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通信使行錄에 나타난 禮物受贈 갈등의 시대적 양상과 그 배경

        정훈식(Jung, Hun-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6 No.-

        이 글의 주안점은 조선후기 통신사의 예물수증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 일본은 통신사 왕래를 통해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다방면에서 활발한 교류를 하며 우호관계를 지속했지만 명암은 상존했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주로 외교, 문화교류의 성과를 중심으로 통신사를 조망하였다면 갈등이 드러난 사안도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통신사를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신사 왕래기간 예물수증을 두고 보면 전반적으로 상호 호혜적 태도로 선물을 주고받았지만 갈등이 표면화된 사례도 많았다. 17세기에는 특히 예물수증을 두고 일어난 갈등이 고조되었는데, 주로 私禮單을 둘러싸고 소동이 많았다. 일본이 금은화를 비롯하여 막대한 예물을 조선의 삼사신 이하 사행에게 주거나, 사행이 쓰고 남은 찬물 등을 금으로 바꿔 돌아가는 길에 주면 사행은 이를 거절하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심지어는 그 예물을 바다나 강에 던져버리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는 교린관계 이면에 깔린 매우 갈등의 요소가 표면화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예물수증을 두고 일어나는 갈등이 17세기에 오간 통신사행에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18세기에 들어서면 비교적 그러한 갈등이 줄어들고 대신 적절한 예물교환의 형식이 규례화 되었다. 이를테면 사행이 받은 예물은 일부는 사행의 수행원들에게 분급되거나 대마도와 무역하면서 지급해야할 대금으로 충당하는 방향으로 규례화 되었는데, 그로 인해 삼사신을 중심으로 한 예물수증 갈등은 현저히 감소했다. 그러나 일부 개별 수행원에게서 예물수증 갈등이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1719년 통신사의 제술관 신유한이 대표적이다. 조선후기 통신사의 예물수증 갈등의 시대적 추이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은 통신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바탕을 둔 의례개혁론이 대두되는 현상이 이 현상과 절묘하게 대칭곡선을 그린다는 점이다. 즉 예물수증 갈등이 현저히 감소되는 흐름과 대비적으로 통신사행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일은 추후 과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the exchange of gifts by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diplomatic envoys to and from Japan in the 17th century, conflicts frequently occurred over gift certificates. Mainly, when the Edo shogunate gave enormous gifts, including gold and silver, to the envoys of Joseon, it was frequently rejected, even throwing gold into the river. This can be said to be a case in which a very serious conflict behind friendly relations surfaced. Conflicts over the exchange of gifts continue to appear in diplomatic missions between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such conflicts were relatively reduced, and the proper form of exchange of gifts was standardized. As a result, the gift-giving conflict around three ambassadors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it can be seen that some individuals are experiencing a gift exchange conflict. Shin, yu-han in 1719 and Won, jung-geo in 1763 are typical. Another notable phenomenon in the historical flow of conflicts surrounding the exchange of gifts by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at this phenomenon is exquisite from the rise of ritual reform theory and Korean aggression theory based on the negative perception of Joseon diplomatic mission in Japan. The point is to draw a symmetrical curve. In other words, in contrast to the trend in which the exchange of gifts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negative perception of foreign diplomatic missions in Joseon and the blind point of view of Jeong Han theory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nection in detail.

