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택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I.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간(間)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차이(差異)

        천상욱,구자옥,박상진,Chon, S.U.,Guh, J.O.,Park, S.J. 한국잡초학회 1994 Weed&Turfgrass Science Vol.14 No.2

        다양(多樣)한 재배양식(栽培樣式)하에서 파종(播種)및 이앙(移秧)한 5, 10, 15, 20일간 생장한 벼와 피를 굴취하여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차이(特生差異)를 검토(檢討)하고자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으로 줄기, 잎, 뿌리의 구조(構造)를 각각(各各) 관찰(觀察)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 가. 5DAS/T째 벼와 피의 줄기종단(縱斷)을 통한 해부학적(解剖學的) 차이(差異)는 벼는 피보다 엽(葉)의 분화(分化)가 느리고 측아형성(側芽形成)도 적었으며, 분열조직(分裂組織) 신장(伸長)도 피보다 적었다. 나. 담수조건(湛水條件)보다 건답(乾沓)에서 생장속도(生長速度)가 빨랐고 줄기종단(縱斷)에 의한 벼는 엽초가 두껍고, 최외층(最外層) 세포(細胞)가 정교(精巧)하며, 규칙적(規則的)으로 배열(配列)되어 있으나 피는 엽초가 짧고 거칠며 성기고 큰 세포(細胞)들이 불규칙적(不規則的)으로 배열(配列)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다. 건답(乾沓)벼에서의 엽시원체(葉始原體)는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이 있었던 반면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는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이 없는 통기세포(通氣細胞)가 발달하였다. 라. 이앙(移秧)벼에서는 직파(直播)벼에 비해 많은 엽시원체(葉始原體)가 분화(分化)되었고 큰 통기강(通氣腔)들이 발달하였다. 2. 잎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 가. 벼의 표피세포(表皮細胞)는 작고 치밀(緻密)한 배열(配列)을 하며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가 존재(存在)하고 엽물세포(葉肉細胞)에 엽록소(葉綠素)가 있는 반면, 피는 표피세포(表皮細胞)가 크고 성기게 배열(配列)되어 있으며 유관속초세포에 엽록소(葉綠素)가 있고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 없었다. 엽신(葉身)의 단위(單位)길이당(當) 유관속수(維管束數)는 벼끼리는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으나 피는 벼보다 더 많았고, 피는 건답(乾沓)보다 담수(湛水)가 더 많았다. 다. 5DAS/T째 엽신(葉身)의 두께는 이앙(移秧)벼보다는 직파(直播)벼, 건답조건(乾畓條件)보다는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피보다 벼가 더 컸으며 직파(直播)벼에 비하여 이앙(移秧)벼는 표피세포(表皮細胞)와 세포벽이 비후화(肥厚化)되었고 엽신(葉身)이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기동세포(機動細胞)) 부위에서 굴곡(屈曲)되어 되어 전개(展開)되었다. 3. 뿌리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 가. 벼와 피의 근구조(根構造)의 기본적인 차이는 근단(根端)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보면 1mm 부위는 직경(直徑)이 피보다 벼가 크고, 벼의 표피세포(表皮細胞)는 좁고 긴 타원형(楕圓形) 세포(細胞)로 배열(配列)되어 있고, 표피(表皮) 아래층(層)에 외피층(外皮層)이 존재하며 후벽세포(厚壁細胞)가 형성(形成)된 것이 특징(特徵)이고 각(各) 세포(細胞)가 조밀(稠密)하게 배열(配列)된데 비해 피는 크고 둥근 타원형세포로 된 표피세포(表皮細胞)가 있고 외피층(外皮層)과 후벽세포(厚壁細胞)가 없으며 성기게 배열(配列)되어 있었다. 나. 재배양식(我培樣式)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근단(根端) 5mm 부위(部位)의 건답(乾沓짧)벼의 뿌리는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이 있고 세포배열(細胞配列)이 규칙적(規則的)이며 세포간극(細胞問隙)이나 통기세포(通氣細胞)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건담(乾沓) 및 담수(湛水)피는 핵(核)이 없고 세포배열(細胞配列)이 불규칙적(不規則的)인 경향(京鄕)이었다. 다. 담수(湛 At 5 DAS/T, leaf primordia of rice stems that were grown under dry condition in transverse sections were strongly stained while those under water condition had many aerenchyma cells well developed. On the other hand, leaf primordia and large air spaces in stem of transplanted rice were well developed. Rice in leaf anatomy had small and fine epidermal cells, chlorophyllous mesophylls, and bulliform cells but had no chlorophyllous vascular bundle sheath cells, while barnyardgrass leaf had large, rough and irregularly arranged epidermal cells, chlorophyllous vascular bundle sheath cells, and non-bulliform cells but had no chlorophyllous mesophylls. Epidermal cells of transplanted rice, however, were well developed, differentiated and sclerified. Cross sections of rice root under dry condition showed cell contents, regularly arranged cells, non-intercellular spaces and non-aerenchyma while under water condition had well-developed intercellular spaces, aerenchyma cells, small and densely arranged epidermis, sclerified exodermis and sclerenchyma cells. But root anatomy of transplanted rice consisted of finely, regularly arranged epidermis, well-developed intercellular spaces and nucleous cells.

