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부모의 면접교섭권

        진민희 사법발전재단 2009 사법 Vol.1 No.10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조부모가 손자ㆍ손녀를 양육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이혼이나 부모의 사망 등으로 가정의 해체가 일어나는 경우 자녀의 복리를 위해서라도 조부모와 자녀 사이의 면접교섭을 인정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 미국, 영국 등지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조부모의 면접교섭이 인정되어 왔는데, 그 인정근거 및 허용요건에 대하여 각국의 입장이 일치되지는 않지만, 자녀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한다면 양육권자인 부모의 반대가 있더라도 자녀와 조부모 사이의 면접교섭을 인정하는 것이 현재의 일반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법규정은 ‘자를 직접 양육하지 아니하는 부모의 일방과 자는 상호 면접교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라고 정하고 있어 면접교섭의 당사자를 자와 비양육친에 한정하고 있다. 조부모의 면접교섭을 법 이전의 권리라고 본다면 현행법하에서도 이를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볼 때 조부모의 면접교섭을 인정하는 명문 규정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부모의 독자적인 면접교섭의 인정 여부가 문제될 수 있는 상황은 많겠지만, 부모의 자녀에 대한 보호, 교양, 양육권과의 조화나 자녀의 최선의 이익이라는 면접교섭의 궁극적 목적을 생각해 볼 때, 부모 중 일방이 사망한 경우 그 사망한 측의 조부모에게 독자적인 면접교섭을 인정하는 게 가장 일반적인 경우라 할 것이다. 조부모의 면접교섭을 허용하기 위한 요건이 되는 것이 ‘자녀의 최선의 이익’인데, 면접교섭이 자녀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고려요소는 자녀의 의사, 연령 등 자녀에 관한 사항, 조부모의 적격성, 조부모와 자녀의 관계, 조부모와 자녀의 양육친과의 관계, 면접교섭이 양육친과 자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면접교섭이 자녀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입증책임은 조부모에게 있는데, 조부모의 면접교섭의 부재가 자녀에게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위해가 된다는 정도까지 입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자녀와 조부모 사이의 면접교섭은 조부모와 부모가 그 면접교섭이 자녀의 복리를 위하여 필요하다는 공통된 인식하에 서로 협력할 때 비로소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대로 기능 할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면접교섭 관련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고 면접교섭의 시행관찰을 통하여 그 경과를 확인하고 구체적 사안에 맞는 적절한 면접교섭 형태 및 방법을 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growing the number of dual-income families, the cases of grandparents’ grandchildren care are getting increased, and therefore when the family is dissolved due to parents’ death or divorce, the need of visitation rights between grandparents and children for children’s welfare is increasingly important. Grandparents visitation have been long acknowledged in France, America, and England. Although each country has different standards regarding recognition foundations and requirements, it is now general to accept visitation rights between grandparents and children despite the opposition of parents with custody of the children in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Korean current regulations limit the persons with visitation rights to the children and non-nurturing parents, stating that ‘one parent who doesn’t nurture children and children have the right of contacting each other’. If grandparents’ visitation rights are considered as the right ahead of law, the current law may stipulate the visitation r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substantive enactment to acknowledge grandparents’ visitation rights considering various realistic problems. There may be many questionable situations of grandparents’ independent visitation, but considering the ultimate goals of visitation right that is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harmony with parents’ rights of care, education, custody for children, it is general to grant the parents of the deceased the visitation right when one of the parents is deceased. The requirement of granting grandparent visitation is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and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deciding if a grandparent visitation is suitable to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are the matters about children such as children’s intention and age, grandparents’ eligi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the nurturing parent of children, and the effects of visitation on the nurturing parent and children.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visitation suitable to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s given to grandparents, but it doesn’t need to prove that the absence of grandparent visitation damages children physically and mentally. Grandparent visitation is actively granted and functioned when grandparents and parents understand the need of visitation for children’s well-fare. To this end, the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people who have visitation rights should be introduced, and proper types and methods of visitation suitable to the specific proposals should be determined in advance by checking and reviewing its process through the observation of visitation.

