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노동학’이란 무엇인가? - 학문적 지향, 구성 체계, 연구 방법 -

        조대엽(Cho Dae-Yop),이종선(Lee Jong-Su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1 노동연구 Vol.42 No.-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노동문제는 중층적이고 복합적이다. 디지털전환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노동의 종말이라는 어두운 전망과 함께 점차 소수의 양질 일자리와 다수의 불안정하고 질 낮은 일자리를 양산하고 있다. 이 시론에서는 디지털 전환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동의 위기, 사회불평등과 양극화 문제 등 현재 우리사회가 당면한 노동문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학문패러다임으로서 ‘노동학(laborology)’을 설정한다. 노동학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동이슈에 관한 총체적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학은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법학, 경영학, 심리학 등 한 특정 분야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연구를 넘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자연과학과 공학연구까지 포괄함으로써 디지털 전환과 노동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학제적 융합학문의 성격을 갖는다. 노동학은 노동현장과 현실사회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삶의 현장에서 찾는 실천 지향의 현장학인 동시에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가치지향적인 인간학의 위상을 갖는다. 또한 노동학은 개인적 이해관계를 초월한 보편적 사회 가치와 책임을 지향하는 공공성에 기초함으로써 학계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까지 포함하는 현실 노동세계를 위한 ‘성찰적’ 학문으로서 공공학의 성격을 띤다. 한국사회의 노동 현실 속에서 노동학은 양적 또는 질적 방법론을 동시에 고려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비교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더 나은 노동 사회와 좋은 일자리, 더 좋은 민주주의, 인간의 본질적 활동으로서 노동가치와 인간의 존엄성이 존중받는 보다 나은 인간사회 건설을 지향하는 미래학이다. The labor problems facing modern society are multi-layered and complex.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produce a small number of decent jobs and many unstable and low-quality jobs with the dark prospect of the end of labor. This study suggests ‘laborology’ as a new academic paradigm to seek solutions to the current labor problems facing our society, such as labor crisis, social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Laborology can be said to be a totalistic and comprehensive study on labor issues appearing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Laborology goes beyon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studies in one specific field such as economics, political science, sociology, law,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sychology and encompasse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net of Things (IoT), and robots. It has the character of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y in which it is problem-oriented, seeking to solve problems resulting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labor changes. Laborology is a public policy study and a practice-oriented field study that finds ways to solve various workplace and real social problems and improve society. It also has a characteristic of a value-oriented human study. Laborology is a public study as a ‘reflective’ knowledge for the real world of work, including academia and the general public. It is based on publicness that aims for universal social values and responsibilities that transcend individual interests. Laborology analyzes the labor reality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historical comparison and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ethodologies. Finally, it is a kind of futurology that aims for a better working society, good jobs, better democracy, and the construction of a better human society in which the value of labor as an essential human activity and human dignity is respected.

      • KCI등재후보

        백년의 시민, 노동의 미래 - 공화적 협력의 시대를 어떻게 열 것인가 -

        조대엽(Cho Dae-Yop)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와 민주공화제라는 정체를 표방한 지 백 년이 된 시점에서 대한민국 백년시민이 열어야 할 노동의 미래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우리 시대가 열어야 할 새로운 노동의 미래는 노동존중 기반의 공화적 협력의 질서다. 노동기반 공화적 협력의 숙제를 풀어내는 열쇠는 노동의 공공성 강화와 ‘노동학’의 새로운 비전이다. 문명사와 세계사, 그리고 국내사적으로 삼중의 분열을 넘어 협력의 시대를 여는 것이 시대적 과제가 되었다. 공화적 공존을 위한 협력의 질서는 노동의 공공적 가치를 공유하는 데서 출발한다. 노동의 공공성은 노동체제와 노동사회의 공민성과 공익성과 공개성의 수준으로 구성된다. 공화적 협력의 기반이 되는 노동의 공공성은 산업화와 성장주의 시대를 주도했던 노동공학을 넘어 노동학의 비전으로 설명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This article aims to predict the future of labor that the centennial citizen of Korea will have to open at this time when one hundred years have passed after that the 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 democratic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ere made. The future of new labor that our age will open is the order of Republican cooperation based on respect for labor. The key to solving the task of labor-based republican cooperation comes from the new vision of labor publicness and ‘laborology’. In civilization and world history as well as in domestic history, cooperation beyond split conflict has become a task of our time. The order of cooperation for republican coexistence begins with sharing the public values of labor. The publicness of labor is based on the levels of ‘public citizenship’, ‘public interest’, and ‘public openness’ of labor society.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publicness of labor which is the basis of Republican cooperation, must be explained with the multidisciplinary and human value-oriented theoretical frame of laborology beyond ‘labor-engineering thinking’ that was prevalent in the industrialization and growth period.

