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코로나로 인한 일상공간 변화 경험

        진민희,김서현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3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3 No.3

        This paper understood the experience of daily space changes during COVID-19 among Chinese foreign graduate students (CFGS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or this study, four CFGSs who came to Korea before COVID-19 were selected, and data was collected via more than four in-depth interviews each. The oral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ime,’ ‘sociality,’ and ‘place’ from Clandinin and Connelly’s (2000) three-dimensional inquiry space of narra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FGSs stayed in confined temporary residential spaces, they actively improved the environment. Second, they lived in the limited realistic space around school and residential due to social distancing. Third, the shattered maintained space restricted them in the margin of Korean society. Fourth, they dedicated settling their daily lives and minds in cyberspace as an alternative.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improving life quality, including the stability of the daily space for CFGSs.

      • KCI등재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 유학을 통한 학문적 성장 경험 : 포토보이스(Photovoice) 기법을 활용하여

        진민희,김서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6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대학원생들이 한국 유학을 통해 어떻게 학문적 성장을 경험하는지 포토보이스 기법을 적용해서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 5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했고, 이들에게 총 3회의 사진 촬영을 요구하여 진실하고 풍부한 시각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후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는 촬영한 사진을 토대로 개별 면담을 했으며, 이들이 한국 유학을 통해 학문적성장한 경험에 관해 함께 수차례 진지하게 대화하였다. 수집한 사진, 녹취록과 관찰 자료는 주제 분석법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 핵심적인발견점을 확인했다. 즉, 연구참여자들의 학문적 성장 경험의 의미는 ‘뚜렷한 유학 동기로 수립해 가는 인생 방향성’, ‘대학원이라는 학문 울타리 아래 펼치는 연구 역량’, ‘유학생활 속에서 스스로 만들어가는 일상과 연구의 균형’, ‘국적 뛰어넘는 유학생 네트워크로 갖추는 지지체계’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한국 유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들이 더욱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학문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eply explored how Chinese Graduate Students (CGSs) experience the academic growth through studying in South Korea by using the Photovoice Method. To achieve this goal, five CGS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graduate projec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ovide authentic and abundant visual data through three rounds of photography. Following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engaged in several in-depth conversations concerning their experiences of academic growth through studying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photos, interview transcripts, and observational data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refore, the following four key findings were identified, namely: the meaning of academic growth experiences is discovered to be: ‘the establishment of life direction through clear motivations for study abroad,’ ‘the demonstration of research capabilities within the academic framework of graduate school,’ ‘the conscious maintenance of a balance between daily life and research activities during the study abroad experience,’ and ‘the building of a support system through international student networks beyond the nationality boundaries.’ Finally, the study proposed suggestions to support a healthier and more sustainable academic growth for CGSs during their stay in South Korea.

      • 조부모의 면접교섭권

        진민희 사법발전재단 2009 사법 Vol.1 No.10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조부모가 손자ㆍ손녀를 양육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이혼이나 부모의 사망 등으로 가정의 해체가 일어나는 경우 자녀의 복리를 위해서라도 조부모와 자녀 사이의 면접교섭을 인정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 미국, 영국 등지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조부모의 면접교섭이 인정되어 왔는데, 그 인정근거 및 허용요건에 대하여 각국의 입장이 일치되지는 않지만, 자녀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한다면 양육권자인 부모의 반대가 있더라도 자녀와 조부모 사이의 면접교섭을 인정하는 것이 현재의 일반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법규정은 ‘자를 직접 양육하지 아니하는 부모의 일방과 자는 상호 면접교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라고 정하고 있어 면접교섭의 당사자를 자와 비양육친에 한정하고 있다. 조부모의 면접교섭을 법 이전의 권리라고 본다면 현행법하에서도 이를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볼 때 조부모의 면접교섭을 인정하는 명문 규정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부모의 독자적인 면접교섭의 인정 여부가 문제될 수 있는 상황은 많겠지만, 부모의 자녀에 대한 보호, 교양, 양육권과의 조화나 자녀의 최선의 이익이라는 면접교섭의 궁극적 목적을 생각해 볼 때, 부모 중 일방이 사망한 경우 그 사망한 측의 조부모에게 독자적인 면접교섭을 인정하는 게 가장 일반적인 경우라 할 것이다. 조부모의 면접교섭을 허용하기 위한 요건이 되는 것이 ‘자녀의 최선의 이익’인데, 면접교섭이 자녀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고려요소는 자녀의 의사, 연령 등 자녀에 관한 사항, 조부모의 적격성, 조부모와 자녀의 관계, 조부모와 자녀의 양육친과의 관계, 면접교섭이 양육친과 자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면접교섭이 자녀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입증책임은 조부모에게 있는데, 조부모의 면접교섭의 부재가 자녀에게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위해가 된다는 정도까지 입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자녀와 조부모 사이의 면접교섭은 조부모와 부모가 그 면접교섭이 자녀의 복리를 위하여 필요하다는 공통된 인식하에 서로 협력할 때 비로소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대로 기능 할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면접교섭 관련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고 면접교섭의 시행관찰을 통하여 그 경과를 확인하고 구체적 사안에 맞는 적절한 면접교섭 형태 및 방법을 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growing the number of dual-income families, the cases of grandparents’ grandchildren care are getting increased, and therefore when the family is dissolved due to parents’ death or divorce, the need of visitation rights between grandparents and children for children’s welfare is increasingly important. Grandparents visitation have been long acknowledged in France, America, and England. Although each country has different standards regarding recognition foundations and requirements, it is now general to accept visitation rights between grandparents and children despite the opposition of parents with custody of the children in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Korean current regulations limit the persons with visitation rights to the children and non-nurturing parents, stating that ‘one parent who doesn’t nurture children and children have the right of contacting each other’. If grandparents’ visitation rights are considered as the right ahead of law, the current law may stipulate the visitation r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substantive enactment to acknowledge grandparents’ visitation rights considering various realistic problems. There may be many questionable situations of grandparents’ independent visitation, but considering the ultimate goals of visitation right that is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harmony with parents’ rights of care, education, custody for children, it is general to grant the parents of the deceased the visitation right when one of the parents is deceased. The requirement of granting grandparent visitation is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and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deciding if a grandparent visitation is suitable to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are the matters about children such as children’s intention and age, grandparents’ eligi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the nurturing parent of children, and the effects of visitation on the nurturing parent and children.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visitation suitable to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s given to grandparents, but it doesn’t need to prove that the absence of grandparent visitation damages children physically and mentally. Grandparent visitation is actively granted and functioned when grandparents and parents understand the need of visitation for children’s well-fare. To this end, the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people who have visitation rights should be introduced, and proper types and methods of visitation suitable to the specific proposals should be determined in advance by checking and reviewing its process through the observation of visitation.

