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불안 및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새롬,손은정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nxiety,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 total of 41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419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do responded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On-Offline Self-discrepancy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Scale, Offline Social Support Scal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correlation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on-offline self-discrepancy. Second, online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offline social support did not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ird, online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on-offline self-discrepancy. These results showed that online social support strengthened the mediation effect that social anxiety influences on-offline self-discrepancy through a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ole of moderated mediation between online social support and offline social support. The role of off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should be reexamined in further study, and it needs to be studied further that on-offline self-discrepancy influence what kinds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통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역할을 살펴보았다. 경상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 온라인 사회적 지지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SPS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와 SPSS Macro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는 사회불안과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사이를 매개하였다. 둘째,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불안과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관계를 조절하였지만,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불안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매개로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불안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통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킴을 알 수 있으며, 온라인 사회적 지지와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역할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 사회불안과 대인 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대해 재검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어떠한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인접성 벡터를 이용한 트리플 지식 그래프의 임베딩 모델 개선

        조새롬(Sae-rom Cho),김한준(Han-joon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2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6 No.3

        그래프 표현 학습을 위한 노드 임베딩 기법은 그래프 마이닝에서 양질의 결과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대표적인 노드 임베딩 기법은 동종 그래프를 대상으로 연구 되었기에, 간선 별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지식 그래프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 Triple2Vec 기법은 지식 그래프의 노드 쌍과 간선을 하나의 노드로 갖는 트리플 그래프를 학습하여 임베딩 모델을 구축한다. 하지만 Triple2Vec 임베딩 모델은 트리플 노드 간 관련성을 단순한 척도로 산정하기 때문에 성능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논문은 Triple2Vec 임베딩 모델을 개선하기 위한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특징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트리플 그래프의 인접성 벡터(Neighborliness Vector)를 추출하여 트리플 그래프에 대해 노드 별로 이웃한 노드 간 관계성을 학습한다. 본 논문은 DBLP, DBpedia, IMDB 데이터셋을 활용한 카테고리 분류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을 적용한 임베딩 모델이 기존 Triple2Vec 모델보다 우수함을 입증한다. The node embedding technique for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obtaining good quality results in graph mining. Until now, representative node embedd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homogeneous graph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learn knowledge graphs with unique meanings for each edge. To re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Triple2Vec technique builds an embedding model by learning a triple graph having a node pair and an edge of the knowledge graph as one node. However, the Triple2 Vec embedding model has limitations in improving performance because it cal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iple nodes as a simple measu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based on a grap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improve the Triple2Vec embedding model.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neighborliness vector of the triple graph and learn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nodes for each node in the triple graph. We proves that the embedding model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existing Triple2Vec model through category classification experiments using DBLP, DBpedia, and IMDB datasets.

      • 한국어 텍스트 임베딩 모델의 개선을 위한 예비 연구

        조새롬(Sae-rom Cho),김한준(Han-joon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한국어 데이터를 고찰하여 임베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한국어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언어를 사용하여 한국어 임베딩 모델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에 적합한 언어로서 영어를 제시하며, 영어 임베딩 모델을 통한 한국어 임베딩 모델의 개선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제된 AI 학습데이터인 병렬코퍼스를 사용하여 한국어 및 영어 임베딩 모델을 구축하고, 임베딩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기반의 이진 분류모델을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은 분류모델의 해석을 통해 영어 임베딩 모델이 한국어 데이터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재발한 간헐외사시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의 효과

        새롬(Sae Rom Chu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남천(Nam Chun Cho),안 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6

