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의 공화주의 정치철학에 관하여

        정천구 ( Chun Koo Jeo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0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5 No.1

        21세기 포스트모던의 시대에 공화주의 정치철학이 주목을 받게 되는 이유는 근대이후 발전되어온 서구의 정치철학 특히 자유주의에 대한 반성 때문이다. 그 동안 자유주의는 개인의 독립적 자아를 추상적으로 파악하여 공동체에의 귀속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정의(定義)를 사회제도의 최우선 덕목으로 보아 사회를 정치투쟁의 장으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이러한 반성은 한편에서는 미국 민주주의 이론의 선구자였던 토크빌에 대한 재조명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칸트와 야스퍼스의 사상을 발전시켜 새로운 공화주의 정치철학을 모색했던 아렌트의 이론을 주목하게 한다. 토크빌의 재조명에서 마이클 샌들과 같은 학자는 "미국에서 시민사회의 자율성과 활력이 고갈된 것은 지나친 개인주의적 이기심 때문이라고 진단했고 토크빌의 처방에 따라 건국 초기의 자율과 책임이 동반되는 생활윤리를 복원하고자 했다." 아렌트는 인간의 다수성과 상대주의라는 특징에서 공화주의의 기초를 다지고 인간의 활동 중 가장 인간적인 것은 공공 영역에서 공동체를 위하여 토론하고 소통하는 정치행위라고 규정한다. 그는 인간 정신활동의 생각함(thinking), 의욕함(willing), 판단함(judging)에서 정치행위의 근거를 도출해 내었다 특히 그는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정치판단 이론을 이끌어내고 공화주의 정치철학을 전개한다. 이 글은 불교가 공화주의 정치를 지지하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그렇다면 불교 공화주의의 철학적 기초와 특징은 어떤 것인가를 현실 사회주의권의 몰락이후 주목을 받고 있는 아렌트(Hannah Arendt) 등의 공화주의 정치철학과 비교를 통하여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publican political philosophy of Buddhism compared with that of Hannah Arendt who developed post-modern republican political philosophy. Generally speaking, the republicanism emphasizes public matter rather than private interest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itizens in the communal life. Arendt renewed the republican philosophy on the concepts of human multiplicity and relativism. Her idea suggests us to reconsider the liberal democracy whose excessive emphasis on individual liberty has caused the ongoing conflicts between state sovereignty and individual`s absolute liberty. The Buddhist doctrine of origination-in-dependence also suggests the interdependency and relativism which can easily be converted to Buddhist republican political philosophy. It is said that Buddha himself supported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as the ideal political system and preached the seven no-decline laws for Vajji republic who were in the face of aggression from the great power Magadha. As Arendt developed her republican philosophy linking mind capacity(thinking, willing and judging) to political action, Buddhism can develop political philosophy using its well developed theory of mind(citta). Especially she insists that one used to think others` opinion in judging so it is similar with political action in which one consult with others in decision making process. In Buddhism also the Bodhisattva, the great being redeems sentient beings in his mind first, thereby thinking others position in his redemption process. Similar to Kantian or Arendt`s judgement, Buddhism assumes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in judgement. In Diamond Sutra, Buddha preaches that "the Bodhisattva should produce an unsupported thought i.e. a thought which is nowhere supported, a thought unsupported by sight, sounds, smell, tastes, touchables or mind object." It demonstrates that Buddhism designs to ensure impartiality of judgement from the influence of inside as well as outside. Finally, in order to ensure the communication among men and public realm it is indispensable for citizens to observe Buddhist precepts especially that of no-killing and no-lying. In the past, political thinkers from Plato admitted the inevitability of killing and lying in politics, while nowadays some political scientist like professor Glenn Page theorizes and develops the no-killing politics and expands his supporters around the world. And others including Arendt have studied the causes and effect of lying in politics and tried to minimize lying in politics. Buddhism which has preached the interdependency and equality of all beings can support republican idea in overcoming the excessive individualism in liberal democracy and in recover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itizens and thereby revitalizing the communal life.

