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고령의 반룡사와 체원(體元)의 화엄사상

        채상식 ( Sang Sik Chae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고령에 소재한 반룡사는 어떤 역사적, 사상·신앙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우선 반룡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에 해인사와 같은 시기에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현전하는 반룡사 다층석탑의 조성시기는 문헌자료와 연결하면 고려중기일 가능성이 높다. 반룡사에 관한 문헌자료로서 원 세조가 내린 榜文이 있다. 이 방문을 내린 사찰은현 반룡사가 아닌 것 같다. 당시 몽고군이 주둔한 창원의 남쪽에 있는 `반룡산`이 주목된다. 한편 「送盤龍如大師序」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를 실제 개창한 인물은 승통 寥一이다. 그는 李仁老(1152~1220)의 大叔으로 화엄종 사찰인 개경의 흥왕사 승통이었으며, 최충헌을 모해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은 적이 있다. 요일이 개경에서 벗어나 반룡사에 정착한 것은 아마 중앙의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진 화엄종단의 부흥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곧 반룡사를 터전으로 삼아 인접한 해인사, 법수사 등과 나아가 경상도 지역에서 화엄종의 연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활동한 것은 아닌가 한다. 한편 충숙왕대에 이르러 반룡사에는 體元이 새로운 주법으로 부임한다. 그는 경주 이씨로서 이제현의 家兄이며, 해인사 사간판에 수종의 자료를 남기고, 『화엄경』을 寫經한 바 있다. 그가 남긴 저술을 검토한 결과 관음신앙을 강조하고 또 이를 통해 공덕과 영험까지도 표방하고 심지어 민간신앙과 결합된 성격을 띤 사상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곧 체원이 중심이 된 14세기의 화엄종은 신앙적인 측면이 두드러진 불교관을 표방함으로써 한 단계 진전된 화엄사상을 표방하지는 못한 셈이다. 여기서 중심되는 것은 관음신앙이었는데, 당시 불교계의 공통된 사상·신앙적 경향이었다. 대몽항전, 삼별초 항쟁, 동정군의 전란과 이에 계속된 이민족의 지배라는 참담한 현실 속에서 현세구원적인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나타난 산물이었다. 본래 관음신앙은 義湘 이래 낙산관음 설화와 결합하면서 전통적으로 일반 민들과 함께 호흡한 소박한 신앙이었다. 이 시기에 오면 관음신앙은 공덕과 영험을 중시하는 신비적인 요소와도 결합하여 사치한 귀족적인 불교로 성행하게 되었다. 곧 이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그러한 산물이 佛畵와 사경, 대규모 불사 등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체원은 의상-균여-수기로 이어지는 화엄종의 실천적이면서 대중적인 경향을 계승한 인물이라고 하겠으나, 그가 관여한 사경 등을 보면 귀족적인 경향과 멀었다고는 볼 수 없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features of the thoughts and faith which Banryong Temple at Goryoung had displayed in Koryo Dynasty. To begin with, the interrogations of written sources on Banryong Temple shows that it had been built up at the same time when Haein Temple had been set up in the year three of King Aejang of Silla(A.D. 802). It is more likely that the multi story-stone pagoda handed down up to now at Banryong Temple had been elected at the middle of Koryo. Of the written sources, there is a public notice(榜文) which Sejo of Yuan had granted. It seems that it had granted not to Banryong Temple but to Mt. Banryong south of Changwon where the Mongolians had stayed at that time. According to Songbanryongyeodaesaseo(送盤龍如大師序), it was the master successor Yoil(寥一) who had really established Banryong Temple. He, anolder uncle of Lee In-Ro(1152~1220), was the master successor of Heungwang Temple and had been suspected of conspiring to do harm to Choi Choong-Heon. Probably, he intended to rehabilitate Hwaomjong order estranged from central power going out from Gaekeong into Banryong Temple. He may have directed toward the consolidation of solidarity between temples of Hwaomjong at Kyeongsang region having Banryong Temple as a stronghold. Meanwhile, Chewon held newly the Joobeop(主法) position under the reign of King Choongsook. As the Lees of Gyeongjoo, he was an older brother of Lee Jehyeon, remained several sources to Saganpan of Haein Temple, and had copied Hwaom Sutra. The interrogation of his writings shows that he had stressed the faith of Avalokitesvara(觀音) and claimed for his virtues and miracles by this faith. He even displayed the trend of thought combined with a folk belief. Thus, Chewon`s Hwaom of the fourteen century had failed to present the thought taken a step forward by exhibiting their vision of Buddhism inclined to a faith. The central to this thought was the faith of Avalokitesvara, which was a common trend of the Buddhist milieu at that time. This was an output of making every effort to search the actual salvation from the terrible real of successive wars and the control by other peoples. Initially, the faith of Avalokitesvara was conventionally a naive faith closed with folk after it had mixed with the tale of Naksan Avalokitesvara from the age of Uisang(義湘) on. By that time, it combined with the mystic factors focused on the virtues and miracles and became to be prosperous as an expensive faith of the aristocracy. It can be said that this dual character of it had been reflected on the Buddhist paintings, the copies of the Sutras, and the large scale Buddhist services. The copies of the Sutras related by Chewon demonstrates that he did not keep away from the aristocratic trends, though he had succeed to the practical and popular trends of Hwaom.