      • KCI등재

        정치사회, 사회운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정치사회학 연구의 위기진단과 ”신규범주의” 정치사회학의 전망-

        조대엽 ( Dae Yop Cho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우리 시대는 공적 질서의 해체와 학술 패러다임의 해체가 중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탈근대성의 확대와 탈냉전, 신자유주의 시장화, 정보화, 지구화의 거대경향은 적어도 국가중심의 근대적 규범을 해체시키고, 이러한 근대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의 이론규범을 동반적으로 해체시켰다. 정치사회학 영역은 이러한 사회변동에 특히 민감하다. 따라서 오늘날 정치사회와 사회운동 연구 분야는 사회과학의 다른 분야보다 훨씬 더 현실 개입적이고 규범 생성적 이론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정치사회와 사회운동 연구 분야의 현재의 위기는 ‘추월’의 위기와 ‘해체’의 위기로 요약될 수 있다. 이 글은 이 같은 위기에 대응하는 정치사회학의 새로운 방향을 ‘신규범주의’로 제안한다. 신규범주의 정치사회학은 현실의 공적 질서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규범형성에 실천적으로 개입하고, 사회과학의 대안적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이론규범을 추구한다. 이러한 이론규범은 역사발생론적 관점, 공공성 재구성의 관점, 미시정치적 관점을 포괄한다. Dismantlement of the social order and Disorganization of the academic paradigm are overlapping in Our time. Huge trends such as postmodernism, post Cold War, Neoliberal marketisation,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disintegrate the social oder of modern society, which is bases on clear division of state and society. Simultaneously, they made the theoretical frames in social science obsolete, that have been dealing with such modernity. Particularly, the political sociology is sensitive to such social change. Consequently, the hodiernal study of political society and social movement comes to grips with challenges to find the new interventional and normative theory far more than other areas of the social sciences. Current crisis of political sociology and social movement research is encapsulated in ‘obsoleteness’, and ‘disorganization’. Respond to the crisis, this study proposes ‘the New Normativism’, that could reorient the political sociology. The New Normativism of the political sociology is directed at intervening the social praxis and constituting the alternative theoretical paradigm of social science. This embraces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historical origin, restructuring of publicness, and micro-politics.

