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의 모니터링을 위한 평가준거체제 개발 연구

        주경필,권대봉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1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system to monitor the program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Korea. Like othe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universities' centers have had serious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internal faithfulness, the monotony of programs, or the non-professionalism of instructional process. It has been constantly proposed that various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performed around lifelong education practice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n this study, it is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system to monitor programs both considering extensive meanings and roles of program evaluation and focusing on the formative function of evaluation.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1) analyzing the monitoring evaluation theory which primarily represents program utilizatio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2) constructing monitoring evaluation system with the practice of programs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3) surveying with questionnaire of evaluation items to core stakeholders of the evaluation. This integrated approach is intend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final evaluation system. With 75 criteria items derived from the first step, the survey is conducted to 3 groups of core evaluation stakeholders.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nal evaluation system has 15 monitoring sectors and 61 monitoring items.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들은 프로그램 개발,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 지속적인 문제를 나타내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효과적인 평가활용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평가의 포괄적 개념과 역할을 고려하여 다양한 평가모형 중 형성적 기능이 강조된 모니터링 평가에 대한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하였다. 모니터링의 평가논리를 분석하고, 분석된 평가준거의 틀을 실제현장에 접목하여 준거항목을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평가준거 항목으로 평가 핵심이해관계자 집단에게 설문실시를 한 일련의 과정은 타당도 높은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취한 통합연구 설계 방법이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 인터뷰 실시, 현장업무 지침서의 내용분석 등 질적인 접근방식으로 75개의 준거항목을 도출한 후, 도출된 준거항목으로 평가 핵심이해관계자인 3개 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유용성 및 효과성, 조직 능률성을 평가하는 15개의 준거영역과 61개의 준거항목이 개발되었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연구동향 분석

        주경필,김윤나 한국효학회 2022 효학연구 Vol.- No.36

        배경: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과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물들의 총괄적 특성을 밝히고 향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발전을 위한 과제와 실천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연구물들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연구물들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방법론/접근 : 2011년부터 2020년 5월까지‘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와 RISS를 통해 77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여 양적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Krippendorff(2004)의 내용분석 과정 모델을 활용해서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2011년에 처음 등장하여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학술지 논문의 양이 눈에 띄게 증가한 해는 2016년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가 가장 많이 활용된 분야는 사회복지(25.5%)였고, 주제어 분석 결과, 인권 관련 주제가 62건(24%)으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졌으며 연구방법 분석 결과, 거의 대부분의 연구에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다. 질적 내용분석 결과 스트레스, 우울, 취약성 등 다양한 부정적 심리 요인의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시사점 : 아동‧청소년의 심리 요인, 가정환경, 학교환경, 폭력‧차별경험 등이 아동‧청소년의 인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주제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동‧청소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의 환경 관련 변인들은 인권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매개 또는 조절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도적 시스템과 문화조성을 위한 지속적 노력, 아동‧청소년의 인권과 관련된 교육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성별차이가 고려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 빅데이터기반의교육지원을위한 데이터허브구축및운영방안연구

        주경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정책과제 Vol.2021 No.-

        □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업무별로 산재되어 있는 대용량 데이터들을 향후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우리 대학의 가치있는 정보로 활용하고 고도화된 분석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방송대 데이터 허브 포털을 구축하여 방송대 데이터 수집 및 공유체계를 마련하고자 함 □또한 각 주체별(교원, 직원, 학습자 등)로 분산되어 생산 및 관리되 고 있는 데이터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학습자 중심으로 정리하여 데이터 웨어하우스(DW: Data Warehouse)에 축적하고 사용자가 분석 목적에 따라 획득 및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허브 모형을 제시하고자 함 □ 한편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Data-Driven Decision-Making)이 사회 전반에 중요성을 가지게 되면서 교육 영 역에서도 직관이나 경험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의사결정 방식에서 벗어나 온라인 가상 학습 환경(VL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등을 통해 축적된 교육 빅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 정의 중요성이 확대됨 □ 학습분석학은 이러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교육 분야로 확장된 대표적인 사례임.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내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1년 1학기부터 도입된 형성평가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함