      • KCI등재

        6자회담과 북핵문제 해결의 방향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05 통일전략 Vol.5 No.1

        이 글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4차에 걸친 6자 회담을 분석하고, 막바지에 이른 북핵문제 해결에 임하는 우리의 기본 원칙과 전략방향에 관하여 논하려는 것이다. 이 회담에서 참가국들은 북한핵의 완전한 폐기라는 목표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핵폐기의 대가로 북의 안전보장과 경제지원 등을 제공하는데 동의하고 있다. 북한은 핵문제가 미국의 대북한 적대정책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규정하면서 핵폐기 대가로 북의 안전보장을 제공할 것과 핵의 평화적 이용권을 주장하고 있다. 북한 핵문제를 처리하면서 관련국들은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기회로 삼고 있으며 북한핵은 한반도의 통일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안보의식과 억지력을 바탕으로 미국을 비롯한 우방과의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북한의 핵을 포기케하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얻어내려는 소위 안전보장이나 체제보장의 내용에 대해 면밀한 검토와 대응이 요구된다. 북한의 핵포기의 대가로 우리의 안보가 약화되거나 분단이 고착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의 협상전략을 잘아는 전문가의 참여와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Six Party talks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way to re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All the participants of the talks came to agree on the complete dismantl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s and offering some security guarantee and economic assistance including energy to North Korea in return. North Korea herself, however, goes on insisting that the U.S nuclear weapons and its alliance with Japan and South Korea are the real threats to her security and asks more tangible security guarantee from the U.S. Moreover, it began to demand her right of peaceful use of nuclear energy. The North Korea nuclear program threats the peace and prosperity in the North East Asian Region and makes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more difficult. To resolve the nuclear problem, Republic of Korea should strengthen the mutual assistance system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upported by the strong nuclear deterrence and firm security resolution. It should make the utmost efforts to prevent North Korean from becoming a nuclear power but also pay keen attention to the dealings in which North Korea would get the security guarantee from the United States. We Koreans should keep our security from weakening and our division from adhering at the cost of the North Korean future abandonment of its nuclear program. In order to 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peaceful and desirable, it is essential to seek help and advices from some North Korean specialists who know very well about the North Korean negotiation style and tactics.

      • KCI등재

        一般論文 : 글로벌시대 지방자치단체의 리더십

        정천구 ( Chun Koo Je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7 동양문화연구 Vol.1 No.-

        이글은 세계화와 지분분권화 시대에 국가와 지방에서 나라를 이끌어갈 리더십의 바람직한 성격과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에 관하여 논한 것이다. 글로벌 시대에는 강한 리더십보다는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유연한 리더십을 요구한다. 또한 이 시대의 리더는 정직성과 성실성을 비롯한 공인으로서의 도덕적 자질 등 글로벌 스탠더드를 갖출 것이 요구된다. 이 시대 리더는 타인을 설득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과 함께 또한 글로벌 리더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지적능력이 요구된다. 글로벌시대의 이상적 리더십은 강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따를 수 있을 만큼 인간적으로 매력적(attractive)이고, 정직하고 성실하며 도덕적으로 건전하고, 지적능력과 통찰력을 갖추어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 leadership model of local governme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is global age requires soft leadership rather than strong one who initiates the change. What people want most in this age is honest and integrity than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to be a leader. People in local society also require on leader`s ability to communicate. Local leaders should have enough intelligence and vision with which they can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global leaders. Effective leadership in this global age should be attractive enough to follow voluntarily. and morally sound enough with honesty and integrity.

      • KCI등재

        백성욱 박사의 문화예술 정신과 활동의 철학적 배경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23 민족사상 Vol.17 No.1