      • KCI등재

        창덕궁 낙선재 후원 소영주小瀛州 괴석怪石과 심상규沈象奎의 소안원蕭雁園

        진민희 국립고궁박물관 2023 古宮文化 Vol.- No.16

        창덕궁 낙선재 본채 후원에는 ‘소영주小瀛州’라는 글씨가 새겨진 괴석대怪石臺 위로 수석이 놓여있다. ‘소영주’는 ‘작은 신선계’를 뜻한다. 본고는 창덕궁 낙선재 후원의 소영주 괴석 전면부 ‘운비옥립’ 하단에 새겨진 낙관자와 후면부의 각자를 해독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한다. ‘운비옥립’의 서체는 행초서行草書로, 글씨 끝에 낙관이 새겨져 있으나 일부가 깨어져 나가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후면부의 각자 역시 마모가 심해 지금까지 그 존재가 드러나지 못했다. 이에 괴석에 대한 정보가 오랫동안 미상으로 남아있었다. 본고는 괴석 전면부의 낙관자를 ‘두실거사斗室居士’로, 후면부의 각자는 ‘소안원蕭雁園’으로 해독하였다. 이로써 ‘두실’을 호로 삼고 ‘소안원’의 주인이었던 심상규沈象奎, 1766~1838가 소영주 괴석의 소유주였으며, 소영주 괴석은 소안원의 정원석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심상규 집터를 소개하고 소안원 시회蕭雁園詩會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분석하여, 소영주 괴석이 정원석으로 있던 소안원의 실존 사실을 확인하였다. 심상규는 19세기 경화세족을 대 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경복궁 동쪽 근지의 송현동松峴洞에 거주하며 4만 권의 책을 소장한 서재 가성각嘉聲閣의 주인으로 유명했다. 또한 심상규는 송현동 저택에서 당대 최고의 명문 벌열가 문인들을 초대해, 자신이 소장한 최고급 서화골동품을 완상하는 소안원 시회를 열었다. 소안원은 19세기 경화세족의 고급 소비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었다. 소영주 괴석은 바로 소안원의 정원석이었던 것이다. 또한 소안원 괴석이 낙선재로 이설한 시점과 방식에 대해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자료를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다. 명확한 사실은 괴석이 1901년 이전부터 낙선재 후원에 자리 잡았다는 점이다. 심상규 집터는 현재까지 서울 내에서 다층적인 역사성으로 의미가 깊은 장소이다. 해방 후에는 구 미대사관직원숙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시에서 ‘송현 문화공원’과 ‘이건희 기증관’으로 활용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창덕궁 낙선재 소영주 괴석의 원 소재지가 소안원이었다는 사실은 심상규 집터의 역사적 의미를 한층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소영주 괴석의 원 소유주와 소재지를 밝힌 첫 번째 연구라는 지점에 있다. 본고의 연구가 19세기 문화사·문학사·서울사에 대한 이해에 일면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rear garden of Nakseonjae Hall within Changdeokgung Palace, on top of the oddly-shaped rock pedestal with the inscription of SoYeŏngJu(小瀛州), there is a stunning rock. SoYeŏngJu means a small world of Taoist hermits. e decorative rock resembles a retreat for Taoist hermits,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stratied creases, and an inherently arid texture. Remarkably, upon exposure to moisture, it promptly manifests a luminous quality, revealing its aesthetically pleasing features. 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cipher the carved seal letters at the bottom right of the inscribed characters unbioklip(雲飛玉立, clouds soaring, jade upright) engraved on the front of the ornamental rock pedestal and the carved characters on its back. Unbioklip characters are engraved in the running script. At the bottom right of the four engraved characters is another carving, however precise readings are difficult due to some parts being broken. e characters on the back of the rock have also been indescipherable until now due to severe wear and tear. As a result, information about this rock has remained unknown for a long time.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arved seal letters on the bottom right of the front side of the rock reads dusilgeosa(斗室居士, the Hermit of the Dipper Chamber) and the other on its back Soanwon(蕭雁園). Consequently, it is discerned that Sim Sang-gyu (1766-1838), who used ‘dusil’ as his courtesy name and was the owner of the Soanwon Garden, possessed the ornamental rock. This revelation indicates that the rock was a part of the garden stones in the Soanwon Garden. He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idence site of Sim and analyzes works created during the literary gatherings at the Soanwon Garden, conrming the factual existence of the Soanwon Garden whose garden stone was the ornamental rock of Nakseonjae Hall. Sim Sang-gyu was a prominent gure representing the nobility of Hanyang (present-day Seoul) in the 19th century. Residing in Songhyeon-dong, situated east of Gyeongbokgung Palace, he was renowned as the owner of the private library Gaseonggak(嘉聲閣), housing over 40,000 volumes. Furthermore, he hosted literary gatherings at Soanwon, inviting the most distinguished literati and connoisseurs of his time to appreciate his exquisite collection of high-quality calligraphy, paintings and antiques. The Soanwon Garden served as a cultural space embodying the sophisticated consumption culture of the elite in Hanyang in the 19th century. Furthermore, this study has explored various possibilities regarding the timing and method of the relocation of the Soanwon Garden stone to Nakseonjae Hall, drawing insights from historical source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 incontrovertible conclusion drawn is that the rock had already found its place in the rear garden of Nakseonjae Hall before 1901. The residence site of Sim holds profound historical signicance within the layered historical context of Seoul up to the present. 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the site was once occupied with the accommodation buildings for U.S. Embassy staff and is currently being planned for repurposing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the “Songhyeon Cultural Park” and the “Lee Kun-hee Bequest Hall”. Moreover, the revelation that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ornamental rock was Soanwon adds an additional layer of historical signicance to the legacy of Sim’s residence site. The primary signicance of this paper lies, above all, in being the rst study to elucidate the original owner and location of the Nakseonhae rock. It is hoped that the nding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enhancing understanding of aspects of 19th-century cultural, literary, and historical dimensions,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Seoul’s history.