      • KCI등재

        “보기” 담론을 통해 본『열하일기』의 주제

        정훈식 ( Hun Sik Jung ) 韓國古典文學會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The aim of this paper is how Park Ji-won thought about ``seeing``, in Yeol-ha-il-gi. Ordinarily, the interest for Yeol-ha-il-gi was concentrated on what Yeonam, Park Ji-won saw. However, in order to newly understand the text, we need to think about what he thought and applied during his journey which is ``how to see things`` more than what he saw. At first, Park, Jiwon made the ``seeing`` topic in his journey and essays. The very core of the subject was about what is ``seeing things`` and what should we do to see well. The arguments about this were developing in the field of governing and world view, embodying them in ``Position change`` and ``Counted View``. What he have to focus on here, Yeonam found the logical ground of this methodology in astronomy or Buddhism which were treated unimportant and all teaching that does not conform to Confucianism. Here, we can notice his progressive feature to find new world view and open-mindedness in study. Especially Hwan-gyo-mun-dap(黃敎問答) and Shim-se-pyeon(審勢編) are summarizing Yeonam`s critical mind and methodology in ``seeing`` and showing their purpose definitely better than any other writings in Yeol-ha-il-gi. In the writing, he maintain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seize the principle of world situation and Ch`ing empire`s ambitious strategy, not prejudge them. Absolutely, for searching Chosun dynasty`s way to the future. To sum up, I here can find that Yeol-ha-il-gi is a text which move dynamically to grope new world view, mixed by various ideologies and studies and of course, it discuss the logic, method and purpose of the ``seeing`` problem profoundly. 이 글은 박지원이 『열하일기』에서 ‘보기’라는 문제를 어떻게 궁리했는지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열하일기』에 대한 그간의 관심은 주로 연암이 본 것에만 집중되어 있었으나, 텍스트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박지원이 본 것보다 그가 사유하고 실제 여행에서 적용한 ‘대상을 보는 법’에 대해 더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선 박지원은 ‘보기’라는 문제를 여행과 저술에서의 화두로 삼았음을 알 수 있는데, 곧 대상을 본다는 것은 무엇이며, 대상을 잘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의 문제를 여행의 핵심적인 문제의식으로 삼았다. 이에 관한 논의는 세계관과 經世의 영역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는데, 크게 ‘입장 바꿔 보기(易地而處)’와 ‘헤아려 보기(如是觀)’로 구체화되고 있었다. 주목할 점은 연암이 이러한 방법론의 논리적 근거로 당대 성리학의 입장에서는 하찮게 여기는 천문학이나 이단으로 간주된 불교 등에서 상당부분 취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세계관을 모색하는 박지원의 지향과 학문적 개방성을 아울러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열하일기』 가운데 「黃敎問答」과 「審勢編」은 연암이 모색한 보기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이 집약되고 그것이 지향하는 바를 명확하게 보여준 글이다. 여기서 연암은 청을 편견과 선입견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제국이 펼치는 치밀하고 원대한 책략을 읽어내고 세계정세의 본질을 파악해야 한다는 논리를 펼친다. 그것이 조선의 진로를 모색하기 위해서임은 물론이다. 요컨대 『열하일기』는 ‘보기’의 문제를 핵심 주제의식으로 상정하여 그 논리와 방법, 목적을 깊이 있게 논한 텍스트임은 물론, 당대 동서양의 다양한 사상과 학문을 혼융하여 새로운 세계관을 역동적으로 모색하였던 텍스트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사행록에 나타난 동아시아의 시각문화 : 조선후기 시각문화론의 발생과 전개에 관한 초보적 탐색

        정훈식(Jung Hun sikHan),한태문(Han Tai moon)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후기 사행록에 기록된 동아시아의 시각문화의 구체적인 실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는 조선후기 시각문화의 발생과 전개를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 수행된다. 조선후기와 동시대 중국과 일본은 상업문화의 발달, 활발한 대외 교류와 함께 빛, 색상, 조형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수많은 문물 즉 시각 텍스트가 대량 생산되고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었다. 이것은 사실상 중세에 최고조로 발달한 시각문화다. 그리고 이를 여행자의 시점에서 풍부하고 자세하게 기록해놓은 것이 사행록이다. 시각문화의 핵심적인 공간은 대로다. 일본과 중국의 발달한 성시에 종횡으로 뻗은 대로는 화려한 채색과 눈부신 빛을 발하는 조형물과 상품이 즐비하며, 그 속에서 사람들은 무언가를 보여주고 또 구경한다. 대로는 시각적 충격과 즐거움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시각문화의 요람이다. 그 대로에서 사람들은 풍부한 볼거리를 생산하고 향유하였다. 대로는 그 자체로 화려한 시각문화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그 일대에서는 더욱 다양한 시각 텍스트가 함께 전시되거나 연출되고 있었다. 관등(觀燈), 환술, 지포, 장희(場戱), 서화 등이 그것이다. 이것을 기록한 저자들은 그것들의 시각성에 주목하고 그것을 보며 일어나는 감정 상태, 형상과 장면,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찾고 맥락을 짚어보려는 모든 과정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는데, 곧 당시 시각문화를 해석하고자 하는 비평가적 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사행은 구경의 주체이기도 했지만 객체가 되기도 하였다. 중국과 일본의 대로를 지나가는 사행 자체가 현지인들에게 하나의 시각적 이벤트이자 퍼포먼스였다. 이러한 상황을 자각하고 사행원이 구경거리가 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사행이 현지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성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문화를 관찰하면서 사행원들 사이에 장관론이 일종의 담론이나 풍습으로 형성되어 전해온다. 곧 노정에서 가장 볼만했던 것을 서로 이야기 하면서 그 여정을 평하는 시간인데, 이것은 사행에서 자연스레 형성된 일종의 시각문화론에 해당한다. 이를 초보적으로 탐색해본 결과 사행에서 형성된 시각문화론은 비단 중국과 일본의 시각문화에 대한 실상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조선의 인식론과 시각론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쳤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sider the visual culture in detail recorded in the ‘Sahaengnok’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China and Japan of the same age with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is the mass production and the rapid proliferation of numerous visual texts centered around light, colors, and moulding, which 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 culture and the vigorous interchanges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written document in the richness and detail relating to the visual texts in the view of a culture critic is the‘Sahaengnok’. The main street as the core space of the visual culture, the Lantern Festival produced in that space, illusion, fireworks, plays, writings, and paintings varied the eastern asian visual culture. Sahaeng went into the center of the developed visual culture, and they were aware of making a spectacle of themselves by the locals. They also used The nature and meaning of sahaeng as an opportunity of reflection.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theory of knowledge and vision by the formation of the discussion of the visual culture such as 'the discourse of a grand sight' among sahaeng who experienced those visual culture.