        백성욱은 문화예술 방면에서도 작품과 업적을 남겼다. 그의 문화 예술 정신과 활동을 이해하려면 그 철학적 배경을 알아야 한다. 백성욱은 그의 스승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신(神)중심주의가 아닌 인본주의 철학 전통을 계승하였다. 그는 자신의 철학 박사학위 논문 “불교순전철학(불교 형이상학)”에서 붓다를 우주 진리의 주관이며 달마를 우주 진리의 객관이라 보았다. 붓다가 법을 펼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은 진리의 주관과 객관 사이의 소통에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는 “삼지사회조직론(三枝社會組織論)”이라는 글에서 우주를 본받은 인간 사회의 구조를 밝혔다. 인류는 정신생활, 법률생활, 경제생활의 세 가지 생활이 각자의 영역을 지키면서 균형을 유지해야 인간 사회가 발전한다고 보았다, 그는 “대입소의 일리(大入小의 一理)”라는 글에서 멀리 있는 천상이 아니라 이 지상에 불국토 건설을 목표로 삼았다. 원자의 미시적 세계나 성운의 거시적 세계나 우주에는 하나의 이치(一理)가 있는데 각 분야에서 일리를 발견하여 고통의 이 세계를 향기 있는 연화세계로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그가 공경하는 미륵불은 천상이 아니라 지상의 사바세계에 와서 성불하여 중생을 구제한다. 백성욱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 진선미(眞善美) 중에서 미를 가장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미는 인간의 활동 중 가장 고차적인 문화예술 활동과 연관된다. 그는 우리 문화와 정신의 위대성을 강조하고 고려대장경 보존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동국대학교의 건축과 문화예술 관련 학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백성욱의 문화예술 정신과 활동에는 이상과 같은 철학적 배경이 있다. Dr.Baek Sung-wook also made works and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art pursued by Dr. Baek Sung-wook, you need to know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Dr. Baek Seong-wook inherited the philosophical tradition of humanism, not God-centeredness, according to his teacher Buddha Sakyamuni. In his doctoral thesis on philosophy, Buddhist metaphysics, he saw Buddha as the subject of cosmos truth and Dharma as the object of cosmic truth. The reason why Buddha took a long time to unfold the law is that it took time to communicate between the subject of truth and the object. In his theory of trident organization, he revealed the structure of human society modeled after the universe. He made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a Land on this earth as an ideal, not a distant heavenly body, and saw the world of paradise as artificial. In fact, the world of Amitabha Buddha's paradise or the world of Yaksa Buddha is a world achieved by the great wishes that Bodyshatva established when he was enlightened. Maitreya Buddha comes to this imperfect world on earth, not heaven, and saves the people by making holy Buddha. This is also why Dr. Baek Sung-wook emphasized the most advance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mong human activities. He saw beauty as the most meaningful and valuable of human activities. He emphasized the greatness of our culture and spirit, started Tripitaka Koreanana preservation project, and work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Culture and Arts at Dongguk University. Dr. Baek Sung-wook's cultural arts and activities have the above philosophical background.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will summariz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Dr. Baek Sung-wook's culture and art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above discussions.

      • 평화의 두 가지 개념에 관한 논쟁: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

        정천구 ( Chun Koo Jeong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서석사회과학논총 Vol.4 No.1

        이 논문은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라는 평화의 두 개념 사이의 쟁점을 정리하고 그 사상적 배경을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소박하게 인식되던 평화를 ``소극적 평화``라 부르고 구조적 문화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라고 규정한 사람은 요한 갈퉁이다. 그는 평화를 단순히 폭력이 없는 상태로 규정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폭력에 의해 유지되는 질서도 평화로 보게 된다고 지적하였다. 눈에 보이는 폭력보다 더 무서운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평화학의 주된 과제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케네스 볼딩은 갈퉁이 구조주의적 사고와 과도한 평등주의로 사회적 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며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라는 개념 규정도 전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비판한다. 볼딩은 또한 갈퉁이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을 잘못 이해하여 사회의 잠재력이 소진된 평등한 사회를 이상향으로 설정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사실 갈퉁은 구조의 전면적 변화를 추구하는 급진이론가다. 그는 구조와 평등에 너무 집착하여 사회현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그는 스탈린의 소련 경제가 서구를 앞지를 것이라고 잘못 예측했고 마오쩌둥과 카스트로를 찬양하는 등 편향적 관점을 보였다. 또한 레이건은 리비아의 카다피에게 압력을 가한 폭력적인 지도자로 묘사하였다. 갈퉁의 이런 판단들은 진실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적극적 평화가 인류의 이상이라 해도 그것이 이룩되려면 일차적으로 전쟁이 없는 ``소극적 평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가능한 일을 순차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He who differentiated positive peace as absence of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from negative peace as mere absence of violence was Johan Galtung. He maintains that If peace is defined as the absence of violence, regardless of the source of violence, then social order maintained by violence is regarded as also peace. In peace research the main target should b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s and try to tackle the problems. Criticizing the Galtung`s theory of peace, Kenneth Boulding pointed out that Galtung`s defini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concepts of peace was mistaken and he failed to perceive the social realities because of his excessive egalitarian and structural thought. In Boulding`s critics, Galtung misunderstood entropy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reby identified entropy as a symbol of goodness and regards negentropy, that is, structure improbability, and potential, as evil. On the contrary, however, increasing social entropy means decreasing social potential, a sign of dying society. In fact Galtung is one of the radical theorists who seek drastic change of social structure. Too obsessed with structure and equality, he could not see social phenomena as they are. He predicted in 1953 economy of USSR(under Stalin) would soon overtake the West`s. Galtung championed Mao`s China and Castro`s Cuba. He listed Ronald Reagan as a super violent leader who repressed Lybia`s Qadhafi. I think those comments he made were so wide of the truth. Even if positive peace is a lofty ideal of mankind, in order to achieve such ideal we should achieve ``negative peace``(no war) first and then solve problems step by step admitting the limitation of human capacity.