      • KCI등재

        The Notion of Alienation Revisited: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Youth Education & Welfare

        주경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it the notion of alienation, which is a key concept of Marx's work as well as other critical social traditions, in relation to youth education and welfare by reviewing the key literature and identifying major conceptual issues. The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the classic notion of alienation centered in the Marxist tradition, the sociolog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alienation as a critical concept, and potential issues when the concept is applied to youth studies. Subsequently, it illuminat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lienation for youth education and welfare by means of elaborating how the notion have generally been adopted in the existing body of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research. This conceptual discussion calls attention of youth researchers to critical perspectives of the theory of alienation,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rogressive approach to youth development practice and research.

      • KCI등재

        위기청소년에 관한 글로벌 연구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주경필,이인혁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2 미래사회 Vol.13 No.2

        위기청소년은 우리나라의 청소년복지 및 교육복지 정책과 사업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제도적·실천적 대상이자,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연구자가 관련 연구를 수행한 연구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를 통해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위기청소년을 핵심 주제로 한 전 세계의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총 11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의 주요한 특징에 대한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위기청소년에 관한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학문영역은 사회복지, 가족학, 교육학, 범죄학, 심리학 등 다양하며, 위기청소년 연구의 키워드는 선호적 연결패턴보다는 산발적 연결패턴을 보이고 소수의 키워드가 일정한 패턴 없이 다른 다양한 다수 키워드와 연계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위기청소년을 중심으로 상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하위에는 회복탄력성-긍정적 청소년개발-멘토링이 연계된 네트워크, 학교-경험-협력이 연계된 네트워크, 폭력배-사회적 관계망-부모-예방이 연계된 네트워크가 두드러진 하위 네트워크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수행된 위기청소년 연구의 주요한 추세를 확인하고 키워드 네트워크에 담긴 종합적인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위기청소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issue of at-risk youths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ddressed in diverse fields, and is also regarded as a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target group in South Korea by youth and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on key themes using a total of 114 academic journal articles through the Web of Science's database on at-risk youths published for the period from 1995 to 2022.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 articles concerning youth at risk were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social work, family studies, education, criminology, pscyhology, and so on. The keyword networks indicate sporadic patterns in terms of the connections among the keywords. Also,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has resulted in several main sub-networks. We identified major trends in at-risk youth research and suggested a comprehensive research trend found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also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s on at-risk youths.

      • KCI등재

        성인도래기(Emerging Adulthood)의 개념정립을 통한 국내 청년복지정책에 대한 소고(小考)

        주경필 ( K P J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도래기’의 개념정립을 통해서 국내 청년복지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인도래기에 대한 시간적·심리적·사회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제시하고, 그 개념이 기존의 청소년연구 영역에서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성인도래기에 대한 국제적 담론으로부터 개념의 주요 철학적 가정과 핵심요소를 정리하여 제시하고, 그러한 관점이 우리의 청년복지정책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며 향후 청년복지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상의 개념적 논의를 위해서 문헌고찰, 내용분석, 정책비평을 방법론적 접근법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성인도래기에 대한 문헌고찰을 위해 해당 개념이 이론화되는 과정에서 논의되었던 장·단점은 물론, 전통적인 청소년연구 영역에서 어떠한 주제로 성인도래기를 연구했는지를 주제영역별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도래기 이론 또는 개념원리가 유사한 시기의 한국 청년들에게 대부분 적용될 수있으며, 성인도래기의 개념정립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청년문제나 청년복지정책의 본질을 밝히고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critical discussion of the Korean youth welfare policy along with establishing the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which was coined by an American psychologist Jefferey Arnett over two decades ago. The study provides development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and explores how the international discourse of emerging adulthood has evolved since the concept was first suggested by Arnett(1994).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philosophical hypotheses and fundamentally epistemological facets of the concept ‘emerging adulthood.’ This approach could draw meaningful implications for our youth welfare polic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is study consists of a literature review, a content analysis, and a policy critique. In particular, the study offers both benefits and challenges in theorizing emerging adulthood through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xamines how the traditional field of research on adolescence and youth has employed the theory of emerging adulthood.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adapted to the Korean context illuminates social problems related to youth and the welfare system for those who are in this specific developmental phase.