      • KCI등재

        조선후기 이인(異人) 이패랭이[李平凉] 관련서사에 대한 고찰

        진민희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2

        The Hermit Lee Paerang-e is a person of various aspect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18-19th century, and has long been a subject of interest and envy for many people. Nevertheless, all existing studies on Lee Paerang-e were limited to individual works, and no research has dealt with the link between them. The works related to Lee Paerang-e are found in a number of literary works, and this paper studies The three main themes of the Lee Paerang-e narrative are the reason he became a Hermit, his excellent writing skills, and taoist ideology. Lee Paerang-e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haracters,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are Lee Jung-hae and Lee Eun. Lee Jung-hae is a relative of Lee Jung-so, a key figure in Noron. Sung Hae-eung and Yu Bon-hak specified Lee Jung-hae as Lee Paerang-e. Lee Eun is the main character in Shim Neung-sook’s LeeEun Jeon in which his various Hermit stories written while working as Lee Paerang-e and the evaluation of the contemporary people are very detailed. Shim Neung-sook is the only writer who has specified Lee Eun as Lee Paerang-e. Lee Paerang-e was a representative Hermit in the late Joseon Period. Compared to Kim Sat-gat, who became a wandering poet due to his tragic personal history despite being an outstanding writer, Lee Paerang-e, who left various narratives in the preceding era, can be seen as a pioneering type of wandering intellectuals. But, Lee Paerang-e and Kim Sat-gat have different character types. Kim Sat-gat wrote poems with strong social satire and playfulness, but Lee Paerang-e has no social satire works or plays. Lee Paerang-e’s literary and poetic talents were widely recognized during the period, but the number of works handed down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at of Kim Sat-gat. Essentially, the Lee Paerang-e’s Hermit story focuses on taoist ideology while Kim Sat-gat’s Hermit story is more realistic and enjoys the arts. It is the decisive limit that leaves Lee Paerang-e as a Hermit, not a Poet. The material used in the Lee Paerang-e’s narrative shows the complex culture aspects of the time. Lee Paerang-e’s folktales about taoist ideology can be interpreted as a way for a nobleman who was alienated from the central power of the time to relieve his feelings about the real situation. Further research will talk about the trend of succession and change from Lee Paerang-e’ narrative to Kim Sat-gat’s narra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패랭이 인물 유형’은 이패랭이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다수의 작품에 등장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기록된 ‘이패랭이’라는 인물이다. 이패랭이는 18∼19세기 문화적 특성의 다양한 면모를 고루 갖춘 인물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도록 흥미와 선망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이패랭이 연구는 모두 개별 작품에 한정되었으며 작품 간의 관련성을 상고한 글은 전무한 상황이다. 이패랭이 관련 작품은 다수의 문집에 산재하나, 본고는 이동윤(李東允)ㆍ성행응(成海應)ㆍ서형수(徐瀅修)ㆍ강준흠(姜浚欽)ㆍ심능숙(沈能淑)ㆍ유본학(柳本學)ㆍ서유영(徐有英)ㆍ장지연(張志淵)의 글과 편자 미상의 『동국고사(東國故辭)』ㆍ『계압만록(鷄鴨漫錄)』ㆍ『야담기문(野談奇聞)』에 실린 이패랭이 서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패랭이 서사는 두 명 이상의 인물이 복합되어 만들어졌으며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 바로 이정해와 이은이다. 이정해는 노론계 핵심인물이었던 완산 이씨 이정소의 족손이다. 성해응과 유본학은 이정해를 이패랭이로 명시하였고, 심능숙과 장지연은 이은으로 명시하였다. <이은전>은 이은이 이패랭이로 활동하며 남긴 다양한 이인설화와 함께 이에 대한 당대인들의 평가가 자못 상세하다. 또한 상기의 현전 작품 간 서사의 편차가 크지 않다는 점, 저명한 문인들에게 정리된 문체로 창작된 작품이라는 점, 작품 내 이패랭이의 활동지역이 어느 정도 서로 일치한다는 점, 작자와 작품 내 이패랭이 교유자의 범위가 노론계 경화사족과 친노론계 일가로 일정하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이패랭이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이인(異人)이었다. 이패랭이 서사의 주된 소재는 기인(奇人)이 된 연유, 뛰어난 문식(文識), 신선술 등 3가지이다. 또한 뛰어난 재주를 겸비하였음에도 비극적인 개인사 때문에 방랑객이 된 김삿갓과 비교했을 때, 앞선 시대에 활동하며 다양한 서사를 남긴 이패랭이를 유랑 지식인의 선구적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패랭이와 김삿갓을 같은 인물유형으로 보기에는 그 결이 매우 다르다. 김삿갓은 사회 풍자와 유희적 성격이 강한 시를 지었지만, 이패랭이는 사회를 풍자하는 희작이 없다. 또한 이패랭이의 문식과 시적 재능은 당대에 널리 인정받았음에도 전하는 작품 수가 상당히 적다. 결정적으로 이패랭이의 이인담이 신선술에 방점이 찍힌 데에 비하여, 김삿갓의 이인담은 보다 현실적이며 풍류를 즐기는 면모를 골자로 한다. 이는 이패랭이를 ‘시인(詩人)’이 아닌 ‘이인(異人)’으로 남게 하는 결정적 한계이기도 하다.

