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디오 아트와 시간의 실재화

        조선령(Seonryeong Cho) 현대미술사학회 2015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7

        Since its outset, video art has been regarded as a media to realize ‘immediacy’. This essay reinterprets it and related concept of the real-time as an ‘effect’, referring to William Kaizen’s argument that the concept of immediacy is in fact ‘the illusion of immediacy’. Video artists’ purpose of evoking the illusion of immediacy and the real-time effect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ime through viewers’ feeling of presence in front of video images. One of the artistic values of video art in reference with time is its ability to actualize time itself which is concealed in daily life. Bruce Nauman’s Art Make-Up, Vito Acconci’s Centers , Douglas Gordon and Philippe Parreno’s Zidane: A 21st Century Portrait , and Christian Marclay’s The Clock provoke boredom, pain, and fading of perception to their viewers. Through these experience, in these artworks, time can be actualized as pure duration or being (according to Heidegger), time of desire and drive (according to Lacan), and the exchange between virtual time and actual one (according to Delueze).

      • KCI등재

        퍼포먼스에서 신체적 경험의 직접성과 매개성 :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작업의 해석을 중심으로

        조선령 ( Seon-rye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美學·藝術學硏究 Vol.55 No.-

        본 연구는, 피셔-리히테로 대변되는 퍼포먼스 이론, 즉 신체적 경험의 직집성, 비매개성에 의거하여 수행성 미학을 구축하려는 시각의 논리적 난점을 지적하면서, 퍼포먼스에서 신체적 경험의 직접성과 매개성 사이의 관계를 재이론화하는 한 가지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피셔-리히테는 『수행성의 미학』에서 마리나 아브라모비치의 퍼포먼스를 1960년대에 발생하여 90년대 이후 문화의 모델이 된 ‘수행적 전환’의 대표적 사례로 제시한다. 피셔-리히테에 따르면, 아브라모비치의 작업은 공연자와 관객의 신체적 공동현존을 통해 자동 형성적 피드백 고리를 구성하고 위기의 경험을 통해 참여자의 변형을 유도하는 작업이다. 피셔-리히테는 전통적 연극과 구별되는 편대 퍼포먼스가 신체와 정신, 주관과 객관, 삶과 예술의 이분법을 타파하고 “행복의 약속”을 실현하는 장르로 간주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피셔-리히테 이론이 내적 딜레마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이를 피셔-리히테가 수행성 미학의 선구자로 본 앙토냉 아르토에 대한 대레다의 해체 작업을 경유해서 설명했다. 데리다에 따르면, 문학의 지배로부터 무대를 해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르토의 잔혹극은 언어의 조형적 성격에 대한 강조를 통해 그 반대로 돌변하게 된다. 또한 반복불가능한 일회적 축제로서의 잔혹극은 창작자-신의 반복되는 살해행위를 통해서만 주어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 데리다는 프로이트 텍스트에 대한 재독해를 통해, 충만한 현전은 이미 간격화와 차이화에 의해 주어진다는 것, 직접성은 이미 매개성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전제에 의거해서 아브라모비치의 퍼포먼스를 해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 방법은 라캉적 의미의 환상과 메를로-퐁티적 의미의 존재론을 결합시킨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아브라모비치가 퍼포먼스에서 보여주는 신체적 경험의 극한치, 즉 고통, 인내, 긴장, 위험 등의 경험은 나와 타자의 신체를 교환하는 환상을 실현하는 것이며, 신체적이고 지각적인 경험으로 드러나는 실재적 수행은 그 자체가 환상의 무대라는 매개를 전제로 한다. 아브라모비치의 퍼포먼스에서 신체는 고유한 신체가 아니라 익명적 신체로 드러나며, 메를로-퐁티적 의미에서의 세계가 육체적으로 현상하는 경험으로 드러난다. This paper suggests a new way to theo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mmediacy and mediacy in performance art. in order to it, this paper points out the dilemma in a type of performance theory represented by Erika Fischer-Lichte, connects Derrida's concept of “writing scene” to Lacan and Merleau-Ponty, and then re-interprets Marina Abramovic's performances as the works that create “mise en scene” of fantastic bodies. In her book Aesthetics of Performartivity, Fischer-Lichte exemplifies Abramivic's works as a typical instance of ‘performative turn’ which emerged in the 60th and turned out to be the paradigm of culture in the 90th. Fischer-Lichte suggests that Abramovic's works invite participants into self-transformation through auto-developing feedback loop and a ‘crisis’ with “co-presence” of performer and audience. She considers contemporary performance itself to be a genre to fulfil “promise of happiness” by breaking the dichotomy of body and sprit, subject and object, life and art. Fischer-Lichte does not argue mere priority of sensuous experience, but tries to present new semiotics by distinguishing the primary meaning, identified as sense and feeling on site, from the secondary and associative one. However, this distinction leads to a inner dilemma. This paper discusses it further with Derrida's deconstruction on Artaud's theory. Derrida suggests that Artaud's “theater of cruelty”, which aims to liberate the scene from the tyranny of literature, turns out to be an opposite side by its emphasis on language's plastic character. Fundamentally, it cannot be realized ever because it can only exist with a repeated murder of creator-God. Derrida suggests that pure presence is caused by espacement and differentiation, and immediacy is already mediacy. This paper tries to present a new way to interpret Abramovic's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is premises, which connects Lacan's concept of fantasy and Merleau-Ponty's ontology; The extreme bodily experiences such as pain, endurance, nervousness, and danger Abramovic executes in her performances is for a fulfillment of fantasy of mutual exchange of subject and others. The scene of fantasy, which is a time/place for mediation, is a prerequisite of actual performance of bodily and sensuous experience. In Abramovic's performances, body is not one's own, but anonymous one. Bodily experience transforms into the one that The World emerges as a body in Merleau-Ponty's meaning.

