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적응방안 연구 -해수면 상승을 중심으로-

        조광우,맹준호,김해동,오영민,김동선,김무찬,윤종휘,Cho Kwangwoo,Maeng Jun-Ho,Kim Hae-Dong,Oh Young Min,Kim Dong-Sun,Kim Mu Chan,Yoon Jong Hwui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21세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전략을 해수면 상승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연안역에 대한 적응책을 고려하는 경우 적응이 필요한 장소, 적응방법, 적응시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연안역에 대한 적응 능력 평가는 영향 및 적응 잠재력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적응방법에는 관리적 이주, 순응, 방어가 있으며, 이들의 적용에는 취약지대 토지이용 상황, 취약성 정도, 경제성 분석 등의 검토를 통한 대응 방안의 조합이 요구된다. 적응시기에 대하여는 예측적 적응과 반응적 적응으로 구분할 수가 있으며, 이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후변화 대응은 과학적 불확실성 하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대응정책 결정은 정보와 인식 구축, 계획 및 정책 구상, 실행, 모니터링 및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We review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the 21st climate change in an application to sea level rise.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on the coast vulnerable to the sea level rise, we have to consider the issues such as where to adapt, how to adapt, and when to adapt. The coastal target needed adaptation can be found by the evaluation of adaptive capacity of the coastal zone which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impacts and adaptive potential of the natural and socioeconomic systems in the coastal zone. Planned adaptation options to sea level ris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eneric approaches as managed retreat, accommodation, and protection In practice, the implementation of the options requires the analysis of land use, degree of vulnerability, cost and benefit, etc, and may be combination of the options rather than one approach. In terms of the response timing, the adaptation can be grouped as anticipatory and reactive ones. Generally it is more effective to consider both anticipatory and reactive adaptations at the same time for the impacts of future sea level rise. Due to the scientific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issues including sea level rise, the adaptation processes have to be designed to deal wit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information md awareness establishment, planning and design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continuity and long-term period.

      • KCI우수등재
      •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 리스크 정량화 연구(Ⅲ) 연안시스템을 중심으로

