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연구(self study)를 통한 초등 세계사 교육 실현 방안 탐색

        조의호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2 글로벌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world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global society. However the former studies has been limited to a theoretical research on elementary world histor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field-based implications through teacher’s self-study to explore ways to realize world history education in the actual elementary school field. The results of the researcher's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world history education for 5th graders with critical colleagues for about a year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efficiently selected and 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extbooks, students' level and interest, and teacher's PCK. Second, the researcher used an educational method optimized for the situa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history classes while conducting teacher-centered explanatory and student-centered inquiry classes at the same time. Third, the researcher became a learning teacher to overcome realistic barriers such as lack of knowledge of world history content, lack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bility, and limited time, and tried to fill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in a modest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alization plan of elementary world histor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fiel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istory centering on the theme. Second, integrated lesson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entered on global problems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world history education and support teacher training. 이 연구는 글로벌 사회의 요구에 대응하여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도 세계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초등 세계사교육에 관한 선험적인 이론적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실제 초등학교현장에서 세계사 교육의 실현 방안을 탐색하고자, 교사의 자기 연구를 통한 현장기반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가 약 1년간 비판적 동료들과 함께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사 교육을 실행하고 성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초중등 교육과정과 교과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 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교사 중심 설명식과 학생 중심 탐구식 수업을 병행하면서 초등 역사 수업의특성을 고려하며 상황에 최적화된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세계사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재구성력 부족, 한정된 시간 등과 같은 현실적 장벽을극복하기 위해 학습하는 교사가 되어 겸손한 자세로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 세계사 교육을 실현 방안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을 주제 중심으로 편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구촌 문제를 중심으로 한 초등 사회과 영역 통합형 수업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 세계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교원 연수를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 현황 분석

        조의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3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lan. It also proposed a method to find and improve problems in assessment plan stage. Assessment plans for the first semesters were surveyed among 5th and 6th graders of 130 schools in Jeonju and northern Seoul. Survey results conducted on 189 teachers were then analyzed. As a result, main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were confusion of areas and terms, unbiased assessment of specificcontents, and lack of concrete evaluation criteria. Teachers were struggling in providing assessments with appropriate feedback for students and linking them to actual context. Teachers also found that it was hard to execute the assessment plan writte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at lacked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social studies assessment plan templates with various examples and develop integrated evaluation tasks that link elements of various curriculum standards with an analytical rubric..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과 교사 인식을 분석하여 평가 계획 단계에서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주와 서울 북부지역에 있는 130개교의 5, 6학년 1학기 평가 계획을 조사하고, 현직 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 평가 계획에서는 영역 및 용어의 혼란, 특정 내용에 편중된 평가, 구체적인 평가 기준 부재가 주요 문제로 밝혀졌다. 교사들은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실제적 맥락과 연계된 평가를 추구하나, 학기 초에 완성해야 하는 부담감과 참고할만한 양질의 자료 부족 등으로 평가 계획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사회과 평가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시가 담긴 사회과 평가 템플릿과 분석적 루브릭을 갖춘 여러 사회과 성취기준의 요소를 연결한 통합적 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IB PYP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고찰