      • KCI등재

        제6장 마음과 세계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08 민족사상 Vol.2 No.1

        프로이트가 인간의 심층의식에 주목하여 심리학을 개척한 이후 현대사회과학에서도 심리분석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불교에서는 오래전에 “모든 것은 마음이 지은 것”이라는 붓다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마음의 구조와 마음 닦는 방법이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불교는 마음을 심(心), 의(意), 식(識)으로 파악하고 이를 5가지 감각기관의 식, 분별하는 제6식, 자아의식으로서의 제7식, 그리고 저장식으로서의 제8 아뢰아식으로 분석하고 있다. 모든 현상은 8식에 저장된 식들이 인(因)과 연(緣)을 만나 발현되는 것이다. 닦음이란 8식의 순수한 부분이 오염된 부분을 정화하여 청정한 본심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붓다에서 시작되어 불교에서는 이렇게 청정한 본마음을 회복하여 이상적 상태인 열반에 이르는 수행방법이 정교하게 개발되었다. 핵심은 산란한 마음을 하나로 집중하는 지(止)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관(觀)의 수행인데 선(禪)에서 지와 관은 다른 말로 정(定)과 혜(慧)라 하며 이는 분리 수행이 아니라 함께 닦는 것(定慧雙修)이라고 한다. 대승불교는 자기 한 마음 만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 남의 마음 구별 없이 마음속에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닦기 때문에 마음 닦는 일과 정치사회적 문제를 다스리는 일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치사회적 문제들의 진단과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붓다의 마음 닦기는 크게 유용한 것으로 본다. 현대사회의 제 문제들이 인간의 본심에서 너무 멀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의 청정한 본심을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Since Freud first elaborated the theory that mind is a complex energy system, many psychological analysis on politico-social subjects have been carried. In the ancient Orient, Buddhism developed an elaborated theory of mind and mind control techniques after the Buddha had declared that all is mind made. Mind is composed of eight different sorts of consciousness, namely five threshold consciousness, six sense, self consciousness, and no.8 consciousness in Buddhist mind theory. Every thing manifested itselffrom the eighth which is the storehouse of all the consciousness when every stock in it meets its cause and occasion. Buddhist mind control practice is to purify the contaminated part of the eighth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its pure part thereby recover our pure and undefiled mind. Concentration(止 or 定) and contemplation(觀 or 慧)are the two pillars of the practice. The two should be practiced concurrently not separately. Mind should be concentrated and contemplated at the same time. In Mahayana Buddhism, the trainee's goal is to purify not only one's own mind but also every mind of living beings that arises in his mind. So mind control and practice in Mahayana system necessarily deals with political and global issues. Since almost every important issues in the modern world is contradictory with the pure human mind, it requires the recovery of the pure mind before we think of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is sense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of mind would be very helpfu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itico-social problems in the modern world.

      • KCI등재

        한국의 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국가는 자국의 안보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상대측의 대응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자국의 안보를 더위험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모든 국가들은 어떤 수준으로 안보를 추구해야 할지 안보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된 이래 한국정부는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때 자주노선과균형자 역할 등을 시도해 보았으나 어느 것도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없었다. 전체주의 독제체제세습체제를 유지하고 한반도의 현상을 타파하려는 목적으로 핵을 개발하고 있는 북한은 안보딜레마가 아니라 억지전략과 유인정책으로 대응해야 할 안보문제를 제기할 뿐이다. 한중관계는 경제적으로 중요하나 포괄적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으며 한미동맹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켜야 한다.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존재는 한국의 안보는 물론 국가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한미동맹은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을 뒷받침해 왔던 것이다. 주한미군이 한국에게 주는 경제적가치만 계산해도 매년 백 수십조 원을 넘는다. 이제 국내외적 여건의변화로 한미동맹도 21기형 동맹으로 변화하고 있다. 2008년과 2009 년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을 전략적 동맹으로 격상하고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으로 발전시킨다는 21세기 한미동맹의 비전에 합의하였다. 21세기 한국의 대외전략은 네트워크형 외교와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미국은 한국과 가치를 공유할 뿐 아니라 국제질서를 움직이는네트워크의 중심 국가이다. 미국과의 가치동맹은 한국이 안보딜레마를해결하고 미국이 이끄는 상층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security dilemma is generally used to denote the self-defeating aspect of the quest for security in an anarchic system. In the system, each party's power increments are matched by the others, and all wind up with no more security than when the vicious cycle began, To solve the security dilemma posed by its the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with China, the ROK’s governments since 1993 for a while tried to pursue a self-reliance police and a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But none of them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ROK-USA allianc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nuclear forces to maintain its hereditary dictatorship and to force South Korea to accept its own terms. So what North Korea has raised is no more a security dilemma but only a security problem that can be dealt with deterrence policy. The Korea-China relation is economically important but cannot compare with the ROK-US inclusive strategic security alliance and cannot be an alternative. With maintaining the strong ROK-US alliance, Seoul should try to seek diplomatic balance between US and China. For over almost 60 years, the ROK-US alliance and presence of US military forces in Korea has played a critical role as peace keeper on the Korean Peninsular. It has also helped South Korea to become the world number 10th prosperous economic power by providing the secure situation and reducing the country risk. A surve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USFK, its security cost saving effect and economic contribution effect more than 171 billion dollars. Due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and domestic situations, ROK and the United State have agreed to upgrade the alliance to a strategic alliance for the 21st century. They also have agreed to transform the alliance into value alliance, trust alliance and peace-settlement alliance. Korea’s foreign and diplomatic strategy should be networked diplomacy and seek networked solidarity.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common security interests but also common democratic values with Korea and she is the center of the network which leads the world. I am sure that the ROK-US strategic alliance will be the corner stone for South Korean foreign strategy in solving its security dilemma/problem and expanding its global network.