      • KCI등재후보

        광학장치와 시각적 리비도 : 뒤집혀진 꽃병의 실험'에 대한 라캉의 논의

        조선령(Seon-Ryeong Cho)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1 현대정신분석 Vol.13 No.2

        본 논문은 라캉이 자신의 세미나에서 반복적으로 등장시켰던 '뒤집혀진 꽃병의 실험'에 논의를 시각 테크놀러지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현대 미디어 이론들과 비교함으로써 라캉 이론이 어떤 동시대적 함의를 갖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1963년의 세미나 1에서 라캉은 이 실험을 우리가 타자의 시각과 완전히 동일화될 수 없음에 대한 은유로 도입한다. 1962-3년의 세미나 10에서 라캉은 이 실험을 팔루스와 대상 a 개념, 그리고 환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1966-6년의 세미나 13에서는 이 실험을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와 연결시키면서, 이를 '환상의 실현'의 사례로 간주한다. 이어 본 논문은 라캉의 논의를 마틴 제이, 돈 슬레이터, 프리드리히 키틀러, 장루이 보드리 등의 이론과 비교한다. 마틴 제이가 말한 '모더니티의 시각성에 대한 대안적 체제'를 라캉은 시각성 그 자체에 내재한 모순 속에서 찾았다. 라캉의 관점은 모더니티의 탈신화화 작용이 스펙터클에 대한 마술적 믿음에 의해 지탱되었음을 지적한 돈 슬레이터의 이론과 공명한다. 라캉의 논의는 '전능한 기계'에 대한 환상에 의해 지탱되는 현대 미디어 이론의 한 경향(키틀러로 대변되는)에 대한 교정책 역할을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Lacan's comment on "the experiment of the inverted vase"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the visual technology, and to examine its contemporary signification. In the first seminar, Lacan introduced this experiment as a metaphor for the fact that our vision could not be identified to Other's one. In the tenth seminar, Lacan used it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phallus, the object a, and the structure of the fantasy. In the thirteenth seminar, he regarded it as an illustration of the "realization of the fantasy"by relating it to <Las Meninas> by Spanish artist Velazquez. Then this study compares Lacan's theory to those of Martin Jay, Don Slater, Friedrich Kittler, and Jean-Louis Baudry. Unlike Jay who tries to find the alternative to the modernity's dominance of visuality, Lacan sees the solution in the inner paradox of visuality. Lacan's theory is echoed in Don Slater's argument that the demystification of modernity is founded on the belief in the magical power of the spectacle.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Lacan's view is a corrective measure to a type of contemporary media theory which is supported on the fantasy of "the almighty machine".