        목적: 간헐외사시로 양안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재발한 환자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간헐외사시로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2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 외사시가 재발한 환자 중 양안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2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내직근절제는 원거리 사시각을 기준으로 4.0-6.5 mm까지 0.5 mm 단위로 시행하였고 수술 후 경과관찰은 1일, 1주일, 3개월, 6개월, 1년에 사시각을 측정하여 내직근절제량에 따른 사시각 교정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재수술 전 사시각은 27.20 ± 5.02 PD의 외편위였고, 재수술 시 시행한 양안 내직근절제술의 양은 평균 5.10 ± 0.79 mm였다. 재수술 후 원거리 사시각은 수술 직후 10.68 ± 5.50 PD 내편위각을 보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교정된 내편위각이 줄어들고 수술 1년 후에는 1.16 ± 7.54 PD의 내편위각을 보였다. 수술 직후에는 84%에서 과교정 소견을 보였으나 1년이 지난 후에는 24%로 줄어들었고 수술 성공률은 68%였다. mm당 교정량은 재수술 후 1일, 1주일, 3개월, 6개월, 1년에서 각각 7.53 ± 1.22, 7.75 ± 2.16, 6.27 ± 1.74, 5.50 ± 1.54, 5.56 ± 1.58 PD/mm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정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술 1년째 mm당 교정량은 내직근 절제량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p=0.939). 결론: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20 PD 이상 재발한 외사시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 시 처음에는 과교정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술 후 1년에는 1.16 ± 7.54 PD 내편위각으로 정위에 가까운 소견을 보인다. 20 PD 이상의 외사시에서 양안 내직근절제술은 유용한 수술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lateral medial rectus muscle resection on the treatment of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analysis was conducted for 25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for recurrent exotropia over 20 prism diopters (PD) between January 2009 and August 2015. The medial rectus was resected from 4.0 to 6.5 mm by 0.5 mm according to the deviation angle. The postoperative angle of deviation was checked at 1 day,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corrected deviation per resected muscle.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deviation angle was 27.20 ± 5.02 PD exodeviation and the mean resection was 5.10 ± 0.79 mm of the medial rectus. The postoperative angle deviation was 10.68 ± 5.50 PD esodeviation at 1 day. The incidence of esodeviation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t 1 year, the postoperative angle deviation was 1.16 ± 7.54 PD esodeviation. The overcorrection rate was 84% at 1 day postoperatively but decreased to 24% at 1 year with a success rate of 68%. The corrected deviation angle per millimeter was 7.53 ± 1.22, 7.75 ± 2.16, 6.27 ± 1.74, 5.50 ± 1.54, and 5.56 ± 1.58 PD/mm at 1 day,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per millimeter decreased over time. The corrected deviated angle per millimeter rem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medial rectus muscle resection at 1 year postoperatively(p=0.939). Conclusions: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for recurrent exotropia over 20 PD tended to overcorrect at first; however, after 1 year, the mean angle of deviation was 1.16 ± 7.54 PD esodeviation.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i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exotropia over 20 PD.

      • KCI등재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 국내 증례 보고 및 해외 문헌 고찰

        새롬(Sae Rom Chung),유인천(In Cheon You),남천(Nam Chun Cho),안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으로 확진된 본원 및 국내 사례를 종합하여 알아보고, 이를 외국에서 보고된 증례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안과를 방문하여 패실로마이세스가 검출된 환자 3예와 국내에 보고된 증례를 종합하여 각막염 발생의 위험인자, 초기 임상양상, 수술적 처치 여부, 치료 후 시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외국에서 발표된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 환자의 논문들을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국내 사례 중 자연적으로 발생한 1예의 여성을 제외하고 모두 남성이었으며 외상, 수술과 같은 위험인자가 있었다. 5예 모두 초기시력이 손가락세기 이하였으며 각막의 중심부위에 깊게 침범된 소견을 보였다. 전방 내 및 각막기질 내 보리코나졸 주사 등의 약물치료 외에도 안구내용제거술, 각막이식술을 시행 받았으며 1예는 안구위축 상태가 되는 등 시력이 불량한 경우가 많았다. 외국사례들도 과거 안수술, 외상, 콘택트렌즈 착용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약물치료에 호전되지 않아 각막이식술과 같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고, 최종 시력이 낮다는 점에서 국내와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였다. 결론: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은 국내외에서 모두 직접적인 위험인자를 갖는 경우가 많고, 심한 임상 경과를 보이며 기존의 약물치료에 잘 호전되지 않고,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전방내주사, 안내주사와 같은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Paecilomyces keratitis cases in Korea and compare cases from foreign literature. Methods: The records of 3 patients diagnosed with Paecilomyces keratitis at our hospital and other reported cases in Korea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aspects, antifungal therapy, therapeutic surgery, and visual outcome and compared with previously reported foreign cases. Results: In Korea, 1 patient was female, 4 patients were male and had predisposing factors including prior corneal trauma or surgery, except 1 spontaneous occurrence. All 5 eyes of 5 patients had poor initial visual acuity, less than finger count, and deep corneal infiltration.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multiple topical and systemic antifungal treatments such as intracameral or intrastromal voriconazole injections and required evisceration and penetrating keratoplasty. However, the final outcomes were unsatisfactory. Previously reported cases from foreign literature also had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corneal surgery, trauma, and soft contact lens use. They were resistant to antifungal therapy and eventually led to surgeries such as penetrating keratoplasty and the final outcomes were poor. Conclusions: Frequently, Paecilomyces keratitis has direct risk factors and is resistant to many topical and systemic antifungal agents. In the majority of cases, therapeutic surgery was required and the final visual outcomes were poor. When Paecilomyces keratitis is suspected, we suggest aggressive therapy including intracameral and intravitreal injections of voriconazole in the initial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새롬(Sae Rom Chu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남천(Nam Chun Cho),박호성(Ho Sung Park),안 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7

