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쓰기 효능감 및 쓰기 결과 기대, 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최건아 ( Gun Ah Choi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쓰기 효능감 및 쓰기 결과 기대, 글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부산 소재 남자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1년 2월 중에 이루어졌으며, SPSS 18.0버전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참여자들의 쓰기 효능감은 중간 수준이며 이에 비교적 쓰기 결과 기대는 높은 편인 것으로 드러났다. 쓰기 과제 효능감은 쓰기 기술 효능감보다 낮았다. 둘째, 쓰기 효능감과 글 점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 쓰기 과제 효능감과 글 점수의 상관이 쓰기 기술 효능감과 글 점수 간 상관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상관계수가 크지는 않으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셋째, 쓰기 결과 기대는 글 점수와 거의 상관이 없었다. 넷째, 쓰기 효능감과 쓰기 결과 기대 간의 상관이 매우 낮았다. 이상의 분석은 쓰기 효능감과 쓰기 결과 기대, 글 점수 간의 상관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특성화 고등학교의 남학생만을 참여대상자로 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out come expectancy and writing score. Data was collected from high school first graders in Busan in February 2011. Researcher analyzed the correlation using the SPSS 18.0 version.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writing self-efficacy was moderate and writing outcome expectancy was relatively high. Writing self-efficacy about task was lower than writing self-efficacy about component skill. Second, there wa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score.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about task and writing score was high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about component skill and writing score. However, it has to be interpreted carefully becau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not big. Third, there was almost no correlation between writing outcome expectancy and writing score. Fourth, correlation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outcome expectancy was very low. This result is meaningful because of statistical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outcome expectancy and writing score. But the result has to be interpreted carefully considering this study`s limitation that all participants were specialized high school`s male students.

      • KCI등재

        이야기 읽기 중 초등학생의 상호 반응 유형 : 초등학교 2학년의 소그룹 사례를 중심으로

        최건아 ( Gun Ah Choi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1 청람어문교육 Vol.43 No.-

        이 연구는 이야기 읽기에서 초등학생들이 보이는 상호작용적 반응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소리 내어 책을 읽을 때 초등학교 2학년 학생 세 명의 반응을 녹음하고, 이야기 읽기 및 읽기 방법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분석의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함께 이야기를 읽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적 반응의 유형은 13가지로 분석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기본적으로 이야기가 허구라는 점을 인식하였지만, 읽기 과정 중에는 이야기가 실제인양 반응하며 몰입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혼자 미리 읽어오기보다 동료 및 교사와 함께 책을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 분석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의 공유는 독서 과정을 더욱 풍성하게 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어린 독자들이 이야기를 통해 사회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고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을 자연스럽게 적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독자의 수준 및 흥미를 고려하고 다양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돕는 이야기 텍스트 사용을 제안해 볼 수 있다. 둘째, 독자가 스스로 텍스트에 대해 자유롭게 반응할 수 있도록 허용, 독려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interactive responses to story reading. Data was collected by recording the responses of three elementary school second graders while the researcher read a story to them out loud, and also an interview abou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bout the story reading and reading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irst, participants interacted naturally during the process of reading together. Second, the participants had thirteen types of interactive responses. Third, although the participants knew that the stories were fiction, they engaged them as real during the reading. Fourth, participants preferred to read together rather than to read individually in advance. Through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young readers construct their conceptions about society and naturally apply their personal experience or knowledge to the read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 propose that first, story texts should regard readers` level and interest and help them think from diverse perspectives. Second, an environment that permits and encourages readers` self regulated and unrestricted responses should be created.

      • KCI등재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S)과 우리나라 기 체결 FTA 서비스규정 비교 분석

        최건아(Gun-A Choi),박인섭(In-Sop Pak) 한국무역상무학회 2020 貿易商務硏究 Vol.88 No.-

        우리나라가 체결한 지역무역협정에서 서비스 양허는 서비스무역에관한일반협정(GATS) 방식 혹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방식을 따르고 있다. 지역무역협정의 확산과 함께 FTA에서는 GATS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규정되고 있다. 또한, FTA 규정 방식에 따라 서비스 구조와 양허 및 유보방식이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서비스무역 자유화에 따라 열거주의와 포괄주의 방식으로 주요 조항 채택, 독립 챕터 분류, 양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WTO 체제 하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S)의 적용 범위와 기본 구조를 파악하고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의 서비스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와 전략적 시사점이 향후 다른 국가와의 FTA 체결 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concluded by Korea, service concessions are made as stipulated in the 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GATS) or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As regional trade agreements such as FTAs increase, services are regulated in various forms in FTAs, unlike the framework of the GATS. Depending on the stipulations of each FTA, various methods of service structure, concession and reservation are adopted. In the case of Korea’s FT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list methods, found within the service trade liberalization list methods, are adopted so that the adoption of major provisions,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chapters, and the concession metho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rvice trade liberalization list methods the positive list methods and the negative list methods are adopted so the adoption of major provisions,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chapters, and the concession methods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ope and basic structure of the GATS under the WTO system. Finally, the research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future FTAs arising from analysis and comparisons of services provisions of the FTAs concluded by Korea thus far.