        조의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1

        There is a continuing demand for subject-integrated & themes based education to enhanc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competencies they should have in future generations. Thus,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B PYP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case of designing units in the school field, which aims to explore and learn curriculum convergence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B PYP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composed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concepts and functions among transdisciplinary themes, concepts, skills, attitudes, and actions, which are key elements of the curriculum presented in the curriculum frameworks. The contents of the IB PYP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composed of five strands centering on the main concepts, and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based on age group. At each stage, the overall level of expectation was first stated, and according to the framework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inquiry units consist of a series of inquiry units consisting of central idea, concepts, lines of inquiry, social studies strands, skills, and possible learning outcomes in social studies. In the school field applying IB PYP, subject-integrated inquiry unit by transdisciplinary themes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ubject by using the contents and forms presented in the IB PYP social studies curriculum or applying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the framework of IB PYP. To enhance Korea's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like the IB PYP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ystematic connection with curriculum frameworks. In other words, main contents elements including transdiscplinary themes and key concepts as well as format for inquiry units should be presented at the level of a curriculum framework. Teachers can reorganize social studies curriculum suitable for regions and schools by presenting major content elements and formats for inquiry units. 초등학생의 발달적 특성과 미래 세대로서 갖춰야 할 역량을 신장하기 위해 교과 융합 주제 중심 교육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 융합형 탐구학습을 지향하는 IB PYP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학교 현장의 단원 설계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IB PYP 사회과 교육과정은 총론에 제시된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인 초학문적 주제, 개념, 기능, 태도, 행동 중 개념과 기능에 해당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은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5가지의 스트랜드에 따라 구성되며, 연령대를 기준으로 총 4단계로 나뉘어 있었다. 단계별로는 먼저 전반적인 기대 수준이 진술되어 있으며, IB PYP에서 제시한 틀에 따라 초학문적 주제를 토대로 중심 아이디어, 개념, 탐구 흐름, 사회과 스트랜드, 기능, 예상 학습 결과로 구성된 일련의 탐구 단원 형식에 맞게 구성되어 있었다. IB PYP를 적용하는 학교 현장에서도 IB PYP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 형식을 활용하거나 국가 수준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IB PYP의 틀에 적용함으로써 초학문적 주제에 따른 교과 융합 탐구 단원을 계획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도 IB PYP 사회과 교육과정처럼 교과 융합을 고려하여 총론과 각론의 체계적인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교육과정 총론 차원에서는 초학문적 주제와 핵심 개념을 비롯한 주요 내용 요소와 탐구 단원을 위한 형식을 제시하고,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주요 내용 요소와 연계된 사회과의 내용을 정련하여 탐구 단원의 형식에 따라 사회과 내용을 제안함으로써 교사가 지역과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교과 융합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으로 개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모의 법 만들기 교육 실행에 관한 교사의 자기 연구

        조의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교육 Vol.62 No.2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by reflecting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mock law-making education through teacher self-study based on the problem that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law related education is focused on compliance education. The researcher reinterpre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et the theme question of "What laws are necessary for our village to guarantee children's human rights?" with human rights and laws as key concept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human rights was confirmed through historical events and stories of people, local election candidate pledg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and the character of the law was identified in relation to students' lives and human rights. Students create a self-governing law called the Night Motorcycle Noise Sanctions Act through discussions and dabat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students and their guardians on our village problems, and then made a petition to the district council, confirmed the results and shared their feelings.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mock law-making education derived from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implement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case analysis activities centered on student life should be organi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law in relation to the guarantee of students' human rights, and teachers should use materials or media familiar to students and carefully teach th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creating awareness of the law. Secon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mock law, educational devices that can reflect the voices of all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and teachers need to support students with appropriate adjustments so that various opinions of students can be converged into meaningful discussions and debates. Third,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simulations to affect society outside the classroom should be guaranteed, and teachers need to respond flexibly to unpredictable developments and manage students to complete learning and experience a series of social participation. 본 연구는 현행 초등 사회과 법교육이 준법 교육에 치중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사 자기 연구를 통해 모의 법 만들기 교육 실행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그 교육 방향과 교사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사회과 .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재해석하여 인권과 법을 핵심 개념으로 어린이 인권 보장을 위해 필요한 우리 마을에 ‘ 필요한 법은 무엇일까 라는 주제 질문을 설정하였다 주제 학습으로는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 . 어린이 인권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지방선거 후보자 공약을 인권 보장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생활 속에 적용되는 , , 법의 사례를 탐색함으로써 학생의 삶 및 인권과 관련하여 법의 성격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뒤이어 학생들은 우리 . 마을 문제에 대한 학생과 보호자 대상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토의 토론을 통해 야간 오토바이 소음 제재법 이 ⋅ ‘ ’ 란 자치 법규를 만들어 구의회에 청원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며 소감을 나누었다 이러한 연구자의 실행 경험을 , . 통해 도출한 초등학교 모의 법 만들기 교육의 방향과 교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본인의 인권 보장과 . , 관련하여 법의 성격을 파악하도록 학생 생활 중심의 다양한 사례 분석 활동이 구성되어야 하며 교사는 학생에게 , 친숙한 소재나 매체를 활용하고 법에 대한 인식 형성 과정에 필요한 기능을 타 교과와 연계하여 세심하게 교습할 , 필요가 있다 둘째 법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모든 학생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는 교육적 장치가 뒷받침되어야 . , 하며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이 의미 있는 토의 토론으로 수렴될 수 있도록 적절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 , ⋅ . 셋째 학생들이 만든 모의 법이 교실 밖 사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하며 교사는 예측 , , 불가능한 전개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학생들이 학습을 마무리하면서 일련의 사회 참여를 경험할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사회과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조의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3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사회과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분석을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였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계성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학교급및 학년군별로 사회과 교육내용의 주안점이 차별화되면서 연계되는 경향이 있었다. 유치원 누리과정에서는 주변 사회 현상에 관한 관심에 초점을 두었고,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대상의 확대와활동의 수준이 심화되었으며, 이는 3∼6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지속되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둘째, 유치원 누리과정부터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비교적 연계가 잘 갖춰진 교육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다만, 영역별로 연계성의 양상과 그 특징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치원 누리과정부터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계열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학년군에서만 등장하는 경우, 학교급이나 학년군에 걸쳐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경우, 교육내용의 범위와 수준이 역행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계열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치원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급 교육과정 구성에 참고할 사회과교육의 주요 내용 요소가 담긴 기준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급 및 교과 간 교육과정의 형식적 체계를 통일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F or analysis, parts related to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extracted from the 2019 revised Nuri an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a; the study formulates articulation analysis standards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Firs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be linked as the focus of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rade group as a whole.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highlights the surrounding social phenomena;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target is expanded, and the level of activities is deepened, which was found to continue in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rd to sixth graders. Second, the study finds a relatively well-connected curriculum from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 study observes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articul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by area. Third, we confirm that the articulation was not secured from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example, when appearing only in certain grade group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re repeated across school levels or grade groups; the scope and level of the curriculum are reversed; and the articulation of the curriculum is insufficiently sec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we suggest that the articul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sider the kindergarten Nuri,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First, formulating standards that contain the major content elem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omposition of each school-level curriculum. Second, unifying and supplementing the formal system of the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and between subjects are important initiatives.