      • KCI등재

        공공성의 재구성과 기업의 시민성

        조대엽(Cho Dae-Yop)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시장과 시민사회의 관계변화라는 거시적 구조변동의 시각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공공성 재구성의 관점은 신자유주의적 시장화라는 거대경향에 따라 국가, 시장, 시민사회에 내재된 공적 기능이 재편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이 관점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시장영역에 할당된 공적 기능이란 점에서 ‘시장공공성’으로 규정하며, 이를 자본주의 국가가 가진 ‘정당성’ 기능의 분담으로 해석한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이 기업 ‘내부’에 체계화되고 시민사회의 가치를 수용한 ‘시민지향 기업’이 늘어나며, 나아가 시민지향 거버넌스가 다양화되는 ‘기업의 시민성’ 확대경향은 시장의 팽창과 그 결과로서의 사회적 균열에 대한 정당화효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3세계에서 나타나는 공공성 재구성의 특수성을 시장공공성과 시민사회에 내재된 공동체 구속성 및 ‘정치적 정당성’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공공성 재구성의 관점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단순히 기업활동의 내재적 차원이 아니라 사회구성의 질서변화를 통해 설명한다는 점에서 사회학의 거시적 시각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이 관점은 ‘시민사회론’ 이후 침체된 학술적 거대담론의 복원을 기대할 수 있게 할뿐더러, 시장주의의 확산이라는 보편적 사회변동 속에서 사회발전의 딜레마를 설명해 줄 수 있다. This article proposes to explain the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in the macro-structural change perspective of the market and civil society relationship change. This perspective is focused on restructuring of the public functions of the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through the mega trend of the expansions of Neo-Liberalism in the capital market. This study defines the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s ‘market publicness’, which is the public function allocated to the market sector, and a share of the legitimacy function of a capitalist state. The spread of ‘corporate citizenship’ is the effect of legitimating on the market expansion and social cleavage as its result. Here, the spread of ‘corporate citizenship’ refers to the growing ‘civil corporation’ and ‘civil governance’ to accept the value of civil society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social performance activities within the corporation. In addition, to explain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structuring of publicness in the Third World, this paper emphasizes the community-restrained property and ‘the political legitimacy’ inherent in the market publicness and civil society. The proposed paradigm has a sociological significance where it doesn’t elucidate the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simply at the internal activity level of corporation, but at the macro level of the change of social order. With this paradigm on the change of market and civil society relationship in the macro context, the recovery of sociological grand discourses can be expected after ‘the controversy on civil society’ disappears. Moreover, this theoretical prospect indicates the point that shed light on the dilemmas of social development in the midst of global marketism.

      • KCI등재
      • KCI등재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공공성 프레임의 역사적 유형

        조대엽(Cho, Dae Yop),홍성태(Hong, Sung Ta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3 亞細亞硏究 Vol.56 No.2

        The prime task of advancing the research on publicness is to approach it from middle-range theory. Middle-range theory of publicness enables researchers to study publicness with tangible concepts and measurement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aims develop indicators of publicness and examine how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publicness changes over tim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bove all, we classify publicness into three parts: the public citizenship in the political dimension, the public interest in the economic dimension, and the public openness in the communication dimension. Then, we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has been shaped by the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We use concept of ‘historical frame of publicness’ to describe how the publicness has been constructed and changed in modern Korean history. In Korean modern history, the historical frames of publicness has been constructed from ‘absolute publicness’, ‘national publicness’, and to ‘life publicness.’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시민성과 시장공공성

        조대엽 ( Dae Yop Cho ),홍성태 ( Sung Tai Ho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5 한국사회 Vol.16 No.2

        이 글은 기업의 시민성 구조를 시장영역에 내재된 공공성의 질서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기업의 시민성을 구조화하는 세 가지 요소와 시장공공성의 특성에 논의를 집중한다. 첫째는 기업의 윤리경영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시장에 내재된 사회의 공적 질서를 의미하는 ‘규범적 공공성’이다. 둘째는 신자유주의 이후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에서 나타난 ‘제한적 시장공공성’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의 새로운 질서를 추동하는 ‘적극적 시장 공공성’이다. 이 글은 기업 스스로가 규범적 공공성을 바로잡지 않고서는 어떠한 전략도 제한적 시장공공성 안에서 소모적인 것으로 변질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다. 시장공공성은 시민사회의 공공성과 접점의 영역을 활성화하는 전략에 기초해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시장에서 사회로’, ‘사회에서 시장으로’ 공공성을 투과시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으로서 ‘적극적 시장공공성’의 실행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corporate citizenship structure in light of public order inherent in market sphere. The argument centers on three factors structuring corporate citizen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 publicness. First, ‘normative publicness’ refers to public order of society inherent in market, and is realized through besiness ethics of corporations. Second, ‘limited market publicness’ is witnessed in corporations’ strategic philanthropies since the rise of neoliberalism in South Korea. Lastly, ‘active market publicness’ is giving impetus to the new order in both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economy alike. This article is stressed that unless corporations voluntarily rectify normative publicness, any possible strategies are to be exhaustive within the realm of limited market publicness. Market publicness is in need of restructuration based on strategy designed to activate its common grounds with publicness of civil society. In this context, the execution of ‘active market publicness’ as a mechanism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ublicness ‘from market to society’ and ‘from society to market’ is undersco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