      • KCI등재

        창덕궁 낙선재 후원 소영주小瀛州 괴석怪石과 심상규沈象奎의 소안원蕭雁園

        진민희 국립고궁박물관 2023 古宮文化 Vol.- No.16

        창덕궁 낙선재 본채 후원에는 ‘소영주小瀛州’라는 글씨가 새겨진 괴석대怪石臺 위로 수석이 놓여있다. ‘소영주’는 ‘작은 신선계’를 뜻한다. 본고는 창덕궁 낙선재 후원의 소영주 괴석 전면부 ‘운비옥립’ 하단에 새겨진 낙관자와 후면부의 각자를 해독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한다. ‘운비옥립’의 서체는 행초서行草書로, 글씨 끝에 낙관이 새겨져 있으나 일부가 깨어져 나가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후면부의 각자 역시 마모가 심해 지금까지 그 존재가 드러나지 못했다. 이에 괴석에 대한 정보가 오랫동안 미상으로 남아있었다. 본고는 괴석 전면부의 낙관자를 ‘두실거사斗室居士’로, 후면부의 각자는 ‘소안원蕭雁園’으로 해독하였다. 이로써 ‘두실’을 호로 삼고 ‘소안원’의 주인이었던 심상규沈象奎, 1766~1838가 소영주 괴석의 소유주였으며, 소영주 괴석은 소안원의 정원석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심상규 집터를 소개하고 소안원 시회蕭雁園詩會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분석하여, 소영주 괴석이 정원석으로 있던 소안원의 실존 사실을 확인하였다. 심상규는 19세기 경화세족을 대 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경복궁 동쪽 근지의 송현동松峴洞에 거주하며 4만 권의 책을 소장한 서재 가성각嘉聲閣의 주인으로 유명했다. 또한 심상규는 송현동 저택에서 당대 최고의 명문 벌열가 문인들을 초대해, 자신이 소장한 최고급 서화골동품을 완상하는 소안원 시회를 열었다. 소안원은 19세기 경화세족의 고급 소비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었다. 소영주 괴석은 바로 소안원의 정원석이었던 것이다. 또한 소안원 괴석이 낙선재로 이설한 시점과 방식에 대해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자료를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다. 명확한 사실은 괴석이 1901년 이전부터 낙선재 후원에 자리 잡았다는 점이다. 심상규 집터는 현재까지 서울 내에서 다층적인 역사성으로 의미가 깊은 장소이다. 해방 후에는 구 미대사관직원숙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시에서 ‘송현 문화공원’과 ‘이건희 기증관’으로 활용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창덕궁 낙선재 소영주 괴석의 원 소재지가 소안원이었다는 사실은 심상규 집터의 역사적 의미를 한층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소영주 괴석의 원 소유주와 소재지를 밝힌 첫 번째 연구라는 지점에 있다. 본고의 연구가 19세기 문화사·문학사·서울사에 대한 이해에 일면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rear garden of Nakseonjae Hall within Changdeokgung Palace, on top of the oddly-shaped rock pedestal with the inscription of SoYeŏngJu(小瀛州), there is a stunning rock. SoYeŏngJu means a small world of Taoist hermits. e decorative rock resembles a retreat for Taoist hermits,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stratied creases, and an inherently arid texture. Remarkably, upon exposure to moisture, it promptly manifests a luminous quality, revealing its aesthetically pleasing features. 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cipher the carved seal letters at the bottom right of the inscribed characters unbioklip(雲飛玉立, clouds soaring, jade upright) engraved on the front of the ornamental rock pedestal and the carved characters on its back. Unbioklip characters are engraved in the running script. At the bottom right of the four engraved characters is another carving, however precise readings are difficult due to some parts being broken. e characters on the back of the rock have also been indescipherable until now due to severe wear and tear. As a result, information about this rock has remained unknown for a long time.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arved seal letters on the bottom right of the front side of the rock reads dusilgeosa(斗室居士, the Hermit of the Dipper Chamber) and the other on its back Soanwon(蕭雁園). Consequently, it is discerned that Sim Sang-gyu (1766-1838), who used ‘dusil’ as his courtesy name and was the owner of the Soanwon Garden, possessed the ornamental rock. This revelation indicates that the rock was a part of the garden stones in the Soanwon Garden. He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idence site of Sim and analyzes works created during the literary gatherings at the Soanwon Garden, conrming the factual existence of the Soanwon Garden whose garden stone was the ornamental rock of Nakseonjae Hall. Sim Sang-gyu was a prominent gure representing the nobility of Hanyang (present-day Seoul) in the 19th century. Residing in Songhyeon-dong, situated east of Gyeongbokgung Palace, he was renowned as the owner of the private library Gaseonggak(嘉聲閣), housing over 40,000 volumes. Furthermore, he hosted literary gatherings at Soanwon, inviting the most distinguished literati and connoisseurs of his time to appreciate his exquisite collection of high-quality calligraphy, paintings and antiques. The Soanwon Garden served as a cultural space embodying the sophisticated consumption culture of the elite in Hanyang in the 19th century. Furthermore, this study has explored various possibilities regarding the timing and method of the relocation of the Soanwon Garden stone to Nakseonjae Hall, drawing insights from historical source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 incontrovertible conclusion drawn is that the rock had already found its place in the rear garden of Nakseonjae Hall before 1901. The residence site of Sim holds profound historical signicance within the layered historical context of Seoul up to the present. 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the site was once occupied with the accommodation buildings for U.S. Embassy staff and is currently being planned for repurposing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the “Songhyeon Cultural Park” and the “Lee Kun-hee Bequest Hall”. Moreover, the revelation that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ornamental rock was Soanwon adds an additional layer of historical signicance to the legacy of Sim’s residence site. The primary signicance of this paper lies, above all, in being the rst study to elucidate the original owner and location of the Nakseonhae rock. It is hoped that the nding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enhancing understanding of aspects of 19th-century cultural, literary, and historical dimensions,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Seoul’s history.

