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측면에서 본 도시빈곤층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이희연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17 미래사회 Vol.8 No.1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nature of the experiences of the urban poor using social welf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and social inclusion, To do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nine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who use social welfare services at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Ethnography was used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Based on the interviews of the recipients on their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 study derived the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and social inclusion, and related cultural themes, sub-themes, and categories. With regard to social exclusion, the cultural theme was "stratified exclusive group egoism, destruction of human dignity and social divisions", while sub-themes and categories were [objectification where self-esteem was torn apart distrust with the welfare system, being disregarded, and anxiety) and (helplessness: discrimination arising from poverty, alienation, humiliation, and depression). For social inclusion, the cultural theme was "value of co-existence,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and hope", while sub-themes and categories were [clients-oriented services that make people feel friendly and at home: medium of life, being respected, openness, and sympathy) and (initiative (control of life): recovery of human relationship, participation, sharing, and recovery of in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whether social welfare services are promoting social inclusion and easing social exclusion, and made recommendations on social welfare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clusion,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관점에서 도시빈곤충의 사회복지서비스 이홍경험의 본질 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복지서비스를 이물하고 있는 도시 빈곤층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질적자료의 분석방법은 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시 빈곤층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 영역에 따라 각각의 문화적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각 주제에 따른 2개의 하위주제 및 6개의 법주들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문화적 주제와 하위주제를 살펴보면 먼저 사회적 배제 경험의 주제로는 '계층화된 배타적 집단이기주의, 사회분열과 존엄훼손' 이었으며, 하위주제 및 범주는 [자존심이 뿌리째 뽑히는 이물자 대상화 복지불신, 무시당함, 생존불한]과 [무력감 빈곤차별과 소회, 수치심과 두려움, 위축 · 우울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통합 경험의 주제는 '공존의 가치, 존엄회복과 희망' 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주제와 범주는 [친구 같고 친정같은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삶의 매개제, 존중받음, 수공 · 공감]과 [주도성(삶에 대한 통제감) 관계회복, 참여와 나눔, 자아회복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사회의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실천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일본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성격발달과정 분석을 통한 한국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성격방향 연구

        전우일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19 미래사회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establish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by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mmunity Welfare Council in Japa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how Japanese Social Welfare Council, the most active social welfare council in Japan, has developed its identity from the earliest days to the pres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has developed the identity with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ltative model, athletic model, and business model, recently progressing to the combination of these three types. Compared to the case of Japan, there is confusion in Korea regarding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social welfare council because it has been developed in top-down management style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 about its identity. Accordingly, a new role is required in the Council for Social Welfare,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welfare community centered on solving local welfare problems. To carry out such function, the government will have to develop the nature of the "resource-linked social welfare council along with the three existing types of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일본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사 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정립 방안에 대해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 회복지협의회가 가장 활성화된 일본 사회복지협의회의 태동시기부터 현재에 이르 기까지 어떠한 정체성을 가지고 발달해왔는지를 일본 전국사회복지협의회의 협조 및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일본 사회복지협의회 성적 발달과정을 분 석한 결과, 휩의체 (50년대), 운동체 (60-70년대), 사업체 (80년대 이후) 유힘의 성격 을 가진 사회복지협의회로 발달하였으며, 최근에는 이런 국가지 유형이 혼합된 성격 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한국의 경우 탑다운 형태의 사회복지협의회가 발 달해 홈에 따라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정체성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 은 채 오늘날까지 설립 · 운영됨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그 기능과 역할에 대해 많은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협의회에는 새로운 역할 이 요구되고 있는데, 지역복지문제해결 중심의 '지역복지공동체' 구축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3가지 유형의 성격과 함께 '자원연계형' 사회 복지협의회의 성격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 수준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 매개효과 검증