      • KCI등재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구동향

        조의호(Jo, Eui Ho)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ESD 연구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기준을 소개하고, 최근 10여 년간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ESD 연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ESD 연구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은 UNESCO에서 제시한 연구 주제 범위와 연구 대상으로서 학교급별 분포이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ESD 관련 연구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ESD의 정립과 확산을 위해서는 ESD의 개념 및 비판적 담론 형성과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직업교육과 시민교육으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standar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ESD. Analyzing the trends of ESD researches in Korea for about 10 years, this study is focused on reviewing the track of ESD researches and getting a certain direction for other ESD researches in the future. The standard to analyze ESD researches is a range of themes suggested by UNESCO and grades of school as a research object. The result is as follows. Researches abou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methods are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ESD researches. But researches about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critical discourse of ESD and vocational & civil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to be more active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ESD and to spread ESD movement.

      • KCI등재후보

        OECD Education 2030 역량에 기초한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반영도 분석

        조의호(Jo Eui-ho)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이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급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는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총 5개 범주, 28개 세부 역량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대부분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기초 소양’ 범주의 ‘문식성’과 ‘ICT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 ‘기능, 태도, 가치’ 범주의 ‘협동/협력’, ‘문제해결력’, ‘존중’, ‘변혁적 역량 및 역량 개발’ 범주의 ‘새로운 가치 창출’, ‘책임 의식’, ‘복합 소양’ 범주의 ‘기업가 정신’이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구체적이면서 높은 비율로 반영되어 있었다. 반면,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변혁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학습 전략적 차원의 ‘역량 개발’과 ‘복합 소양’ 범주의 세부 역량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수리력’, ‘끈기/회복력’, ‘학습에 대한 학습’, ‘컴퓨팅 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 등과 같은 역량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특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리와 일반사회 영역의 역량 반영 비율이 역사 영역에 반영된 비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y i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 total of 5 categories and 28 detailed competencies were presented to analyze the degree of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ies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literacy’ in the ‘foundational literacy’ category, ‘ICT literacy/digital literacy’, ‘cooperation/collaboration’ in the ‘skills, attitudes & values constructs’ category, ‘problem-solving’, ‘respect’, ‘creating new value’ in the ‘transformational competency and development for 2030’ category and ‘entrepreneurship’ in the ‘complex competencies for 2030’ were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a specific and high rat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detailed competencies in the categories of ‘competence development for 2030’ as a learning strategy to enhance ‘transformative competenc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y, and ‘compound competencies for 2030’ was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competencies such as ‘numeracy’, ‘persistence/resilience’, ‘learning to learn’, and ‘computational thinking/programming/coding’ were not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ly high ratio of competency reflection in the geography and civics domains was higher than the ratio reflected in the history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