      • KCI등재

        芍玉 洪鐘應의 醉石亭과 駱山詩會 -『槎橘』을 중심으로-

        진민희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9 No.-

        본고의 목적은 첫째, 19세기 駱山詩會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 北社의 趙冕鎬·申錫愚, 南社의 徐有英·金尙鉉 등이 駱山詩社(駱社)에서 활동했음을 언급해 왔으나, 낙산시회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이에 시회의 구체적 장소와 참여 동인들의 명단을 제시하고, 그 활동 양상을 살폈다. 둘째, 낙산시회가 이뤄진 공간인 芍玉 洪鐘應(1803~1866)의 別墅, 駱山 醉石亭을 조명한다. 취석정은 북촌시사의 동인들이 즐겨 찾는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北社·南社·東社의 참여 문인들이 대대적으로 교유 활동을 펼친 문화 공간이었다. 본고의 연구방식은 芍玉集 · 海藏集 · 玉垂集 등 주요 참여자들의 문집과 더불어 槎橘 이라는 자료를 교차 확인하며 낙산시회의 활동양상을 재구하였다. 사귤 에는 낙산시회를 총 3편의 詩題로 나누어 구성했다. 「駱山韻」·「復會駱山」·「駱山雅集」이 바로 그것이다. 홍종응의 취석정은 낙산시회 뿐만 아니라, 1860년 북사·남사의 교류 현장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1862년 남사와 북사의 합사가 이루어지고, 1863년 북사·남사·동사의 합사는 바로 취석정에서 결행되었다. 이로써 낙산 취석정 시회는 19세기 서울 내 대형 시사 모임을 주도하고 이후 시사 간의 대대적인 결합을 도모한 장소로 의미가 깊다. 첫째, 지금까지 막연하게 예측되었던 낙산시사의 실체를 확인한 것이다. 둘째, 19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창작활동과 문예적 교유의 한 현장을 짚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서울 낙산의 지역사 연구는 물론, 낙산의 지역성을 문화·문학 콘텐츠로 개발하는 사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Naksan Poetry Club.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that Jo Myŏn-Ho(趙冕鎬)·Shin Sŏk-woo(申錫愚) of Buksa and Sŏ Yu-Yŏng(徐有英)·Kim Snag-Hyŏn(金尙鉉) of Namsa were active in the Naksan Poetry Club in the mid-19th century. But, there has been no full-scale research on the reality of Naksan Poety Club. Accordingly, the specific location, list of participating members and the activities of the Poetry Club were examined. The second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se places for the first time: Villa(別墅) of JakOk Hong Jong-eung(芍玉 洪鐘應, 1803~1866) and ChuiSŏkJeong(醉石亭) in Naksan(駱山), where the Naksan Poetry Club was held. ChuiSŏkJeong was not only a favorite place for members of Bukchon poetry club, but also a cultural space where participating poets from Buksa(北社)·Namsa(南社)·Dongsa(東社) in Seoul exchanged extensively. This paper's research method cross-checked the anthologies such as Jakokjip(芍玉集) · Haejangjip(海藏集) · Oksujip(玉垂集) and the data called Sagyul(槎橘) to re-examin the activities of Naksan Poetry Club. In Sagyul(槎橘) , Naksan Poetry Club is organized into three title: 「Naksanwoon(駱山韻)」·「BuhoiNaksan(復會駱山)」·「Naksanajip(駱山雅集)」 In 1860, Hong Jong-eung's ChuiSŏkJeong Poetry Club was used as an exchange site between Buksa and Namsa. Later, in 1862, the merger of Namsa·Buksa was established, and in 1863, the merger of Buksa·Namsa·Dongsa was established at ChuiSŏkJeong. As a result, the ChuiSŏkJeong is meaningful as a place that led large poetry gatherings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and later promoted a large-scale combination of poetry club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firmed the reality of Naksan Poetry Club, which has been vaguely predicted so far. In particular, the need to recognize it separately from 'Dongsa' was raise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regional history of Naksan. This study, which revealed Naksan ChuiSŏkJeong, could help the project to develop the regionality of Seoul into cultural and literary contents.