      • KCI등재

        한미 FTA 체결 이후 대미 금융서비스 무역 변화

        최건아(Gun-A Choi),박인섭(In-Sop Pak),송재두(Jae-Do Song) 한국무역상무학회 2021 貿易商務硏究 Vol.89 No.-

        한미 FTA를 구성하는 금융서비스의 협상은 다른 분야의 협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금융 산업이 이미 폭넓게 개방되어 있고 금융서비스의 국경 간 거래의 적용이 배제된 가운데 신금융서비스에 대한 국외법 적용 등과 같이 이를 규제·감독 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한미 FTA 체결 이후 한국의 미국 금융서비스에 대한 시장점유율, 비교우위지수, 무역특화도의 변화를 시계열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충격 반응함수, 분산분해, 그랜저인과관계분석을 통하여 대미 금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한미FTA 체결이 대미 금융서비스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는 확인되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한국이 금융서비스를 확대하였다고 할 수 없으므로 미국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별도의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Negotiations in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of the Korea-US FTA did not attract so much attention as negotiations in other fields. The reason is that Korea"s financial industry was already widely opened and legal basis to regulate cross-border transactions in financial services was not prepared. Time series analysis on financial services between two countries is focused on Korea’s market share, comparative advantage, and trade specification in theUS financial market after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Impact response, variance decomposition and Granger causality test are used to see the influence of FTA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market share, comparative advantage and trade specification in the US financial market. Negotiation settlement, and effectuation of FTA are generally regarded to have an effect on the above three indices, but it can not be clearly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Korea-US FTA can be the factor of market share and comparative advantage changes under rough significant level, but it can not be the factor of trade specification in the US financial market.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 that Korea needs appropriate strategy for advancement into the US financial market.

      • KCI등재

        예비 초등 국어 교사의 인터넷 댓글 분석

        최건아(Choi Gun-ah)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본 연구는 예비 초등 국어 교사들의 인터넷 댓글 쓰기 전략 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K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인터넷 토의는 국어 교육과 관련된 6개 주제로 진행되었다. 분석의 결과, 첫째, 댓글 내용에는 참여자들이 구사한 다양한 전략이 드러났다. 전략에는 특히 참여자들이 예비 교사라는 점에 기인하는 특징들이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이론과 실천의 연계성 및 실제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모든 참여자가 대학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인 근거 없이 단순히 의견을 기술하는 데에 그친 참여자의 사례도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토의가 이루어진 인터넷 카페를 공식적인 수업의 공간으로 인식하여 댓글의 어투에서 통상 인터넷 언어 특성으로 일컬어지는 일탈적 표현들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은 예비 초등 국어 교사들의 인터넷 쓰기에 관련된 실질적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토의 주제가 6개로 한정되었다는 점, 참여자들이 예비 초등 국어 교사라는 점 등의 제한점이 있으므로 결과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rvic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achers’ types of writing strategies of replies on the internet. Participants were ‘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second graders. And internet discussion’s 6 topics were rel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 strategies on the contents of replies. Especially, some traits were arise from participants’ positioning as pre-service teachers. Second, participants regarded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authenticity as important. Third, although all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there were some participants who argue without objective reasons. Fourth, replies rarely showed netspeak. Because participants regarded internet cafe as formal learning space. The result is meaningful because of authentic data related with pre-servic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achers’ internet writing. But the result has to be interpreted carefully considering this study’s limitation that discussion topics were 6 and all participants we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교육에서의 사랑의 구조 및 과정에 관한 모형 탐색

        최건수(Choi, Gun Soo)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 No.