      • KCI등재

        민담 소재 활쏘기 이야기 연구

        정훈식(Jung Hun Sik)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 논문은 한국 민담에 전승되는 활쏘기 이야기를 대상으로 모티프와 서사적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활쏘기를 모티프로 삼은 구비서사는 매우 풍부하며, 이에 관한 연구 성과도 풍부하다. 다만 신화 전설에 나타난 활쏘기 이야기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민담에 대한 관심은 극히 적다는 점에서 연구 상의 편향이 노정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민담에 전승되는 활쏘기 이야기는 두 가지 점에서 신화, 전설과 차이가 있다. 우선 민담의 주인공은 영웅이 없다. 다만 한미한 주인공이 등장한다. 이들 주인공은 활을 전혀 쏘지 못하지만 명궁행세를 하여 처를 얻거나 부를 누리기도 하는데 사실 이 점이 신화, 전설과 비교하여 크게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활쏘기 민담 가운데 명궁행세 이야기를 중심으로 모티프와 서사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우선 이야기를 이루는 주요 모티프를 살펴보았다. 우선 활 잘 쏘는 사람에게 딸을 주겠다고 하며 널리 공모한다는 모티프는 『구당서』에 전해오는 기록인 ‘雀屏中選’과 유사하다. 활 잘 쏘는 사람은 주로 집 뒤의 부엉이, 독수리나 도성에 나타난 호랑이를 잡아야 하는 미션이 주어지는데 이는 ‘大賊退治’담과 관련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주인공이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활을 당겨놓고 쏘지 않는 모티프는 맹자에 보이는 ‘引而不發’을 민중적 서사로 변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 모티프는 모두 신화전설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고 민담에서만 보인다. 이러한 모티프로 엮인 이야기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활쏘기 이야기는 제대로 된 활 한번 잡아본 적이 없는 지방의 빈천한 사람이 서울에 올라와 명궁 행세를 통해 결핍을 해소하고 욕망을 실현하는 이야기로 되어있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은 트릭을 구사하며 명궁의 지위를 누리고, 위기에 이르렀을 때는 기지를 발휘하며 최종적으로 욕망을 실현한다. 이 과정에서 활쏘기의 신성함은 붕괴된다. 또한 활쏘기에는 편사라는 전통적 활쏘기 놀이를 민담의 세계로 끌어들였다. 편사는 편을 나누어 활쏘기 실력을 겨루는 놀이로 조선후기에 성행했으며, 지금까지도 이어져오는 놀이다. 이 놀이를 서사에 적극 반영하여 흥미를 배가했다. 이 두 가지는 민담에서의 활쏘기 이야기가 신화 전설과 구별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과 의미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otifs of the archery stories handed down to Korean folk tales. there are three main motifs that make up the story. At first, the motif, which says to give a daughter to a man who shoots well and widely publicizes it, is pre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It is pre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select by shooting the birds on the screen(雀屏中選)” passed on to the Old Tang Dynasty. The man who shoots well is usually given a mission to catch the bird behind the house,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story of Defeat a great thief (大賊退治).Finally, the motif that the main character pulls the bow to pull out of the crisis and does not shoot is estimated that shown in Mencius “draw the bow without shooting(引而不發)” transforms into a popular narrative. And The story of archery that is handed down to folk tales differs from myths and legends in two ways. First of all, the hero of the folk talk does not have a hero. However, a humble hero appears. These characters can not shoot the bow at all, but they take the place of the wealthy family by pretending to be a mongrel, and this feature is remarkable in comparison with the legend and myth. Also, in the story of archery, Korean traditional archery play called “便射”(Team archery competition) was brought into folklore and made into story.