        목적: 2015년 발표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 진단기준을 완벽하게 만족하는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요약: 51세 여자 환자가 2년 전부터 시작된 양안 윗눈꺼풀 부종 및 발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양측 윗눈꺼풀 결절이 촉지되었으며, 안구운동장애, 안구돌출은 없었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양측 눈물샘 비대 소견을 보였고, 좌측 앞쪽 안와절개술 및 절개생검을 시행한 결과 면역화학염색에서 IgG4/IgG 양성 형질세포 비율이 약 50%, 현미경 고배율 관찰 시 IgG4 양성 형질세포가 약 150개 관찰되며, 혈청단백전기영동검사에서는 IgG4가 6,930 mg/dL로 증가되었고 다른 기관의 침범이 없어 면역글로불린G4관련 안질환으로 확진하였다. 경구 면역억제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고 호전 양상을 보여 경과관찰 중이다. 결론: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은 최근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안과적 질환의 하나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 진단기준을 완벽하게 만족하는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52-856>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which met the 2015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diagnostic criteria is reported and literature review performed. Case summary: A 51-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both upper eyelid swelling, redness, and a palpable mass. Eye movements were normal and exophthalmos was not observed. Facial computed tomography showed both lacrimal gland hypertrophy. The patient underwent left anterior orbitotomy with incisional biopsy. Immunostained biopsy showed the ratio of IgG4+ to IgG+ cells was 50% and the mean number of IgG4-positive plasma cells was approximately 150 per high-power field. Hematological examination showed elevated serum IgG4 concentrations of 6,930 mg/dL, however, other organs were not involved. The patient satisfied the diagnostic criteria for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The patient was given an oral steroid and immunosuppressant and the symptoms improved. Conclusions: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is currently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report a case of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which met the 2015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diagnostic criter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52-856

      • KCI등재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경구 스피로놀락톤의 효과

        새롬(Sae Rom Chung),정진구(Jin Gu Jeo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안 민(Min Ahn),,남천(Nam Chun Cho)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3