        정년퇴임기념논문인 ‘교육에서의 사랑의 위치’에서 박중화교수는 인간애로서의 아가페적 사랑과 진리애로서의 에로스적 사랑은 하나의 구조로 통합할 수 있으며, 또한 교육애는 교사와 제자 간의 인격적 교류로 나타난다고 제안하였다. 슈프랑거도 소크라테스의 이성과 페스탈로찌의 인간애를 교사의 사명이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교사의 사랑은 인격적 이해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정신과학적 심리학을 바탕으로 두 가지 사랑을 통합할 수 있는 구조 및 과정을 모형화 하였다. 특히 박중화와 슈프랑거는 에로스적 사랑과 아가페적 사랑 즉 플라톤과 페스탈로찌에만 의존하지 않고, 두 갈래 사랑의 통합구조 및 과정에 관한 이론적 탐구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크다. 그런데 진리애로서의 에로스적 사랑과 인간애로서의 아가페적 사랑을 하나의 구조로 통합할 수 있다는 박중화의 설명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무엇을 준거로 하고 있는가 하는 이론적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슈프랑거의 교육애를 준거로 박중화의 교육애의 통합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박중화의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은 슈프랑거의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에 관한 모형을 준거로 분석될 때에 그 성격이 보다 분명히 규명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나의 새로운 모형을 탐색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에로스적 사랑과 아가페적 사랑의 통합에 대한 박중화의 설명으로부터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을 먼저 도출해 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슈프랑거가 제안한 정신과학적 심리학의 특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셋째는 슈프랑거가 모형화한 인격적 이해의 구조 및 과정을 준거로 박중화의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결론에서 박중화의 새로운 모형은 그 중요성과 학교 현장에의 적용성 그리고 인격적 관계의 성격 등 그 의의를 중심으로 간단히 요약·제시된다. J. H. Park suggested that Eros and Agape in education could be integrated as one and also, that educational love appears as a personal exchange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Also, E. Spranger’s educational love means Socrates’s reason and Pestalozzi’s love for the ego. So he has suggested a model for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racter to explain his educational love on the basis of his own psychology called Verstehende Psychologie. In particular, Park and Spranger have a great common point in that they proposed the possibility of theoretical inquiry on the integrated structure and process of two-pronged love, not relying on erotic love and agape love, that is, Plato and Pestalozzi. However, according to Park s explanation that erotic love as truth and agape love as humanity can be integrated into one structure, the theoretical question is raised as to what is specifically based on.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grated model of Park s educational love based on Spranger s educational love.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Park’s educational love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when analyzed based on the model of Spranger s structure and process, and furthermore, a new model can be explor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fold. First, this study is aimed to deriv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educational love from Park’s explanation about Eros and Agape. Second, to review Spranger’s psychology and then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Park’s educational love and Spranger’s model for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racter.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such as the importance of the new model of Park, the applicability in the school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is presented.

      • 간주관성의 의미 만들기와 인격형성의 관계 : J.S.Bruner의 문화주의의 관점

        최건수(Gun Soo Cho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브루너가 문화주의 교육이론에서 인격형성을 시사하는 것들과 관련하여 그의 교육이론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주의의 교육적 접근은 기본적으로 간주관성 및 의미 만들기의 탐구가 그 핵심이다. 간주관성은 아동들이 의미 만들기를 통해 자신의 특유한 견해를 자각하고, 나아가 이것을 준거로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 및 교섭 과정에서 문화의 표준적 신념이나 공공의 판단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교육에 대한 여러 문화주의의 시각들은 의미 만들기의 기회가 아동들에게 공평하게 주어짐으로써 그들이 마음의 힘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관점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문화에 의한 마음의 힘의 확대는 일과 권력에 관련된 사회 및 역사의 힘으로부터 자아의 역량을 형성하고 아동들이 정체성과 하나의 위치(입장) 그리고 양심 등의 의미를 구성(이해)하는 것이다. 자아 정체성의 형성, 하나의 위치 찾기, 마음잡기 등의 인격형성은 내러티브(이야기 만들기)가 교육의 과정에 잘 조화되어 적용될 때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행동적 목표의 수행(성취결과)으로부터 개인적 역량의 수행(자신의 입장과 의견을 자각하고, 공공의 판단을 결정하는 것)으로 수업의 준거를 옮기도록 교사를 도와줄 때 우리의 교육의 과정은 전환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runer s educational theory in relation to the suggestion of personality formation in culturalism. The key to the educational approach of culturalism is basically making meanings of intersubjectivity. Intersubjectivity refers to children s awareness of their own unique views through making meanings, and furthermore, achieving the standard beliefs or public judgments of culture in the process of exchanges and negotiations with others. Many perspectives on education of culturalism are the view that children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create meanings fairly so that they can expand their power of mind(self). In the end, the expansion of the power of the mind by culture is to form a culture(competence) of self from the power of society and history related to work and power, and construct(understand) the meaning of identity, one place and conscience. Also,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finding a place and prise de conscience can be realized when narrative(making stories) is applied harmoniously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ocess of our education can be changed when we help teachers gradually move the criteria of instruction from the performance of behavioral goals (achievement results) to the performance of personal competence (to be aware of his or her own place and opinion and to decide on public jud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