      • KCI등재

        『淸俗紀聞』 연구 - 동아시아 상호인식의 관점에서

        정훈식 ( Jung¸ Hun-si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이 글은 에도시대 후기에 長崎奉行 나카가와 다다테루(中川忠英, 1753-1830)가 펴낸 『淸俗紀聞』의 전반적 성격을 살피고, 이를 연행록과 견주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동아시아의 상호인식의 관점에서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과정이다. 우선 예비적 단계로 텍스트의 전반적 성격을 고찰하였는데, 이 책의 간행목적과 방식은 序跋과 附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 편의 서문에는 이 책의 간행목적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무엇보다 마쓰다이라 사다노부(松平定信, 1759-1829)가 추진하는 간세이 개혁의 중점 정책 중 하나인 무역정책을 집행하기 위한 자료라는 점이 잘 드러나 있다. 또한 어지러운 풍속을 바로잡기 위한 풍속교화도 간세이 개혁의 중요한 방향이었는데, 『청속기문』은 이러한 정책을 실현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간행되었음을 서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당통사가 청 상인에게 직접 묻고 답한 내용을 정리하고, 여기에 삽화를 그려 함께 배치하는 방식으로 편집하여 간행했다. 문답의 방식은 『華夷變態』, 『淸朝探事』 등의 책에서 보듯이 막부가 대외정보를 취득하는 오래된 방식이며, 繪入의 방식은 에도시대 출판문화에서 그림이 삽입된 회본이 중요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다음으로, 구성과 내용 고찰을 통해 『청속기문』의 성격을 살폈다. 청대 민속의 전반적 내용을 포괄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크게 두드러진 성격은 우선 淸商人의 관점이 반영된 민속지라는 점이다. 또한 이 책은 당시 사다노부가 추진하고 있는 世敎, 즉 풍속교화 정책의 참고자료로서의 성격도 있다. 물론 기초자료는 청상인의 관점이 투영되어 있지만, 이를 편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당시 사다노부가 실권을 쥐고 있던 시기의 일본이 중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반영되었다. 이상과 같이 고찰한 『청속기문』의 전반적 성격을 바탕으로, 이를 연행록과 비교해 보면서 해당시기 조선과 일본의 중국 인식을 비교해보았다. 연행록과 『청속기문』은 그 저술 목적과 방식 그리고 성격에서 현저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연행록에서 청 풍속을 기록하는 일은 청의 대륙 웅거에 따른 중화문명의 성격을 재해석하는 과정이다. 그 과정은 조선의 대외정책적 판단이라는 과제와 맞물려 있다. 그러나 『청속기문』은 무역관리의 참고자료 확보와 풍속 교화의 참고자료 수집이라는 당대 막부의 집권자의 정책과 관련된 한시적 목적에 의해 저술된 텍스트다. 따라서 이 책은 에도시대 일본의 중국인식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18세기말이라는 매우 한정된 시기에 한정된 의도를 반영한 텍스트라고 규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examining the overall character of the Chungsokgimun published by Nakagawa Tadateru(1753-1830) in the late Edo Period and comparing it to the Chinese travel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ultimately a process to understand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mutual recognition. As a preliminary step, the overall nature of the text was considered, and the purpose and manner of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was based on preface, introduction, and additional words. The three preamble illustrates the purpose of the book's publication, and most of all, it is to implement trade policies, one of the key policies of the Kansei reform promoted by Sadanobu Matsuda (1759-1829). In addition, customization was an important direction for the reform of Ganshei to correct the chaotic customs, and the way Edo Bakufu acquires foreign information is the old way to implement these policies, and the way paintings are inserted is the absolutely important part of the publishing culture of the Edo period. Nex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ongsokmun through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book. It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folklore of the Qing Dynasty, but its remarkable characteristic is that it is a folk paper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 of the Qing merchants. This book is also a reference to the customization policy pursued by Sadanobu at the time. Of course, the basic materials project the perspective of the merchants of the Qing Dynasty, but the editing and organizing of the materials reflected Japan's view of China when Sadanobu was in power at the time. Based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sokgimun, which was considered as above, we compared the Chinese percep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by comparing the Chungsokgimun with the Yeonhaengnok. Yeonhaengnok and the Chungsokgimun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pose, manner, and character of its writing. The exploration of the customs of the Qing Dynasty by YeonHaengnok i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changes in Chinese civilization following the rule of the Qing Dynasty. The process coincides with the task of foreign policy judgment in Joseon. However, the Chungsokgimun is a text written by a temporary purpose related to the ruling party's policy of securing reference materials for trade management and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s for custom edification. Therefore, from the macro perspective of the Chinese style of the Edo period, this book can be defined as a text reflecting the limited intention of the end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朝鮮後期 通信使行錄 所在 見聞錄의 展開 樣相