      • KCI등재

        CCGIS를 이용한 기후 변화 대응 전국 232개 시군별 마늘 생산성에 관한 취약성 평가

        천상욱,이경동,이동한,허북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3

        전국 시군별 마늘 생산성에 관한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후 노출지수, 기후 변화 민감도 지수, 기후 변화 적응 능력 지수를 가중치와 함께 도출하였으며, 각 지수 도출을 위한 변수들도 가중치별로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평가하였다. 마늘 생산성의 취약성 지수는 제주시, 고흥군, 창녕군, 서귀포시, 신안군이 각각 취약성 0.92826, 0.92374, 0.85635, 0.82150, 0.81360으로 높았다. 기후변화 민감도 평균지수는 제주도가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균지수는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순으로 높았고, 제주도와 강원도가 낮았다.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수에 대한 기여도는 GRDP농림어업, 지역내 총생산(GRDP)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수, 경지면적당 정비사업 관계직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후노출 변수와 기후노출 지수와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파종 및 정식기 마늘이 저온에 의한 피해정도가 심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민감도 변수와 민감도 지수에서는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응능력 변수와 적응능력 지수의 상관관계에서는 재정자립도(%)와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수(명/ha)가 각각 r2 = 0.610과 0.511로 적응능력 지수와 가장 높은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취약성 지수는 적응능력 지수가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고(r2 = 0.424), 그 다음이 민감도 지수(r2 = 0.333), 기후노출 지수(r2 = 0.225)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구비는 취약성을 극복하는 중요한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Vulnerability of garlic productivity against climate change using CCGIS (Climate Change adaptation toolkit based on GIS) program was evaluated for 232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The vulnerability index was calculated from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nd adaptive capacity index, adding with weight value for each index. The climate exposure index was highest at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 and followed by Goheung, Changnyeong, Seoguipo City, JSSGP and Shinan by 0.9283, 0.9237, 0.8564, 0.8215, and 0.8136. Among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Gangwon was the highest province, and followed by Chungbuk, Jeonbuk, Gyeonggi, and Chungnam. However, JSSGP was the lowest. Sensitivity index for climate change was highest in JSSGP, and adaptive capacity index in Gyeonggi province. The vulnerability index was highest in JSSGP, and followed by Gangwon, and Gyeonggi province (lowest ). Contribution degree to sensitivity index was low from most of various variables. Contribution degree to adaptive capacity index was highest from 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of agro-forest industry and GRDP, and low from agriculture population per arable land area, no. of government officials related with land preparation per arable land are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limate exposure variables and climate exposure was highest between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11℃ from Sept. to Oct. and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14℃ from Sept. to Oct. (r2 = 0.949). The result showed that low temperature during seeding or transplanting time affects severe reduction of early growth of garlic plants. Sensitivity variables and index directly affected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amount. Adaptive capacity index and GRDP (r2 = 0.610) or agriculture population per arable land area (r2 = 0.511) was highly correlated. Conclusionally, vulnerability index was highly correlated with adaptation ability index (r2 = 0.424), with sensitivity index (r2 = 0.333), and with climate exposure index (r2 = 0.225), showing that the most significant index for vulnerability overcome would be the adaptive capacity against climate change prepared at each city or county.