      • KCI등재

        파괴와 창조의 시간 -자넷 카디프(Janet Cardiff)의 <까마귀의 살해(The Murder of Crows)>와 "역사적 대상"으로서의 사운드

        조선령 ( Seon Rye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0 No.-

        본 연구는 동시대 작가 자넷 카디프(Janet Cardiff)와 조지 버레즈 밀러(George Bures Miller)의 사운드 설치 작품 <까마귀의 살해(The Murder of Crows)>(2008)를 벤야민의 알레고리 이론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이 ‘사운드’라는 지각대상을 벤야민적인 의미에서 ‘역사적 대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이를 통해 동시대 뉴 미디어 아트의 예술적 가능성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까마귀의 살해>는 18세기 말의 작품인 고야의 <이성의 잠은 괴물을 낳는다>를 벤야민적 의미에서의 알레고리적으로 독해하고 있는 작품이다. 의미연관을 상실한 물질적 잡음으로서의 소리들을 사용하는 작품 <까마귀의 살해>가 과거의 소리와 과거의 작품을 참조하는 것은 지나간 시절에 대한 향수 때문이 아니라 뉴미디어 아트만이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시대의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작품은 사운드 테크놀러지를 통해, 고야 작품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감각자료인 사운드를 새롭게 제시하면서 재현 논리와 상상적 통일성에 지배되어온 모더니티의 이면에 억압된 ‘괴물’로서의 청각적 세계를 경험의 대상으로 재구성한다. 물질적 충격으로서의 사운드의 생성과 시각적 정박점 없는 환각적 공간의 창조를 통해, 이 작품은 파국의 시대가 낳은 절단과 파편화라는 작용을 긍정적인 방향에서 재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analyze the sound installation artwork <The Murder of Crows> by contemporary artists Janet Cardiff and George Bures Miller through the theory of allegory by Walter Benjamin, and thereby to illuminate an artistic possibility of contemporary new media arts, by interpreting the artwork as a reconstructor of a ``historical object`` in Benjamin`s context.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Murder of Crows> makes an allegorical reading of <The Sleep of Reason Produces Monsters> created in 18th century by F. Goya. The reason <The Murder of Crows>, consisting of meaningless and material noises, refers to the sounds and the artwork in the past is not that it has a nostalgia, but that it wants to cope with contemporary issues in a way only new media arts can do. This artwork reconstructs an audible world usually regarded as a ``monster`` and repressed beneath the surface of modernity of which principles have been logics of representation and imaginary unity. With new sound technologies, the artwork tries to create an audible world as an object of experience by presenting fragmented sounds, the sensory data which did not exist in Goya`s work. Inventing sounds as physical impacts and creating hallucinatory spaces without visual anchors, <The Murder of Crows> presents a positive way of reinterpreting the phenomena of severance and fragmentation caused by contemporary catastrophes.

      • KCI등재

        산악자전거 동호인들의 재미요인과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조선령(Cho, Sun-Lyoung),엄정식(Eom, Jung-Sik)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ountain Bike participants’ fun factor, exercise emo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o this end, samples who participated in 2017 the 3rd cup of the mayor of Yang-San MTB competition and the 9th cup of Cheong-Song governor MTB competition were collected. The final sample size used in convenience sampling was 286.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inspected by the experts’ conference, preliminary in spec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howed =.903~.958. Statistical methods used in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inter-item consist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Moreover, this study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using AMOS 2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MTB participants’ fun 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ercise emotion. Second, MTB participants’ fun 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MTB participants’ exercise e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 KCI등재