        조광우 ( Kwangwoo Cho ),이해미,박주형,서진성,박선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인간시스템의 사회·경제적 영향의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체계 구축을 통하여 기후변화 적응의 과학적 기반 구축 및 국가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3차년도(2016년)에는 우리나라의 사례지역(목포, 통영, 마산)을 대상으로 연안시스템에 대한 기후변화 리스크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산업혁명 이후 시작된 기후변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그로 인해 기존의 기후에 기초한 연안시스템은 국내·외적으로 높은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극단적 해수면 상승 영향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연안시스템의 잠재적 리스크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량적 리스크 체계는 “① 기후변화 확률함수 개발 → ② 영향함수 산출 → ③ 피해함수 산출 → ④ 리스크 정량화 → ⑤ 취약 리스크 관리”의 모델이며, 이들 모델 체계를 우리나라 연안도시 시스템(목포, 통영, 마산)에 적용한 결과 이들 시스템은 현재의 기후 기준에도 취약하며 미래 기후변화로 그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취약성은 매립을 통한 도시 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리스크의 크기는 목포, 마산, 통영 순으로 나타났다. 영향함수 도출은 폭풍해일에 의한 범람모의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ADCIRC ver49.21과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하여 운용 중인 Coastal Modeling System(CMS) 모델을 이용하였다. 영향함수 도출에 앞서 ADCIRC 모델을 이용하여 매미(0314) 태풍 내습 시 발생한 통영지역의 범람현상을 재현하였으며, CMS 모델의 경우 마산만 해역 일대의 조위와 파랑의 재현성을 평가하는 등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아울러 목포와 통영 지역은 약최고고조위에서 해수면 상승(0m∼2m, 5cm 간격)에 따른 현재 상태, 50년 빈도, 100년 빈도 태풍을 적용하였으며, 마산 지역은 약최고고조위에서 해수면 상승(0m∼2m, 10cm 간격)에 따른 100년 빈도 태풍을 적용하여 각 사례지역의 영향평가를 위한 시나리오를 수립 하였다. 100년 빈도 태풍에 의한 모델 결과를 보면 목포 지역의 경우, 해수면 상승 0m의 시나리오에서 평균 침수심은 1.65m, 침수면적은 12.03km2로 평가되었다. 0m~2m까지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시나리오의 경우, 침수심과 침수면적은 선형적으로 증가되어 해수면이 2m 상승한 상황에서 평균 침수심은 3.29m로 분석되었으며, 14.85km2의 면적이 침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통영 지역은 해수면이 2m 상승한 상황에서 평균 침수심은 2.04m, 침수 가능 면적은 1.37km2으로 나타났으며, 마산 지역의 경우는 동일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서 평균 침수심은 3.04m, 침수 가능 면적은 10.17km2으로 나타났다. 이들 시스템의 범람 지역을 해당 지역의 고지도와 비교한 결과, 과거 매립지 저지대에 취약성이 집중되고 있어 우리나라 연안도시의 취약성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해수면 상승 및 빈도별 태풍시나리오에 따른 피해함수 평가를 위해 국내외 침수 피해추정방법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부합하고 홍수피해 정량화에 적용된 바 있는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기법(MD-FDA: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을 사례 지역에 적용하여 해수면 상승에 따른 현재 상태, 50년 빈도, 100년 빈도 태풍에 대한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지역 현황은 0m에서 2m 상승 시까지 분석되었으며 100년 빈도의 태풍에 의한 피해규모를 보면, 목포 지역은 해수면 상승 0m의 시나리오에서 예상 침수 가구는 주택 1만 5,847호, 아파트 483동이고 예상 이재민 수는 3만 9,493명으로 분석되었다. 동일한 빈도에서 해수면 2m 상승 시 주택 1만 7,497호, 아파트 751동, 예상 이재민수 4만 4,132명으로 나타났다.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에 따른 총 피해액은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0m∼2m의 범위에서 12조 8,661억 원∼17조 5,503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통영지역의 총 피해액은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0m∼2m의 범위에서 6,864억 원∼2조 3,341억 원으로 평가되었으며, 마산 지역은 10조 5,033억 원∼14조 93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사례지역에 대한 피해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연안의 지리학적 특성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보이며 매립 등으로 확장된 우리나라 해안도시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시스템은 현재의 이상기후에도 매우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우리나라 전체 연안시스템에 대한 정량적 리스크 평가의 지속적인 확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리스크 체계 발전 및 정착을 위한 기술적·제도적 노력이 요구된다. 연안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후(해수면 상승, 파랑, 태풍 등), 강수 등에 대한 우리나라 고유의 국가 시나리오 개발 및 확률함수 산출과 연안시스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High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며, 연안시스템의 기후변화 위험, 노출, 취약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영향 모델 개발, 특히 기후변화가 연안시스템의 기능과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을 통하여 구체적인 적응 대상을 도출하여야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연안시스템에 적합한 피해산정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며 이들 피해산정에는 재산, 인명 등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다양한 경제적 손실에 대한 간접적인 피해도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정량적 리스크 결과는 해당 연안시스템의 취약성뿐만 아니라 적응 목표 설정, 시스템 간의 리스크 비교 등 정책적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바, 우리나라 전체 연안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제안하며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주기적인 리스크 평가체계가 조속히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효율적인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연안의 자연시스템을 최대로 활용하는 새로운 적응 패러다임이 요구된다. 더불어 연안 취약지 개발 지양, 국가 예산 투입 사업에 대한 리스크 평가 실시, 피해발생 시 환경·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시스템에 대한 High 시나리오 리스크 평가·관리 등이 요구된다. 국제사회 및 주요 국가의 리스크 체계 조사·분석 결과 적응 방향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리스크 평가 및 관리를 지향하고 있으나 정성적인 측면에 머무르고 있어 본 연구는 선도적인 연구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량적 기후변화 리스크 함수는 특정 시스템의 리스크 특성, 적응 방향 및 목표 설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연안시스템들의 상대적인 리스크 크기 등을 비교할 수 있어 적응 우선순위 설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a scientific foundation for and to support polici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by formulating a system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risks posed by human system`s socioeconomic effects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Accordingly, quantitative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risks on the coastal system was executed for study regions in Korea (Mokpo, Tongyeong and Masan) in the 3rd year of our research(2016). Climate change which began in earnes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already progressed substantially. The existing climate-based coastal system has displayed high levels of vulnerability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and the potential risks borne by Korea`s coastal system were found to be very high from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xtreme sea level rise. The quantitative risk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a model concerned with: ① development of a climate change probability function → ② computation of an effect function → ③ computation of a damage function → ④ quantification of risks → ⑤ management of vulnerability risk. By applying this model system to the coastal cities in Korea (Mokpo, Tongyeong and Masan), it was found that these systems are vulnerable even by the climate standards of the present time, and their vulnerability is projected to increase due to future climate change. These vulnerabil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itied were partially built on landfills, and Mokpo was found to bear the biggest risk, followed by Masan