트 주입량이 많은 경우와 추체 높이 회복 정도가 큰 경우에서 3개월 내에 골절이 발생한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경피적 척추 성형술 시 시멘트 양과 추체 높이 회복 정도는 3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조기 인접 척추 골절의 위험인자로 판단되며 추시 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factors of early onset subsequent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4 patients, who had a new subsequent vertebral fracture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a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5, were recruit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nset period of subsequent fracture. The number of patients who had a fracture within 3 months following vertebroplasty were 22 cases (Group A); after 3 months were 22 cases (Group B). Variables, including age, sex, bone mineral density (BMD), body mass index (BMI), preexisting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location of the initial fracture, intradiscal cement leakage, injected cement volume, restoration of vertebral body height, and correction of kyphosis, i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age, sex, BMD, BMI, preexisting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location of the initial fracture, intradiscal cement leakage, and correction of kyphosi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Both a greater volume of bone cement injected and a greater degree of vertebral height restorat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risk of fracture within 3 months. Conclusion: The cement volume and degree of height restoration are risk factors for early onset fracture at the adjacent vertebrae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close attention is need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 KCI등재

        하지 방사통으로 오인된 골수강 내 골경화증

        최병완(Byung-Wan Choi),최병열(Byeong-Y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골수강 내 골경화증(intramedullary osteosclerosis)은 하지 장관골의 골내막 부위의 신생골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양성 골질환으로 아직 발생원인이나 치료방법에 대하여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굉장히 드문 질환이지만 하지 통증 외의 다른 특징적 임상소견이 없기 때문에 같은 증상을 가진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힘들다. 저자들은 척추질환에 의한 방사통으로 오인하였던 골수강 내 골경화증 환자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Intramedullary osteosclerosis is an uncommon benign condition characterized by endosteal new bone formation in long tubular bone of lower extremity and treatment as well as etiology is unknown. Due to the rarity of this disease, and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clinical finding except leg pain,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is entity from other causes presenting similar symptoms. We report on a case of intramedullary osteosclerosis mistaken for radiculopathy from lumbar dise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