        비평가의 욕망 - 라캉주의 정신분석 비평의 명제들

        조선령(Cho Seon-Ryeong) 현대미술학회 202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은 1960년대 중반 이후의 라캉 이론을 토대로 라캉주의 비평의 명제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사의 회전> 독해를 둘러싼 쇼샤나 펠만의 분석은 기의 없는 기표의 자리바꿈이 스스로 작품 외부에 있다고 믿었던 비평가를 출구 없는 거울의 미로에 가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펠만의 결론이 유의미하지만 불충분한하다고 판단하면서, 라캉의 <라스 메니나스> 분석을 비평이론으로 재구성해본다. 화가의 환상 공간으로 간주되는 곳에 사로잡힌 비평가는 그림의 트릭을 파헤쳐 탈출하기 위해 원근법적 공간을 재구성하려고 애쓴다. 그러나 라캉은 <라스메니나스>가 분석 불가능한 그림임을 지적한다. 펠만의 결론과 달리 비평가는 거울의 미로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거울 없는 곳, 창문만이 있는 곳 (주체와 대타자의 비대칭성)에 도달한다. 비평가가 작품에 사로잡힌 상태에서 자신이 벗어날 수 없음을 새로운 비평의 조건으로 받아들일 때 비평가는 새로운 비평가-주체로 태어날 수 있다. 또한 이 지점에서 작품이 실현된다. 결론적으로 라캉주의 비평은 기표의 자리바꿈을 추적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자리바꿈이 정지하는 지점에서 환상과 충동을 발견함으로써 작품을 재창조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reconstruct the theses of Lacanian criticism based on the Lacan’s theory since mid-1960s. Shoshana Felman’s analysis on the reading of The Turn of the Screw showed that the endless shift of signifiers without the signified imprisons the critic, who believed he was outside the work, into a labyrinth of mirrors without exits. Judging that Felman’s conclusion is meaningful but insufficient, this paper tries to reconstitute Lacan’s analysis of Las Meninas as a critical theory. The critic, stuck in what is considered the painter’s fantasy space, makes an effort to estimate the perspective space in order to escape there by seeing through the trick of the painting. However, Lacan points out that Las Meninas is the painting that cannot be rationally analyzed. Contrary to Felman’s conclusion, the critic does not get trapped in a maze of mirrors, but reaches a place without a mirror but with a window (which means asymmet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When the critic accepts as a condition for a new criticism that he cannot escape from the state of being captivated with the work, he can be born as a new critic-subject, and the work can be re-created. In conclusion, Lacanian criticism can be understood as the work not only to track the shift of signifiers, but to re-create the work by finding fantasy and drive at the point where the shift stops.

      • KCI등재

        아카이브와 죽음충동 : 데리다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조선령 ( Seon-rye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동시대 예술현상으로서의 이른바 아카이브 아트가 사용하는 전략에 주목하면서 관료주의 문서고로서의 근대적 아카이브와 미학적 실천으로 간주되는 탈근대적 아카이브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살펴본다. 현대미술에서 아카이빙 경향에 대한 전시들을 기획한 큐레이터 오쿠이 엔위저와 비평가 할 포스터의 글을 분석한 뒤, 『아카이브 병』에 개진된 데리다의 이론을 이 글들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해주는 논의로 간주하고, 특히 정신분석학과의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프로이트에 대한 라캉의 해석과 데리다의 해석이 서로 구별되는 가운데에서도 매우 유사한 지점을 공유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프로이트의 죽음충동 개념과 원초적 아버지 가설을 경유하여, 데리다와 라캉은 환상 혹은 허구를 경유한 역설적인 진리성의 장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적 아카이브를 연구하면서 프로이트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려는 예루살미의 열망, 고대의 폼페이를 직접 경험하려는 고고학자 하르놀트의 망상은, 아카이브 너머에 있는 아카이브의 출처 혹은 근원을 아카이브 그 자체와 일치시키려는 `아카이브병`의 대표적인 사례이면서, 역설적인 진리성의 장소를 알려주는 지표들이다. `유령으로서의 진리`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에 대한 열망 없이는 어떠한 아카이브도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아카이브 병은 단지 아카이브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아카이브 그 자체를 추동하는 원리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는 근대적 아카이브의 외부에서 새롭게 구축된 것이 아니라 근대적 아카이브의 핵심에 이미 존재했던 `유령과 같은 토대를` 가시화한 것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또한 본 연구는 오늘날 다양한 예술실천들 중에서, 근대적 아카이브 속에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죽음충동`을 간파하고 그것을 가시화하는 작업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면서, 아우구스트 잔더의 작업과 베른트 & 힐라 베허의 작업 사이의 관계를 그 사례로 제시한다. In this essay I want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odernist archive regarded as bureaucratic files of documents and post-modernist one regarded as a kind of aesthetic practice. After reviewing texts on contemporary `archive arts` by curator Okwui Enwezor and critic Hal Foster, I try to analysis Jacques Derria`s Mal d`archive, in the light of its connection to Lacan`s psychoanalysis, by focusing on his criticism on Yerusalme`s book on Freud as well as his review on Freud`s text about Jensen`s novel Gradiva. I suggest that Lacan`s interpretation on Freud shares unexpectably common characters with Derrida`s. By referring to Freud`s concepts of dead drive and Primal Father, both Derrida and Lacan argue that the truth ironically emerges through `spectre` or `fiction`. Aspiration of Yerusalme to hear Freud`s voice directly and delusion of Harnolt (the protagonist in Gradiva) to experience ancient Pompeii by himself, are typical examples of `archive fever` locating the paradoxical truth. In the archive without archive, the spectral truth comes to exist, according to Derrida. The archive fever not only destroys archives but also cause them. In conclusion, I argue that post-modernist archive is equivalent to visualized `spectral` base of modernist one. In addition, I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August Sander`s works and Bernd & Hilla Becher`s as an good example of art practice recognizing and visualizing death drive in the modernist archive.