      • KCI등재

        芍玉 洪鐘應의 醉石亭과 駱山詩會 -『槎橘』을 중심으로-

        진민희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9 No.-

        본고의 목적은 첫째, 19세기 駱山詩會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 北社의 趙冕鎬·申錫愚, 南社의 徐有英·金尙鉉 등이 駱山詩社(駱社)에서 활동했음을 언급해 왔으나, 낙산시회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이에 시회의 구체적 장소와 참여 동인들의 명단을 제시하고, 그 활동 양상을 살폈다. 둘째, 낙산시회가 이뤄진 공간인 芍玉 洪鐘應(1803~1866)의 別墅, 駱山 醉石亭을 조명한다. 취석정은 북촌시사의 동인들이 즐겨 찾는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北社·南社·東社의 참여 문인들이 대대적으로 교유 활동을 펼친 문화 공간이었다. 본고의 연구방식은 芍玉集 · 海藏集 · 玉垂集 등 주요 참여자들의 문집과 더불어 槎橘 이라는 자료를 교차 확인하며 낙산시회의 활동양상을 재구하였다. 사귤 에는 낙산시회를 총 3편의 詩題로 나누어 구성했다. 「駱山韻」·「復會駱山」·「駱山雅集」이 바로 그것이다. 홍종응의 취석정은 낙산시회 뿐만 아니라, 1860년 북사·남사의 교류 현장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1862년 남사와 북사의 합사가 이루어지고, 1863년 북사·남사·동사의 합사는 바로 취석정에서 결행되었다. 이로써 낙산 취석정 시회는 19세기 서울 내 대형 시사 모임을 주도하고 이후 시사 간의 대대적인 결합을 도모한 장소로 의미가 깊다. 첫째, 지금까지 막연하게 예측되었던 낙산시사의 실체를 확인한 것이다. 둘째, 19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창작활동과 문예적 교유의 한 현장을 짚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서울 낙산의 지역사 연구는 물론, 낙산의 지역성을 문화·문학 콘텐츠로 개발하는 사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Naksan Poetry Club.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that Jo Myŏn-Ho(趙冕鎬)·Shin Sŏk-woo(申錫愚) of Buksa and Sŏ Yu-Yŏng(徐有英)·Kim Snag-Hyŏn(金尙鉉) of Namsa were active in the Naksan Poetry Club in the mid-19th century. But, there has been no full-scale research on the reality of Naksan Poety Club. Accordingly, the specific location, list of participating members and the activities of the Poetry Club were examined. The second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se places for the first time: Villa(別墅) of JakOk Hong Jong-eung(芍玉 洪鐘應, 1803~1866) and ChuiSŏkJeong(醉石亭) in Naksan(駱山), where the Naksan Poetry Club was held. ChuiSŏkJeong was not only a favorite place for members of Bukchon poetry club, but also a cultural space where participating poets from Buksa(北社)·Namsa(南社)·Dongsa(東社) in Seoul exchanged extensively. This paper's research method cross-checked the anthologies such as Jakokjip(芍玉集) · Haejangjip(海藏集) · Oksujip(玉垂集) and the data called Sagyul(槎橘) to re-examin the activities of Naksan Poetry Club. In Sagyul(槎橘) , Naksan Poetry Club is organized into three title: 「Naksanwoon(駱山韻)」·「BuhoiNaksan(復會駱山)」·「Naksanajip(駱山雅集)」 In 1860, Hong Jong-eung's ChuiSŏkJeong Poetry Club was used as an exchange site between Buksa and Namsa. Later, in 1862, the merger of Namsa·Buksa was established, and in 1863, the merger of Buksa·Namsa·Dongsa was established at ChuiSŏkJeong. As a result, the ChuiSŏkJeong is meaningful as a place that led large poetry gatherings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and later promoted a large-scale combination of poetry club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firmed the reality of Naksan Poetry Club, which has been vaguely predicted so far. In particular, the need to recognize it separately from 'Dongsa' was raise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regional history of Naksan. This study, which revealed Naksan ChuiSŏkJeong, could help the project to develop the regionality of Seoul into cultural and literary contents.

      • KCI등재

        서유영(徐有英)의 기행시 고찰 - 임한정(臨漢亭)·금강산(金剛山)·송도(松都) 연작시 중심으로

        진민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25 한국고전연구 Vol.- No.68