        정훈식(Jung, Hun-Sik),남송우(Nam, Song-Woo)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50 No.-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통신사 사행록에 전해오는 견문록을 대상으로 하여 그 시대별 흐름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통신사행록에 전해오는 견문록은 현재까지 알려진 약 40여 편의 통신사행록 가운데 18편이 확인된다. 이중 17세기에는 8편, 18세기는 10편이 전해온다. 조선후기 통신사행록의 저술에 형식적 모델을 제시하고 서술태도에 영향을 준 전대의 텍스트는 신숙주의 『海東諸國記』와 강항의 『看羊錄』, 정희득의 『月峯海上錄』등의 임란포로실기이다. 이들 텍스트는 약 2세기에 걸쳐 저술된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소재 견문록의 서술방식과 태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을 견문록 저술의 연원이라고 보았다. 시대적 전개에서 조망해본 견문록은 크게 ‘견문록 저술의식과 체제의 형 성기’와 ‘견문록의 다변화와 지식 추구를 지향하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7세기와 18세기는 이렇게 뚜렷하게 구분된다. 초기의 견문록은 견문록을 저술하는 의식도 미약하여 단지 통신사행록의 부수적인 부분으로 인식되는 데 머물렀으며 아울러 그 체재도 체계적인 면모를 띠지 못했다. 이후에 점차 견문록에 대한 저술의식이 강화되고 그 형식도 체계화 되어갔다. 18세기에 들어서서는 통신사행록에서 견문록은 매우 다채롭게 저술되었다. 특히 계미통신사행에 이르면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혁신적인 일본관에 의해 새롭고 다양한 견문록이 활발하게 생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생성의 핵심기반인 통신사행은 내외적 요인에 의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쇠퇴하였기 때문에 질적인 변화를 추구하던 견문록의 일본 지식의 추구는 급격하게 수그러들지 않을 수 없었다. This article aim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 of that times of Tongsinsahaengrok(the envoy mission account in Joseon era), especially studying Gyeonmunnok(the records of personal experience) in it. Overall 18 copies of records (8 in 17 centuries, 10 in 18 centuries) are verified to exist among the 40 copies known so far. The true records of war prisone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presented the formal model of the writing style of Tongsinsahaengrok during the late Joseon and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writhing of it. The examples of true records are Haedongjegookgi(海東諸國記) by SinSukJu, Ganyangrok(看羊錄) by KangHang, Wolbonghaesangrok(月峯海上錄) by Jeong HeeDeuk. These texts had affected the writing style and attitude of Gyeonmunnok in Tongsinsahaengrok written in 17 and 18 century. In this article, those records are considered to be the origins of Gyeonmunnok. In the light of development by era, Gyeonmunnok can be divided into two distinctive periods; 'the formation of writing attitude and system of Gyeonmunnok' and 'the orientation toward diversification and pursuit of knowledge. The writing attitude of the earlier one was so insignificant that it was recognized just as a part of Tongsinsahaengrok. The systematic aspect was not in a good phase. In 18 century, Gyeonmunnok was written in much more various ways. When it comes to Gyemitongsinsahang, new and diverse records were created by an unprecedented, or innovative view on Japan. However, the search of Japanese intelligence as a pursuit of qualitative change of Gyeonmunnok was bound to radically decline because Tongsinsahaengrok, the center of generating these knowledge, didn't progress anymore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 KCI등재후보