      • KCI등재

        조선후기 이인(異人) 이패랭이[李平凉] 관련서사에 대한 고찰

        진민희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2

        The Hermit Lee Paerang-e is a person of various aspect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18-19th century, and has long been a subject of interest and envy for many people. Nevertheless, all existing studies on Lee Paerang-e were limited to individual works, and no research has dealt with the link between them. The works related to Lee Paerang-e are found in a number of literary works, and this paper studies The three main themes of the Lee Paerang-e narrative are the reason he became a Hermit, his excellent writing skills, and taoist ideology. Lee Paerang-e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haracters,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are Lee Jung-hae and Lee Eun. Lee Jung-hae is a relative of Lee Jung-so, a key figure in Noron. Sung Hae-eung and Yu Bon-hak specified Lee Jung-hae as Lee Paerang-e. Lee Eun is the main character in Shim Neung-sook’s LeeEun Jeon in which his various Hermit stories written while working as Lee Paerang-e and the evaluation of the contemporary people are very detailed. Shim Neung-sook is the only writer who has specified Lee Eun as Lee Paerang-e. Lee Paerang-e was a representative Hermit in the late Joseon Period. Compared to Kim Sat-gat, who became a wandering poet due to his tragic personal history despite being an outstanding writer, Lee Paerang-e, who left various narratives in the preceding era, can be seen as a pioneering type of wandering intellectuals. But, Lee Paerang-e and Kim Sat-gat have different character types. Kim Sat-gat wrote poems with strong social satire and playfulness, but Lee Paerang-e has no social satire works or plays. Lee Paerang-e’s literary and poetic talents were widely recognized during the period, but the number of works handed down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at of Kim Sat-gat. Essentially, the Lee Paerang-e’s Hermit story focuses on taoist ideology while Kim Sat-gat’s Hermit story is more realistic and enjoys the arts. It is the decisive limit that leaves Lee Paerang-e as a Hermit, not a Poet. The material used in the Lee Paerang-e’s narrative shows the complex culture aspects of the time. Lee Paerang-e’s folktales about taoist ideology can be interpreted as a way for a nobleman who was alienated from the central power of the time to relieve his feelings about the real situation. Further research will talk about the trend of succession and change from Lee Paerang-e’ narrative to Kim Sat-gat’s narra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패랭이 인물 유형’은 이패랭이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다수의 작품에 등장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기록된 ‘이패랭이’라는 인물이다. 이패랭이는 18∼19세기 문화적 특성의 다양한 면모를 고루 갖춘 인물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도록 흥미와 선망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이패랭이 연구는 모두 개별 작품에 한정되었으며 작품 간의 관련성을 상고한 글은 전무한 상황이다. 이패랭이 관련 작품은 다수의 문집에 산재하나, 본고는 이동윤(李東允)ㆍ성행응(成海應)ㆍ서형수(徐瀅修)ㆍ강준흠(姜浚欽)ㆍ심능숙(沈能淑)ㆍ유본학(柳本學)ㆍ서유영(徐有英)ㆍ장지연(張志淵)의 글과 편자 미상의 『동국고사(東國故辭)』ㆍ『계압만록(鷄鴨漫錄)』ㆍ『야담기문(野談奇聞)』에 실린 이패랭이 서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패랭이 서사는 두 명 이상의 인물이 복합되어 만들어졌으며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 바로 이정해와 이은이다. 이정해는 노론계 핵심인물이었던 완산 이씨 이정소의 족손이다. 성해응과 유본학은 이정해를 이패랭이로 명시하였고, 심능숙과 장지연은 이은으로 명시하였다. <이은전>은 이은이 이패랭이로 활동하며 남긴 다양한 이인설화와 함께 이에 대한 당대인들의 평가가 자못 상세하다. 또한 상기의 현전 작품 간 서사의 편차가 크지 않다는 점, 저명한 문인들에게 정리된 문체로 창작된 작품이라는 점, 작품 내 이패랭이의 활동지역이 어느 정도 서로 일치한다는 점, 작자와 작품 내 이패랭이 교유자의 범위가 노론계 경화사족과 친노론계 일가로 일정하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이패랭이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이인(異人)이었다. 이패랭이 서사의 주된 소재는 기인(奇人)이 된 연유, 뛰어난 문식(文識), 신선술 등 3가지이다. 또한 뛰어난 재주를 겸비하였음에도 비극적인 개인사 때문에 방랑객이 된 김삿갓과 비교했을 때, 앞선 시대에 활동하며 다양한 서사를 남긴 이패랭이를 유랑 지식인의 선구적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패랭이와 김삿갓을 같은 인물유형으로 보기에는 그 결이 매우 다르다. 김삿갓은 사회 풍자와 유희적 성격이 강한 시를 지었지만, 이패랭이는 사회를 풍자하는 희작이 없다. 또한 이패랭이의 문식과 시적 재능은 당대에 널리 인정받았음에도 전하는 작품 수가 상당히 적다. 결정적으로 이패랭이의 이인담이 신선술에 방점이 찍힌 데에 비하여, 김삿갓의 이인담은 보다 현실적이며 풍류를 즐기는 면모를 골자로 한다. 이는 이패랭이를 ‘시인(詩人)’이 아닌 ‘이인(異人)’으로 남게 하는 결정적 한계이기도 하다.

      • KCI등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코로나로 인한 일상공간 변화 경험

        진민희,김서현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3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3 No.3

        This paper understood the experience of daily space changes during COVID-19 among Chinese foreign graduate students (CFGS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or this study, four CFGSs who came to Korea before COVID-19 were selected, and data was collected via more than four in-depth interviews each. The oral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ime,’ ‘sociality,’ and ‘place’ from Clandinin and Connelly’s (2000) three-dimensional inquiry space of narra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FGSs stayed in confined temporary residential spaces, they actively improved the environment. Second, they lived in the limited realistic space around school and residential due to social distancing. Third, the shattered maintained space restricted them in the margin of Korean society. Fourth, they dedicated settling their daily lives and minds in cyberspace as an alternative.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improving life quality, including the stability of the daily space for CFGSs.