        김두래,강상훈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3 미래사회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living in a permanent rental apartment.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n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nts included disabled 90 people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Bugok-dong, Gimcheon. Inter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households where disabled persons reside.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led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had low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social network level of these disabled persons could be exp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informational, affective, instrumental, and social activity networks. Thir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instrumental network. Fourth, in the effects of social consciousness o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networks (informational, emotional, and socially active) have been shown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focuses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social networks, sets up a research model,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four sub-variables. In addition,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group with specificity called the disabled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divided into verified and non-verified variable, the data may be useful in future social policy establishment and in implementation as a service process. 본 연구는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지역공동체의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효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김천 부곡동에 위치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으로 장애인이 거주하는 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대인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는 다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구임대아파트 장애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수준은 정보적 관계망, 정서적 관계망, 도구적 관계망, 사회활동적 관계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공동체의식과 도구적 관계망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넷째, 지역공동체의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정보적, 정서적, 사회활동적)은 완전매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관계망이라는 다차원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네 가지 하위변인의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이 라는 특수성을 가진 집단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가 검증된 변수와 그렇지 않은 변수를 구분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사회정책 수립과 실천 서비스 과정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안기덕(Gi Deok Ahn),이세형(Se Hyung Lee)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4 미래사회 Vol.15 No.1

        2015년 이후 동중심실천에 기초한 종합사회복지관 개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역 및 기관의특성을 반영한 지역밀착형 복지관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지역 및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밀착형 복지관의 확대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회복지관 운영 모델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각 모델의 적정성 및 효과성 등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특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의 전략 수립과 성과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지표들을 통하여 실질적인 기능강화와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유형에 따른 핵심운영 요인들을 탐색하여 기관 운영의 전략 및 목표를 설정하는데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현장에서 중요 기능을 담당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의 발전적인 미래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reorganization of neighborhood-centered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af?ter 2015, community-based welfare center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 and institution expanded,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social welfare center operation models. However, a detailed review of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each model has not been conducted. Accordingly,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s, this study seeks ways to strengthen the practical functions and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such models through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the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s. In particular, we explore the core opera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 and propose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set strategies and goals for the organization's operations.

      • 심리학의 군사적 활용성 증대방안

        강성록,김용주,신재훈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15 미래사회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lan for utilizing the knowledge of psychology effectively in area of milita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cent psychological issues related to military were considered and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in military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US and Germany were studied. In regard to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in US Army and German Federal Army, various missions and studies were being performed in US Army Research Institute for the Behavioral & Social Sciences and Office of Naval Research and in German Federal Army Psychology Institute of National Defence, Internal Command Center, and German Federal Army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pectively. Based on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above, the seven military psychological area swhich can be applicable in Korea Army were determined: selection and placement of officers, identification of psychologically maladjusted soldiers, management and treatment of psychologically maladjusted soldiers, enhancement of expertise for counselors and counseling programs, support of psychological activity to ameliorate the military cultur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problems for dispatch troops, and support of psychological profile in case of accidents in military. Lastly, it was emphasized to establish the military psychology association along with military psychology institute and to have more interest and opinions of professional psychologists in civil area, 본 연구는 심리학적 지식을 군사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 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군과 관련된 군사심리학적 이슈를 살 펴본 후, 미군과 독일군 등 외국군의 군사심리 활동을 알아보았다. 즉 미군의 경 후에는 미 육군 행동 및 사회과학 연구소와 해군연구국에서 , 독일 연방군의 경 우에는 독일연방군 국방심리국, 내적 지휘센터, 독일연방군 사회과학 연구소에 서 다양한 군 관련 임무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당으로, 한 국군에 적용 가능한 군사심리학적 영역을 7가지로 정리하였다. 간부 선발 및 배 치, 심리적 부적응자 식별, 심리적 부적응자 관리 및 치유, 군상담 프로그램 및 상담 인력의 전문성 강화, 병영문화 개선을 위한 심리적 활동 지원, 파병 관련 심리적 문제 관리, 그리고 군내 사건사고에 대한 심리프로파일 지원, 마지막으로 한국 심리학이 획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군사심리 학회의 설립, 군사심리연구소의 설치와 더불어 민간 심리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의견 제안을 강조하였다