        『을병연행록』에 나타난 ‘부끄러움’에 대하여

        정훈식(Jung, Hun-Si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코기토 Vol.- No.72

        홍대용의 북경여행기인 『을병연행록』에는 한 가지 특징적인 면이 발견되는바, 부끄럽다는 감정에 관한 기록이 풍부하다는 점이다. 이점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을병연행록』에서 부끄러움이 발생하는 상황을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담헌은 『을병연행록』에서 조선이 의복을 지키고 있는 것에서 자존심을 찾으려는 실정과 오랑캐를 멸시하고 화이론을 고집하는 현실을 반성하기 위해 이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을 문제 삼았다. 나아가 조선은 예를 모르는 오랑캐에게 굴복한 일을 부끄러워 할 것만이 아니라, 조선의 낙후된 현실과 편협한 마음에도 부끄러운 실상이 내재해 있음을 지속적으로 상기시켰다. 곧 조선은 무엇이 부끄러움인지, 또한 무엇을 부끄러워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 『을병연행록』에서 전개된 부끄러움에 관한 담론의 핵심이다. 그럼으로써 청나라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조선의 불행한 현실을 깨닫게 하는 데 유용한 감정적 기제로 이 부끄러움을 최대한 상기시켰다. 이러한 방식은 박제가의 『북학의』에서 뿐만 아니라 박지원의 『열하일기』, 특히 ?호질?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부끄러움이란 감정에 대한 문제의식은 북학파들이 공유하고 있는 논리적 기반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을 통해서 우리는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이 북학이 형성되는 여러 토양의 하나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Eulbyeongyeonhaengrok, written by Hongdaeyong, after he traveled Beijing, is rich in the expression of a sense of "shame". Noticing this point, I focused on checking the situations in which he felt ashamed and then studying their meanings in eulbyeongyeonhaengrok. In eulbyeongyeonhaengrok, Hongdaeyong brought the feeling of "shame" into question to reflect on the situation of the age in which Chosun people tried to maintain their self-respect by sticking to wearing their own clothing and the realities of despising barbarians with insisting on hwayi(華夷) theory. He constantly reminded the readers of the time that Chosun people didn"t have anything to be ashamed of having succumbed to the ‘ORANKE’(barbarian), but they rather should be ashamed of their underdeveloped realities and narrowminded views. In other words, the core of the discourse of "shame", expressed in Eulbyeongyeonhaengrok, is that Chosun people should know what is "shame" and also what you should be ashamed. He used "shame" as the emotional mechanisms for helping realize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Qing Dynasty and the unfortunate realities of Chosun. We can see such an approach is well equally valid in the Bukhakui(北學議) written by Bakjega, as well as in the Hojil(虎叱) written by Bakjiwon. Thus, the awareness of "shame" feelings can be regarded as a logical base that Bukhakpa(北學派) shared. As explained above, We can build the hypothesis that Bukhak(北學) arose from the feeling of "shame".