      • KCI등재

        1810‧1811년 金魯謙과 沈能淑의 東望峯 유람

        진민희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8 No.-

        Dongmangbong is one of the peaks of Naksan(駱山) and is currently located between 6-ga Bomun-dong, Seongbuk-gu and Sungin-dong, Jongno-gu. After King Sejo(世祖)'s usurpation of the throne in 1455, Queen Jeongsoon (定順王后, 1440∼1521), while staying at JeongUpWon(淨業院), ascended the Dongmangbong morning and evening and prayed for peace and well-being of King Danjong(端宗, 1441∼1457), toward Yeongwol, where he was located. So people named the peak Dongmangbong. In the summer of 1810, colleagues of the Namgo-Poetry Club(楠皐詩社), Shim Neung-sook(沈能淑, 1782∼1840)‧Kim No-gyeom(金魯謙, 1781∼1853)‧Seo Chung-bo(徐忠輔, ?∼?)‧Lim Ik-sang(任翼常, 1789∼?) went on a sightseeing trip to Dongmangbong (東望峯). Kim No-gyeom recorded the journey and impressions of the day in various poems. Shim Neung-sook went on a tour of dongmangbong and JeongUpWon again by himself in 1811, and left a poem. Because in the tour of Dongmangbong in 1810, he and his colleagues could not reach to the site of the JeongUpWon(淨業院), which they aimed for. Kim No-gyeom and Shim Neung-sook both expressed their feelings of indignation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Queen Jeongsoon suffered more severe hardships than did A-hwang(娥皇) and Yeo-yeong(女英). In addition, because the anecdote of Queen jeongsoon is more desperate, they emphasized that Dongmangbong is also an important historical site comparable to Xiaoxiangjiang(瀟湘江). Jongno-gu holds a cultural festival in memory of Queen jeongsoon and actively promotes local storytelling projects, centering around JeongUpWon and Dongmangbong, every April from 2008 except 2020.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expansion of the project to restore cultural heritage in the Naksan area of ​​Seoul as a content. Until now, however, some cultural heritage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ly on legends without properly verify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region. In this regard, I think that JeongUpWon and Dongmangbong travel literature of Kim No-gyeom(金魯謙) and Shim Neung-sook(沈能淑) on this paper can provide more accurate and rich data for the cultural heritage contents and storytelling projects in the Naksan region.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ravel literature targeting the eastern part of Han’y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동망봉은 駱山의 한 봉우리로, 현재 성북구 보문동 6가와 종로구 숭인동 사이에 위치한다. 1455년 世祖의 왕위 찬탈 이후, 定順王后 宋氏(1440∼1521)가 淨業院에 기거하면서 조석으로 봉우리에 올라 端宗(1441∼1457)이 있는 영월을 향해 안녕과 명복을 빌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10년 여름, 楠皐詩社의 동인 金魯謙(1781∼1853)‧沈能淑(1782∼1840)‧徐忠輔(?∼?)‧任翼常(1789∼?)은 東望峯 유람을 떠났다. 김노겸은 이날의 여정과 소감을 여러 시문으로 기록하였다. 심능숙은 1811년 다시 단독적으로 동망봉과 정업원 유람을 실행하고, 이를 시문으로 남겼다. 1810년의 동망봉 유람은 그들이 목표했던 淨業院 터까지의 여정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노겸과 심능숙은 정순왕후가 娥皇‧女英보다 더욱 심한 역경을 겪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이러한 뜻이 담긴 동망봉‧정업원이 잊혀가는 세태에 통탄했다. 이들은 오히려 동망봉이 瀟湘江보다 더욱 의미 있는 공간이라고 주장했다. 종로구는 2008년부터 매년 4월, 2020년을 제외하고 정업원‧동망봉 일대를 중심으로 정순왕후 추모 문화제를 열어 지역 스토리텔링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에 서울 낙산지역 문화유적을 콘텐츠로 복원하는 사업의 확장 필요성 또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지역의 역사적 사실과 문헌 자료를 제대로 고증하지 못한 채, 전설에만 기대어 일부 문화유적 콘텐츠가 개발된 실정이다. 이에 본고가 제시하는 金魯謙과 沈能淑의 정업원‧동망봉 기행문은 조선후기 문인들이 인식했던 동망봉‧정업원의 공간적 의미를 파악하여 낙산지역의 문화유적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사업에 더욱 정확하고 풍성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조선후기 한양 동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행문학을 연구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천유(天遊) 권복인(權復仁)의 생애와 교유 양상 연구