        19세기 한국 문학사에서 서유영(徐有英, 1801∼1876?) 문학의 위상은 더 이상 이의가 없을 정도로 폭 넓고 뛰어나며, 그의 생애와 교유 양상 역시 유의미하다. 그러나 여전히 서유영의 시세계를 본격적으로 다룬 후속 연구의 성과는 미진하다. 본고는 『운고시초(雲皐詩抄)』내의 기행시를 통해 서유영 시세계의 일면을 살펴보려 한다. 서유영 기행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으로 분류하자면 다수가 해동악부․죽지사․잡영으로 악부시에 속한다. 둘째, 기행문학의 관점에서 관유기행문과 유배기행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동행인들이 대부분 시사(詩社)의 동인들로, 시회의 현장에서 창작되었다. 이에 본고는 서유영의 시사 활동이 두드러진 임한정(臨漢亭) 기행시, 관유기행의 특징이 잘 드러난 금강산 기행시, 유배기행으로 분류되는 송도(松都) 기행시를 선별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임한정과 송도 기행은 악부시에 속하며, 특별히 송도 기행시는 서유영 시문학의 정수를 보여줬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임한정 기행시는 서유영의 남사(南社) 활동과 지아자(知我者)에 대한 욕망이 특정 장소에 발현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총 세 차례의 여정을 통해 창작한 금강산 기행시는 신라 기원 도교와 불교적 색채가 짙은 그의 문학관이 확인 된다. 송도 기행시는 유배 도중이라는 특정 시기와 고려에 대한 역사적 관점이 함께 반영되어, 명승 경관보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지역성을 부각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유득공(柳得恭)의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계승하였다는 점도 주요하다. 서유영의 기행시는 본고를 통해 처음으로 조명되는 바이다. 본고는 그간 학계에서 제대로 주목 받지 못했던 서유영의 시세계를 보다 다층적으로 살피며 남사를 비롯한 19세기 경화세족 시사 활동의 구체적 정경을 복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유영의 깊은 사유와 애정이 담긴 장소들에 대한 연구에도 본고의 작업이 일면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literary contributions of Sŏ Yu-yŏng (徐有英, 1801–1876?) hold an undisputedly promine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19th-century Korean literature, demonstrating remarkable breadth and sophistication. Furthermore, his life and social interaction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intellectual networks of his time. However, compared to studies on his novel Yukmidanggi (六美堂記) and his vernacular Kŭmkye P’ilt’am (錦溪筆談), research focusing on his poetic works remains notably underdeveloped. This paper investigates one aspect of Sŏ’s poetic work by analyzing his journey poems, particularly those found in Unko Sicho (雲皐詩抄). These poems exhibit three key characteristics. First, many belong to the Akpu (樂府) poetic tradition, including subcategories such as Haedong Akpu (海東樂府), Chukji sa (竹枝詞), and Chap’yŏng (雜詠).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travel literature,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observational travel accounts (kwanyu kihaeng, 觀遊紀行) and exile journeys (yup’ae kihaeng, 流配紀行). Third, these poems were often composed during poetry gatherings and involve fellow members of literary societies. The analysis examines a series of journey poems depicting Sŏ’s experiences visiting Imhanjŏng (臨漢亭), Mount Kŭmgang (金剛山), and Songdo (松都), representing his engagement with literary societies, observational travel, and exile journey. The Imhanjŏng poems reflect Sŏ’s participation in the Nam-Sa (南社) and his desire for “one who truly understands him” (chiaja, 知我者), both conveyed through specific locales. The poems from Mount Kŭmgang, composed during three journeys, reveal a literary worldview deeply influenced by Taoist influences from Silla (新羅) and Buddhist ideologies. Meanwhile, the poems from Songdo, written during his exile, emphasize regional identity and historical narratives over the scenic beauty of the landmarks, drawing a connection to Yu Tŭk-kong’s (柳得恭) Isib’il-to Hoegosi (二十一都懷古詩). This study fills a critical gap in scholarship by bringing attention to Sŏ Yu-yŏng’s poetic works, which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reconstructing the literary and cultural activities of 19th-century Kyŏnghwa sejok (京華世族), particularly their participation in poetic societies such as the Nam-Sa. For the first time, Sŏ’s travel poetry is examined in detail, offering fresh insights into the places imbued with his profound thought and emotional depth. This paper also seeks to support further research on Sŏ’s attachment to and reflections on specific locations, enriching the broader understanding of 19th-century Korean literary culture.