      • KCI등재

        조선후기 일본지식의 생성과 통신사행록

        정훈식(Jung Hun-Sik),남송우(Nam Song-W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후기 통신사행록과 이를 둘러싼 담론을 중심으로 하여 일본지식의 생성 구조와 과정을 다면적으로 검토해보는 데 있다. 조선후기 일본지식의 생성에 있어 핵심적인 목적은 備倭이다. 통신사행록 또한 이러한 목적 하에서 일본지식을 생산하고 축적했다. 이 같은 목적에서 추구된 일본지식은 크게 博覽과 辨證을 통해 구성되었다. 박람은 대체로 일본의 역사, 지리, 풍속, 문물 등에 대하여 광범위하고 상세한 서술을 지향한다. 특히 통신사행록의 견문록은 이 같은 일본지식의 구성 양상을 직접 반영하는 구체적인 기록이다. 한편 일본지식이 방대하게 축적되는 것과는 별도로 일본지식에 대한 시비진위를 따지고 이를 재구성하는 흐름이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변증이다. 변증은 주로 조선 지식계에서 통신사행록을 두고 벌어진 담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두 방법에 의해 일본지식은 방대함과 상세함을 지향하면서 사실과 옳은 것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축적되었다. 일본지식의 목적과 방법은 사실 특정한 인식의 기반에 의해서 추구되었는데 바로 華夷와 文物이다. 화이관은 바로 일본지식의 밑바탕에 깔린 선험적 세계관이자 일본지식의 생성 목적인 비왜의 사상적 토대이다. 그런데 통신사행을 통해 에도시대 일본의 발달하는 문물을 보고 새로운 일본지식을 습득하면서 화이관이 점차 변화하고 나아가 일본을 재인식하는 데 이른다. 결국 이는 일본을 통해 조선개혁의 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學日本’으로 나아가는 맹아적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이상을 종합하면 통신사행록은 수백 년간 일본에 왕래하며 일본지식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조선의 세계인식(주체인식과 타자인식)을 교정하는 기나긴 여정을 담고 있는 텍스트이다. The aim of this letter is focusing on the generation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Tongshinsaheangrok in late Choseon from various point of view.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knowledge on the Japan in late Choseon is to protect Japan. Tongshinsaheangrok is also produce and store Japanese knowledge for this sake. The Japanese knowledge through this kind of purpose is mainly structured by getting extensive knowledge and dialectic. The above mentioned getting extensive knowledge aims at writing detailed narratives on the history, geography, customs, and culture of the nation. The experience record of the Tongshinsaheangrok is the concrete record which directly reflect the composition detail of the Japanese knowledge. Beside the knowledge accumulation about Japan, There was another steam which argue about what is wrong and what is right, this is so called dialectic. The dialectic is mainly formed by the discussion on Tongshinsaheangrok among Choseon intellectual class. Through this two different methods, Japanese knowledge was formed and accumulated focusing on the extensiveness, detail, fact, and the right.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is based on a certain specific recognition, which are so called “hwa-yi(華夷)” and “Mun-mul(文物)”. Through the Tongshinsaheang, the advanced Japanese culture and knowledge was absorbed, which the view of “hwa-yi” had been changed and came to get a new understanding on Japan. This shows germinating aspect that go towards learning Japan to seek a way for Choseon reform. In conclusion, Tongshinsaheangrok is a panorama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at correct the Chosen’s recognition about world by hundred years of visiting Japan.