        진민희 ( Jin Min-hu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天游 權復仁(1770∼1830)은 19세기 경화세족의 문화적 면모를 대표하는 문인이다. 권복인에 대한 연구는 연행록 『隨槎閑筆』만이 진행되었고 작가의 생애와 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권복인은 당대 서울의 주요 문인들과 교유하며 도시문화를 향유하고 이를 반영한 작품을 통해 문학적 성과를 거둔 인물로 19세기 한국문학사에서 주목해야 할 작가이다. 이에 본고는 권복인을 다루는 첫 학술 논문으로서 문학 연구에 앞서 작가론 연구가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낀 바, 그의 생애와 교유 양상을 정리했다. 권복인 문학 활동의 배경을 탐색하고자 한 본 연구는 권복인 개인의 문학 세계를 포함해 19세기 전반기 서울의 군소문단 내지 다양한 시사 활동을 조망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일 것이다. 권복인은 서울의 다양한 문인들과 시회를 갖고 좋은 책을 읽으며 유람을 떠나는 일을 평생의 지향점으로 삼았다. 이는 권복인의 생애를 집약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글 「多願」과 「敍游」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권복인의 교유 양상은 먼저 서울 남부 지역에서 경화세족을 중심으로 결성된 沈能淑의 楠皐詩社가 대표적이다. 친척 관계 姜靜一堂ㆍ尹光演 부부의 坦園詩會 활동을 기록한 시문은 당대 몰락사족의 생활과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 자료로서 의미가 깊다. 또한 19세기의 대표적 여항문인 李明五의 저택에서 열린 泊翁室詩會와 千壽慶의 松石園詩社 활동은 경화세족과 여항문인 간에 공유된 문화적 취향을 발견할 수 있다. 권복인의 교유 관계는 경화세족, 몰락사족, 사대부 여성문인, 여항문인에 이르기까지 19세기의 시대적 특징이 여실히 반영되어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heon Yu(天游) Kwon Bok-in (1770∼1830) was a literary person who represent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bility in the 19th-century. Previous research on Kwon Bok-in was focused on the travel essay 『Su Sa Han Pil(隨槎閑筆)』 about Yeonhaeng(Journey to Beijing). But not enough studies has been made to writer’s life and literature. Kwon Bok-in is a writer who must be no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Because he was a person who interacted with major writers in Seoul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consumed urban culture and achieved literary achivements by reflecting it. So this paper organize Kwon Bok-in’s life and companionship, reflecting a perspective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eferentially author than his literatures, as the first study about Kwon Bok-in. Also, this paper exmines the background of Kwon Bok-in’s literary activity. Therefore, it could be a significant trial for it could contribute to view not only the personal literary world of Kwon Bok-in but also minor literary clubs and various poetry clubs in Seoul, in first half of 19th century. The lifelong aim of Kwon Bok-in was poetry club activities, reading good books, and journeys, with various literatus in Seoul. It is notable for activities and relationship with the nobility of Namgo Poetry club(楠皐詩社), Shim Neung-sook’s poetry club in southern Seoul. The poem that described activities of a married couple, Kang Jeong-il-dangㆍYun Kwang-yeon(姜靜一 堂ㆍ尹光演) who are relatives by marriage of Kwon Bok-in in Tanwon Poetry club(坦園詩會) is a very significant literary work. As it has been represented lifestyle and cognition of the fallen-nobility in those days. And sharedcultural taste with the nobility and the Middle-class Literatus could be discovered in Bak’ongsil Poetry club(泊翁室詩會) held at the mansion of Lee Myung-o(李明五), a representative Middle-class literati in 19th centry. It also could be discovered in activities of Chun Soo-kyung(千壽慶) in Songseokwon Poetry club(松石園詩社).