      • KCI등재

        "소외" 의 개념 재조명: 청소년 교육복지 분야에의 이론적 함의

        주경필 ( Kyeong Pil J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마르크스를 비롯한 여러 비판적 사상들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소외를 재조명함으로써 청소년 연구에 이론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소외는 전통적인 정치경제학 사상 중 하나인 마르크스의 철학으로부터 시작하여, 이후 다양한 비판적 사회학 혹은 사회심리학 이론들의 근간이 되었다. 특히 인간의 본질을 자본의 원리와 함께 제시한 마르크의 통찰은 자본주의로 대표되는 근현대 사회가 지니는 다양한 구조모순을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소외 청소년 또는 청소년 소외를 연구할 때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마르크스의 전통적 소외 개념, 개념의 사회학적 발달, 비판적 개념으로서의 소외를 차례로 다루었고, 이후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 소외를 교육, 복지와 어떻게 연관 지어 다루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외 개념을 활용한 청소년연구가 청소년교육 및 복지에 어떤 함의를 지니는 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특히 소외의 개념적 가치가 청소년 개발활동 및 연구에 진보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청소년의 소외에 대한 깊은 성찰과 폭넓은 개념적 활용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it the notion of alienation, which is a key concept of Marx`s work as well as other critical social traditions, in relation to youth education and welfare by reviewing the key literature and identifying major conceptual issues. The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the classic notion of alienation centered in the Marxist tradition, the sociolog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alienation as a critical concept, and potential issues when the concept is applied to youth studies. Subsequently, it illuminat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lienation for youth education and welfare by means of elaborating how the notion have generally been adopted in the existing body of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research. This conceptual discussion calls attention of youth researchers to critical perspectives of the theory of alienation,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rogressive approach to youth development practice and research.

      • KCI등재

        서구사회 청소년업의 전문화에 관한 고찰

        주경필(K P Jo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8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rocess of professionalism of youth work in Western societies and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the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overviews the history of youth work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context of the occupational development and to explore diverse dimensions of its professionalism. Subsequently,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a case consisting of eight youth worker competency models of the U. S. governmental agencies. The result of the case analysis reveals that the models have many common elements in terms of the content whereas the structures of the models vary. The result also highlight publicity and complexity of youth work. The author argues that the Western societies have established the opportunity for the both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of adolescence to grow as a solid community of youth development practice through the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of youth work. At last,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of the Western professionalism for the development of youth-related professionals in Korea.

      • KCI등재후보

        일터학습을 위한 논리주도 성과평가 개념화 연구

        주경필 ( Kyoung Phil Joo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19 휴먼웨어 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일터학습 관련 실천이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평가되기 위해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개념적 연구를 통해서 일터학습 관련 실천을 위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이렇게 마련된 평가모델을 일터학습 관련 실천의 책무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는 일터학습에서 평가의 주요 요소와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는 논리주도 성과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및 개념화이다. 여기서는 논리주도 성과평가를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다루었다. 다시 말해, 이 분야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개념화에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규명하고, 그 시사점과 활용가능성 및 의의를 논의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논리주도 성과평가 모델은 일터학습 관련 프로그램 운영이나 개입활동을 평가를 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수행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In organizations, a pressing need exists for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of the workplace learning practice. This conceptual study aims at exploring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for workplace learning and regarding this model as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accountability and validity of workplace learning interventions. The study mainly consists of two parts: 1) an overview of key facets of evaluation in workplace learning, and 2)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at the most basic level. In other words,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in this area, this article presents a model that identifies elements that mos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nceptualization of theory-drvien outcome evaluation. The theory-driven outocme evaluation model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on which the workplace learning practice can be evaluated both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