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격고등교육을 위한 스마트캠퍼스 구축 사례연구

        주경필 ( Kyoung-phil Joo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0 휴먼웨어 연구 Vol.3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기술 혁신을 위한 자체 “스마트캠퍼스구축 TF팀”을 구성하였다. 이 TF팀은 스마트캠퍼스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상세한 부분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원격고등교육기관으로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급속히 변화하는 환경에 부합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외부 수요에 대응하여 스마트캠퍼스 설계를 위해 어떻게 마스터플랜을 세웠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TF팀이 수행한 절차와 결과를 기술하였다. 결과적으로 TF팀은 한 개의 비전, 세 개의 목표, 네 개의 주요 과제를 대학이 스마트캠퍼스로 변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마스터플랜에 포함시켜야 할 내용으로서 도출하였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사례는 원격고등교육 기관이 효과적으로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학습의 개념을 고려해야 하는 방식에 대해서 조명한 것으로, 다른 원격고등교육 기관의 기술혁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gi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KNOU) configured its own task force team, named “Smart Campus TF/T”,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TF/T has developed a master plan to adapt to the fast-changing environment, identifying several objectives to establish a smart campus. This article elaborates the ways in which KNOU has responded to various external needs by creating the master plan in designing a smart campus. Using a qualitative-case-study approach, this study outlines the procedures through which the TF/T developed the master plan and its specific outcomes: one vision, three objectives and four major areas to transform the university into a smart campus. This study illuminates the ways in which an institution of open and distance higher education applies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development of a smart campus.

      • KCI등재후보

        일터학습을 위한 논리주도 성과평가 개념화 연구

        주경필 ( Kyoung Phil Joo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19 휴먼웨어 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일터학습 관련 실천이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평가되기 위해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개념적 연구를 통해서 일터학습 관련 실천을 위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이렇게 마련된 평가모델을 일터학습 관련 실천의 책무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는 일터학습에서 평가의 주요 요소와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는 논리주도 성과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및 개념화이다. 여기서는 논리주도 성과평가를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다루었다. 다시 말해, 이 분야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개념화에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규명하고, 그 시사점과 활용가능성 및 의의를 논의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논리주도 성과평가 모델은 일터학습 관련 프로그램 운영이나 개입활동을 평가를 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수행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In organizations, a pressing need exists for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of the workplace learning practice. This conceptual study aims at exploring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for workplace learning and regarding this model as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accountability and validity of workplace learning interventions. The study mainly consists of two parts: 1) an overview of key facets of evaluation in workplace learning, and 2)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ory-driven outcome evaluation at the most basic level. In other words,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in this area, this article presents a model that identifies elements that mos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nceptualization of theory-drvien outcome evaluation. The theory-driven outocme evaluation model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on which the workplace learning practice can be evaluated both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 KCI등재

        농인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농인 교사들의 농(聾)정체성 확립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김미라 ( Kim Mi Ra ),주경필 ( Joo Kyoung Phil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농인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농교사들이 농인이면서 교사로 살아왔던 삶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농정체성을 확립해 온 여정을 탐구하여 그들의 경험에 담긴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방법론적 틀로 구성하여, 네명의 연구참여자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경험으로서의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수어를 기반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참여관찰 및 문서수집을 병행하였다. 이후 자료분석을 위해 Lieblich(1998)의 생애사 분석방법 중 범주적 내용분석의 틀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농인의 삶 속에서 찾은 교육적 희망(교육 당사자의 요구반영이 미흡한 농교육 현실, 수어로 배우며 품은 교육적 희망), 대안학교 농교사로서의 삶(농교사가 되는 변화의 과정, 교사로서 그리고 선배로서의 노력), 새로운 농정체성 확립(진정한 농정체성 탐색과 실천)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농교육 변화의 필요성,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제고, 그리고 대안학교가 농공동체로서 가지는 역할과 가치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매우 소수의 농인이 속한 대안학교에서의 연구라는 한계가 있지만, 농교사들이 농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농정체성의 의미를 찾고, 이를 농사회와 지역사회로 확산시킴으로써 자신의 문화를 만들고 있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탐색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journey of establishing a new deaf identity according to deaf teachers' lives and experiences as deaf teachers at an alternative school for deaf adolescent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ur deaf teachers, a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for a methodological framework.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using Korean sign language as well as a serie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documenting.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examined using the framework of the categorical-content life story analysis of Lieblich(1998).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of (1) educational hope found among the life of the deaf, (2) deaf teachers' lives in the alternative school, and (3) the establishment of a new deaf identity. This study identifies the need for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in deaf schools, the need for the social recogni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lternative schools for deaf adolescents. Furthermore, although the results are limited to alternative education for dea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narratives illustrate the process in which they explored their identities by becoming deaf teachers at the alternative school and created their own particular culture by extending their experiences to the deaf community and their neighborh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