      • "행복과 성격강점 간의 관계: 즐거움, 몰입, 의미의 행복 3요소를 중심으로 "

        김지영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16 미래사회 Vol.7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elements of happiness and character strengths, and explore character strengths and demographic variables contributing the three elements of happiness which are pleasure, flow, and meaning.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343 participants who completed Happiness Triangle Scale, Character Strengths Test and demographic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orrelations between 3 elements and 24 character strengths were all significantly positive. It suggested that character strengths would be the foundation of happy life. In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gratitud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lanation of pleasure, vitality to the explanation of flow, optimism to the explanation of meaning. The pleasure score of the group with the lowest economic level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roup with middle-high economic level. The flow scores and the meaning scores of the groups with relig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religion. The flow score of the groups with high and middle grad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ith low grades. The groups with wider friendshi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leasure, flow, and meaning. Finally, the author discussed this study'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 3요소와 성격강점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즐거 움과 몰입, 의미 요소에 중요하게 기여하는 성격강점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3명에게 행복삼각형 척도와 성격강점김사 및 인 구사회학적 번인이 포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상관분석 결과, 즐거움, 몰입, 의미의 행복 3요소는 지개 성격강점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바, 성격강점이 행복한 삶의 기본 바당이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부분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결과, 즐거움은 감사와 가장 밀접히 관련되었고, 몰입은 활력, 의미 는 낙관성과 가장 밀접히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행 복 3요소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경제적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중상 집단에 비해 즐거움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종교가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하 몰입과 의미 점수가 높았다. 학업성적 상 집단과 중 집단은 하 집단에 비하 몰입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친밀한 교우관게의 폭이 넓은 집단일수록 즐거움, 몰입, 의미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 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유시은(Shi-eun Yu)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4 미래사회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남북 사회 통합에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공교육 국어교과 교류를 위한 “공유공간”의 준비 및 운영역량의 디자인으로서, 미래 통일학 세대의 소통스킬을 질적으로강화하는 것이다. 공유공간은 글로벌 규모의 OECD 2030 “공유공간” 개념을 한반도 지역의남북간 실정에 적합하게 원리 적용하였다. 또한, 그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통조력 도구를 디자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성 원리와 OECD 2030을 기반으로 한공유공간에 대한 적합성 모델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소통스킬의 상태 변화과정을 순서도로 제시하였다. 셋째, 소통조력 도구로서 “발달-사회제도적 필터” 및 16개 변인으로 구성된 “OECD 2030-사회제도적 필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 소학교 1학년 국어과목에개발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일학 소통세대를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남북 간 교육 통합뿐만 아니라 남한 내 다문화 및 세대간소통스킬을 제고하는 관점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지향에 적합한 소통스킬을갖춘 통일 인재 육성의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 to qualitatively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future gen?eration of the study Unification as a prepar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shared space” for exchange in public education language courses. This is a priority need for future inter?Korean social integration. The shared space is an application of the OECD 2030 “shared space” concept on a global level by adapting its principles to the situ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 also designed communication facilitation tools that can be used in the spa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ce principle and the con?formity model for shared space based on OECD 2030 were expressed in formulas. Second, a flow chart is presented of the state change process of communication skills. Third, a “development-social and institutional filter” was designed as a tool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the “OECD 2030-social and institutional filter” was created, comprising 16 variables.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two filters to the first grade Korean subject in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 is present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communicable generatio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hift perspectives not only on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ns, but also on enhancing multicultural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South, and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unified human resources with globally-oriented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김민주(Min Ju Kim),서정재(Jung Jae Seo)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4 미래사회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남성육아휴직을 직접 경험한 이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출산의향에 대해 분석한다. 과거에 비해 남성육아휴직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성육아휴직을 경험한 이들의 출산의향도 함께 높아져 출산율 제고에도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조건 하에 있는 남성육아휴직자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육아휴직 여건에 상관없이 남성육아휴직을 경험한 이들 대부분은 출산의향에 거의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하였다. 남성육아휴직 제도 자체가 지니는 한계가 없다는 가정하에서도출산의향에는 변화가 없었다. 각자 자신들의 자녀계획에 변경을 가할 정도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남성육아휴직이 본인들의 출산의향을 높이지는 않아도 사회적 차원에서는 출산율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육아휴직 제도가 사회 전반적으로 일반화되어 자녀계획 이전이나 그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과, 개인의 출산의향과 사회적 차원의 출산율 제고 간 간격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회문제의 내면화와 실천노력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남성육아휴직 제도를 출산율 제고 방안으로 삼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논의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aking paternity leave increases fathers’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Given that the number of men taking childcare leave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aking paternity leave is helping to improve the fertility rate by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Twenty people on paternity leave under the same conditions were interviewed and their responses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for taking parental leave, for most of the partici?pants, paternity leave did not affect their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Even if there were no problems with the paternity leave system, there was no change in the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For those who took parental leave, it did not affect their intention to have more children than they had originally planned. However, they thought that the paternity leave system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even without changing their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ernity leave system should be made easily accessible to everyone so that paternity leave can have an early impact on plans to hav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 between individuals’ willingness to have children and the fertility rate in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rethinking the use of the paternity leave system as a wa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 KCI등재

