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단력을 받는 선설치 앵커볼트의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 평가 연구

        박용명,전명희,최명국,김철환,김인기,Park, Yong-Myung,Jeon, Myeong-Hui,Choi, Myung-Kuk,Kim, Cheol-Hwan,Kim, In-Gi 한국강구조학회 201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4 No.2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볼트의 설계에 $45^{\circ}$ 콘파괴 이론이 그동안 적용되어 왔으나, 2,000년 이후부터 CCD(Concrete Capacity Design) 방법이 새로운 설계법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본 방법은 주로 소형 앵커볼트에 대한 실험 결과에 근거한 관계로 앵커볼트의 직경이 50mm 이하인 경우에 한해 적용이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큰 연단거리를 갖는 중대형 앵커볼트에 대한 합리적인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식의 도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56 선설치 단일 앵커볼트로 연단거리 350mm에 대해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 평가를 위해 4개의 시험체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 결과와 타 연구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연단거리 750mm까지의 큰 연단거리에 대해 새로운 전단파괴강도식을 제안하였다. The 45-degree cone failure theory has been used in concrete anchor bolts design under shear loading, but the CCD (Concrete Capacity Design) method was adopted as a new design method since 2000. However, the method was allowed only for anchor diameters of less than 50mm because it i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mall size anchor bo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tional concrete breakout capacity equation for medium-to-large size anchor bolts with large edge distance. In this study, shear tests on M56 cast-in-place single anchor bolt with edge distance of 350mm were performed using four test specimens. Based on the test results and findings of existing studies, a new equation for the breakout capacity of anchor bolts under shear loading with edge distance of up to 750mm was proposed.

      •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의 소집단 협동학습 효과성 연구 : 수학 1-나 단계를 중심으로 in 1-B math stage

        최명국,강문봉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현재 우리의 초등교육 현장에서 해결하여야 할 가장 큰 문제는 학급당 인원수가 많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아동 개개인에게 쏟아지는 교사의 보살핌이 적어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교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도 아동 개개인의 참여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현재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소집단 협동학습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천시 소재 B 초등학교 1-나 단계의 한 학급의 아동을 대상으로 소집단을 구성하고, 협동학습으로 수학문제를 풀게 한 후, 담화 과정에 대한 근접 관찰과 더불어 협동학습 직전·직후의 문제에 대한 반응 비교를 통하여, 협동학습의 효과성을 나타내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교사중심에서 벗어나 동료들과 협동학습으로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아동들 사이에서는 상위, 중위, 하위 아동이 협동학습 내에서 각자의 특징적인 역할을 보였고, 상위 아동 중심적이며 남자 아동 중심적인 협동학습 형태가 나타났으며, 반복 논의, 비판적인 태도, 관찰과 통찰이라는 세 가지의 특징적인 요인들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여 보았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수학 풀이과정의 단순한 내용에 대한 반복된 논의는 아동의 학습효과를 증진한다. 둘째, 동료들의 문제 풀이 과정에 대하여 자유롭게 나타나는 비판적인 태도가 학습의 효과를 증진한다. 셋째, 동료들의 수학 문제 풀이와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흥미있는 관찰을 통해 학습의 효과가 증진된다. I think a large class size is the biggest problem that should be solved urgently in elementary education.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virtually reduces teacher's care for individual children. The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s currently highlighted as a teaching method to lower dependence on teacher but raise individual child's involvement and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examine what factor made cooperative learning effective. For the purpose, the children in a class of elementary school that stayed in 1-B math stage were divided into small groups, and they were asked to solve math questions by cooperative learning. And then their discourse processes were closely observed, and their responses to the given question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cooperative learning were compared. When children solved math question in cooperative learning with peers, not by teacher-centered one, the high-ranking, middle-ranking and low-ranking children separately performed a unique, different role.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led by the high-ranking children and boy children, and three distinct factors were observed: repeated discussion, critical attitude, observation and insigh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First, the repeated discussion about a simple math matter in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mproved children's learning effect. Second, the naturally appeared critical attitude to problem-solving process of peers elevated learning effect. Third, the observation of math problem-solving process of peers with interest led to better learn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