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 연령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박세은(Seeun Park),고 선(Sun Go) 한국경제발전학회 2018 經濟發展硏究 Vol.24 No.4

        이 논문에서는 자녀 연령 변화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노동패널 1~19차 자료를 이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녀의 연령은 기혼여성의 경력단절과 경력복귀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쳤다. 미취학연령대 자녀가 있으면 경력단절 위험이 높았 고, 특히 출산 직후 만 0세 자녀가 있으면 취업 후 경력단절 확률이 두 배 이상 상승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에 다시 참여 했지만, 자녀 연령이 만 0세, 1세, 3세일 경우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이 낮아 졌다. 조사기간 동안 출산을 경험한 여성 표본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녀가 만 9세가 되면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이 증가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경력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설계할 때 자녀 연령에 따른 여성의 노동공급 행동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We study the effect of children’s age on their mother’s labor supply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The result from an analysi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shows that children’s age is closely related with their mother’s career interruption and return. A woman’s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increases when she has a child younger than the school-entry age. The existence of a child whose age is less than one raises the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more than twice. When a child is 0, 1, and 3 years old, the mother’s hazard of career return decreases significantly. Once a child’s age becomes 9, the mother’s hazard of career return rises. The findings imply that policy to reduce women’s career interruption and to help their career return should consider changes in women’s labor supply behaviors caused by their children’s ages.

      • 초등 5·6학년군 보건교과 내용요소 적절성 연구

        조현아 ( Cho Hyuna ),송정혜 ( Song Jeunghye ),김경란 ( Kim Gyoungran ),박세은 ( Park Seeun ),심상희 ( Sim Sanghee ),이경순 ( Lee Kyungsun ),이은숙 ( Lee Eunsook ),이정희 ( Lee Junghee ),이지은 ( Lee Jieun ),이지혜 ( Lee Jihye ),이혜 한국보건교육학회 2020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6 No.1

        본 논문은 초등학교 5·6학년 보건교과 내용요소 적절성 연구로서, 교과서와 장학자료 분석을 통해 보건교과 영역별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내용요소가 초등학교 5·6학년 군 보건교과 내용요소로서 적절한지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집단 간 이해차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5·6학년군 보건교과 내용체계를 4개 영역, 20개 핵심개념, 64개 내용요소로 제안하였다. 4개 영역은 ‘건강의 이해와 질병’,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안전과 응급처치’, ‘건강자원과 사회문화’이다. ‘건강의 이해와 질병’ 영역은 3개의 핵심개념과 8개의 내용요소,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은 3개의 하위 영역, ‘약물·담배·술’, ‘성건강’, ‘정서·정신건강’과 13개의 핵심개념, 39개의 내용요소, ‘안전과 응급처치’는 2개의 핵심개념과 8개의 내용요소, ‘건강자원과 사회문화’는 2개의 핵심개념과 9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보건교과 내용요소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집단 모두 초등학교 5·6학년 보건교과 내용요소로서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각 내용요소별 평균값은 4.11~4.69의 분포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값은 ‘건강의 이해와 질병’이 4.22~4.55,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이 4.11~4.62, ‘안전과 응급처치’가 4.40~4.69, ‘건강자원과 사회문화’가 4.22~4.46이었다. 각 영역별 집단 간 평균값의 차이를 보면, ‘건강의 이해와 질병’ 영역, ‘약물·담배·술’ 영역, ‘안전과 응급처치’ 영역은 교사 집단이, ‘성건강’ 영역은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건강자원과 사회문화’ 영역은 학생 집단의 평균값이 대체로 높았고, ‘정서·정신건강’ 영역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015개정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되는 현재,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이 강조되나, 국가수준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보건교과 교육과정이 없다는 것은 실제보건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음에도 무엇을, 어떻게 되도록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점이 없음을 의미한다. 비록 교사별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교사가 교육과정 전문가임에 틀림없으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제시되어야 교육과정 안에서 교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보건교과 교육과정의 마련이 시급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scholarship materials,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according to the health subject areas, and then surveyed the questionaire on the sample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o see if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appropriate, finally analyzing the understanding difference of the groups. First of all, this divided the content element of the health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to four areas, 20 key concepts, and 64 content elements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The four areas are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Healthy Choice in Life," "Safety and First Aid" and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area has three key concepts and eight content elements. “Healthy Choice in Life" has three sub-area areas; "Drugs, Tobacco and Alcohol".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13 key concepts; "Safety and First Aid" has two key concepts and eight key content elements;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has two key concepts and nine content elements. All the sample groups responded the health subject content elements extracted from this study to be appropriate as those for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value of every content element was distributed at 4.11 to 4.69. The average values of every area are following: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4.22-4.55; “Healthy Choices in Life”, 4.11-4.62; “Safety and First Aid”, 4.40-4.69;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4.22-4.46.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average values between groups of different areas, the average values of the areas of "Health Understanding and Disease," "Drugs, Tobacco and Alcohol," and "Safety and First Aid" are high in the group of teachers, those of the area of “Sexual Health” are high in the groups of teachers and parents, those of the areas of "Health Resources and Social Culture" are generally high in the group of students, and those of the area of "Sentimental and Mental Health"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present situation under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eachers' literacy on curricula and ability to reconstruct curricula are emphasized, the fact that there is no curriculum for the health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uggested at the national level actually means that there is no criterion on what and how to teach it in spite of teaching the healt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cene. It is sure that every teacher's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teacher must be an expert in the curriculum, but, nevertheles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have to be presented so that the teacher can display his or her expertise within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a health subject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슈퍼비전을 적용한 학교 밖 전문기관 연계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의 효과

        정평강,김중훈,박세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비전을 적용한 학교 밖 전문기관 연계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이 난독증 및 읽기부진 학생의 음운처리 및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3~4학년이었으며, 총 18명이었다. 문해교육 전문가인 슈퍼바이저는 학교 밖 전문기관의 중재자에게 중재 기간 전반에 걸쳐 집중 연수와 지도 방향, 자료 등에 대한 슈퍼비전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중재자는 대상 학생의 읽기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을 18~20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학부모와 담임교사, 중재자 간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가정과 학교에서도 일관되게 교수하도록 노력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음운처리능력(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이름대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성취도에서는 단어 읽기와 읽기 유창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ystematic reading intervention with application of supervision in connection with out-of-school professional institutes on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For the study, a total of 18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3-4 were participated. A supervisor, a literacy expert, provided intensive and consistent supervision to instructors at an out-of-school professional institution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by suggesting instructional direction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students. The instructors provided the systematic reading intervention designed to meet the students’individualized reading needs in 18-20 lessons for each student. In addition, parent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ried to teach the students at home and school,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approach. The result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in phonological processing of the students. In addi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for word reading and reading fluency in reading achievement. The researchers proposed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