      • KCI등재

        『삼국유사』의 찬술 기반

        채상식(Chae Sang sik)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5

        본 연구에서는 일연이 『삼국유사』를 찬술하게 된 배경과 기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료의 세밀한 분석과 검토를 통하여 기초적인 측면을 중시하였다. 그 결과 크게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일연은 사서를 찬술할 정도로 학문적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불교를 비롯하여 유학과 제자백가에 능통하여 사서를 찬술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었다. 특히 그는 사물을 대하는 치밀한 태도와 고증하는 능력을 갖춘 인물로 평가된다. 둘째, 일연은 무엇보다도 남해에서 대장경 조판에 참여함으로써 폭넓은 자료를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연은 당시 시대상황에서 무신세력과 몽고를 가장 비판적으로 인식하면서 시대정신이 싹트게 되었다. 셋째, 일연이 인흥사에 주석하면서 크게 고민한 것은 ‘민족’의 정체성 위기를 극복하는 것과 민중들의 피폐된 삶을 개선하는 문제였다. 이에 대한 대응은 사서의 찬술과 관음신앙의 강조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흥사에서 일연이 제작한『역대연표』는 사서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연표’의 기능을 하였다. 넷째, 일연은 고려사회의 내부 변화와 대외관계를 파악하면서, 국가·국왕 중심의 역사관과 단군으로부터 민족사의 체계를 정립하려고 하였다. 결국 일연은 궁극적으로는 고려를 再造하려는 역사의식을 가졌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이 『삼국유사』의 찬술로 나타났다. This paper survey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mpilation of Iryeon s Saumgukyusa. A variety of factors and circumstances in which he set out to do the project is deduced from the detailed examin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Firstly, with his susceptibility to elaborate research Iryeon s profound knowledge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all kinds of ancient Chinese philosophy qualified him to take on the historical works. Secondly, the production of the Goryeo Tripitaka in which Iryeon involved himself while he was staying in Namhae enabled him to gain access to historical materials. His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Goryeo military regime and Mongols marked his worldview as a whole. Thirdly, during his sojourn in Inheungsa Iryeon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 dissolution of the concept of ‘nation’ and aggravated living conditions which the Goryeo people had encountered. This spurred him on to the publication of his historical work and provoked the belief in Avalokitesvara. And Yeokdaeyeonpyo that produced by Iryeon in Inheungsa performed a function of a chronological table in the compilation of historical works. Lastly, while seeing changes both in Goryeo society and its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royal-national historiography in which national origin was traced back to the legend of Dangun provided a key framework for his historical study. Based on this narrative, he expressed the hope for rebuilding Goryeo. This was manifest in his Samgukyusa.

