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관점과 포용적 접근을 통한 간문화 내러티브의 탐색

        허영식(Young-Sik, Huh),조인숙(In-Sook Cho),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3

        본고에서는 다중관점 및 포용적 접근과의 친화성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간문화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다중관점과 포용적 접근을 통한 간문화 내러티브의 구체화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간문화 내러티브는 간문화적 사이공간에서 존재하거나 작용하는 내러티브라고 규정할 수 있으며, 다중관점 및 포용적 접근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간문화 내터티브의 특징을 명료화할 수 있다. 둘째, 간문화 내러티브와 다중관점의 친화성에서 출발하여 간문화 내러티브의 구체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는, 이주사회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 기초하여 다중관점에 지향을 둔 간문화 내러티브를 구체화할 수 있다. 셋째, 문화주의나 문화본질주의적 사고방식에 따른 위험성과 한계를 고려할 때, 간문화 내러티브를 다루는 데 있어서 포용적 접근이 요청된다. 포용적 접근은 평등의 원칙과 다양성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수행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석 및 개입의 도구로서 포용적 간문화 내러티브 모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간문화교육학의 합의사항을 고려할 때, 간문화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도 자신의 문화적 준거와 인지유형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핵심목표로 간주해야 하며, 간문화역량의 함양․신장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다 섯째, 이주사회에서 일상을 규정하는 사회적 상태를 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려는 경향을 조심해야 한다는 이론적 통찰이 실제적․조작적 수준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거나 아니면 의도한 바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문화 내러티브의 역설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of intercultural narrative by way of multiple perspective and inclusive approach, focused on the recent research trend in Germany.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narrative, concrete approaches towards intercultural narrative through multiple perspective, and those through inclusive approach. The result of this inquiry might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tercultural narrative can be defined as narrative existing or working in an intercultural in-between space, and has narrow affinities with multiple perspective and inclusive approach. Second, regarding concrete realization of intercultural narrative through multiple perspective, one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narratives in a migration/multicultural society. Third, inclusive approach towards intercultural narrativ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at of diversity, both of which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realized concretely qua an inclusive intercultural narrative model. Fourth, considering the consensus of intercultural pedagogy, we need to put emphasis on the ability to reflect on the own cultural references and perception patterns, and on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n shaping and using intercultural narrative. Fifth,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aradox of intercultural narrative in the sense of performative contradiction, which implies inconsistency between theoretical insight on the one hand and practical operative level on the other, especially regarding the problem of naive culturalist perspective.