and Tongyeong. In order to derive the effect function, ADCIRC ver. 49.21, which is being widely used to simulate inundation due to typhoon surge and the Coastal Modeling System (CMS) model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were used. Prior to the deducing the effects function, the inundation which occurred in Tongyeong due to Typhoon Maemi (0314) in 2003 was re-enacted by using the ADCIRC model. With the CMS model, we striv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by evaluating, among others, the reproducibility of the tidal levels and waves in the waters of Masan Bay. Moreover, the current state, 50-year frequency and 100-year frequency typhoons were applied to Mokpo and Tongyeon by presuming sea level rise at the approximately highest level of high tide (0 2m and 5cm intervals), while 100-year frequency typhoon was applied to Masan by presuming sea level rise at the approximately highest level of high tide (0 2m and 10cm intervals) in order to establish a scenario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ch study region. In the results of the 100-year frequency typhoon model applied to Mokpo under the 0m sea level rise scenario, the average depth of inundation was evaluated as 1.65m and the inundated area as 12.03 ㎢. In the case of the scenario presuming sea level rises between 0~2m, the depth of inundation and size of inundated area increased linearly, that is, a sea level rise of 2m will inundate an area of 14.85km2, with the average inundation depth of 3.29m. When the sea level increases by 2m in Tongyeong, an area of 1.37km2 will be inundated, with the average inundation depth of 2.04m, while in Masan, such sea level rise will inundate 10.17km2 and the average inundation depth will amount to 3.04m. A comparison of the inundated regions in these systems with their antique map found that vulnerabil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low-rise landfill areas of the past, thereby clearly illustrating the vulnerable characteristics of Korea`s coastal cities. After examining the flood damage estimation methods used at home and abroad to evaluate the damage function under various sea level rise and typhoon frequency scenarios, the effects of sea level rise under the current state, and the scale of damages incurred by the 50-year frequency and 100-year frequency typhoons were computed by applying the computation method of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MD-FDA), which suits Korea`s actual situations and has been applied to quantifying flooding damages. We analyzed the damages to inundated regions by assuming sea level rises between 0m to 2m and found that when a 100-year frequency typhoon hits Mokpo and causes a 0m sea level rise, this will inundate 15,847 detached houses and 483 apartment buildings, with a total number of flood victims estimated at 39,493. If the sea level increases by 2m under the same frequency, 17,497 detached houses and 751 apartment buildings will be inundated,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44,132 flood victims. The total cost of damages inflicted by a sea level rise between 0m and 2m estimated using the MD-FDA stood at the range of 12.8661 trillion ~ 17.5503 trillion Korean Won (KRW). The total cost of damages to Tongyeong resulting from a sea level rise between 0m and 2m ranges between KRW 686.4 billion and KRW 2.3341 trillion, while such sea level increase will cost Masan between KRW 10.5033 trillion and KRW 14.0093 trill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s in the study regions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line and illu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maritime cities that had been expanded with landfill and other methods. Korea`s coastal system also displays highly vulnerable characteristics even to the current climate abnormalities. Accordingly, the quantitative risk borne by the nation`s overall coastal system should consistently be evaluated by expanding the scope, while technological and systematic efforts should be made to further develop and promote Korea`s risk system. Korea`s unique national scenario and high scenario must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computation of probability function and importance of coastal system for maritime climate (sea level rise, waves, typhoons and others) and rainfall that impart effects on the coastal system. In addition, specific adaptation targets should be deduced by developing an impact model capable of comprehensively evaluating risks, exposure and vulnerabilities of the coastal system and in particular, a model that can evaluate how climate change influences the functions and routes of the coastal system. Furthermore, a damage computation methodology appropriate for Korea`s coastal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and such damage computation must include not only the direct damages such as properties and human casualties, but also the indirect damages that encompass a wide range of economic losses. The quantitative risks analyzed in this study can be very useful not only for studying the vulnerabilities of the corresponding coastal system but also for developing policies that define adaptation goals and compare risks between the systems. Therefore, we propose a risk evaluation of Korea`s overall coastal lines and swift enactment of a regular risk evaluation system that considers climate change uncertainties. In addition, a new adaptation paradigm that maximizes the use of coastal lines` natural system is required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risks. Moreover, restricting the development of vulnerable areas along coastal lines, risk evaluation of government-funded projects, and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under high scenario for systems that bring substanti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ripple effects upon sustaining damage are required.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key countries based on risk systems investigation and analysis have taken a direction for adaptation that pursues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by reflecting climate change uncertainties, they are focused on quantitative aspects. Accordingly, this study is deemed to be a leading research as the quantitative climate change risk function deduced in this study is capable of comparing not only the risk characteristics, direction of adaptation and setting goals of a particular system but also the relative extents of the risks of Korea`s coastal systems. Therefore,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tting the priorities among adaptation measures.

