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술사를 활용한 민속전시 연구 : ‘촌로의 한평생’에서부터 ‘나의 출산이야기’까지, 국립민속박물관특별전시를 중심으로

        조성실 한국구술사학회 2015 구술사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최근 민속을 주제로 하는 박물관 전시에 구술 자료가 빈번히 등장하는 현상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자는 구술사가 갖는 본질적 속성을 분석, 구술사가 전시와 접목했을 때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구하였으며 구술사를 활용한 박물관전시의 발달과 전개과정을 살피면서 구술사가 등장하는 박물관 전시가 박물관학적으로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국립민속박물관의 특별전시 4개 ‘호남평야 농부김씨의 한평생(2008)’, ‘아리랑(2012)’, ‘내 이름은 마포포 그리고 김하나(2012)’, ‘출산, 삼대이야기(2014)’를사례로 들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 전시들은 구술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기에 본고의 연구대상으로 선정됐다. 구술 자료는 위의 전시장에서 문화의 현장성과 사실성을 잘 드러내주는 역할을 하였다. 전시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일상적 삶의 모습과 인터뷰 내용이 비디오에 담겨 전시장 안에 상영되는 것으로 구술사가 재현됐다. 기존의박물관 전시가 물질적인 측면, 즉 유물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달리, 구술 자료를활용하는 전시는 무형과 유형문화의 조화로운 재현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현재를 사는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들의 직접적인 구술로 보여줌으로써, 민속이 과거의 현상이 아닌오늘날의 삶이자 미래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한편으로 연구자는 구술사를 활용한 전시에서 구술 자료의 해석과 가공에 대한 문제가 수반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학계 전반에 걸쳐있는 해묵은 논쟁거리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 큐레이터나 박물관이 구술 자료를 권력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발생한다. 여러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는 전시에서의 구술 자료 활용이 새로운 전시 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구술사와 전시양측의 긍정적 개입은 서로 간의 발전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dvent of oral history documents and cases in recent folklore exhibitions and to research the meaning of this meeting between oral history and exhibitions in Museology. This paper makes use of four special exhibitions organized by the National Museum of Folklore of Korea to achieve this: ‘The Year of Jeonbuk Folk Culture Special Exhibition- Memories through the Year, a Farmer’s Story’ (2008), ‘Arirang’ including traveling exhibitions in foreign countries (from 2012 to today), ‘My Name is Ma People and Kim Hana’ (2012), ‘Childbirth-The Story through Three Generations’ (2014). These exhibition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they actively utilize oral history. The oral history documents in these exhibitions display practical and true features of oral history. The exhibitions focus on their daily life and contents in the interview are played in exhibitions. While previous exhibitions focused on the material aspects and artifacts, exhibitions with oral history documents enable the balanced representation of intangible and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showing the stories of people today, they emphasize that folklore is not only stories from the past, but the present and future. The exhibitions using oral history documents change the structure of exhibition between exhibition subject and exhibition object. The most remarkable difference is that the source communities, the actual transmitters of folk culture, lead the whole stories of exhibitions as solo subjec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process and interpretation of oral history documents in exhibitions using oral history. Some of these problems are academic. Furthermore, curators and museums make use of oral history document for their own authority. Despite these problems, the oral history documents have taken a grea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useology. The interaction between oral history and exhibition is positive enough to promote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분석과 방향: 전통공예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조성실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3

        1972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 문건이 작성될 당시만 하더라도 문화유산은 유형적 차원으로만 이해되었다. 그러다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채택되고 문화유산의 개념은 무형적 측면도 고려하는 방향으로 재정의되었다. 그 무렵 박물관계도 무형문화유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2004년 서울세계박물관대회에서 ‘박물관과 무형유산’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 서울세계박물관대회 개최에도 불구하고 국내 박물관 전시는 지난 십수 년 동안 무형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는 것이 연구자의 판단이다. 물론 무형적 차원의 유산을 박물관 관람객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적 도움이 요구된다. 더군다나 태생적으로 물질문화의 수집, 연구, 활용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여온 박물관이 무형유산 전시를 통한 새로운 변화와 실험을 시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만은 않았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 전시 방향에 대한 기획자로서의 고민에서 비롯되었으나 연구자가 기획한 전통공예기술 전승 주체, 즉 장인들에 대한 전시를 사례로 들어 이를 분석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속성과 기획 방향을 학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고의 분석대상으로 제시되는 장인전시는 연구자를 포함한 5인의 기획자가 1년여 기간 동안 전라북도 지역 전통공예기술 전승 주체인 선자장, 필장, 악기장, 자수장, 짚풀공예가의 생애사와 전통지식을 기록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획되었다. 해당 전시는 각 장인이 보유한 전통지식의 맥락을 의미 있게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전시기획 과정에서 각 분야 장인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공동 기획자로서 전시를 함께 준비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형문화유산 전승 주체들의 생애사와 전통지식이 전시장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섭식관련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조성실,박기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 among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to thinness,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in adolescent girl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distortion mediate that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s affect binge eat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51 female adolescent composed of 206 middle school girls and 345 high school girls were involved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vised Personal Style Inventory, Tripartite Influence Scale-Revised, The Mizes Anorectic Cognition Scale and Bulimia Test Revised were used to measure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s,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Mediated effect of cognitive distortion among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s and binge eating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girls discriminated into binge eating group and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Bulimia test revised scores. The result of compared two groups was that binge eating group have a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BMI),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s, cognitive distortion than normal group. Second,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and cognitive distortion were related significantly to binge eating. Third, The result of mediated analysis were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and cognitiv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fully mediating model of the cognitive distortion fitted the data. In other words,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 indirectly affect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by through cognitive distor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지향성,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 섭식관련 인지왜곡과 청소년 여학생의 폭식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왜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여학생 5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중학생은 206명, 고등학생은 345명이었다. 연구의 주요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성격양식 질문지(PSI-Ⅱ), 삼자영향 척도(TIS-R), Mizes의 인지왜곡 척도(MACS),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성 폭식증 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청소년 여학생들을 폭식경향 집단과 정상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폭식경향 집단에서 신체질량지수(BMI),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 폭식행동 간 관련성이 유의하였다. 셋째, 매개분석 결과,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이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인지왜곡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섭식관련 인지왜곡을 매개로 하여 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파트단지 거주자의 실내디자인스타일 인식 연구

        조성실,김원필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3

        Today‘s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leads to the increased income level and quality of life, thus impacting overflowing visual information and the theory of interior design. Professional interior designers have had hard difficulty to meet the level of clients' expectations which have been increased by various experiences and rich information available to cli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perception of apartment residents in visual and terminological preferences of interior design style. Extensiv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the residents' preference in image using visual materials and in terminolog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ife styles of respondents have been grouped into 4 different types. Secondly, over 50 % of respondents indicated a different perception from interior designer about interior design styles by residents' life style. Thirdly, level of perception by Interior design style was found to be that it was continuous with marital status and the age.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interior designers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anuals at the initial stage of interior design process for the communication of various age group which consist of user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