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2) - 『노동자의 이름으로』에 나타난 열사, 진정성 그리고 1990년대 -

        천정환 ( Cheon¸ Jung-hwan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이인휘의 『노동자의 이름으로』(2018)는 ‘노동소설의 노동소설’이라 불릴만하다. 이 소설은 민주노조운동의 ‘정치양식’으로서의 1980~90년대 노동소설의 세계관과 윤리, 서사문법과 형상성 등 미학적 요소를 집성하고 또 나름대로 갱신해서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1987년부터 지금까지, 한 세대를 건너 연속 또는 불연속 돼온 한국 노동운동을 돌아보는 내용을 갖고 있다. 이는 특히 현대자동차 노조 운동사를 배경으로 삼고, 1995년 부당해고에 맞서다 분신 자살한 현대자동차 노동자 양봉수 열사를 주인공으로 한 것이다. 알다시피 현대 자동차는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이며, 그 노조 또한 한국 노동운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지닌다. 회한과 슬픔의 정념을 가득 깔고 있는 이 소설은 왜 1990년대 노동운동과 ‘열사’를 주요한 소재로 삼았을까? 또 이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90년대 노동운동은 80년대적인 노동운동의 문화정치적 성격, 즉 전투적 노동조합주의로 상징되는 제반의 문화적 양식을 이어받으면서, 동시에 자유화ㆍ개인화ㆍ세계화ㆍ대중화로 요약될 수 있는 90년대 한국문화의 흐름과 길항해야 했다. 이같은 거시적인 맥락 하에서 이 소설은 노동운동에서의 ‘열사의 문화정치, ‘진정성 체제’와 노동의 관계 등을 보여주며, 90년대의 한국 노동계급의 문화적 형성과 분해의 과정을 걸었는지 보여준다. 이는 1980년대와 90년대에 대한 지배적인 시대 인식에 대해 다른 의식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90년대 노동운동 자체는 ‘진보’했지만 자유주의 헤게모니와 (대기업 중심) 기업 단위 노동조합운동의 한계 때문에 제한되고 방해받은 것이었다. 이처럼 이 소설을 통해 우리는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의 이행과 또 과도적 크로노토프의 문학ㆍ문화 연구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Lee In-hwi's In the Name of Laborer (2018), the most iconic work of the Korean labor novels. In political terms of the democratic labor union movement, the novel is a collection of aesthetic elements such as worldview or ethics, narrative structure, and figurativity of labor novels in both the 1980s and 1990s, and additionally is an updated version of them to the contemporary readers. The novel deals mainly with controversial issues of (dis)continuous Korean labor movements over one generation since 1987. In order to explore reflect such the history, the work is based on a true story of the Hyundai Motors union movement and casts in the lead role of the movement a Hyundai Motors worker, Yang Bongsoo, who fought against unfair dismissal and eventually committed suicide in 1995. The labor movement in the 1990s continues militant unionism―the cultural and political chracteristics of the 1980s labor movement. However, it has to be also in antagonism with the new currents of the 1990s emerging as liberalization, individualsim, globalization, and popularization in Korea. In this macroscopic context, the novel portrays ‘the cultural politics of labor movement marty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 ‘sincerity regime’ and labor, and the process of cultural format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Korean working class in the 1990s. These descriptions enables us to see things from another angle―not from the dominant view on the 1980s and 1990s. The 1990s labor movement unquestionably makes progress, but it turns out to have their limitations at the same time―under threat from liberalism-hegemony, it even changes into giant enterprise-dominated corporate-level labor union movement. Through Lee’s novel, accordingly, we can thoroughly investigate the remarkable transition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hich also serves as an example of transitional Chronotope in a study of literature/culture.

      • KCI등재

        제도로서의 독자 일제말기의 독서문화와 근대적 대중독자의 재구성(1) -일본어 책 읽기와 여성독자의 확장-

        천정환 ( Jung Hwan Che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This dissertation examines reading culture at the close of the Colonial Period and reformation of modern popular reader in Korea. Macroscopically the scale and aspects of Korean popular readers have magnified and grew and attained `modernity` from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1990`s continuously. Of course, it was not the process which was teleological or straightfoward as `formations-development-magnification`. It was constructive process containing bends and retrogression, also contigency. Korean people`s reading Japanese book under the total mobilization was also part of that constructive history. Japanese imperialism intervened and twisted the process with various suppressive policy. In this dissertation, I observed boom of publishing market in 1938~40 and its context and especially the aspect of magnification of the magazine readers and reconstitution the women readers.

