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콘서트홀 기반의 인터랙티브 음향 체험 인터페이스

        조혜승,김형국,Cho, Hye-Seung,Kim, Hyoung-Gook 한국음향학회 2017 韓國音響學會誌 Vol.36 No.2

        본 논문에서는 가상 콘서트홀에서 사용자가 인터랙티브한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가상 콘서트홀을 기반으로 좌석 위치별 음향 체험 시스템과 악기 제어 및 음향 체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의 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인공 잔향 알고리즘과 멀티채널 음원 분리, 머리전달함수를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유니티(Unity)를 사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사용자는 가상현실기기인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를 통해 가상 콘서트홀을 체험할 수 있고 립 모션(Leap Motion)을 통해 별도의 입력 도구없이 손동작만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며 헤드폰을 통해 시스템이 제공하는 음향을 체험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face for interactive sound experience in the virtual concert hall. The proposed interface consists of two systems, called 'virtual acoustic position' and 'virtual active listening'. To provide these systems, we applied an artificial reverberation algorithm, multi-channel source separation and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The proposed interface was implemented by using Unity. The interface provides the virtual concert hall to user through Oculus Rift, one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s. Moreover, we used Leap Motion as a control device to allow a user experience the system with free-hand. And user can experience the sound of the system through headphones.

      • KCI등재

        커널 모델과 장단기 기억 신경망을 결합한 보컬 및 비보컬 분리

        조혜승,김형국,Cho, Hye-Seung,Kim, Hyoung-Gook 한국음향학회 2017 韓國音響學會誌 Vol.36 No.4

        본 논문에서는 커널 모델과 장단기 기억(Long-Short Term Memory, LSTM) 신경망을 결합한 보컬 및 비보컬 분리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원 분리 방식은 비보컬 음원만 있는 구간에서 음원을 오추정하여 불필요한 비보컬 음원을 출력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커널 모델 기반의 보컬음 분리 방식에 LSTM 신경망 기반의 보컬 구간 분류 방식을 결합하여 보컬 음원의 오추정 문제를 개선하고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방식간의 결합 구조에 따라 병렬 결합형 분리 알고리즘과 직렬 결합형 분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식들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더욱 향상된 분리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vocal and nonvocal separation method which uses a combination of kernel model and LSTM (Long-Short Term Memory) networks. Conventional vocal and nonvocal separation methods estimate the vocal component even in sections where only non-vocal components exist. This causes a problem of the source estimation error. Therefore we combine the existing kernel based separation method with the vocal/nonvocal classification based on LSTM network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separation methods. We propose a parallel combined separation algorithm and series combined separation algorithm as combination struct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separation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es.

      • KCI등재

        커널 백피팅 알고리즘 기반의 가중 β-지수승 최소평균제곱오차 추정방식을 적용한 보컬음 분리 기법

        조혜승,김형국,Cho, Hye-Seung,Kim, Hyoung-Gook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1

        본 논문에서는 커널 백피팅 알고리즘에 가중 ${\beta}$-지수승 최소평균제곱오차 추정방식(weighted ${\beta}$-order minimum mean square error: WbE)을 적용한 보컬음 분리 방식에 대해 제안한다. 음성 향상 방식에서, WbE는 진폭 성분 기반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추정방식, 로그 스펙트럼 진폭 기반 MMSE 추정방식 등과 같은 기존의 베이지안(Bayesian) 기반의 추정방식들 보다 객관적 및 주관적 측면에서 모두 보다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반복적 커널 백피팅 알고리즘에 WbE를 적용하여 음악 신호에서의 보컬음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이 기존의 분리 방식보다 분리 성능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vocal separation method using weighted ${\beta}$-order minimum mean wquare error estimation (WbE) based on kernel back-fitting algorithm. In spoken speech enhancement, it is well-known that the WbE outperforms the existing Bayesian estimators such as the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of the short-time spectral amplitude (STSA) and the MMSE of the logarithm of the STSA (LSA), in terms of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In the proposed method, WbE is applied to a basic iterative kernel back-fitting algorithm for improving the vocal separation performance from monaural music sign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separation performance than other existing methods.

      • KCI등재

        한국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변천과정 연구

        조혜승(Hye Seu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해방 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고 시기별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제 6-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제 1-4차 여성정책기본계획, 제 1-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제 1차 평생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 제 2-3차 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 등의 국가발전계획, 여성정책, 직업훈련 정책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의 여성 직업훈련정책은 준비기, 태동기, 정착기, 발전기, 전환기의 5단계로 구분된다. 준비기는 해방 후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로 여성정책이나 여성 직업훈련정책이 수립되지 않은 시기이며 취약계층 여성을 위한 기능훈련, 혹은 교양교육에 치중하였다.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직업훈련에 대한 법과 정책이 도입되어 태동기로 구분된다. 1990년대부터는 정착기로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으며, 여성발전기본법 제정(1995년) 이후 독자적인 여성정책이 수립되고 여성인력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이 마련되어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발전기를 맞이한다. 마지막으로 2015년 이후부터는 전환기로 구분되어 직업훈련교육의 성주류화와 고숙련 직종 여성 직업훈련기회 확대 등이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결론 한국의 여성 직업훈련정책은 여성정책의 발전과 함께 진보한 것으로 나타나며, 교양교육과 저숙련 여성인력 양성에서 고숙련 여성인력 양성으로 그 지향점이 변화하였다. 또한 여성 직업훈련정책이 변화해 가며 점차 정책의 대상이 다양해지고 세분화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대 한국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나아가 한국의 여성 직업훈련정책을 참고하고자 하는 저개발국가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in South Korea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y. Methods To this end, comprehensive policy documents regarding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such as the 6th - 7th Five-Year Plan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1st-4th Basic Plan for Women's Policy, the 1st-3rd Basic Plan for Gender Equality Policy, the 1st-3rd Basic Plan f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re analyzed. Results South Korea's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y progress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 preparatory stage, nascent stage, settlement stage, development stage, and transition stage. During the preparatory period, from the liberation to the early 1980s, no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y was established, and the focus of women's vocational training was on liberal arts education for vulnerable women. Since the mid-1980s, laws and policies on women's vocational training have been introduced in the nascent stage. From the 1990s,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were actively pursued to expand vocational training opportunities for women. Since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1995), a systematic policy for women’s vocational training has been established, lea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Lastly, since 2015,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policies such as gender mainstreaming of vocational training and expansion of women's vocational training opportunities for high-skilled occupations are promoted. Conclusions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in South Korea have progres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women's policy. Its policy direction has changed from low-skilled women to high-skilled women training. In addition, the policy target of women’s vocational training was gradually diversified and spec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understand in dep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and furthermore, provide implications for women's vocational training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네팔 교육현황의 성인지적 분석과 쟁점