      • KCI등재

        鄭燮 書藝에 미친 老莊美學

        조인숙(Cho In-Suk)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7 No.-

        Pan Kyo would master principle of nature. All natural beings should conserve their innate nature from his view point. He, as a energy theorist, would insist that all things in universe should be composed of energy and he should paint as Heaven has created. He would not have a particular master, but he would look up to nature as his mentor. This would be on the basis of idea of Lao-Tzu in which all creatures should resemble nature and it would be the most ideal that all creatures should act according to innate nature, and idea of Chuang-Tzu in which great beauty could be made in the world when our mind would move according to principles producing all creatures in nature as it is. We can find a factor of anti-neutralized unconventional-beauty in his incomplete handwriting. The stone in his painting would be ugly, but the ugly stone would be gallant and eminent. And he would express disssatisfaction with his society, gloom, anger and sorrow in his life as ugliness, peculiarity, oddity and disorder. This is based upon viewpoint at beauty and ugliness of Lao-Tzu and Chuang-Tzu in which Lao-Tzu and Chuang-Tzu would worry what is the real beauty through relativity of beauty and ugliness. He disgusted with official position he envolved in middle age after hard times and achieved wisdom of living like a fool. Under friendship with nature,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his spirit is shown in his works and expressed at his pleasure. His energy can be freely exposed because his mentality was emancipated. This mental emancipation would be obtained when unification of myself and objects, unity of object and myself, concept of Chuang-Tzu, would be embodied under human emotional meditation. We can find mentality in which Pan Kyo would like to be unrestricted in great artifice of Lao-Tzu and Chuang-Tzu, similar to doing-nothing-but-not-doing nothing, and unity of artifice-Tao. 板橋는 自然의 도를 체득하였다. 모든 자연물을 있는 그대로 두고 타고난 天性을 보존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그는 元氣論者로서 우주만물은 모두 元氣가 뭉쳐 이루어진 것이며, 하늘이 만들어 낸 것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니, 자신은 스승이 따로 없고 自然을 스승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이는 萬物은 자연을 본받아야 하며 그 本性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하는 老子의 사상과 無爲自然으로 萬物을 생기게 하는 道안에서 마음이 노닐게 될 때 천지에 大美가 있게 되는 것이라고 말하는 莊子의 사상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六分半書에서 脫 中和的 破格美의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그는 자기가 그린 돌은 醜石이지만 ‘醜而雄’이고 ‘醜而秀’라고 하였으며, 그는 자기의 一生 가운데서 사회에 대한 불만과 우울, 분노와 애통을 醜?怪?奇?亂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美醜의 상대성을 통하여 진정으로 아름다운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한 老莊의 美醜觀에서 찾을 수 있다. 끝으로, 갖가지 어려움을 겪은 후 知天命의 나이에 관직에 나갔던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증을 느끼고, 마침내 難得糊塗라는 멍청하게 살아가는 지혜를 얻었고, 自然과 벗하며 安貧樂道하고 싶어 하는 정신이, 그의 작품 속에서 天氣가 流露하고 縱橫이 자유롭게 표출되었는데, 이는 그의 心性의 大 解放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같은 정신적 解放은 莊子의 物我一體 사상, 物과 我의 통일이 인간의 감성적 觀照 속에서 체현될 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老莊의 無爲而無不爲의 大巧, 技道合一의 경지에서, 板橋가 자유로워지고자 했던 정신세계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Bruner 내러티브 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강현석 ( Hyeon-Suk Kang ),조인숙 ( In-Sook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논문에서는 Bruner의 ‘지식의 구조’ 이후로 새롭게 대두되었던 내러티브 이론의 교수학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Bruner의 이론에 대한 생각은 과거 지식의 구조, 나선형 조직, 발견학습이나 탐구 학습에 머물러 있는 형편이다. 주지하다시피 1980년 이후로 Bruner는 내러티브 전회를 통하여 큰 폭으로 자신의 입장을 확장시켰다. 시대적 구분으로만 전기와 후기 이론으로 명명할 수는 없겠으나 지식의 구조이론과 내러티브 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다.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보면 주로 1980년대 이후 전개된 그의 확장된 입장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사고양식에 기반을 두고 있는 문화주의 이론은 새로운 학교교육의 모델로 각광받을 만하다. 본고에서는 교수 및 학습 측면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내러티브적 전회, 즉 인식론적 변화는 교육 맥락에서 Bruner 이론의 포괄적 개념이다. 지식의 구조로부터 내러티브로의 전환은 학교교육에 있어서 큰 변화를 의미한다. 이제 지식의 구조는 내러티브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의미구성으로서의 내러티브는 자아의 구성과 문화의 성장에 있어서 중추적 기능을 한다. 교육목표로서의 내러티브 자아의 발달은 기존의 정신적 자아 발달 개념이 심리적인 교육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내포한다. 내러티브 자아에 대한 견해로 새로운 일상 심리에 토대를 둔 교육학적 방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을 기반으로 내러티브 학교교육(narrative schooling)을 구성,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Bruner’s educational theory since the theory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Culturalism theory based on a narrative mode of thought is highly acclaimed as a model of new schooling.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narrative and the commonplaces of curriculum are analyze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Narrative turn, a symbol of epistemological change, is an umbrella concept of Bruner’s theory in educational contexts. Becaus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o narrative, our schooling is undergoing an important change. Now the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narrative meaning. Narrative as “meaning-making” is the pivotal tool of growth in our culture and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the self. The development of a narrative self as an educational aim implies that the existing conception of the development of a psychic ego should be changed into a new mode of psychological education. Following the tenet of narrative self, we may construct a new mode of pedagogy based on folk psychology. From the viewpoint of Bruner’s narrative theory, we can anticipate a new generation of education under narrative schooling