      • KCI등재

        수선사의 『宗鏡撮要』 간행과 사상적 의의

        채상식(Chae, Sang-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0 No.-

        당말 오대를 거쳐 송초까지 살았던 永明延壽(904∼975)는 선종의 일파인 法眼宗 승려이다. 그는 사상적으로 ‘一心’을 가장 중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禪敎一致와 禪淨一致를 표방함으로써 그는 탄력성과 포용력을 지녔다. 그는 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대표적인 것은 『禪宗唯心訣』, 『萬善同歸集』, 『宗鏡錄』 『註心賦』 등이다. 그리고 송대의 임제종 황룡파 승려인 曇賁(1131∼1162)은 『종경록』의 요점을 발췌하여 『종경촬요』를 지었다. 『만선동귀집』을 제외한 연수의 대표적인 저술과 『종경촬요』가 13세기에 간행되었다. 먼저 1213년에 수선사에서 『종경촬요』가 간행되었다. 그리고 『종경록』, 『선종유심결,』 『주심부』 등은 고려대장경 간행을 마무리하고 그 기반을 이용한 보유판으로 간행되었다. 13세기 초반에 知訥이 불교개혁을 위해 개창한 修禪社는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수선사는 지눌과 慧諶이 이끌었으며, 이들은 看話禪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간화선과는 경향을 달리하는 연수의 저술들이 다른 禪籍과 함께 다수 간행된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하나는 지눌과 혜심이 간화선을 지향했으나 다른 선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상당히 탄력성과 포용력을 가졌다. 곧 사상적 경향은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다고 볼 때, 다양한 선사상을 수용하고 공존하던 13세기 불교계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 바로 수선사였다. 또 하나는 지눌과 혜심은 간화선을 우위에 두지 않을 정도로 간화선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현재 불교계에서는 이른바 ‘頓漸’ 논쟁이 제기되고 법통설로 연결되어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Yeongmyeong Yeonsu(永明延壽, 904~975) was a buddhist monk of Beobanjong(法眼宗), one sect of the Zen Buddhism, in the late Tang Dynasty and the early Song Dynasty. He put great store by ‘One-Mind(一心).’ Claiming to advocate the unity of Seon(禪) with Gyo(敎) and Jung(淨), he had a broad-minded and flexible attitude. As for his representative works, there are Seonjongyusimgyeol(禪宗唯心訣), Manseondonggwijip(萬善同歸集), Jonggyeongnok(宗鏡錄), and Jusimbu(註心賦), etc. And Dambun(曇賁, 1131~1162), a buddhist monk of Imjejong(臨濟宗) in the Song Dynasty, wrote Jonggyeongchwallyo, extracting the key points from Jonggyeongnok. Yeonsu’s works, excepting Manseondonggwijip, and Jonggyeongchwallyo were published in the 13th century. First, the latter was put out by Suseon Temple(修禪社) in 1213. And then, Jonggyeongnok, Seonjongyusimgyeol, and Jusimbu, as the version in possession, after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 Suseon Temple, which Jinul(知訥) had established for reforming of Buddhism in the early 13th century, took the lead the buddhist world then. Jinul and Hyesim(慧諶) headed it up, searching for Ganhwaseon(看話禪). But how should we interpret that Yoesu’s works which had a different tendency from Ganhwaseon were published with different buddhist works. On the one hand, Jinul and Hyesim aimed at Ganhwaseon, but they were much flexible and broad-minded to the extent of accepting the other Seon thoughts. And on the other hand, they didn’t understand Ganhwaseon deeply enough to give priority to it. This, which is related to the so-called ‘Suddennessgradualness(頓漸)’ debate, causes a controversy in the buddhist world today.

      • KCI등재

        범어사 소장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자료적 가치

        채상식 ( Chae Sang-sik ) 부경역사연구소 2010 지역과 역사 Vol.- No.27

        There are only two sections of Samgukyusa including part Ⅳ and part Ⅴ in Beomeo Temple. They were published earlier than the version of Yimsin which is well known. The Work which was engrav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could be restored with the parts of Beomeo Temple and the other sections that have been already introduced to the public. The version of Samgukyusa in Beomeo Temple raises a doubt whether this is the first version of the work or the republication which was based o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Goryeo Dynasty. It is the view of main stream of the contemporary academic world that the work could not be published in the lifetime of Ilyeon and he just wrote nine contents without sections separated. His discipline Muguek supplemented the writings and complied them into 5-section-book after his death. The first version of the book was based on this posthumous works. On the contrary, there are other views from different standpoint in these days which argue that the work had been made in phases. According to these arguments, Ilyeon wrote the first draft and Muguek supplemented them into the manuscript of Samgukyusa. The work was engraved by the time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ince it had been distributed widely in the form of the manuscript. But the argument that the first version of the book was engraved in Joseon Dynasty could not be supported by this fact. The regional authority of Gyeongju engraved the manuscript with the Samguksagi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job was completed very easily. If there had not been the old version of the work it could not have been done so past. Furthemore the authority would not have want to collect the manuscripts of a monk and engrave them with the Samguksagi. If those circumstances ar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would be the conclusion that the Samgukyusa including the sections in Beomeo Temple was published on the base of the version of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후보