      • KCI등재

        군정의 주입량의 정밀 제어를 위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 및 최소 펌프 소요양정

        박남식,장치웅,조광우,Park, Namsik,Jang, Chi Woong,Cho, Kwangwoo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0

        Freshwater may be injected into aquifers to combat sea 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or to store water for later retrieval. For these cases to achieve the desired goal groundwater modeling is commonly used to determine locations and rates of injection wells. When these wells are connected to a pipe network, a flow control valve is installed for each well to regulate the injection rate. When a valve opening is modified, pressure changes in the entire pipe network and thereby changes flow rates in other wells. Therefore, desired valve openings must be determined for all injection wells. The pipe flow analysis allows estimation of the minimum pump power in addition to valve openings. Methods are developed to identify valve openings for multiple wells and the minimum pump power. The methodology developed in this work can contribute to precise operation of multiple injection wells. 해수침투 방지나 대수층 인공함양을 위하여 다수의 관정을 통하여 대수층으로 물을 주입하는 공법이 있다. 이러한 공법의 경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정의 위치와 주입량, 그리고 결과되는 관정의 지하수위 등이 별도의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결정된다. 주입수는 통상 관망을 통하여 관정으로 공급되는 데 이 때 관망에는 관정별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주입 관정이 연결된 관망에서 사전에 산정된 주입량 분포를 준수하기 위한 밸브 개도와 주입관망 가동에 필요한 펌프 최소 소요양정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주입군정 운영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평형해빈단면이론을 이용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후퇴율 산정

        강태순(Kang, Tae Soon),조광우(Cho, Kwangwoo),이종섭(Lee, Jong Sup),박원경(Park, Won Kyu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수면상승에 따른 연안침식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미래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후퇴율을 산정하였다. 해안후퇴율은 23개 사빈해안(동해안 12개소, 남해안 5개소, 서해안 6개소)에 대하여 각 해안별 3개의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방법은 평형해빈단면이론이며, 우리나라 해안에서의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5개 해빈단면에서 검토하였다. 미래 해수면상승의 4가지 시나리오는 38 cm, 59 cm, 75 cm 그리고 100 cm가 적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해안에 대한 해안후퇴율은 38 cm 해수면상승시 43.7%, 59 cm일 경우 60.3%, 75 cm일 경우 69.2%, 그리고 100 cm일 경우에는 80.1%로 나타났다. 동해안의 해안후퇴율은 38 cm 해수면상승시 29.6%, 59 cm 상승시 45.1%, 75 cm 상승시 56.0%, 그리고 100 cm 상승시 69.9%로 나타나 남해안(51.9%, 67.6%, 77.2%, 87.3%)과 서해안(53.8%, 71.0%, 78.5%, 86.4%)의 해안후퇴율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모든 사빈해안은 해수면상승이 증가함에 따라 취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는 미래 기후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평가모델의 한계, 해빈단면의 시공간적 자료부족 등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빈해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해안침식에 대한 과학적 불확실성을 줄이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astal erosion due to a sea-level rise. The shoreline retreat rate was calculated due to future sea-level rise. Shoreline retreat rates were quantified with the cross-sectional data of 23 sandy coasts (12 sites from east coast, 5 sites from south coast, and 6 sites of west coast) and 3 cross-sectional profiles from each side of the coasts in Korea. The theory of equilibrium beach profile was employ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heory into the coast of Korea and was tested with 15 cross-sectional beach profiles. Four scenarios of future sea level rise such as 38 cm, 59 cm, 75 cm, and 100 cm were adopted to estimate the shoreline retreat rates. Overall shoreline retreat rates for the coasts in Korea were predicted as 43.7% for 38 cm, 60.3% for 59 cm, 69.2% for 75 cm, and 80.1% for 100 cm sea level rises, respectively. Retreat rates in the east coast (29.6% for 38 cm, 45.1% for 59 cm, 56.0% for 75 cm, and 69.9% for 100 cm) showed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south coast (51.9%, 67.6%, 77.2%, 87.3%) and the west coast (53.8%, 71.0%, 78.5%, 86.4%). However, all sandy coasts in Korea were assessed to be vulnerable with increasing sea-level rise. There are uncertainties in the assessment of this study, which include the limitation of the assessment model and the lack of the spatio-temporal data of the beach profile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pend integrated efforts to respond coastal erosion including comprehensive observations(monitoring)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understanding on the field.

