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품 패션 브랜드의 미술관 전시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시론 - 입생로랑, 조르지오 아르마니, 샤넬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조현아 ( Hyuna Cho ),오지현 ( Ji Hyun Oh ),최샛별 ( Setbyol Choi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패션에 관한 사회학 연구 활성화를 위한 시론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패션을 고찰하고자, 패션이 가진 예술적 가치가 생산되는 방식과 거기에 활용되는 제도적 장치로서의 미술관(museum)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패션-미술관 관계’를 조망하는데 통찰력을 제공하는 문화사회학적 논의들을 ‘미술관의 제도화 역할’과 ‘예술 개념의 확장’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 단계로 경험적 차원에서 이에 관한 논의의 발전을 이끌어 온 입생로랑 회고전(1983), 아르마니 회고전(2000), 샤넬 회고전(2005) 등 세 건의 명품 패션 브랜드 미술관 전시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명품 패션 브랜드들이 미술관에서의 전시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이로써 자신들을 ‘예술’로 재규정 할 수 있었던 데에는 (1) 예술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격렬하게 진행되었던 사회적·학문적 차원에서의 논의들과 (2) 그를 통해 점차 모호해진 예술의 경계 (3) 시민/소비자로서 영향력을 키워 온 대중의 문화적 욕구 그리고 (4) 시대 흐름과 사회적 분위기, 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전시 대상의 폭을 넓힐 수밖에 없었던, 그러나 그럼에도 혹은 그렇기에 더욱 공고하게 유지된 미술관의 제도화 기능이 중첩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fashion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as primary work of invigorating sociological studies on fashion. We examine the way that artistic values of fashion are produced and the role of museum in the process as an institutional apparatus. First, by focusing on ‘the role of art museums in institutionalisation’ and ‘the conceptual expansion of arts’, we review the discourses of cultural sociology that provid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museum.’ Then the extensive exhibitions and retrospectives of three luxury brands(Yves Saint Laurant, Giorgio Armani, and Chanel) which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such discussions are analysed. We conclude that the following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exhibitions of luxury brands at art museums, consequently redefining them as ‘arts.’ (1) Intense social and academic discussions regarding the concept and scope of arts, (2) increasingly blurred boundaries of arts, (3) cultural needs of the public with increasing influence as citizens/consumers, (4) the institutionalisation role of art museums that became more announced as a consequence of (regardless of) the time-stream, social atmosphere, and economic conditions that forced museums to expand their scopes of exhibitions.

      • 초등 5·6학년군 보건교과 내용요소 적절성 연구

        조현아 ( Cho Hyuna ),송정혜 ( Song Jeunghye ),김경란 ( Kim Gyoungran ),박세은 ( Park Seeun ),심상희 ( Sim Sanghee ),이경순 ( Lee Kyungsun ),이은숙 ( Lee Eunsook ),이정희 ( Lee Junghee ),이지은 ( Lee Jieun ),이지혜 ( Lee Jihye ),이혜 한국보건교육학회 2020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6 No.1

        본 논문은 초등학교 5·6학년 보건교과 내용요소 적절성 연구로서, 교과서와 장학자료 분석을 통해 보건교과 영역별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내용요소가 초등학교 5·6학년 군 보건교과 내용요소로서 적절한지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집단 간 이해차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5·6학년군 보건교과 내용체계를 4개 영역, 20개 핵심개념, 64개 내용요소로 제안하였다. 4개 영역은 ‘건강의 이해와 질병’,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안전과 응급처치’, ‘건강자원과 사회문화’이다. ‘건강의 이해와 질병’ 영역은 3개의 핵심개념과 8개의 내용요소,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은 3개의 하위 영역, ‘약물·담배·술’, ‘성건강’, ‘정서·정신건강’과 13개의 핵심개념, 39개의 내용요소, ‘안전과 응급처치’는 2개의 핵심개념과 8개의 내용요소, ‘건강자원과 사회문화’는 2개의 핵심개념과 9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보건교과 내용요소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집단 모두 초등학교 5·6학년 보건교과 내용요소로서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각 내용요소별 평균값은 4.11~4.69의 분포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값은 ‘건강의 이해와 질병’이 4.22~4.55,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이 4.11~4.62, ‘안전과 응급처치’가 4.40~4.69, ‘건강자원과 사회문화’가 4.22~4.46이었다. 각 영역별 집단 간 평균값의 차이를 보면, ‘건강의 이해와 질병’ 영역, ‘약물·담배·술’ 영역, ‘안전과 응급처치’ 영역은 교사 집단이, ‘성건강’ 영역은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건강자원과 사회문화’ 영역은 학생 집단의 평균값이 대체로 높았고, ‘정서·정신건강’ 영역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015개정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되는 현재,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이 강조되나, 국가수준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보건교과 교육과정이 없다는 것은 실제보건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음에도 무엇을, 어떻게 되도록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점이 없음을 의미한다. 비록 교사별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교사가 교육과정 전문가임에 틀림없으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제시되어야 교육과정 안에서 교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보건교과 교육과정의 마련이 시급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scholarship materials,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according to the health subject areas, and then surveyed the questionaire on the sample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o see if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appropriate, finally analyzing the understanding difference of the groups. First of all, this divided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to four areas, 20 key concepts, and 64 content elements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The four areas are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Healthy Choice in Life," "Safety and First Aid" and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area has three key concepts and eight content elements. “Healthy Choice in Life" has three sub-area areas; "Drugs, Tobacco and Alcohol".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13 key concepts; "Safety and First Aid" has two key concepts and eight key content elements;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has two key concepts and nine content elements. All the sample groups responded the health subject content elements extracted from this study to be appropriate as those for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value of every content element was distributed at 4.11 to 4.69. The average values of every area are following: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4.22-4.55; “Healthy Choices in Life”, 4.11-4.62; “Safety and First Aid”, 4.40-4.69;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4.22-4.46.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average values between groups of different areas, the average values of the areas of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Drugs, Tobacco and Alcohol," and "Safety and First Aid" are high in the group of teachers, those of the area of “Sexual Health” are high in the groups of teachers and parents, those of the areas of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are generally high in the group of students, and those of the area of "Sentimental and Mental Health"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present situation under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eachers' literacy on curricula and ability to reconstruct curricula are emphasized, the fact that there is no curriculum for the health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uggested at the national level actually means that there is no criterion on what and how to teach it in spite of teaching the healt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cene. It is sure that every teacher's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teacher must be an expert in the curriculum, but, nevertheles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have to be presented so that the teacher can display his or her expertise within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a health subject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