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수염으로 오인된 소아의 대장암

        최명민,이운기,전인상,김현영,Choi, Myung-Min,Lee, Un-Gi,Jeon, In-Sang,Kim, Hyun-Young 대한소아외과학회 2008 소아외과 Vol.14 No.2

        Colorectal cancer is extremely rare in children. Unlike adult colorectal cancer, the overall prognosis of colorectal cancer in children is poor. Delayed diagnosis, advanced stages of the disease at presentation, and mucinous type of histology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poor outcome in childhood. A 13-year-old boy with abdominal pain visited our hospital. Physical examination andabdominal ultrasonography identified acute appendicitis with perforation. He underwent appendectomy and then the pathologic findings revealed mucinous adenocarcinoma. The cancer was located at the transverse colon and had metastases on peritoneal wall at $2^{nd}$ laparotomy. Extended right hemicolectomy was performed. He underwent palliative chemotherapy. After 4 months later, hepatic metastasis and aggravated peritoneal seedings developed. He died of renal failure and pneumonia 13 months after operation. We need to have a high index of suspicion for the possibility of a malignant colorectal tumor in any childhood case with nonspecific signs and symptoms.

      • KCI등재후보

        문학에 투영된 자살의 심리사회적 이해

        최명민(Choi Myung-Mi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0 비판사회정책 Vol.- No.29

        높은 자살률은 최근 한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로서, 그동안 자살에 대해 현상적이고 통계적인 논의들이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오랜 기간 자살이 그랬듯이, 자살에 대한 논의 역시 금기시 되어 왔기 때문에, 자살자가 자살에 이르는 과정이나 그 내용에 대해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이해의 폭은 한정적인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그 현실적 제약들을 넘어설 수 있는 문학작품 속 자살에 초점을 맞추어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심도 있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문학과 자살의 관계를 살펴보고, 특히 한국 근현대문학에 투영된 자살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시대적 상황적 배경을 달리 하면서도 결국 주인공의 자살로 귀결되는 최인훈의 〈광장〉과 강석경의 〈숲속의 방〉을 중심으로, 주인공들의 삶의 궤적에서 나타난 연결성 및 공통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우리 문학작품 속 자살은 시대의 아픔과 실존적 문제를 드러내는 상징이었으며, 주인공들이 자살에 이르는 과정에는 ‘사회적응의 문제’‘, 상실의 경험’‘, 지지체계 기능의 결여’‘, 심리적 고통의 심화’등의 요소들이 작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지지체계 및 정신보건 서비스의 강화가 자살예방을 위해 필요한 요건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high suicide rate is a serious problem in Korean society. Although we have analyzed suicide in phenomenological or statistical aspects, it has been limited to discuss processes or contents of one’s suicide, as it has been a taboo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psycho-social aspects of suicide, focusing on literary works that not only reflect reality, but also pass over the realistic restrictions about suicide. For the purpose, relation between suicide and literature was examined, and suicidal patterns project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s were investigated. And Choi, In-Hoon’s 〈Plaza〉 and Kang, Seok-kyung’s 〈The Room of Forest〉 were compared and explored, because main characters of both novels ended their lives through suicide. This article analyzed connectivity and common issues in the trajectory of their lives and deaths. Through this work, it is concluded that paying more attention to vulnerable people, and strengthening social network and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are necessary to prevent suicide.

      • KCI등재

        질적-양적 연구방법론의 혼합에 의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탄력성 및 소진위험성 척도개발 연구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4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탐색설계 중 척도개발모델에 의거하여 소진탄력성척도와 소진위험성척도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척도개발모델 1단계에서는 선행 질적연구를 통해 도출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 보호 및 위험요인에 기반을 두고 각 척도의 내용을 구성하였고, 2단계 양적 연구 단계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 185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척도들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 31문항의 소진탄력성척도와 6요인 27문항의 소진위험성척도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두 척도의 신뢰도는 소진탄력성 0.92, 소진위험성 0.90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각 척도 및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소진탄력성과 소진위험성의 속성 및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 의한 조사결과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혼합방법론에 의한 척도개발과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수량적으로도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를 개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nd validate Scale of Resilience to Burnout and Scale of Burnout Risk for social workers in medical settings. For the purpose, instrument development model, a kind of mixed methods research was used. In the first phase, six dimensions of resilience(: professional competency, accomplishment and worthwhileness, firm belief and value about their profession, good teamwork, support by their agency, and individual resources) and six dimensions of risk to burnout(: dis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ndition, interpersonal stress among team members, organizational conflict, work related stress, deficiency of professionalism, and individual stress) were suggested thorough the preceding papers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he second phase involved analysis of a survey of 185 participants that appeared to validate the dimensions of the measures.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measure were tested. And it was founded that there were its own factors in each concept, although resilience to burnout related negatively to burnout ris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ixed methods research is useful to develop measures reflecting voices in the social work fiel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사 윤리적 민감성 검사도구(SWEST)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최명민(Choi Myung 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민감성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기반 위에서, 이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실제에 적용해 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윤리적 민감성 척도들과 관련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검사도구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판단형 지필검사방식 및 구조화된 채점방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1단계 사례수집, 2단계 사례구성, 3단계 사례자문, 4단계 예비조사, 5단계 채점 지침작성, 6단계 최종사례 및 채점기준 확정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세 가지 사례로 구성된 측정도구 SWEST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검사도구의 활용성을 보기 위하여 사회복지전공생과 사회복지실무자의 실제 응답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SWEST가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민감성과 그에 관한 의미 있는 차이를 구분해 낼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추었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test tool of social workers' ethical sensitivity(SWEST) on base of realiz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thical sensitivity of social worker who are required more ethicalities than the other professional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tool that can measure ethical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in our country up to now.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ethical sensitivity tests in other professions, a paper and pencil method about unstructured question with cases including ethical issues and structured scoring system was chosen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SWEST. This study progressed in order : 1st collecting cases, 2nd composing cases, 3rd consulting cases, 4th pilot study, 5th making scoring standards, 6th determining case examples and scoring standards. With the result, the tool consists of 3 case examples with ethical issues : 1) self-determination and confidentiality, 2) equality and double relationship, 3) informed consent and conflict interest. And ethical sensitivities of social work major students and social workers were measured with the SWEST, to see practical utility of this test. The agreement degrees between two independent raters were above 90%. And respondent's ethical sensitivity displayed the most definite difference according to taking or not taking a cours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drawn that the SWEST is reliable and valid to test relevant differences in Korean social workers' ethical sensitivity. The SWEST is expected to activate studying, educating, and practicing ethics in social work.

