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도경험 유무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사소진 비교

        조태곤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3

        전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70%가 넘는 학생들이 통합교육을 받고 있으며, 이에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 연구는 통합교육에서 통합학급 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도경험 유무에 따라 교사효능감 및교사소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114명과일반학급 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척도와 교사소진 척도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 간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소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였고 교사효능감 및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성별에서는 독립표본 t검증, 교직경력에서는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소진의 특성은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도경험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소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소진의 특성은 학생의 변화와 관련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도경험은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고 교사소진을 예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re than 70% of all special education students receive inclusive education, and the role of inclusive class teachers has become important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clusive class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experience teaching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teacher efficacy scale and teacher burnout scale from 114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128 general class teachers. Data analysis us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between the two groups. As variables affecting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gender and an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on teaching career. A word cloud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 teaching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 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ing experience improves inclusive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prevents teacher burnout.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도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조태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1

        특수교육 대상자의 통합교육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현재 통합교육이 과거에 비해 양적으로 성장의 추세에 있는 것은 분명하나 주로 외형적인 측면에 치중해 왔다는 비판도 있다. 그래서 통합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자로서 나는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을 활용하여 통합학급을 지도한 교사로서의 삶을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학교생활 중 일어나는 어려움을 알아보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둘째, 일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로서 통합학급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성찰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연구자로서 나는 통합학급을 지도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8개의 주제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 둘째, 학급경영 및 교수학습에 대한 전문성, 셋째,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넷째, 끊임없이 성찰하는 자세를 갖추는 교사라는 통합학급 교사의 전문성을 성찰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PREP의 동시적․연속적 처리훈련이 읽기학습장애 아동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태곤,민천식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2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 of Simultaneous -Successive Process Training of PREP on reading skill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esearch subjects were two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from D elemental school in Daegu,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each session ranged from 20 to 40 minutes. The researcher used a Simultaneous- Successive Process Training of PREP Program which had been reconstructed from a program made by Jung-Mi Choi. The assessment method was also reconstructed from Jung-Mi Choi’s meaning and non-meaning words reading assessment and sentence comprehension assessment. As for data-processing method, reading skill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calculated as scores to process the Representation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graph.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imultaneous-successive process training of PREP is effective on reading skill related to meaning words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mproved meaning words reading skill seems to be achieved from reading syllables that became visually familiar by going through repeated activities. Second, simultaneous-successive process training of PREP is effective on reading skill related to non-meaning words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y took part in activities with confidence and were able to read each word with no meaning. This led to an improvement in their non-meaning words reading skill. Third, simultaneous-successive process training of PREP is effective on sentence comprehension skill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o naturally find pictures that matched sentences made of over three words seemed to lead to an improvement in sentence comprehension skill. 본 연구는 PREP의 동시적․연속적 처리훈련이 읽기학습장애 아동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대상 실험연구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2명의 읽기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매 회기 20~40분씩 주 3회 6주간 총 18회기 실험하였다. PREP의 동시적․연속적 처리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의미단어, 무의미단어 읽기검사와 문장이해 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그래프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얻은 결론은 PREP 동시적․연속적 처리훈련 프로그램은 읽기학습장애 아동의 의미단어 읽기기능, 무의미단어 읽기기능, 문장이해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및 시사점

        조태곤 ( Cho Tae-g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특수교육은 일반교육보다 여러 가지 요인들에 있어서 인성을 함양하기에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은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논문 3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기준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론 및 제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2014년 이후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둘째, 연구주제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연구와 지적장애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다양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고, 연구대상에 있어서 유아 및 다양한 장애영역에서 연구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겠다.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general education because special education is placed in a disadvantageous environment for developing character in various factors than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cunducting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andards by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for 35 paper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4,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has increased. Second, in the research topic,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most. Third, in the research subjects, elementary school researc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were performed the most. Fourth, in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suggestion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research on variou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ried out, and research on infants and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s a subject of research.