      • KCI등재

        염분에 대한 콩의 생리학적 반응지표 연구

        천상욱,박종환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광안콩”의 20일 묘를 공시하여 0~90 mM의 염분조건에서 콩의 생리학적 피해정도를 산정하고 내염성 품종선발과 육종계획에 요구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엽록소의 함량은 정상적인 관수를 실시한 대조구에 비해 염분 처리에서 15~60% 감소하였고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염분 처리에 따른 광합성과 호흡량은 각각 28~48%와 16~34% 감소하였고 O₂생산 비율보다 O₂소모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분 potential은 정상 잎(-1.5MPa)에 비해 염분처리에서는 농도별로 -2.13에서 -2.69 MPa로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개화기 염처리에서 대조구 13.3 μg의 약 17~22%로 감소한 11.8~10.4 μg이었으며 증산저항은 1.08~1.70 S/m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콩 잎의 수분증산 저항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은 잎 내부의 기층저항이 가장 심한 차이를 보였고 무처리에서 45.9 S/m인 반면 염분처리에서는 53.5~56.6 S/m로 농도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기공저항과 잎 경계면의 저항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무기물 함량은 뿌리보다 잎에서 축적량이 더 많게 나타났으나 Na^(+)만이 뿌리에 더 많이 축적되었고 N, P, K^(+), Ca²^(+) 및 Mg²^(+)는 무처리에 비해 오히려 그 축적량이 감소하였다. 염분처리에 따른 콩 잎의 유리 proline은 무처리(10.5 μg) 대비 1.8~4.2배(184~434 μg)로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축적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Nitrate reductase의 활성은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농도가 90 mM 염분 처리에서의 증가폭은 다소 둔화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peroxidase 활성 역시 염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echanism imparting salt tolerance to crop plants remains still unsolved, although soybean has been classified as a susceptible plant to NaCl. To determine optimum parameters on physiological resp onses for improving sensitivity of salinity in breeding program, soybean (Glycine max Merr., cv. "Gwan- gan") plants were grown in a greenhouse, treated 20 days after emergence for 7 days with NaCl at 0, 30, 60, and 90 mM corresponding to electric conductivity of 1.2, 4.4, 7.3, and 10.4 dS/m, respectively, and assessed 30 days after treatment. Chlorophyl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NaCl (0.4-1.0 ㎎/g) compared to control (1.2 ㎎/g. Photosynthesis rate by NaCl treatment at 0-90 mM at flowering stage was ranged from 5.0 (control) to 9.6 μ㏖/㎡/s. Oxygen for respiration was consumed from 5.4 to 9.7 μ㏖/㎡/s so that the ratio of O₂(evo1ution:consumptio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indicating that O₂ consumption seems to go beyond O₂ evolution. Water potential of leaf at vegetative stage Ⅱ was ranged from -0.6 to -1.8 MPa and the highest level was observed at mid-day. Water potential by salt stress was decreased with range of -2.1-2.7 MPa compared to control. Transpiration was decreased from 17% to 20% by NaCl stress. Water vapor diffusing resistance of intercellular air space was affected significantly, increastng up to 16-24% corn pared to control by NaCl treatment, Salt-treated soybean tended to accumulate Na^(+), specially in root, with reduced absorption of N, P, K^(+), Ca^(2+), and Mg^(2+) contents. Free proline content of soybean leaf as affected by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was increased 4.2 times (184-434 ㎍/g) more than control. NaCl also increased activities of nitrate reductase and peroxidase by 28∼161% and 3-22%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plants during assay were useful as the best parameters of salt stress or salt tolerance test to improve sensitivity in screening and breeding program among cultivars or germplasms.