      • KCI등재

        1810‧1811년 金魯謙과 沈能淑의 東望峯 유람

        진민희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8 No.-

        Dongmangbong is one of the peaks of Naksan(駱山) and is currently located between 6-ga Bomun-dong, Seongbuk-gu and Sungin-dong, Jongno-gu. After King Sejo(世祖)'s usurpation of the throne in 1455, Queen Jeongsoon (定順王后, 1440∼1521), while staying at JeongUpWon(淨業院), ascended the Dongmangbong morning and evening and prayed for peace and well-being of King Danjong(端宗, 1441∼1457), toward Yeongwol, where he was located. So people named the peak Dongmangbong. In the summer of 1810, colleagues of the Namgo-Poetry Club(楠皐詩社), Shim Neung-sook(沈能淑, 1782∼1840)‧Kim No-gyeom(金魯謙, 1781∼1853)‧Seo Chung-bo(徐忠輔, ?∼?)‧Lim Ik-sang(任翼常, 1789∼?) went on a sightseeing trip to Dongmangbong (東望峯). Kim No-gyeom recorded the journey and impressions of the day in various poems. Shim Neung-sook went on a tour of dongmangbong and JeongUpWon again by himself in 1811, and left a poem. Because in the tour of Dongmangbong in 1810, he and his colleagues could not reach to the site of the JeongUpWon(淨業院), which they aimed for. Kim No-gyeom and Shim Neung-sook both expressed their feelings of indignation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Queen Jeongsoon suffered more severe hardships than did A-hwang(娥皇) and Yeo-yeong(女英). In addition, because the anecdote of Queen jeongsoon is more desperate, they emphasized that Dongmangbong is also an important historical site comparable to Xiaoxiangjiang(瀟湘江). Jongno-gu holds a cultural festival in memory of Queen jeongsoon and actively promotes local storytelling projects, centering around JeongUpWon and Dongmangbong, every April from 2008 except 2020.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expansion of the project to restore cultural heritage in the Naksan area of ​​Seoul as a content. Until now, however, some cultural heritage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ly on legends without properly verify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region. In this regard, I think that JeongUpWon and Dongmangbong travel literature of Kim No-gyeom(金魯謙) and Shim Neung-sook(沈能淑) on this paper can provide more accurate and rich data for the cultural heritage contents and storytelling projects in the Naksan region.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ravel literature targeting the eastern part of Han’y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동망봉은 駱山의 한 봉우리로, 현재 성북구 보문동 6가와 종로구 숭인동 사이에 위치한다. 1455년 世祖의 왕위 찬탈 이후, 定順王后 宋氏(1440∼1521)가 淨業院에 기거하면서 조석으로 봉우리에 올라 端宗(1441∼1457)이 있는 영월을 향해 안녕과 명복을 빌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10년 여름, 楠皐詩社의 동인 金魯謙(1781∼1853)‧沈能淑(1782∼1840)‧徐忠輔(?∼?)‧任翼常(1789∼?)은 東望峯 유람을 떠났다. 김노겸은 이날의 여정과 소감을 여러 시문으로 기록하였다. 심능숙은 1811년 다시 단독적으로 동망봉과 정업원 유람을 실행하고, 이를 시문으로 남겼다. 1810년의 동망봉 유람은 그들이 목표했던 淨業院 터까지의 여정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노겸과 심능숙은 정순왕후가 娥皇‧女英보다 더욱 심한 역경을 겪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이러한 뜻이 담긴 동망봉‧정업원이 잊혀가는 세태에 통탄했다. 이들은 오히려 동망봉이 瀟湘江보다 더욱 의미 있는 공간이라고 주장했다. 종로구는 2008년부터 매년 4월, 2020년을 제외하고 정업원‧동망봉 일대를 중심으로 정순왕후 추모 문화제를 열어 지역 스토리텔링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에 서울 낙산지역 문화유적을 콘텐츠로 복원하는 사업의 확장 필요성 또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지역의 역사적 사실과 문헌 자료를 제대로 고증하지 못한 채, 전설에만 기대어 일부 문화유적 콘텐츠가 개발된 실정이다. 이에 본고가 제시하는 金魯謙과 沈能淑의 정업원‧동망봉 기행문은 조선후기 문인들이 인식했던 동망봉‧정업원의 공간적 의미를 파악하여 낙산지역의 문화유적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사업에 더욱 정확하고 풍성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조선후기 한양 동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행문학을 연구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19세기 서울 ‘중기 南社’의 결성과 활동 양상