      • KCI등재후보

        영아의 가리키기 출현 빈도에 따른 언어발달의 차이

        조인숙 ( Cho In Suk ),김현경 ( Kim Hyun Kyou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영아의 공동주의 행동 중 가리키기 행동의 출현 빈도에 따른 영아의 언어 발달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13개월에서 35개월까지의 영아 35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되었다. 영아의 가리키기 행동 관찰은 Adamson 등(1984)의 코딩 체계를 근거로 자유놀이 상황에 나타난 가리키기 행동의 출현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영아의 수용 및 표현언어 발달의 측정은 Fenson등(1991)의 MCDI-K(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Korean)를 수정사용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가리키기 행동의 출현 빈도는 월령에 따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영아의 가리키기 행동의 출현 빈도는 표현 언어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리키기 행동이 영아와 타인간의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한 적극적 동작으로서 기능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check 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in use of pointing which is a kind of infants' joint -attention behavior. An object of this study is 29 infants in a nursery who are from 13-months old to 35 months old. According to the study, the frequency of infants' pointing action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received language but is pretty related to infants' language expression power. This result implies that infants' pointing, a kind of joint attention behavior appearing in the process of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becomes a powerful hint to draw attention for their communicating to others. Especially showing up infants' pointing can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their progressive attitude in order to underst and others' mind as well as attention & to lead others' interest to their intended way.

      •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김경숙,조인숙,Kim, Gyeong-Suk,Cho, In-Sook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정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그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에 소재한 200~400병상 종합병원 간호사 1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beta}=-.321$,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beta}=.389$, p<.001), 3단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의 설명력은 45.5%이었다. 이때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3단계 ${\beta}$ 값이 .203(p<.001)으로 2단계의 ${\beta}$ 값 .389(p<.001)보다 작아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크기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은 -3.694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002).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조직몰입을 높여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grasp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extent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9 nurses ar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hat have more than 200 beds and less than 400 beds, located in Gwangju. I surveyed them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collecting data from Sep. 01, 2017 to Sep. 20,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the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Results: In the first step, job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beta}=-.321$, p<.001). In the second step, job stress, an independent variable, also had an import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beta}=.389$, p<.001).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eaningful predictor variables of turnover intention in the third step. The explanatory power of two variables was 45.5%. The value ${\beta}$ of job stress in the third step was .203(p<.001) which was smaller than its value ${\beta}$,.389(p<.001), in the second step. That mean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mediating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exten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est result was that the value Z was -3.694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p<.002).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be useful to find ways to reduce subjects' turnover intention by decreasing their job stress, increas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as basic data.

      •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신생아의 부모 스트레스의 비교

        오금숙,임지영,조인숙,함옥경,Oh, Kum-Suk,Lim, Ji-Young,Cho, In-Sook,Ham, Ok-Ky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10 가정간호학회지 Vol.17 No.1

        Purpose: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stress between the parents of sick newborns. Methods: Participants were the mothers (n=57) and fathers (n=57) of newborns in NICU of six university hospitals. An established stress measurement tool (Miles and Carter, 1993) was used. Results: Fathers and mothers displayed the highest stress scores (4.44 and 4.67, respectively) when the baby looked in pain. Maternal overall stres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aternal scores. Conclusions: Mothers and fathers experience differing levels of stress concerning their newbor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customized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of newborns in the NICU.

      • 역량중심 교육의 비판과 대안 탐구

        강현석 ( Hyeon-suk Kang ),조인숙 ( In-sook Ch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20 교육학논총 Vol.41 No.1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채택, 적용되고 있는 역량중심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개관하고, 특히 한국의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한국의 경우는 역량중심 교육을 논의하는 갈래가 매우 다양하며, 국가 기관에서 주도적으로 제시하는 바가 전국적으로 적용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에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분명히 역량중심 교육은 기존의 단순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실효적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계획과 실천, 평가의 맥락에서 바라보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거 DeSeCo 프로젝트에 이어서 최근 OECD 2030 보고서에서 표방하는 역량의 흐름과 뉴질랜드에서 새롭게 적용하고 있는 능력 접근에 기반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동시에 역량중심 교육의 수월성 확보 방안과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problem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suggests its alternative. In Korean context, many researchers complain the problem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re-suggests its new model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 are many pro-con debates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hooling. We discuss the problem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propose a new model of competency curriculum. So called, the word of capability approach will affect the entangled situation of chao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e hope the capability approach will work the alternative method and will guide the pratice of pedagogical setting.