        남북산림협력과 SDGs

        문예찬(Yechan Moon)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4 미래사회 Vol.15 No.1

        남북관계는 협력과 갈등이 반복된다. 2018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전개됨에 따라 남북 간다양한 협력이 전개되었지만, 현재의 남북관계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 본 연구는 주요 연구방법으로 문헌분석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남북산림협력 방안을 제언한다. 2018년, 남북한은 활발한남북산림협력을 전개하였으며, 이는 대북제제 하에서도 인도적 지원을 목적으로 전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 추진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북한 산림 및 SDGs 논의 현황을 살펴보며, 향후 남북산림협력 전개에 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특히, 국제사회의 산림협력 논의 현황을 통해 남북산림협력 추진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발견하며, SDGs를 통해 산림협력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제언하였다. 이는 국제사회의 SDGs 노력과 연계하여 남북산림협력을 위한포괄적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한반도 평화 구축 및 향후 남북관계 개선 시 추진가능한협력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전달한다. Inter-Korean relations are characterized by a cycle of cooperation and conflict. In 2018,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unfolded, leading to various collabor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Currently, the state of inter-Korean relations has regressed to its starting point. This study utilizes literature analysis as its primary research method and proposes a plan for sustainable inter-Korean forestry cooperation centered arou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2018, North and South Korea actively engaged in forestry cooperation,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it was able to continue under international sanctions imposed for humanitarian purposes, indicating a high potential for future implementa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forestry and SDG discussions in North Korea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future inter-Korean forestry cooperation. In particular, it iden?tifies areas needing improvement in inter-Korean forestry cooperation through analyses of global forestry cooperation discussions and suggests an integrated approach to forestry cooperation through SDG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nter-Korean forestry cooperation, linked with global efforts on SDGs, and conveys insights into potential cooperative measures that can contribute to peacebuilding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mprovement of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 도시와 농촌지역에 따른 결혼이민자 여성의 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희주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19 미래사회 Vol.10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among foreign spouses based on their resident areas, For the analysis, 14,432 sampled female foreign spouses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ele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scrimin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while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of female foreign spouses.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mong foreign wives residing in rural areas, which means that it enhanced the negativ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qualitative research of discrimination and health as a future study, and social policies and services promoting equal opportunities for foreign spouses,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농촌과 도시지역으로 거주지역을 구분하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결혼이민 자 여성의 건강을 보호하고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정책과 서비스의 방안을 모색하 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참여한 결혼이민 자 여성 14,43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이민 자 여성이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고,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 우울 수준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의 경우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여성들에 게서 사회적 지지가 낮홀수록 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정신건강을 향상하고 사회 통합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향후 차별과 건강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과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다양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 록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들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