      • KCI등재

        연안 취약성 지수를 활용한 해수면 상승 영향평가 방안 연구

        이해미(Haemi Lee),강태순(Tae soon Kang),조광우(Kwangwoo Ch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5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7 No.5

        본 연구는 해수면 상승 취약성 지수 개발을 통한 국가차원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기존 연안 취약성지수 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동해안 적용을 통하여 미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취약성 지수는 미국지질조사국(USGS) 지수, 해수면 상승 지수, 복합 취약성 지수, 다중스케일 취약성 지수를 포함하며, 이 중 국가정책 차원의 활용도와 가용 자료를 고려하여 연안 외력(해수면 상승, 파랑, 조석)과 해안의 적응 능력(지형, 침식률, 경사도)의 함수로 취약성을 나타내는 USGS 지수를 선정·평가하였다. 현재 동해안의 취약성 지수는 1.826~22.361(평균 7.085)이였으며, 1 m 해수면 상승 시 2.887~30.619(평균 12.361)로 증가하였다. 매우 높은(VERY HIGH) 취약도를 나타내는 해안은 현재 8.57%에서, 1 m 해수면 상승 시 35.56%로 증가하였다. 취약도 변화는 지자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강릉시, 양양군, 고성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위험 지역의 토지이용은 농지, 주거지, 도로 등의 인간시스템과 사빈, 습지, 산림 등의 자연시스템 공히 많은 분포를 나타내어, 기후변화 시대의 해안토지이용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약성 지수의 정책적 활용 및 특정 취약 해안 적응을 위하여 취약성 지수에 의한 스크리닝, 영향 모델에 의한 취약지 영향평가 및 이들 평가에 기초한 확률적 리스크 정량화 등 3단계 취약성 평가 체계를 제안하였다. We hav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coastal vulnerability index(CVI) to be guided into an appropriate CVI development for Korean coast and applied a methodology into the east coast of Korea to quantify coastal vulnerability by future sea_level rise. The CVIs reviewed includes USGS CVI, sea_level rise CVI, compound CVI, and multi scale CVI. The USGS CVI, expressed into the external forcing of sea_level rise, wave and tide, and adaptive capacity of morphology, erosion and slope, is adopted here for CVI quantification. The range of CVI is 1.826~22.361 with a mean of 7.085 for present condition and increases into 2.887~30.619 with a mean of 12.361 for the year of 2100(1 m sea_level rise). The index “VERY HIGH” is currently 8.57% of the coast and occupies 35.56% in 2100. The pattern of CVI change by sea_level rise is different to different local areas, and Gangneung, Yangyang and Goseong show the highest increase. The land use pattern in the “VERY HIGH” index is dominated by both human system of housing complex, road, cropland, etc, and natural system of sand, wetland, forestry, etc., which suggests existing land utilization should be reframed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Though CVI approach is highly efficient to deal with a large set of climate scenarios entailed in climate impact assessment due to uncertainties, we also propose three_level assessment for the application of CVI methodology in the site specific adaptation such as first screening assessment by CVI, second scoping assessment by impact model, and final risk quantification with the result of impact model.

      • 해수면 상승 취약성 분석을 위한 우리나라 연안지역의 농경지 분포 특성

        김진혁(Jin-Hyuk Kim),이해미(Hae-Mi Lee),조광우(Kwangwoo Cho) 한국연안방재학회 2015 한국연안방재학회지 Vol.2 No.4

        We calculated the distance of the cropland from shoreline as a coastal vulnerability index (CVI) of cropland to sea level ris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in the national context using the GIS data of 11 coastal municipal governments(Busan, Chungnam, Gangwon, Gyeongbuk, Gyeonggi, Gyeongnam, Incheon, Jeju, Jeonnnam, Jeonbuk, Ulsan) to evaluate potential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Within 1km and 5km from the coast, cropland areas occupy is about 8.1% and 21.9%, respectively, which represents a much higher density of coastal cropland in the coastal bands. Especially, the coastal land zone between 100 m and 300 m shows the highest density with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field dominance for 0~200 m and paddy for 100~300 m, which can imply potential vulnerability of cropland to sea level impact in Korea. The cropland in the lowland (less than 10m elevation) occupies 23.2%(about 420,126 ha) of the those of 11 municipal governments, and among the lowland cropland 48% and 22% are located at within 5 km and 1 km from the coast, respectively. The coastal cropland in lowland shows a density peak at 200~300 m in most municipal governments except Gangwon, and Jeonnam contributes about 50% of lowland cropland within 500 m, whose province could be hotspot vulnerable to future climate change in Korea. In addition, Gyeongnam, Chungnam, Incheon, and Jeju also show moderate vulner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