      • KCI등재

        18~19세기 서울 남촌(南村) 남고시사(楠皐詩社)의 형성과 활동

        진민희 ( Jin¸ Min-hui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서울 전역에서 열린 다양한 詩會의 양상은 여러 선행 연구들을 통해 꾸준히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서울 남촌지역의 詩社는 도성 내 다른 지역 시사에 비하여 심도 있는 고찰이 이뤄지지 못했고 이마저도 주로 19세기 후반기 시사에 집중되었다. 이에 본고는 조선 후기 남촌의 전반적 풍경을 먼저 설명한 후,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활동한 楠皐詩社를 발굴해 조명했다. 남고시사 연구는 19세기 문학사와 서울 문화사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되리라 기대한다. 남고시사는 18세기 후반, 심능숙의 부친인 沈允之 대부터 南皐, 혹은 南園이라 불리는 好賢坊(會賢坊) 小公洞 저택에서 시작되었다. 심윤지 대의 시회는 서울 남촌의 지역성을 강조하는 ‘南皐詩社’로 칭해졌다. 남고시사가 결성된 시기의 주요 참여자는 權常愼ㆍ金相任ㆍ金相休ㆍ洪漪ㆍ李嶾[李平凉] 등이었다. 19세기에 이르러 심능숙이 南皐詩社를 계승하여 집회 장소를 ‘楠皐’로 개칭하고 시회의 규모를 더욱 확장ㆍ발전시켰다. ‘楠’자는 심능숙에 의해 사용된 것이므로, 당대 문인들역시 심윤지 대의 시사와 구분하여 ‘楠皐詩社’로 명하였다. 심능숙은 당세에 이름난 시인이면서 악곡ㆍ연주ㆍ작사 등의 음악적 재능, 화훼에 대한 애호, 『參同契』와 같은 선가 지향적 취향, 奇人에 대한 동경, 야담과 소설 창작 등 당대에 유행한 문화적 현상을 선두에서 이끄는 인물이었다. 楠皐詩社의 전성기에는 權復仁ㆍ李載毅ㆍ金箕黙ㆍ金箕書ㆍ鄭世翼ㆍ趙寅永ㆍ趙徹永ㆍ李明五 등의 대표적 문사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시사 말기에는 徐有英ㆍ李晩用ㆍ金魯謙ㆍ宋祥來 등 19세기 한국학계가 주목하는 문인들이 활동했다. 남고시사는 청송 심씨 후손에게 직접 계승되지 못하였으므로 심능숙사후에는 자연적으로 해체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기존 남고시사의 동인이었던 서유영ㆍ홍한주ㆍ이만용ㆍ송주헌ㆍ홍재봉 등이 새로 ‘南社’를 열어 모임을 이어나갔다. The aspects of various poetry clubs held throughout Seoul have been constantly revealed through prior studies. However, the poetry clubs in Namchon(南村), Seoul were not studied in depth compared to other poetry clubs in Seoul, and even this was mainly concentrated on the poetry clubs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paper first describes the overall landscape of Namch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n deals with the Namgopoetry club(楠皐詩社), which was active throughout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of the Namgo-poetry club will be a way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19th-century literature history and Seoul's cultural history. Namgo-poetry club began in the late 18th century at the Hohyeonbang(好賢坊) Sogongdong Mansion called Namgo(南皐) or Namwon(南園) from Shim Yun-Ji, Shim Neung-sook's father. Shim Yun-ji's poetry club was called ‘Namgo-poetry club(南皐詩社)’, which emphasized the locality of Namchon(南村) in Seoul. The main participants of the time when the 南皐詩社 was formed were Kwon Sang-shin, Kim Sang-im, Kim Sang-hyu, HongUi, and Yi Eun[Lee Paerang-e]. In the 19th century, Shim Neung-sook succeeded the 南皐詩社 and renamed it 楠皐詩社, further expanding the size of it and developing it. Since ‘楠’ was used by Shim Neung-sook, writers of the time called it 楠皐詩社 distinguished from Shim Yun-ji's poetry club. Shim Neung-sook was a renowned poet and leading the cultural phenomenon that was popular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musical talent such as playing music and writing music, fondness for flowers, the taste of taoist ideology such as 『ChamDongGye(『參同契』)』, yearning for a hermit(奇人), and creation of stories and novels. During its heyday, many representative writers such as Kwon Bok-in, Lee Jae-ui, Kim Ki-mook, Kim Ki-seo, Jung Se-ik, Jo In-young, Cho Chul-young, and Lee Myung-oh participated in the club. In the later period, writers who received attention in 19th-century Korean studies such as Seo Yoo-young, Lee Man-yong, Kim No-kyum, and Song Sang-rae were active. Since the 楠皐詩社 was not directly inherited by the descendants of Cheongsong Shim, it was forced to disband naturally after the death of Shim Neung-sook. However, Seo Yoo-young, Hong Han-ju, Lee Man-yong, Song Ju-heon and Hong Jae-bong, who were participants of the 楠皐詩社, held a ‘Namsa(南社)’, a new poetry club. The fact that many of the key writers in southern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from the 楠皐詩社 is also a good example of the influence of it in the 19th century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조선조 「신루기(蜃樓記)」 작품군 연구

        진민희 ( Jin Min-hu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대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늦은 봄날 비가 오기 전에 넓은 갯벌의 바닷조개[蜃]가 기운을 토해 커다란 `空中樓閣`의 형상을 세운다고 믿었다. 이를 `신루` 혹은 `蜃氣樓`라고 부른다. 신기루는 고대 중국에서 기원한 이래 동아시아 지역의 문학적 소재로 차용되어 왔으며, 조선에서는 康惟善, 金德謙, 車天輅, 趙纘韓, 金時讓, 張維, 全有亨, 南宮鏶, 李鈺, 沈能淑 등의 작가를 통해 「蜃樓記」라는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꾸준히 창작되어 왔다. 오랜 시간에 걸쳐 특정 지역의 여러 작자들이 「신루기」라는 동일한 제목으로 작품을 창작 했다는 것은, 신루기라는 소재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착상의 출발점이 동일하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즉, 「신루기」라는 일련의 작품들 내에는 엄연한 유형적 규범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는 이들을 `「신루기」 작품군`이라 규정하고,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하였다. 첫째, 「신루기」 작품군의 작자층은 문학적 재능이 출중하나, 정쟁으로 탄핵되거나 정계에서 소외된 사대부로 이뤄졌다. 이들은 자신의 불우한 상황을 의식하고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주제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이때 莊子의 세계관과 寓言 형식을 통해, 신루를 환상적인 異界, 즉 세속과 대비되는 공간으로 설정했다. 「신루기」 작품군의 이러한 특징은 조선중기 누정기에서도 나타나는데, 신루기에는 특히 정치현실과의 대립 구도 속에서 누정을 세속과 격절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둘째, 다수의 「신루기」 작품은 허구의 누정인 신기루를 대상으로 하여 누정기의 전통을 따라 창작되었다. 강유선, 김덕겸, 차천로, 조찬한, 김시양, 장유, 남궁집 등의 작품이 여기에 해당한다. 한편, 누정기라는 전형성에서 벗어난 이탈적 문체의 양상의 작품도 존재한다. 「신루기」 작품군은 정형성을 획득하며 하나의 문학적 유형으로서 인정받게 되었지만, 곧 이 정형성이라는 것이 한계로 작용하였다. 이에 몇 가지 이탈적 면모를 보이기도 하는데, 전유형은 문답방식이 두드러지는 글로, 이옥은 신루에 대한 고증과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글로, 심능숙은 18세기 이후 문학사에 유행했던 유기체 글로써 그 변모를 꾀하였다. Usually, in the East Asian region, the sea shells built on the mirage, which had dried up on the vast mudflats before the late spring rains. It is called `Shilu`, or `the city built on the sea`. These properties of mirage have been borrowed from ancient China since the origins of East Asia and have been constantly created through the writers such as Kang Yoo-Sun, Kim Duk-Gum, Cha Cheon-Ro, Cho Chan-Han, Kim Sihyang, Chang Yu, Jeon Yu-Hyung, Namgung Jib, Lee Ok, Sim Nung-Sook with the same title in the Joseon Dynas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a number of people in certain regions of the world have created the same title as “Sillu-gi”, meaning that they have succeeded in writing the style and composition of the original. In other words, there is a stark sense of propriety in a series of works called “Sillu-gi”. For this reason, bongo defined them as “Sillu-gi” and fo- cused on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of all, the “Sillu-gi” has become a literary talent, but it has become a political heavyweight who has been impeached for political strife or excluded from politics. They consciously created their own themes, consciously aware of their poor circumstances and have a critical awareness of reality. The works of the “Sillu-gi” group were common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Taoism and Zhuang Zi. Second, a number of works were created along with the traditions of Nujeong-gi, a fictional nujeong mirag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icture of a style of escapism that deviates from the nujeong. The “Sillu-gi” work became recognized as a literary type, but soon became a literary type, but this was the limit. Therefore, there were some unseated aspects of this.