      • KCI등재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조태곤 ( Tae Gon Cho ),김용욱 ( Yong Wook Kim ),우정한 ( Jeong Han Woo ),김경일 ( Kyung Il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특수교육에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강조되면서 통합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통합교육 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현재까지 이루어진 통합교육 관련 질적 연구 논문 중에서 31편을 선정하여, 연구 유형, 연구 주제, 연구 참여자 수 및 유형, 자료 수집 방법 및 기간, 자료 분석 방법, 진실성 검증 그리고 학교 급별 유형 등 7가지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유형은 현상학, 근거이론, 사례연구, 기타의 연구 유형이 있었고, 연구 주제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관련 주제가 많았으며, 연구 참여자 수는 6~10명, 연구 참여자 유형은 교사가 주를 이루었다. 자료 수집 방법은 상호작용 자료 중 심층면담이 가장 많았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1~5개월로 고르게 나타났다. 자료 분석 방법은 반복적 비교분석법, 전사ㆍ코딩ㆍ주제 생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고, 진실성 검증은 참여자 검토와 구성원 검토가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급별 유형 분석에서는 어린이집ㆍ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are emphasized, qualitative research for inclusiv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analysis on the trend in qualitativ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First, 31 papers on qualitativ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were selected. And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analysis criteria of seven kinds: type of research, theme of research, the number and type of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periods, data analysis methods, verisimilitude verification, and level of school. As a result, the type of research were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case studies, other types. Themes of research were mostly related to a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mostly 6~10 people and in the type of participants, teacher were mostly. In the data collection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among interaction method were mostly, and data collection period were 1~5 months evenly. In the data analysis method,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method of transcriptionㆍcodingㆍtheme generated were mostly, and in verisimilitude verification, participant check and member check were mostly. Finally, in the level of school, research of nurseryㆍ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most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정서조절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조태곤 ( Cho Tae Gon ),민천식 ( Min Chun Si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인성함양을 위한 정서조절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 통합학급 2학급을 대상으로 비동일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를 통해서 획득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조절능력 점수를 활용하여 SPSS 26 프로그램으로 비모수통계인 Wilcoxon 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인성함양을 위한 정서조절프로그램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요인을 포함하는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regulation program for character development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pre-post-test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two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For data proces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6 program based on the pre-post emotion regulation abili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nclusion is that the emotion regulation program for character developmen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cluding cognitive, behavioral, and experiential factors of student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 인성 역량과 학력 향상을 위한 대안적 통합교육 수업 방안 모색 : 1수업 2교사제를 중심으로

        조태곤 ( Cho Tae-g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9 인성교육연구 Vol.4 No.2

        최근 통합교육의 관점은 ‘모두를 위한 교육’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인성 역량과 학력 향상을 위한 대안적 통합교육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수업 2교사제에 참여한 담임교사 및 협력수업교사, 일부 학생에 대한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1수업 2교사제에서 맞닿은 상황은 ‘수업을 할 수 있어요’, ‘학생이 공부를 하네요’, ‘뭘 해야 하나요?’, ‘선생님 왜 가요?’라는 네 가지 주제로 드러났으며, 이를 통해서 대안적 통합교육 수업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업협력교사는 ‘개별요구’를 가진 학생을 지원한다. 둘째, 수업협력교사는 교실 안과 밖, 방과 후에 학력증진과 인성함양을 지원한다. 셋째, 수업협력교사는 정규교사는 물론 상담, 학습지도 및 특수교육과 관련된 전문성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협력교사는 학교시스템을 통해 다단계 지원을 할 수 있다. 향후 통합학급을 효과적으로 경영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정규수업 및 방과 후 수업 활동에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정규교사를 수업협력교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education is 'Education for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about alternative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inclusive education for improving personality and education attain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was use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for class teacher, co-teacher and some students in co-teach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tuation encountered in co-teaching was revealed in four themes: 'I can study,' 'Student is studying,' 'What should I do?', 'Why do teacher go?'. Through this, ways about alternative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inclusive education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co-teacher support students with 'individual needs'. Secondly, the co-teacher supports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and character development in and out of the classroom and after school. Third, the co-teacher should have expertise related to counseling, instruction, and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fications related regular teachers. Fourth, the co-teacher provide multi-level support through the school system. Subsequent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using regular teacher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as co-teachers for regular class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in inclusiv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