        진민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4 규장각 Vol.64 No.-

        1784~1840년 서울 南村에서 활동하던 초기 南社(楠皐詩社)의 후배 문인들은 1832년부터 남촌의 시사를 계승하여 중기 남사로 활동했다. 중기 남사의 결성은 洪翰周의 글, <南園唱酬集鈔>(『海翁詩藁』 卷2‧3), 「南園唱酬集序」(『海翁文藁』 卷3), 「南園唱酬集」(『智水拈筆』 卷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1832년부터 1839년까지를 중기 남사의 1기 활동기로, 이후 1839년부터 1865년까지를 중기 남사의 2기 활동기로 비정한다. 1기와 2기를 나누는 기준은 <남원창수집초> 마지막 작품의 창작년도로 정한다. 2기 활동 양상은 19세기 서울 내 주요 시사의 창작시를 선별해 엮은 『槎橘』과 개인 문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기 남사의 1기(1832~1839) 동인은 洪翰周‧徐有英‧宋柱獻‧洪在鳳‧徐岐輔·徐世輔‧徐得淳‧崔憲秀‧李升遠‧洪祐吉‧洪吉周‧洪祐健‧李★土+喜‧李㘾 등 총 13명이다. 이들은 서유영의 자택 南園과 현석동 근처에 자리했던 홍한주 친인척 소유 별서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중기 남사의 2기(1839~1865) 동인은 기존 동인에 더하여 서울의 신진 문인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대표적인 인물로 權用正‧金尙鉉‧金永爵‧金在顯‧徐堂輔‧徐承輔‧徐種淳‧沈斗永‧尹正鎭‧李晩用‧李★土+敏‧任百經‧趙在應‧洪顯周 등이다. 2기는 19세기 중기에 형성된 서울의 대형 시사와 적극적인 교류를 이루었다. 주로 1860년부터 1865년까지 서유영을 필두로 남사의 문인들이 북사와 낙사 인물들과 시회를 벌이는 모습이 자주 포착된다. 중기 남사를 구성하는 동인의 성격은 첫째, 서울 남촌 거주 경화세족의 후예이지만 벼슬하지 않거나 말직에 있는 이들이다. 둘째, 같은 당파에 인척관계로 얽힌 경우가 많다. 셋째, 초기 남사(남고시사)의 후배 문인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世交를 통해 남사를 계승했다. 넷째, 경화세족‧몰락사족‧중간계층 문인 등 사회계급을 넘어선 문학 교유 활동을 펼쳤다. 이는 남촌의 지역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중기 남사는 다독과 박학을 추구하고, 장서에 취미를 두었으며, 훈고학을 중시하고, 이러한 문학적 취향을 반영한 시 짓기를 즐겨했다. 또한 19세기에 유행한 神韻論을 수용하고, 작품에 적용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신운론은 작가의 개성만으로는 시를 짓기 부족한 경우 서로 다른 학문 및 예술적 기호에 근거하여 격조 높은 시를 창작하는 것을 추구하는 문예론이다. 기왕의 연구에서 홍한주·서유영이 결성한 중기 남사의 존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그 실체를 깊이 고찰은 본고가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로 19세기 중반에 활동한 중기 남사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Junior Writers of early Namsa(南社: Namgo Poetry club(楠皐詩社))’s writers who were active in Namch’on(南村), Sŏul between 1784 and 1840 succeeded poet club in Namch’on from 1832 and made the mid-period Namsa. The formation of the mid-period Namsa is discernible through writings of Hong Hanju(洪翰周), such as Namwŏnch’angsujipch’o(南園唱酬集鈔), Namwŏnch’angsujipsŏ(南園唱酬集序), and Namwŏnch’angsujip(南園唱酬集). This paper delineates the first phase of the mid-period Namsa from 1832 to 1839, and distinguishes the second phase from 1839 to 1865. The first phase marks its inception with the final piece of Namwŏnch’angsujipch’o.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phase are discernible through Sagyul(槎橘), which was a selected collection of created poets of major poet clubs in Sŏul in the 19th century and other individual literary collections. Writers in the first phase(1832~1839) of mid-period Namsa were Hong Hanju, Sŏ YuYŏng(徐有英), Song Chuhŏn(宋柱獻), Hong Chaebong(洪在鳳), Sŏ Kibo(徐岐輔), Sŏ Sebo(徐世輔), Sŏ Tŭksun(徐得淳), Ch’oe Hŏnsu(崔憲秀), Yi Sŭngwŏn(李升遠), Hong Ugil(洪祐吉), Hong Kilju(洪吉周), Hong Ugŏn(洪祐健), Yi hŭi(李★土+喜), and Yi U(李㘾), totaling thirteen members. They were mainly active in Namwŏn(南園), the residence of Sŏ YuYŏng, and in the separate residence of Hong Han-ju’s relative, which was near Hyŏnsŏkdong. In the second phase(1839~1865) of mid-period Namsa, many new writers in Sŏul joined the club in addition to existing writers. Notable figures included Kwŏn Yongjŏng(權用正), Kim Sanghyŏn(金尙鉉), Kim Yŏng-jak(金永爵), Kim Chaehyŏn(金在顯), Sŏ Tangbo(徐堂輔), Sŏ Sŭngbo(徐承輔), Sŏ Jongsun(徐種淳), Sim Tuyŏng(沈斗永), Yun Chŏngjin(尹正鎭), Yi Manyong(李晩用), Yi min(李★土+敏), Im Paekgyŏng(任百經), Cho Chaeŭng(趙在應), and Hong Hyŏnju(洪顯周). These writers interacted actively with large poet clubs in Sŏul, which were formed in the mid 19th century. Particularly from 1860 to 1865, frequent gatherings between writers in Namsa such as Sŏ YuYŏng and those in ‘Puksa’ and ‘Naksa’ were cau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in mid-period Namsa were as follows : First, they were descendants of the prominent noble families residing in Sŏul(Gyŏnghwasejok 京華世族), but didn’t hold office or were in unimportant post. Second, they were in the same faction and entangled in relatives in many cases. Third, they were juniors of early Namsa(Namgo Poetry club)’s writers. Last, they have a literary companionship beyond social classes including the Noble families in Sŏul, the fallen nobility(沒落世族), and mid-class writers(中人階層文人). This was a result that reflec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ch’on. It seems that Namsa adopted Sinunnon(神韻論) that was prevalent in the 19th century and had willing to apply it to their works. Sinunnon is a literary theory that persues a high-quality poetry based on the academic and artistic tastes of different writers when a writer's personality alone is not enough to compose a poem. While the existence of mid-period Namsa that was formed by Hong Han-ju and Sŏ YuYŏng has been consistently acknowledged in some existing studies, there has been no thesis that study the substance of Namsa in-depth.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ould shade light on the activities of Namsa in the mid-19th century.