      • KCI등재

        사회복지윤리교육의 현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 안팎의 윤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현실에서, 〈사회복지윤리와철학〉교과목으로 대표되는 사회복지 윤리교육의 현황과 그 효과성을 조사해 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윤리교육 현황파악을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들을 대상으로 윤리와철학 교과목 개설현황 및 운영 방법을 조사하였고, 윤리교육의 효과성은 윤리적 민감성에 초점을 두어 윤리와철학 교과목 수강 여부와 수강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 제도교육 체제에서 윤리교육에 큰 비중이 주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실제 이뤄지는 윤리교육은 윤리적 민감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여타 요인들에 비해 윤리적 민감성에 더 큰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 교육에서 사회복지윤리와철학 교과목의 위상 강화와 사회복지윤리와 관련된 인력 양성 및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cours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reflecting increasing concerns about social worker's ethics. Using the member list of the Council of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thic course is established and how the course is managed. Th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using the test score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this study compared test scores between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and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also compared pre-post test scor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The results show that enrollment in th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course contributes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udents' ethical sensitivities, in spite of social work education system that does not very yet empathize the ethics curriculum very strongly. Further,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is proved to be a more powerful factor to ethical sensitivity than any other demographic or education related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a stronger emphasis abd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course, as well as more efforts to bring up professionals and invest i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ethic education.

      • KCI등재

        정신장애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임파워먼트 효과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자원봉사활동은 바로 자기실현과 자존감 증대와 같은 내적 변화와 더불어 정상화 및 가치 있는 사회적 역할 강화를 통해 참여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제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이 자원봉사 서비스의 제공자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고, 이의 실천을 통해 임파워먼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정신장애인 뿐 아니라 봉사활동의 장인 지역사회의 봉사 준비과정을 체계화하고, 둘째, 정신장애인들과 봉사활동을 함께 하는 일반인 협력자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장애인 자원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자원봉사 프로그램에는 시설거주 정신장애인 13명과 이들의 협력자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10명이 참석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결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신장애인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이미지 측면에서 임파워먼트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시민으로서 프로그램에 같이 참여한 협력자들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즉, 권위주의, 자비심, 사회생활제한, 그리고 지역정신보건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입증되었다.<br/>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봉사 대상자로 머물러온 정신장애인도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봉사 제공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뿐 아니라,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과 일반인의 태도에도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정신장애인 자원 봉사 프로그램이 실천현장의 상황에 맞게 활용되어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와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volunteer program for the people with chronic mental health problems to participate in helping the community as service providers not receivers, and then to examine empowerment effects of this volunteer program.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is program was to volunteer the mental ill to help other people. Therefore, this volunteer program had specially strengthened preliminary stage which make not only the mental ill be ready to work but also the community to use them as volunteer, and to invite general citizen of the community<br/> as co-volunteers. The result showed this program empowered the mental disorders to have more positive self-concept. It revealed that co-volunteer's attitude toward the mental disorders was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is program, also. These results<br/> told us not only the chronic mental ill could be volunteers helping others using their abilities, but also this activity would make their self-image better and citizen's perception toward mental disorder less prejudiced. The volunteer program presented<br/> in this paper wa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ir empowerment and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조현병과 사회적 낙인 : 그 형성기제와 극복방안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조현병은 인류역사에서 대표적인 미지의 영역으로서 많은 편견과 낙인을 수반해 왔으며 과학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도 그 양상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조현병은 최근 몇년 간 발생한 주요 강력사건들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범죄와 관련된 공포와 혐오로 고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 퍼져있는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본질과 형성 기제를 분석하고 그로 인한 문제들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의 개념 중 ‘사회적’이라는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조현병에 대한 낙인이 불변의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기보다는 역사적이고 상황적인 조건들이 반영된 결과물이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분과학문의 장벽을 넘어선 지식의 공동 연쇄고리 구성, 타자윤리학적 관점의 모색, 미디어의 윤리성 확보를 통한 사회적 인식개선, 보다 적극적 지원을 통한 당사자 활동의 활성화, 예방적 차원의 다각적 서비스 지원, 그리고 낙인과 혐오의 재전유 등을 제안하였다. Schizophrenia is a representative unknown area in human history, with many prejudices and stigmas, and its aspects persist in modern society where science has developed. In particular, schizophrenia has been cited as the cause of major violent incidents in recent years in our society, and social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is becoming fixed with fear and hatred associated with crime.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e nature and formation mechanisms of social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currently spread in our society, and discussed the problems that result. And by re-examining the meaning of “social” of social stigma, it was argued that the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was a result of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rather than based on scientific and objective facts. Finally, as a way to overcome the social stigma of schizophrenia, these are proposed: a knowledge community beyond the barriers of each disciplines, a search for ethics of the others,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promoting media ethics, activation of movement of people concerned through more support, preventive and multi-faceted support, re-appropriation of stigma and hatred.