      • KCI등재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천정환 ( Cheon Jung-hwan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6

        한국 노동소설은 `역사적` 양식으로서, 1920-30년대의 식민지 자본주의화, 해방기 노동자계급의 정치행동, 1960~90년대의 산업화·민주화를 맥락으로 삼고 각각 그 시대 `노동`과 노동하는 인간을 표현하고, 사회를 변혁하는 과제에 투여된 글쓰기다. 그래서 노동소설은 제한된 역사성을 넘는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노동`과 문학(글쓰기)이 갖는 긴한 관계 때문이기도 하다. 이 논문의 주된 관심은 1980년대에서 21세시로 이어진 한국 노동소설들의 역사적 단속(斷續)이다. 1980-90년대 노동소설은 한국 민주화 과정의 급진주의 운동 그 중에서도 특히 진보적 휴머니즘이나 전투적 노동조합주의의 경험·윤리·세계관·이상을 표현하는 문예적 구성물이었다. 이제 `노동소설`이라는 개념(호명)조차 마치 화석처럼 겨우 발굴해내야 하는 단층과 깊은 절리(節理)로 돼 있지만, 한국에서의 `노동`과 `노동하는 인간`의 역사가 새겨진 사회적 물체다. 부침과 환각의 과정을 겪어내고 2010년대 한국 소설도 새롭게 `노동`을 재현하고 `노동`에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들을 `근대문학 종언` 이전의 정치적 계몽주의 문학과 등치하거나, 반대로 그 서사적 주체의 계기가 `투쟁하고 연대하는 20세기적 노동자_주체`에서 `고립되고 무능력해진 21세기적 노동자_비주체`로 단순히 이행한 것으로 대비하여 인식할 수는 없다. 새로운 정세에서 `노동`은 `사회적인 것`의 새로운 배치 속에서 다시 주요한 의제가 돼 가고 있다. Korean labor novels are `historical` forms. These novels have a context of colonial capitalism in the 1920~30s, political behavior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1960~90s. These writings intended to transform society, express `labor` and laboring people at that time. Thus, a labor novel can have a universality(?) that goes beyond the limited historicity. This is also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literature(writing).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Korean labor novels from the 1980s to the 21st century. Labor novels of the 1980~ 90s were literary compositions expressing the experiences, ethics, world views, ideals of progressive humanism and militant labor unionism among the radicalism movement of Korean democratization process. Now, even the concept of a `labor novel` is almost like a fossil which needs to be excavated and consists fault and a deep joint, but it is a social object engraved with the history of `labor` and `laboring human` in Korea.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ise and fall and hallucinating, Korean novels in 2010 also renewedly represent `labor` and connect to `labor`. However, these novels are not equivalent to the political enlightenment literature before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or on the contrary, it also can not be recognized as the narrative subject`s simple transition of `20th-century worker-subject in the struggle and solidarity` to `isolated and incompetent 21st century workers-non-subject`. In the new situation, `labor` is becoming the main agenda again in the new arrangement of `the social`.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1980년대 문학.문화사 연구를 위한 시론 (1) - 시대와 문학론의 "토픽"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천정환 ( Jung Hwan Ch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이제까지의 1980년대 문학.문화에 대한 인식과 연구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과 입각점을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80년대적인 것’, ‘90년대적인 것’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기성의 신화와 상투적인 선입견을 벗는 일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보인다. 또한 1980년대 문학.문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민중문학과 민족문학론 및 리얼리즘 문학론의 문화적 시원과 문화사적 맥락을 재구성하는 것과 관계 깊다. 이는 ‘문예운동론’과민중.민족문학론을 80년대적인 당파성.전형성 등에 대한 지도비평적.정론적 토의로서나, 또는 1990년대 이후의 원론적 리얼리즘.모더니즘론 혹은 민족문학론의 변호론으로서가 아니라 새롭게 객관화하는 것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이 논문은 시론적으로 이 문제를 검토했다. This article is a suggestion for renewing epistemology of literature and culture of the1980’s. It is critical agenda to sublate myths and cliches which devide ‘the 1980’s’ and the1990’s dichotomically, so I argued the basic methodology for it. The brandnew prospect forliterature and culture of the 1980’s will be gained by reconstructing the cultural history andcontext of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and People’s Literature, also 1980’s Realism. ButI think it’s possible not as the way of 1980’s which argued with Realism including the conceptof Partisanship and Typicality, not as the way of 1990’s which discussed on the monistictheory of modernism and realism or on justification of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Thispaper examines some new way of rethinking realism and literal movement of 1980’s.