      • KCI등재후보

        친환경 버섯배지에 녹차 잔류물의 처리가 새송이버섯의 생장 및 Catechin류 함량에 미치는 영향

        천상욱,김영민,윤대령 한국자원식물학회 2007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0 No.1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anslocation of polyphenols, especially catechinderivatives, from mushroom medium mixed with green tea residues into fruiting body of Pleurotus eryngii. Pleurotuseryngiiwas grown on the media incorporated by mixing or surface-treated with dry materials including leaf petioles andyoung stems or leaves of green tea. The dry materials treated in medium did not affect plant height and fresh weight ofPleurotus eryngiibody. From the samples of Pleurotus eryngii, the eight main catechin derivatives (-)-gallocatechin(GC), (+)-catechin (C), (-)-epicatechin (EC), (-)-epigallocatechin (EGC),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gallocatechin gallate (GCG), (-)-epicatechin gallate (ECG), and (-)-catechin gallate (EGCG), and caffeine were analyzedquantitatively by HPLC. The results showed that EGC in Pleurotus eryngiiwas 45% more detected, when incorporatedwith the dry materials, than untreated control. Especially, content of EGCG was increased in surface-treated Pleurotuseryngiiup to 3.2 ppm, while it was not detected or reduced in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Caffeine content was greatlyincreased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 compared with control (0.1ppm), showing 44 fold-amount in Pleurotus eryngiiat early growth stage when incorporated with the dry materials into medium. The results indicates that functionalcatechin derivatives of green tea would be partly translocated into Pleurotus eryngiithrought incorporation and surfacetreatment with residues of green tea plants.Key words - Pleurotus eryngii, Green tea, HPLC, Catechin derivatives, Caffein

      • KCI등재

        배지조성과 차광정도가 시설하우스 재배 인삼의 초기 생육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천상욱,정순목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5

        Plastic house an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strate components and shade degrees on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ly-active substanc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istics among substrates was observed. However, shade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reduced leaf area, chlorophyll content, root length, and shoot and root fresh weight (P<0.05) with increasing of the degree. Total phenolics level [mg ferulic acid equivalents (FAE) kg-1 DW] was higher in root parts (25.8 to 28.4 mg kg-1) than shoot parts (20.7 to 23.8 mg kg-1) of Panax ginseng, and with shade (23.7 to 28.4 mg kg-1) than without shade (20.7 to 25.8 mg kg-1). However, total flavonoids [mg naringin equivalents kg-1 DW] was more detected in the shoot part (17.4 to 26.8 mg kg-1) than in the root part (6.7 to 7.0 mg kg-1) of Panax ginseng. Methanol extracts from the Panax ginseng plant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a antioxidant potential, and the activity was higher in shoot parts (31.1 to 36.5%) than in root parts (24.9 to 28.7%), and without shade than with shade. In conclusion, shade affects plant growth as well as physiological activity of Panax ginseng under plastic house condition. 인삼의 시설생산을 위하여 배지 조성 및 차광 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 하에서의 생육특성과 생리활성 변화를 검토하고자 온실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적정한 배지 조합은 차광 정도에 따라 달랐는데 무차광에서는 coco peat 단독, 50% 차광에서는 coco peat와 perlite를 50:50으로 혼합하였을 때, 70% 차광에서는 perlite 단독배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생육을 보였다(P<0.05). 차광은 엽면적, 엽록소 함량, 근장,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20.7∼23.8 mg・kg-1)보다는 지하부(25.8∼28.4 mg・kg-1)에서, 무차광(20.7∼25.8 mg・kg-1)보다는 차광(23.7∼28.4 mg・kg-1)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하부(6.9∼7.0 mg・kg-1)보다는 지상부에서(17.4∼26.8 mg・kg-1), 무차광보다는 차광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반면,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24.9∼28.7%)보다는 지상부에서(31.1∼36.5%),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차광은 비닐하우스 조건하에서 재배된 인삼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