      • KCI등재

        장치 개념과 이미지 이론의 확장: 플루서와 아감벤의 접점을 중심으로

        조선령 ( Seon Rye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테크놀러지에 의해 생산되는’ 현대의 이미지들에 대한 일반미학적 이론의 정립에 대한 관심에서 독일의 매체이론가 빌렘 플루서의 기술 이미지론을 간략히 소개하고 그 논의를 확장하는 방법 중 하나로 조르조 아감벤의 장치개념을 참조한다. 아감벤과 플루서의 이론은 서로 다른 맥락에서 출발했고 서로 다른 내용을 갖고 있지만, 그들이 다루는 연구대상을 살펴볼 때 일정한 접점에서 밀접하게 만난다. 이 접점의 탐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현대문화의 징후적 현상으로 간주할수 있는 ‘장치’와 그에 의한 이미지 생산 및 수용에 얽힌 쟁점들을 탐구한다. 플루서는 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기술 이미지는 외부 세계의 모사물이 아니라 추상물이라는 독창적 이론을 전개했으나 장치와 인간을 외적으로 대립시킴으로써 장치의 지배 하에서 인간의 자유가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아감벤은 장치가 생명체를 포획해서 주체성을 만들어낸다는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플루서의 이론적 난점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플루서와 아감벤의 접점에서 우리가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이들이 다루는 ‘장치’ 개념이 느슨하게 겹치는 외연을 갖고 있다는 점이며,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가 현대사회를 규정하는 어떠한 징후적 현상 혹은 개념과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아감벤의 논의가 의미 있는 이유는, 주체성과 장치의 관계에 대한 그의 시각이 플루서의 사유를 확장시키는 데 도움을 주면서 이미지-장치 연구라고 지칭할 수있는 새로운 연구 영역의 구성에 중요한 매개고리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이영역에 대한 탐구는 단지 플루서와 아감벤을 비교하는 작업을 넘어서서 현대사회에서 장치, 주체성, 권력 사이에 작동하는 복잡한 역학 관계를 탐구하는 통합적인연구의 영역을 열어준다. In an effort to construct the theory of the ‘apparatus-image’ or ‘image-apparatus’ in the light of aesthetics in general which deals with contemporary images such as photography and moving image, I reviewed Vilem Flusser``s theory of technical images. Then I referred to Giorgio Agamben``s theory of apparatus in order to overcome Flusser``s theoretical drawbacks and expand the significance. Flusser``s creativity lies in his argument that technical images are not secondary imitation of outer world, but abstractly constructed results of apparatus``s inner universe. However, Flusser``s theory cannot avoid a dilemma because he sees just extrinsic confront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apparatus, and could not explain the possibility of human``s freedom under the sway of apparatus. I disclosed the converging point between Flusser and Agamben in terms of their common interests and common spheres of researches. Agamben``s notion that apparatus captures life to produce subjectivity can help resolve Flusser``s theoretical dilemma and expand his vision. But the comparison between Flusser and Agamben is not my ultimate purpose. My intention is to suggest a possible theory of the ‘image-apparatus’. It would be a discipline to focus on the connection among images, apparatus, subjectivities, and powers. This new field of study would explore contemporary issues related to technical images which traditional aesthetics could not have handled.

      • KCI등재후보

        대학 스포츠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따른 팀 응집력이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령(Cho Sun-Lyoung),김학권(Kim Hak-Kwon)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aratively a difference between charismatic leadership, cohesion of a team and efficiency of a guide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sports players. A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arismatic leadership on cohesion of a team and that of cohesion of a team on efficiency of a guide. Ultimate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 building of physical education and produce actual basic data about scientific and effective guide line reflecting players' opinion. This study set university sports players in Gyunggido and Seoul area 2008" on a population and collected 600 person using by stratified cluster sampling. The number of samples used by final analysis are 576 persons except data answered insincerely among questionnaires., The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shows a=.819?924 which is comparatively high. Methods of statistics processing are reliability, primary factor, correlation,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covariance analysis and so on. by SPSS 14.0 PROGRAM. This study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above study of method and process. First, charismatic leadership, cohesion of a team and efficiency of a guide hav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charismatic leadership effects on cohesion of a team. Third, cohesion of a team has influence on efficiency of a gu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