        목적: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중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주입술 시행에도 호전이 없는 환자에서 경구 스피로놀락톤 치료의 효과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17년 9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으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주입술 시행에도 호전이 없는 환자에서 6개월동안 경구 스피로놀락톤 치료를 시행한 17명, 17안을 대상으로 중심황반두께, 망막하액의 높이, 최대교정시력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7명의 환자가 6개월동안 경구 스피로놀락톤을 복용하였다. 중심황반두께는 치료 전 309.94 ± 105.20 μm에서 3개월째 259.76 ± 81.83 μm, 6개월째 243.11 ± 61.98 μ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rank test p=0.016, p=0.001). 망막하액의 높이는 치료 전 138.05 ± 95.69 μm에서 3개월째 70.88 ± 83.13 μm, 6개월째 54.00 ± 56.25 μm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rank test p=0.002, p=0.000). 최대교정시력(logMAR)은 치료 전 0.30 ± 0.38에서 1개월째 0.35 ± 0.43, 3개월째 0.29 ± 0.43, 6개월째 0.26 ± 0.40이었고 6개월째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rank test p=0.033). 경과 관찰 중 약물 부작용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환자에서 6개월간 경구 스피로놀락톤 치료는 중심황반두께, 망막하액의 높이 감소,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spironolactone for non-resolving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Methods: Seventeen eyes of 17 patients with non-resolving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from September 2017 to December 2018 were treated with oral spironolactone for 6 months, and changes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subretinal fluid height,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central macular thickness decreased from 309.94 ± 105.20 μm at baseline to 259.76 ± 81.83 μm at 3 months, and 243.11 ± 61.98 μm at 6 months, which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16 and p = 0.001, respectively). The subretinal fluid height decreased from 138.05 ± 95.69 μm at baseline to 70.88 ± 83.13 μm at 3 months, and 54.00 ± 56.25 μm at 6 months, which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02 and p = 0.000, respectively). The BCVA (LogMAR) changed from 0.30 ± 0.38 at baseline to 0.35 ± 0.43 at 1 month, 0.29 ± 0.43 at 3 months, and 0.26 ± 0.40 at 6 months. The results at 6 mon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33). There were no side effects in patients treated with oral spironolactone. Conclusions: In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treatment with oral spironolactone significantly reduced the central macular thickness, subretinal fluid height, and the BCVA, without side effects.

      • KCI등재

        비디오안구운동도를 이용한 상사근 근파동의 진단

        새롬(Sae Rom Chung),이태은(Tae Eun Lee),유인천(In Cheon You),남천(Nam Chun Cho),안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상사근 근파동은 간헐적이고 불수의적인 상사근의 수축에 의해 한쪽 눈에서 빠르고 작은 진폭의 내회선과 하전을 보이는 질환으로, 세극등현미경검사와 비디오안구운동도를 이용하여 상사근 근파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진단하였고, 치료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가 7년 전부터 간헐적으로 갑자기 발생하여 수초 지속되는 진동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 두부 외상은 없었고, 전신질환 및 안과적 질환 치료 기왕력도 없었다. 전안부 및 안저검사에서 정상소견 관찰되었고,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수 초간지속되는 내회선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비디오안구운동도로 5-10o 반시계방향 회전성 운동과 2-5o 하전을 확인하고 상사근 근파동으로 진단하였다. Timolol을 하루 두 번 점안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었고, Timolol 중단 후 carbamazepine 400 mg/day를 사용한 뒤 증상의 호전이 나타났다. 결론: 세극등현미경검사와 비디오안구운동도를 이용하여 상사근 근파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다. Purpose: Superior oblique myokymia is intermittent spontaneous contraction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presenting as rapid and small-amplitude intorsions and depressions of the ey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uperior oblique myokymia that was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diagnosed with slit lamp examination and video-oculography and completely resolved with medical treatment. Case summary: A 4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seven-year history of intermittent oscillopsia which continued for few seconds. She had no history of head trauma or systemic ocular disease, and the anterior segment and fundus examination were unremarkable. Right eye intorsion lasting for a few seconds as detected by slit lamp examination. Eye movements were recorded using video-oculography, which showed a torsional nystagmus of 5 to 10 degrees with 2 to 5 vertical components in the right ey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uperior oblique myokymia. The patient was prescribed topical timolol ophthalmic solution, one drop twice per day, but the symptoms persisted. Timolol ophthalmic solution was stopped and replaced with carbamazepine, 200 mg twice a day, which resolved her symptoms. Conclusions: Slit lamp examination and video-oculography can be used as objective and quantitative diagnostic tools in order to confirmed a diagnosis and lead to proper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