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기능적 보안 · 대체의사소통 훈련이 중도장애학생의 물건사기를 위한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채수정(Soo Jung Chae),박은혜(Eun 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4 No.-

        신체적, 지적으로 심한 장애를 지닌 중도장애 학생들 중에는 제한적인 구어 사용 기술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보안·대체의사소통(AAC) 훈련이 그 환경에 알맞은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보안•대체의사소통 도구 유형(음성출력 의사소통도구와 의사소통판)의 차이가 의사소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4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했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와 평행처치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훈련, 일반화, 유지 기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기능적 보안·대체의사소통 훈련을 통해 물건사기 활동에 적절한 의사소통 행동을 습득하였으며 그 행동은 계속 유지되었다. 또한 보안·대체의사소통 도구 유형의 차이에 따라 의사소통 행동이 유의하여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장애 학생의 교육에 관련 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교유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ites often experience great difficulty in meeting their communicative needs. Recently, researchers have develop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as effective means for those with communication problems. In this study,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addressed: the effect of functional AAC training on the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 differential effect of two AAC device(communication board and voice oupput communication aid). Subjects were 4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ttended in special elementary school. Simple grocery shopping was used for functional AAC training context. Parallel design was used and generalization maintenance effect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1) all 4 subjects acquired the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 through functional AAC training, (2) acquired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generalized at other two stores, (3) acquired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maintained 3 weeks after training, (4)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mmunicative behaviors between the subjects using communication board and VOCA.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과 특수교사의 AAC 상징인식 비교연구

        채수정(Chae,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들과 특수교사들이 감정을 나타내는 그림 상징을 어떻게 명명하는지, 또한 감정을 설명하는 스크립트에 맞는 그림 상징을 선택하게 될 때, 어떤 선택을 하는지 두 집단의 반응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감정을 나타내는 그림상징 인식 일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지적장애아동 20명과 특수교사 20명이 참여하였고, 연구도구로 상징인식 설문과제지를 이용하였다. 설문과제에 쓰인 그림 상징은 PCS™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이며, Ekman(1972)이 제시한 기본 감정 6가지 중, 유아기까지 발달되는 4가지 감정, “기쁘다”, “슬프다”, “화나다”, “두렵다”의 인식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중재충실도를 구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방법과 독립표본 Mann-Whitney의 U 검정을 활용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아동과 특수교사들은 “슬프다”와 “두렵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명명할 때, “기쁘다”와 “화나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인식할 때 보다 많은 오류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들은 “기쁘다”, “화나다”, “두렵다”를 나타내는 상징을 명명하는데 특수교사들 보다 오류를 유의미하게 많이 보였다. 또한 그림상징을 선택하는 과제에서는 지적장애아동들이 “슬프다”와 “두렵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선택하는데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아무 정보 없이 명명하는 과제보다 감정의 상황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주어졌을 때 목표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선택하는 수가 늘어났다. 이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들이 AAC 상징을 선택하고 훈련을 계획함에 있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symbols depicting four emotions. 2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two tasks: The task 1 was to name 20 symbols respectively and the task 2 was to select a symbol after listening or reading a script which described an emotion such as happy, sad, angry, and afrai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to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two groups. As results, the emotion of happy and angry was easier to select rather than sad and afraid in both groups. Howeve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perception on the symbols depicting four emotions from naming and selecting tasks. Therefore it needs to be cautious to select and use symbols for AAC users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because there are some discrepancy on symbol perception of some emotions between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후보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요관부목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채수정(Chae Su Jeong),박호란(Park Ho Ran),양수(Yang Soo) 기본간호학회 2007 기본간호학회지 Vol.14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pain in patients for whom a ureteral stent was inserted under local anesthesia.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 patients who received a ureteral stent at the Day Surgery Center of C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October in 200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n=11) and an experimental group (n=11). For the experimental group, music was played according to their musical preference using headphones. The music was provided from the point when the patient took the posture for the operation and was covered with a sterilized drape to the point when the cystoscope was removed after finishing the operation. The control group was only provided with ordinary nursing service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vision of music therapy to these patients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atients' salivary cortisol and Vas-anxiety score and stabilizing their systolic blood pressure. Conclusion: We conclude that music therapy can be actively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anxiety in patients who receive operations under local anesthesia.

      • KCI등재

        장애 관련 웹 기반 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채수정(Chae, Soojung),이희연(Lee, Heey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장애관련 웹 기반 프로그램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인들을 위한 웹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6개의 학술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1990년 이후 국내 논문 51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들을 연구유형, 장애 유형 별 연구대상, 웹 기반 프로그램의 활용 범위, 웹 기반 프로그램의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발 및 개발 및 적용 연구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고,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웹 기반 프로그램은 학령기를 포함한 생애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에 관한 문헌들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의 유형으로는 교수-학습, 일상생활 보조, 진단-평가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향후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web-based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 total of 51 studies published after 1990 was collected via six research data-base.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ypes of research method, target populations, and web-based programs.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and most programs were developed for individuals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 A large number of the disability-related web-based programs were develop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ross the whole life-span including school-age. The type of the web-based program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teaching-learning, the daily-life assistance, and the diagnosis-assessment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s for web-based program development with practical use in special education were recogniz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