      • KCI등재

        조선후기 일본론에서 대마도와 안용복

        정훈식(Jung, Hun-Sik)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9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후기에 전개된 일본론에서 대마도와 안용복이 논의되는 구체적인 실상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조선후기 일본론은 크게 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일본의 침략에 방비하기 위한 제반 논의인 비왜론이다. 둘째, 일본문물론이다. 일본의 문장과 학술이 어느 정도 발달하였으며, 이것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되게 논의하였다. 일본문물론은 18세기 조선 지식인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끈 논의로, 일본의 문풍이 성행하면 조선 침략의 가능성을 떨어뜨린다는 논리가 그 골자다. 셋째로 대마도론이다. 이 논의는 대마도인의 교활한 행위와 흉계를 보고 들은 것과 관련이 깊은데, 대체로 안용복 사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계미통신사행에 참여한 사행원이 목격한 대마도인의 행위에서 논의가 확대되었다. 당시 조선의 대일정책은 교린정책이다. 이 정책은 양국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혜평등의 교류를 추구한다. 그런데 대마도인은 겉으로는 양국 외교의 중개임무를 맡았으나 속으로는 교묘하게 조선 조정과 에도막부 양쪽을 속여 가며 막대한 이득을 취하고 울릉도를 점거하려는 음모까지 꾸몄다. 그러한 실상에 대한 논의가 대마도론을 형성한 것이다. 조선후기 일본론의 흐름에서 대마도론은 비왜론의 한 방편으로 수행된 교린정책에 대한 재검토의 성격을 띤다. 안용복 사건을 다시 논의하면서 울릉도와 독도를 점거하려는 대마도의 야욕을 경계하였는데, 이는 일본의 학술과 문장이 발달하니 일본의 침략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일본문풍론에 대한 우회적 반론의 의미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oncrete facts and meanings of Tsushima and Ahn Yong-bok which has discussed in the Japanese discour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discours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part is Biwaeron(備倭論) which discussed all the matters to prepare for Japan"s attack. Second part is a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It mainly discussed how much the Japanese are developed in culture and academics, and the kinds of influence it has on Chosun Dynasty. It was an big issue among 18th century"s intellectuals of the Chosun dynasty. The main point of this argument was that if Japanese culture were prevalent, it would decrease the possibility of Japan"s attack on Chosun. Third part is the theory of Tsusima. It was originated from what we had seen and heard about wicked actions and tricks of the people in Tsusima. The theory of Tsusima mostly started with the Ahn Yong-bok incident and it was expended after the Tongsinsa participating in the Joseon"s Cultural Mission to Japan(癸未通信使行) witnessed the behaviors of the Tsusimas. At that time, Chosun dynasty had a good-neighbor policy(交隣政策) toward Japan. This policy sought equal and mutual exchange based on the trus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susimas outwardly undertook an assignment of meditation of both countries, however, they internally derived an enormous unfair profit deceiving from both Chosun Dynasty and Edo Bakufu. The theory of Tsusima was formed by these facts and discussions. In the Japanese discourse of the late Chosun, the theory of Tsusima intended to reexamine a good-neighboring policy which was performed as a part of Biwaeron(備倭論). It also discussed Ahn Yong-bok incident again and insisted to keep strict watch on Tsusima"s ambitions to take over Ullenungdo and Dokdo. This theory indirectly argue against an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which argues that there is lower possibility for Japan"s attack since their culture and academics are developing. On Chosun"s perspective, Japan is the place that needs constant guard as long as there is Tsusima.

      • KCI등재

        金日磾 관련 논의의 현 단계와 새로운 이해의 방향

        정훈식(Jung, Hun-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2 No.-

        이 글은 한국학에서 金日磾를 새롭게 연구해야할 필요성과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김일제를 인식하는 두 견해에 대하여 모두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지부진한 논의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가설적 추론을 소개하였다. 김 일제는 [漢書]에 전해오는 인물이지만, 「文武王陵碑」에도 기록된 문제의 인물이다. 더구나 金閼智를 신라 김씨의 시조로 알고 있는 역사상식과 전혀 달라 비문을 발견하면서부터 의혹의 중심이 되어왔으나 이에 대한 견해는 대체로 둘로 나누어진다. 한쪽은 김일제가 한무제시기 포로로 잡혀온 匈奴 休屠王의 아들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신라의 김씨들이 흉노족의 후예들이라고 보는 견해다. 다른 한쪽에서는 비문의 내용을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김씨왕족들이 자신들의 선조의 권위를 과장하기 위해 내세운 허구적 조상이라고 본다. 두 견해 사이에 사실 접점이 없어서로 토론이 잘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논의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해 인식론적 근거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논제를 제시했다. 우선 三國遺事에도 ‘秦之亡人’이라는 기록이 있는 만큼, 진한교체기 인구 이동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에 바탕을 두고 「문무왕릉비」에서 언급된 휴저왕의 ‘金人’을 폭넓게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휴저왕이 흉노영역으로 도망간 진시황의 후예나 혹 진나라 귀족이며 이들이 진시황이 천하통일 후 만든 금인을 모방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가설이다. 이러한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김일제와 관련한 기록을 재검토하고 유적 등을 새롭게 발굴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다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연구할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dvanced research on Kim Il-Je(金日磾) in Korean Studies. I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Korea and China related to Kim Il-Je(金日磾) and sought the possibility of joint research on Kim Il-Je(金日磾) in East Asia. Then, I proposed a new point of view related to Kim Il-Je(金日磾). First, I proposed a new understanding of ‘Jin-ji-mang-yin(秦之亡人)’ written in SamgukYusa(三國遺事). I also introduced a new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the ‘Geum-yin(金人)’ that King Hu-Jeo(休屠王) had.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new research on Kim Il-Je(金日磾).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