      • KCI등재

        만성정신질환자 형제자매의 보호자 됨의 과정과 그 역할유형에 관한 연구

        최명민(Choi, Myung Min),권자영(Kwon, Ja 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4

        형제자매는 가족주의 문화가 지배적이고 사회적 자원이 제한적인 한국 정신보건 상황에서 만성정신 질환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은 간과되어 온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만성정신질환자의 형제자매 보호자 역할에 초점을 두고 보호자 됨의 과정과 그 역할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개별면접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 내용을 근거이론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성정신질환자의 형제자매 보호자 되기의 핵심범주는 ‘만성정신질환을 가진 형제자매에 대한 고통스런 기억, 책임감, 그리고 막연한 미래에 대한 고민을 안고 부모와는 또 다른 돌봄의 역할 찾아가기’로 도출되었으며, 그 역할에는 ‘현실순응적 의무 수행형’, ‘희생적 자기책임 완수형’, ‘발전적 보호의미 창출형’의 3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형제자매의 고유한 경험과 욕구에 기반을 둔 사회적 지원과 평생계획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Under the Korean mental health circumstances where familistic culture is predominant and social resources are limited, siblings are an important presence that effect chronically mentally ill people’s lives. Despite this fact, our society in some aspect overlooks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ole of siblings as caregivers of chronically mentally ill adults and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evant process and types of how siblings fulfill the role of caregiv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data was collected from nine study participants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its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iblings’ experiences as caregivers of chronically mentally ill people were mainly categorized as ‘carrying painful memory, responsibility, and concern about the obscure future of the mentally ill sibling and finding a caring role different from those of parents.’ Moreover three types of sibling caregivers were recognized: ‘reality?adapting, obligation fulfilling’ type, ‘sacrificial self-responsibility fulfilling’ type, and ‘growing guardianship creator’ type. This research aimed to vividly deliver the voice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proposed social support and permanent planning service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desires unique to siblings.

      • KCI우수등재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한 사례관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명민(Choi, Myung-Min),정병오(Jeong, Byeongoh)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최근 사례관리가 사회복지실천의 주류 실천방식이자 전달체계의 하나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정작 그 수행주체인 사례관리자들은 계속 혼란과 스트레스를 호소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 상의 근원적 이유를 탐색하기 위하여 Foucault의 계보학을 이용하여 사례관리의 발생지점에 대한 역 사적 미분을 시도함으로써 존재론, 주체론, 방법론 측면에서 사례관리에 내재된 본질적 특성들을 분석 해 보았다. 그 결과 20세기 후반 사회적 필요에 따라 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기제로 출현한 사 례관리의 태생적 속성들과 이를 신자유주의적 방식으로 제도화하려는 시도들이 사회복지실천 고유의 지향이나 정체성과 충돌하면서 혼란과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 복지실천 본연의 정체성을 실현해 가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에 배태된 통제성과 관리성을 인식하고 사례 의 주인공인 인간성을 강화하며 과도한 관리성을 견제하려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origin of the case management in social work and relevant background and context around it, by using the method of genealogy, an historical framework or perspective developed by Foucault, French social philosopher. The reasons of the study are two fold : First, why the case management can be established as a major strategy of social work field in such a very short time. Second, since the case management has been accepted, why it has been reported ceaselessly that a lot of case managers have experienced the severe stress and sufferings in carrying out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ase management is partly a very social device needed in the late 20th century to manage the social work resources and manpower efficiently, which might be against the genuine social work’s mission and idealism. In a conclusion, to retrieve the genuine identities of social work profession, not only the practice case management should be cautious to tendency of management and control inherited in it but also be balanced by the traditional ideals of human emancipation and lib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