      • KCI등재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탐색

        강현석 ( Hyeon Suk Kang ),조인숙 ( In Soo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3

        급변하는 세계에 학생들이 잘 대처하도록 준비시키기 위해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자아 구성과 발전을 돕고 타자와의 소통능력 향상에 주력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교육은 소통을 방해하는 몰개성적이고 무문화적인 교육원리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실증주의’는 일방적인 설명중심의 한정된 학습을 포함하여 많은 문제점을 양산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사고양식의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비논리적이고 허구적인 사고양식이자 소통의 방식인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개발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내러티브의 개념과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특히 내러티브를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산물인 이야기로 국한시켜 내러티브의 구성요소와 구조 및 토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내러티브는 인물과 줄거리를 갖추고 입장을 통해 구조화되며 문화를 반영하고 또 변화시키는 이야기로 정의내릴 수 있었고, 이러한 정의는 내러티브 접근법 중 입장 모형화 이론을 기반으로 창출된 내러티브 모형과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브루너가 제안한 교수-학습의 네 가지 주요개념(주체적 행위, 협동, 반성, 문화)과 통합하여 내러티브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구안하고 교육과정의 보편적인 공통요인 측면에서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Education is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where the potential of human beings can be drawn to meet the needs of times. Human development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mind, and the nature of mind engages in meaning making by internalizing culture. In this process, human m9)ind uses cultural and folk psychology as the cultural toolkit, which is constructed and organized by narrative mode. Also the cultural and folk psychology can be the source of narrative. The goal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macroscopic aspect is the development of human mind, or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Self. Since the narrative specializes in meaning making, it is inevitable to cultivate and nurture the narrative mode, which is the great tool of understanding human development. Developing narrative mode is implicated in knowing and understanding what narrative is, where it originates and how it works.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new perspectives on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Jerome S. Bruner`s narrative theory. It starts from the discussion of cultural psychology and folk psychology, which is organized by narrative mode and can be the source of narrative. Two(endogenous and plight-modeling) approaches that explain the narrative theoretically are discussed followed by the display of narrative model in a diagram using a plight-modeling theory. More suggestions are made by curriculum commonplace such as educational goal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language including a new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 KCI등재후보

        유아의 사회지능과 부모 배경 변인과의 관계

        박낭자(Pak Nang Ja),나은숙(Na Eun-Suk),조인숙(Cho In Su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경제수준, 학력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지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B시에 위치한 5개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 237명과 그들의 교사 25명과 부모 2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경제적 수준은 유아의 사회지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중하층(M=2.34)이 하층(M=2.18)에 비해 유의하게 사회지능이 높았다. 특히 하위 요인에서는 사회지식과 유연성에서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지능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해주는 결과였다. 부모의 학력은 사회지능의 전체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만, 하위요인 중에서 유연성만이 부의 학력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 요인 중 ‘온정과 애정’ 요인이 사회지능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에서는 민감성과 ‘일반적 거부’ 요인이 정적 성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ackground and so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during September of 2007 by conducting surveys with 237 Korean parents in a row.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children at the age of three to five.<BR>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used: Park"s Social Intelligence Test(2004) and Rohner & Khaleque"s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Control: Child version(2005). <BR>  Analysis of the data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arent"s economic leve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Among the sub-factors under social intellig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ocial knowledge and flexibility depending on parent"s economic level. Second, the parent"s education level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bu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lexibility and father"s education level. Third, Among the parent"s attitude, "love and affe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intelligenc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intelligence, sensitivity and general reje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