      • KCI등재

        천유(天遊) 권복인(權復仁)의 생애와 교유 양상 연구

        진민희 ( Jin Min-hu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Cheon Yu(天游) Kwon Bok-in (1770∼1830) was a literary person who represent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bility in the 19th-century. Previous research on Kwon Bok-in was focused on the travel essay 『Su Sa Han Pil(隨槎閑筆)』 about Yeonhaeng(Journey to Beijing). But not enough studies has been made to writer’s life and literature. Kwon Bok-in is a writer who must be no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Because he was a person who interacted with major writers in Seoul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consumed urban culture and achieved literary achivements by reflecting it. So this paper organize Kwon Bok-in’s life and companionship, reflecting a perspective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eferentially author than his literatures, as the first study about Kwon Bok-in. Also, this paper exmines the background of Kwon Bok-in’s literary activity. Therefore, it could be a significant trial for it could contribute to view not only the personal literary world of Kwon Bok-in but also minor literary clubs and various poetry clubs in Seoul, in first half of 19th century. The lifelong aim of Kwon Bok-in was poetry club activities, reading good books, and journeys, with various literatus in Seoul. It is notable for activities and relationship with the nobility of Namgo Poetry club(楠皐詩社), Shim Neung-sook’s poetry club in southern Seoul. The poem that described activities of a married couple, Kang Jeong-il-dangㆍYun Kwang-yeon(姜靜一 堂ㆍ尹光演) who are relatives by marriage of Kwon Bok-in in Tanwon Poetry club(坦園詩會) is a very significant literary work. As it has been represented lifestyle and cognition of the fallen-nobility in those days. And sharedcultural taste with the nobility and the Middle-class Literatus could be discovered in Bak’ongsil Poetry club(泊翁室詩會) held at the mansion of Lee Myung-o(李明五), a representative Middle-class literati in 19th centry. It also could be discovered in activities of Chun Soo-kyung(千壽慶) in Songseokwon Poetry club(松石園詩社).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