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평생학습 학자금 지원 제도의 설계 방향에 대한 탐색 : 영국과 스웨덴 사례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채재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이 연구는 지식기반경제의 진전에 부응하여 고등수준의 평생학습(‘고등평생학습’이라 함)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학자금 지원 제도의 혁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식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저학력 근로자만이 아니라 고학력 근로자도 숙련성 유지를 위해 고등평생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교 사례로서 영국과 스웨덴을 선택한 이유는 고등평생학습이 활성화되어 있고 성인학습자 학자금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고등평생학습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시간제 등록제의 보편화와 성인학습자의 대학입학 확대 등을 통해서 성인친화적인 고등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또한 양국은 학자금 지원 유형과 운영 면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고등평생학습체제가 실질적으로 운영되도록 연령과 등록 유형에 대한 제한 없이 학위과정 및 비학위 과정 이수를 지원하는 학자금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는 고등평생학습체제를 실질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입시, 교수학습, 학사관리 등과 같은 대학시스템의 혁신 외에도 ‘학자금 지원 제도’를 성인학습자 친화적으로 설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ICT, lifelong learning becomes a necessity for all regardless of a person’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Not only high school graduates, but also college graduates are under strong pressure to seek the further study in order to keep their skills and knowledge up to dat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Korean government with the implications on the student aid system which promotes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o realize this goal, it compares the student aid systems for mature students of UK and Sweden because participation rates of lifelong learning in both countries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member count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both UK and Sweden have initiated policies to highlight the role of higher education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and have also made it easy for mature students to study at universities through part-time enrolment system and flexible admission system. Accordingly, higher education is part of the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in both countries and thus older undergraduates are supported by the student aid system. Whereas the student aid systems of UK and Sweden’s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elements and operating methods, they are in similar in that both of them provide mature students with the student aid to enable them to pursue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cases of these two countries imply that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equires the financial aid system as well as the admission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and student affairs suitable for mature-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핀란드와 노르웨이의 대학 통폐합 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채재은,변수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8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university mergers that took place in Finland and Norway in order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considering university merger as an effective policy instrument for restructuring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Based on reviewing the previous literature and related documents, researchers conducted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context, strategies, and outcomes of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ity merger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of analyses suggested that combination of government’s clear direction-setting and enhanced autonomy of merging institutions was essential for successful mergers. Considerations on upgrading the structure of the whole higher education sector to meet new needs of the future society were also suggested. 본 연구는 국립대학 통폐합을 과감하게 추진한 핀란드와 노르웨이의 정책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국립대 구조개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온라인/오프라인 문헌 자료들을 토대로 양국의 대학 통폐합의 추진 배경과 전략,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국은 국립대간의 상보성 강화, 특성화 분야 발굴, 대학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을 위해 국립대 통폐합을 과감하게 추진한 공통점이 있는 반면에, 추진전략 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핀란드는 국립대학의 자율적 운영과 책무성 강화를 위해 법인화를 대대적으로 추진한 후 ‘대학 자율성 기반’의 통폐합을 진행하고 성과기반 재정지원을 통해서 그 효과를 강화해온 반면에, 노르웨이는 초기에는 정부주도형으로 국립대 통폐합을 추진하였으나, 대학들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자율적 통폐합으로 선회하였다. 양국 사례는 대학 수 및 입학정원 감축 등과 같은 ‘고등교육 규모의 양적 축소’ 보다는 ‘고등교육의 경쟁력 및 질 향상’이 국립대 통폐합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선결요건(대학운영의 자율성 보장, 거버넌스 개혁, 재정지원방식 혁신 등)이 충족되어야 통폐합의 취지가 제대로 살아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해외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정책과제

        채재은,조수진,최낙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어 교육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urrent status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lso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polic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hindering Korean education as well as ways to promote it.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curriculum/textbook and administration’ among the four survey categories were mainly pointed out as the impediments. In particular, sub-factor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treatment of teachers’ were pointed out as major obstacles. And as a way to promote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mprovement of administration’ was pointed out as the most urgent task,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hancement of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solve such administrative issues as ‘lack of personnel and institutions.’ It also should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Korean teachers and train overseas ones to enhance the quality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이공계 대학원생의 국가장학금 요구도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채재은,최낙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이공계 고급인력의 안정적인 육성방안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공계 대학원 국가장학금 제도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웹서베이를 통해 대학원생 415명과 교수 133명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비교(T-test)를 사용하여 개인적 속성과 소속기관의 특성을 기준으로 연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공립대와 비수도권 대학 소속 구성원의 국가장학금 요구도가 비교집단의 요구도보다 높았고, 석사과정보다는 박사과정에 대한 지원 요구도가 더 높았으며, 공학계열보다는 자연계열 지원의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 고 있었다. 또한, BK21 사업단 소속 응답자의 국가장학금 요구가 더 높았고, 교수보다는 대학원생의 국가장학금 지원 요구도가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장학금 제도의 수립과정에서 지원금액의 현실화, 비수도권 사립대 의 이공계 대학원 활성화, 학생 자율 연구를 위한 제도적 지원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table strategy for advanced professional cultivation in the STEM fiel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mands for the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in STEM graduate schoo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web survey, with responses from 415 graduate students and 133 professor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mean comparisons (T-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mand for national scholarships among members affiliated with national public universities and non-capital private universities in the STEM fiel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Additionally, the demand for support was higher for doctoral programs compared to master's programs, and there was a greater perceived need for support in the natural sciences compared to engineering disciplines. Furthermore, respondents affiliated with the BK21 project showed a higher demand for national scholarships, and graduate students expressed a higher demand for scholarship support compared to professo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realization of support amounts for degree program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revitalization of STEM graduate programs in non-capital private universit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student-led research.