        四溟大師의 일본행과 이에 대한 양국의 태도

        채상식(Chae Sang-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한국민족문화 Vol.27 No.-

        Saint Sa-myung(四溟大師 惟政 : 1544~1610) was a commander of worrior-monk army that played a part in overcom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of Chusun, that is, Japanese Invasion of 1592. After the war came to an end, he went to Japan for negotiating with its government, and came back to Chosun successfully with Chosun people who had been taken prisoners during the war. The point in question about these facts is whether Saint Sa-myung s going to Japan was an official diplomatic policy. Both Chosun and Japan did not take explicitly the official diplomatic policies, while they wished eagerly the resumption of foreign relations with each other at that time. Because the inner and outer situations of both and the doubts about each other as a result of war during seven years brought this hesitations to them. In these circumstances, Chosun selected Saint Sa-rnyung as an intermediate who could intercede considering two nation's situation, and sent him to Japan. Therefore, Saint Sa-myung performed effectively the official 'Sal1ang(使行)' in Japan in accordiance with the purpose of Chosun's government, even if he was aware that this 'Sahang' was not by means of the official diplomatic action. This context can explain the treatment of Saint Sa-myung by Japanese government. Among others, it is remarkable that it settled Saint Sa-myung's abode at Honpouji(本法寺) in Kyoto(京道). Honpouji's lower lank of temple(寺格) at that time shows that Japanese government did not only treat Saint Sa-myung as an official delegate, but even gave him a cold reception. However, Tokugawa-Ieyasu(德川家康) had appreciated that both of two nations were actually eager to resume the diplomatic relation, and had a conference with Saint Sa-myung to arrive at the solution of questions pending between two nations. Consequently, the official delegates from Chosun were send to Japan just after two years.