        조혜승(Cho, Hye Seung),장은하(Chang, Eun Ha),김정수(Kim, Jung-soo),김희(Kim,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네팔의 교육현황을 성인지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내 성평등 달성을 위한 주요 쟁점을 드러내어 향후 한국의 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문헌검토와 현지조사의 전문가 면담을 통해 나타난 네팔의 교육기회, 교육정책, 사회·문화적 젠더규범의 세 가지 측면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기회 측면에서는 여전히 여학생의 교육기회가 남학생에 비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일부 지역의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인해 성별격차가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교육 정책적 측면에서는 소외계층과 여성의 교육을 보장하고 성인지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토대가 잘 구축되어 있으나, 사회·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정책의 이행 면에서는 여러 한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 지방정부의 교육과 관련된 역할이 강화되는 가운데 지방정부의 역량부족 문제가 도전과제로 지적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사회문화적 젠더규범 역시 여아들의 학업 지속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의 교육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으로 교차성을 고려한 교육기회에서의 성별격차 해소 지원, 성인지적 교육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사회·문화적 젠더규범을 고려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Nepal education from a gender-sensitive lens to reveal the major issues of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in Nepal, and to draw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South Korea. [Methods] To this end, using document analysis and experts interviews from field research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major issues focusing on three domains; Nepal’s education opportunities, education policies and socio-cultural gender norms. [Results] As a result, female students, particularly in some regions, face more limitation than male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opportunities due to relatively poor education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terms of education policy,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is well established to ensure the access to education for underprivileged and women and to provide gender-responsiv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policies combined with socio-cultural factors. In addition, whil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the lack of local government’s capacity is pointed out as a challenge. Finally, various socio-cultural factors also act as an obstacle for girls to continually pursu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a) a detailed approach considering the intersectionality and gender gap in education opportunities; b) policy cooperation and support for gendersensitive education capacity building; c) and consideration of Nepal’s soci-cultural gender norms i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Nepal and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기초교육 공적개발원조(ODA) 비교연구

        조혜승(Cho, Hye-Seung),김기석(Kim, Ki-Seo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6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기초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ODA)를 비교분석하여 그 현황과 특징을 드러낸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ODA 추진체제, 정책, 기초교육 ODA의 규모와 추이, 유형별 특징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의 ODA 추진체제, 정책 틀, 기초교육의 목표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기초교육 ODA는 규모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지원비율도 일정치 않았다. 유형별 특징으로는 한국의 기초교육 ODA가 건립사업과 초등교육에 국한되어 있어, '기초교육'을 한정적으로 정의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한국 기초교육 ODA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기초교육'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와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을 토대로 한 기초교육 ODA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South Korea and Japan regarding basic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structure and policy framework of ODA as well as the trend, and typ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rgues that South Korea adopted to a considerable degree its ODA structure, policy framework and the goal of basic education from Japan without much attention to its own ODA developmen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cale of South Korea's basic education ODA was minimal in volume and inconsistent in content while the limited conceptualization of 'basic education ODA' in Korea is confined to 'primary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construction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draw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education ODA in South Korea. In order to improve basic education ODA, South Korea needs to not only increase the scale of the ODA but also develop the effective strategy within the limited ODA siz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as well as rigorous research on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South Korean ODA based on its educational development experience are critical. In addi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hat not only 'educ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but also 'education as human rights' to be considered in the basic education ODA.

      • KCI등재

        Push-to-talk 통신을 위한 진폭 및 위상 복원 기반의 단일 채널 음성 향상 방식

        조혜승,김형국,Cho, Hye-Seung,Kim, Hyoung-Gook 한국음향학회 2017 韓國音響學會誌 Vol.36 No.1

        본 논문에서는 PTT(Push-To-Talk) 기반의 무선 통신을 위한 진폭 및 위상 복원 기반의 단일 채널 음성 향상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신호의 진폭만을 대상으로 음성 향상을 진행했던 기존의 방식들과 달리, 음성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분리하여 각각 향상시켜 다시 결합함으로써 더욱 양질의 음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 잡음 환경에서의 단계별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식이 다양한 잡음 환경에서 양질의 음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ngle-channel speech enhancement method based on restoration of both spectral amplitudes and phases for PTT (Push-To-Talk) communication. The proposed method combines the spectral amplitude and phase enhancement to provide high-quality speech unlike other single-channel speech enhancement methods which only use spectral amplitudes. We carried out side-by-side comparison experiment in various non-stationary noise environment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high quality speech better than other methods under different noise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