      • 누적적 불이익에 따른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소원,진민희,노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누적적 불이익에 따른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성인기의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에 누적적 불이익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성인기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개입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필요성: 성인기의 우울은 가장 심각한 정신질환의 하나로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은 불안장애, 심장병과 같은 신체적 및 정신적 질환 유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심각한 우울은 자살문제 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성인기 우울은 공공 건강을 위한 중요한 부분임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아동기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결핍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뿐만 아니라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이후의 소득, 교육수준, 생활만족도에까지 영향을 미침으로써 성인기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동기 결핍 경험으로 인해 성인기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을 종단으로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누적적 불이익 이론에 따라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와 14차년도 자료를 결합한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차자료(2006년)에서 아동기 0~17세 시기에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신 경험, 경제적 이유로 친척집에서 성장 경험, 생계가 곤란하여 학업 중단 경험, 부모님 이혼 경험, 아동기의 경제적 생활상태 등의 아동기 결핍 경험을 겪은 사람으로써, 14차자료(2019년)에서 성인기 정신건강 문항에 응답한 성인 2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척도의 신뢰도 분석과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기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eacher & Hayes(200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고, 신뢰 구간 95%로설정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결과 :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0724(.0086∼.1491)로 신뢰구간 95%에서 ‘0’ 이 존재하지 않아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의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 우울로 가는 경로의 총 효과는 .1789(p>.05)이며, 매개변인인 교육수준, 소득, 생활만족도를 투입한 직접효과는 .0203(p>.05)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전체 간접효과에서는 .1585(.0617~.2612)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교육수준, 소득, 생활만족도가 각각 매개하는지 분석해본 결과, 간접효과는 .0461(.0211∼.0807)로 나타났으며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소득과 생활만족도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주요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천현장의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만족도가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는 결과는 생활만족도가 아동기 결핍 경험으로 인한 결과이며 성인기 정신질환의 하나인 우울 수준을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인기의 생활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중요할 뿐 아니라 성인기에 경험하는 실업, 사회적 고립, 건강, 가족관계 변화 등의 문제에 극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가 시급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 영역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기관들이 포괄적 케어와 관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상호 유기적인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성인기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간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아동기 결핍 경험이 있는 경우 아동기의 충분한 교육환경 지원 뿐 아니라 발달상의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게 되면서 성인기의 낮은 소득과 연결되고 낮은 소득으로 활동의 제약을 경험하면서 생활만족도 수준을 낮추게 되어 우울로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의 소득과 생활만족도를 통해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한부모 가정, 조손가정, 이혼가정, 빈곤가정의 아동들에게 결핍된 요소를 찾아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 및 필요한 자원들을 충족시켜주어 결핍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아동기 시기에 결핍의 불평등을 줄이는 방안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령기 시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 상담센터,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심리적, 정신적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아동 개인별 맞춤형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성인기 우울은 소득 수준과 더불어 생활만족도의 부정적인 영향에 의해 의거하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는, 성인기 우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단순히 소득빈곤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득보장정책과 함께 생활상의 결핍된 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성인기 생활상의 결핍 요소를 위한 대책 마련으로 일-가정 양립할 수 있는 문화 조성, 양성평등의 기회 제공 등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