      • KCI등재

        논문 :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천정환 ( Jung Hwan Ch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7 No.-

        이 글은 서발턴(≒민중)과 글쓰기(≒문학)의 관계를 재검토하여 민중문학의 역 사적 위상을 다시 생각해보기 위해 써진 시론이다. 이를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물을 통해 살폈다. 이제 ``민중문학``은 잊혀진 역사적 과거가 되었고, ``민중문학``이라는 말 자체가 사어가 되다시피했다. 이 역사적 망실(忘失)은 다각도로 진행된 지배 문학과의 논쟁과 민중 문학 진영의 자기청산 등이 작용한 효과이다. 그런데 근대의 ``글쓰기(에크뤼티르)``와 문학 이 보급·향유된 이래, 문단(문학가들의 길드)과 문학미디어·문학교육·문학사·문학의 식 등에 의해 제도화된 ``문학``과 ``문학사``뿐 아니라, ``쓰이지 않은`` 혹은 ``쓸 수 없는`` 문학과 문 학의 역사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양자는 겹쳐 있으며, 이를테면 후자는 ``문학사``의 ``구성 적 외부``이다. ``민중문학``이란 그 쓰이지 않은 것들을 표시하는 한 개의 기표였다고 생각한 다. 잠정적으로 그것을 ``민중의 문학사``라 부를까 한다. 자율적 장의 인정을 받는 문학을 한다는 것은 근대 부르주아 문학제도의 원리를 내면화하 는 작용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그런데 ``80년대``는 한때지만 이 굳건한 제도와 원리가 위협당 하고 교란되는 상황에 이르게 했다. 무크지와 팜플렛, 그리고 노동자들의 자생적 글쓰기 때 문이었다. 뜨거운 자생적 문학열과 민중운동에 생성된 70~80년대의 민중적 글쓰기는 그러 나 문학주의에 의해 재단되고 청산되었다. 왜 (근대)문학은 어떤 국면에서, 그렇게 거칠고 조야한(?) 구호·르포·수기 들을 낳았는가? KAPF와 해방기의 구호시들과 80년대의 문학 같은 ``반문화적인`` 문자들은 어떻게 평가받아야 할까? ``문학``은 스스로 그런 구호나 슬로건, 저열하고(?) 전형적인 시들을 낳을 가능성을 내장한 것이라 본다. 그것은 물론 ``리얼리즘``과 관계를 맺으면서도 그것을 뛰어넘는다. 또한 ``구호``나 ``삐라``를 ``문학``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결국 ``잘 빚어진 항아리``만 ``문학`` 혹은 ``좋은 문학``의 범주 속에 넣는 지배학의 일종일 것이다. 현재와 같이 더 이상 구호·르포·수기를 낳지 않는 문학(제도)이란 바람직한 것일까? The people`s movement and the spontaneous craze for literature formed the popular writing of the 70`s and 80`s, and literature supremacy judged it and ended it. Why did (modern) literature, under certain conditions, give rise to those rough and coarse slogans, reportages, and essays? How should "countercultural" literature such as Korean Artist Proletariat Federation material, propaganda poems from the period of liberation, and literature from the 80`s be evaluated? "Literature" contains within itself the possibility to produce slogans, typical and crude poems, etc. It involves "realism" but goes beyond it. The denial that "slogans" and "leaflets" are literature comes from a mainstream literature that permits only "well-made pottery" into the category of "literature" or "fine literature." Is a literature (or literary world) which no longer produces slogans, reportage and essays desirable?

      • KCI등재
      • KCI등재

        창비와 ‘신경숙’이 만났을 때

        천정환(Cheon Jung-Hwan) 역사비평사 2015 역사비평 Vol.- No.112

        In mid-2015, the Korean literary field became embroiled in a major controversy brought on by the recent plagiarism scandal surrounding Shin Kyung Sook. More important than the issue of plagiarism, however, is that this controversy provides a ripe opportunity to re-examine not just Shin’s novels, which is representative of 1990s Korean literature, but also the core ideology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led by private publishers, represented namely by Changbi and Munhak Dongne, and an elite circle of professional literary critics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I will show how this problematic can be traced back to Paik Nak-chong’s initial assessment of Shin Kyung-sook’s 1995 novel The Lone Room. This paper, thus, proposes to explore the Korean literary and cultural field of the 1980s and 1990s and to re-evaluate this important period in Korean and global history that experienced the fall of the Socialist movement worldwide and post-1987 democratization and liberalization in South Korea. Furthermore, aside from the fundamental ideological changes, these two decades ushered in changes in popular media culture, advanced women’s literature and feminism.

      • KCI등재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천정환(Jung Hwan Ch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3

        In the late colonial period-a uniquely problematic period in Korea`s history-more than two hundred novels were written in Japanese by Korean authors. As such, it is meaningful to discuss the diverse aspect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This paper charts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authors by analyzing the conditions in literary societies, through problems arising from bilingualism, and by looking at the response of readers. This paper also revaluates the consciousness of author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by considering novels written in Japanese in which the character I emerges as an author-narrator. In these novels, it is I who reads and writes. That existing/acting I of the author, who reads and writes in the novel, is a significant symbol and device that encapsulates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self and oth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of I in the novels of Kim Nam-cheon, Im Soon-deuk, Yi Gwang-su and Chung In-tae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