      • KCI등재

        고려시기 연등회의 운영과 추이

        채상식(Chae, Sang-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4 No.-

        연등회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함께 수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연등’이라는 행위는 반드시 불교에만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 연등 행위는 우리의 각종 전통 신앙에서도 행해졌던 행사였다. 이러한 이중적 성격을 갖는 연등이라는 행위는 후대에 이르러 불교의 행사로 정착되었다. 연등회가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는 고려시기였다. 연등회는 고려 전 시기를 통하여 개최된 불교의례들 중 팔관회와 함께 가장 중요한 의례였다. 연등회는 정기연등회, 특설연등회, 불탄일 연등회등 세 종류가 있었다. 이 세 가지 중 고려 전 시기를 통하여 가장 많이 개최된 연등회는 정기연등회였다. 특설연등회는 필요에 따라 특정 기간에만 열렸으며, 개최 횟수는 정기연등회보다 훨씬 적었다. 불탄일 연등회는 4월 8일에 열렸는데, 고려 후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개최되었다. 정기연등회와 특설연등회는 왕실이 주도하는 행사였지만 국가적인 차원으로 설치된 것이었다. 이들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교체되면서 서서히 사라졌으나, 불탄일 연등회는 왕경과 지방의 민중들도 같이 즐겼던 행사로서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불교의례이다. 정기연등회(상원연등회)는 1월 15일 또는 2월 15일에 열렸다. 상원연등회는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여 풍년화복을 비는 농경의례적인 요소를 띠었다. 이때 대규모의 연희 무대를 열어 축제의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기록상 왕실이 주도하여 왕실의 조상제사를 거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은 경향 각지의 토호세력들이 개최하던 지역공동체적인 축제를 국가적인 차원으로 승화시켜 도성과 지방, 지배층과 일반 민중을 결집하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한편 상원연등회의 기능과 성격을 현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농경의례로만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성종년간에 상원연등회를 대신한 원구단 제사를 유념할 필요가 있다. 원구단의 제사는 일차적으로 천신(天神)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원연등은 원구단에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단순한 농경의례가 아니라 제천(祭天)을 상위개념으로 하여 조상숭배와 농경까지도 포괄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졌다. 이는 고구려의 동맹을 계승하는 것이며, 그 이념적 기반은 고조선 이래의 전통사상(신앙), 곧 최치원이 밝힌 풍류도에서 찾을 수 있다. 현묘한 도인 풍류도는 포괄적인 이념으로 유불선의 상위 개념인데, 상원연등회는 그러한 사상적(신앙적) 기반을 갖고 행해지던 연중행사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원연등회를 농경의례적인 성격으로 좁게만 해석할 수는 없다. 곧 상원연등회는 불교적인 성격을 지닌 연등 행위를 빌려 왔다고 해도 그 본래적인 의미는 전통신앙을 표방한 것이었으며, 좁게는 농경의례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연중행사라고 할 수 있다. Yeondeunghoe(燃燈會, Lotus Lantern Festivals) was accepted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Korean peninsula. "Yeondeung," as an act to lighten lanterns, were adopted not only for the sphere of Buddhism, but also for that of Korean traditional beliefs. There were three kinds of Yeondeunghoe: regular Yeondeunghoe, special Yeondeunghoe, and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Regular Yeondeunghoe (Sangwon-Yeondeunghoe) was the most often held one in the Goryeo Dynasty era.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on April 8 became regularized in the later Goryeo Dynasty and was the last remaining one after the fall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Regular Yeondeunghoe was hosted on January 15 or February 15. Sangwon-Yeondeunghoe was in a festive mood, greeting the New Year and providing large-scale stages for performances. Even if it was supposed to be conducted as a memorial service for royal ancestor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royal family, it was, in fact, an event that sublimated festivals of local communities, held by local powers across the country, at national level. This means to unify the capital with the provinces and the ruling class and the public, respectively. Sangwon-Yeondeunghoe had multipl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so far as to include the whole agriculture, having the idea of the harvest ritual(祭天) as a superordinate concept, not merely one of the agricultural rites. It was a kind of inheritance from Tongmaeng Ritual(東盟) of Goguryeo, ideologically based on one of the traditional thoughts since Gojoseon, namely Poongryudo, suggested by Choi, Chi-Won. Poongryudo is a superordinate concept to the unified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儒佛仙), as a comprehensive idea. Therefore, Sangwon-Yeondeunghoe was an annual event with such ideological and religious ba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채상식 ( Sang Sik Cha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금강경』은 선사상을 이해하는 매개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선종 6조인 혜능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선사상이 전래되기 이전인 삼국시기에 이미 『금강경』은 전래되었다. 신라와 백제에 『금강경』이 전래된 이후 『금강경』에 대해서는 주석을 붙이는 사상적인 접근과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고려전기에는 『금강경』을 간행한 예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금강경도량’이라는 국가적인 차원의 대규모 신앙행사가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그러다가 고려중기에는 분파·발전한 宋의 선종이 고려에 영향을 미치자, 관료층·문인층 가운데 일부는 선사상에 심취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최씨집정기와 대몽항전기인 13세기 전반기에는 『금강경』 간행의 사례가 네 번이나 있을 정도로 『금강경』을 중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바로 전 시기에 유행한 『금강경』에 대한 신앙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아울러 이는 불교개혁을 표방한 修禪社가 방편으로 『금강경』 독송을 강조한 공덕신앙과 관련된다. 더욱이 지눌을 계승한 혜심은 독송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영험과 신비적인 요소까지도 강조함으로써 『금강경』의 신앙화를 추구하였다. 이후 이런 경향이 계기가 되어 이전의 『금강경』과 관련된 불사에는 찾기 힘들었던 서민대중들도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경』에 대한 교학적·사상적인 접근은 퇴조할 수밖에 없는 역기능도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The Diamond Sutra had been considered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eon(禪) thoughts, mostly due to Hyeneng(慧能). It was brough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Seon thoughts. After that, there were two ways to deal with the Diamond Sutra: an intellectual approach annotating on it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thoughts and a religious approach cognizing it as an object of devotion. Whereas there had been almost no cases where the Diamond Sutra were published in earlier Goryeo Dynasty, the ‘ Diamond Sutra-Doryang(금강경도량)’ as a religious activity was conducted on several occasions at a national level. Then, the Seon Buddhism of Sung(宋) that was divided into a denomination and developed affected the Goryeo society, which led to that some of bureaucrats and literati of Goryeo Dynasty were absorbed in the Seon thoughts, taking the Diamond-Sutra as an object of faith. The Dimond Sutra became important in the earlier 13th century to the extant that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four times. This was related with supererogation faith(공덕신앙) that Suseonsa (修禪社) used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as an important instrument. Hyesim(惠諶) who succeeded Jinul(知訥)``s thought emphasized not only recitation but also miraculous and spiritual elements, thereby pursuing the task making the Diamond Sutra religious. It can be said that the vulgar herd also embraced the Diamond Sutraas an object of devotion. Producing adverse effect, however, it caus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on the Diamond Su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