      • KCI등재

        고등교육 질 보장(Quality Assurance) 접근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 미국, 호주,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채재은,이병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1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고등교육의 수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면서 질 보장(quality assurance)이 많은 국가에서 정책현안이 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 국가는 자국의 대학이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어 제공되는 외국의 고등교육 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체제를 갖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서야 국제 수준의 평가체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제 수준의 질 보장 체제를 갖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미국, 호주, 핀란드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결과가 국제적 통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대학 평가 수준을 높여야 한다. 둘째, 대학 평가와 재정지원을 연계하여 대학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책무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질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기술적, 재정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국경을 넘는 고등교육에 대한 질 보장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As a competitive higher education system is likely to contribute to a sustainable growth of a nation, national priority is given to the quality assurance of higher education among developed countries. These countries are setting up a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thei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s well as cross-border higher education services. Korea has been somewhat behind on establishing a quality assurance system of higher education with international comparability. This study analyzed American, Australian, and Finnish quality assurance system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ased on the analysis, it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quality assurance system of higher education as follows: First, evaluation standards should be improved to be commensurate with the global ones. Second, institutional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linked with resource allocation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trengthen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Third, government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help institutions develop their own quality assurance system. Finally, with increasing cross-border activities, a quality assurance system of cross-border high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운영의 저해요인 분석

        채재은,이인서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sortia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New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Project' ('COSS Project'), which focuses on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were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irst, the business plans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eight consortia were used to analyze their joint curriculum operation plans and academic system improvement performa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heads of the academic affairs teams of the eight consortia to understand the results in more depth. The analysis of the eight consortiums' plans showed that,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rriculum sharing among univers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joint operation of microdegree courses, credit transfer and credit accreditation, credit exchange systems, and intensiv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lesser th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the easier it is to gather opinions on campus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courses at other universities. These findings were reinforc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academic affairs teams, which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actors at the level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there are many fact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at mak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a number of new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s to promote shared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COSS 사업’)’에 참여하는 8개 사업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8개 사업단들의 1, 2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 계획과 실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 사업단의 학사행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8개 사업단의 계획서 분석 결과, 첫째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에는 ‘개별대학 특성’만이 아니라 ‘참여대학들의 동질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제도개선 유형’ 중에는 마이크로디그리정 운영 관련 개선 실적이, ‘학점교류 및 학점인정’ 유형 중에는 학점교류제 시행 관련 개선 실적이, ‘학기 운영’ 유형 중에는 집중이수제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사제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을수록 학내 의견 수렴이 쉽고, 학생들의 타교 교차수강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사팀장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보다 확연히 드러났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체제,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차원의 요인들 외에도 학사제도 개선을 저해하는 는 개별 대학 차원의 요인들이 다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간 공유활동 촉진을 위해서 각 대학,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재외 한국교육원 운영 실태 및 변화 요구 분석

        채재은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The Korean Education Centers (KECs) are facing a growing demand for innovation in terms of roles and functions due to the new Korean wav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organizational conditions of the KECs and the need for their changes in order to explore their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se purpose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former and current KECs’ directo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Whereas the demand for changes in the KECs was growing due to the change of the generation of overseas Koreans and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it was difficult to switch their roles due to the A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Korean Nationals and lack of administration resource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help the KECs transform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local deman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1960년대 재외동포교육기관으로 출범했던 한국교육원(이하 ‘교육원’이라 함)은 최근 신 한류의 확산 등으로 인해 역할과 기능 면에서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원의 운영 실태와 변화 요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관련 문헌 등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전, 현직 교육원장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외동포의 변화, 한국어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교육원의 변화를 요구하는 지역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원의 주 대상을 ‘재외동포’로 규정한 ‘재외국민교육법’과 교육원의 ‘모호한 법적 지위’, ‘영세한 조직규모’ 등으로 인해 역할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제약 하에서 교육원에 새롭게 제기되는 요구들을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지역별로 교육 수요 변화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그에 맞추어 교육원의 핵심 기능과 조직규모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중장기적으로는 한국교육원의 역할 전환을 반영한 법적 근거와 지원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