      • KCI등재

        한중관계와 북핵문제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2

        이 글은 한중관계의 발전 속에서 한중양국의 한반도 안보정책과 북핵정책을 비교하고 이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안보정책은 지난 10년 동안 대복포용정책을 우선순위로 하고 한미공조를 소홀히 했으며 중국과의 협조에 지나치게 의존하였다. 2006년 7월의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10월 9일의 핵실험은 이러한 정부의 안보정책이 완전히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안보정책은 근본에서부터 재검토되어야 한다. 중국은 국가목표인 경제발전과 소강사회(小康社會)의 건설을 위하여 주변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안보정책의 목표로 삼고 있다. 중국은 북핵문제에 대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조선의 비핵화 그리고 평화적 방법과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3원칙에 따라 대응해 왔다. 중국의 이러한 안보정책은 한국의 그것과 일치하는 점이 있으나 우선순위를 북핵 해결보다는 북한의 생존유지에 두고 있기 때문에 북한 핵의 폐기를 제일의 목표로 해야 하는 우리의 정책과 차이가 난다. 또한 중국의 북핵 해결을 위한 의지와 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북핵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국에 대하여 과도한 기대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황의 악화를 막고 대화의 국면으로 이끌어 가는 제한된 역할에 만족해야 한다. 한중관계는 92년 수교 이후 교역량이 1,000억 달러를 초과하는 등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비대칭적인 의존이 심화되어 문제발생시 중국의 일방적 압력에 한국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미국과의 공조를 회복하고 경제면에서도 한미 FTA의 체결 등을 통해 중국세력과의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은 요란한 대북협조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미사일 발사 실험과 핵실험을 통해 핵무장의 문턱에 이르도록 이를 막지 못했다. 그렇게 된 이유는 포용정책의 그늘에 가려 북한의 의도와 능력을 의도적으로 과소평가 했고 1차 핵 위기를 계기로 핵문제에 대한 주도권을 한국이 미국에게 넘겨주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핵문제는 북미에게 맡기고 남북관계개선에만 주력한 결과 북의 핵개발을 결과적으로 도와준 것이다. 북한 핵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안보정책의 우선순위를 대북포용에서 북핵 저지로 바꾸어야 하며 민족공조라는 북의 선전술에서 벗어나 대미공조 등 국제공조를 회복해야 하고, 한반도 핵문제에 있어서 발언권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olicies of Korea and China on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and present alternative policy options for Korea's security. During the past twenty years South Korea's security policy has been solely guided by its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weakened the Korean-American alliance leaning toward China. The North Korean missile test in July and nuclear test in October respectively last year proved the failure of such policy and called for drastic change of our security policy. As for China, its main security policy goal has been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ir surrounding areas including Korean Peninsular in order to secure their national goal-its economic development. China's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ograms has been guided by the three basic principles, namely peace and security of Korean Peninsular, nuclear free zone of Korean Peninsular and peaceful solution of the issues through dialogue. In a sense, China's security policy goals have common with Korea's, Still they differ in that China's policy priority is to sustain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whereas ROK’s is to deter the nuclear weapons programs. Moreover, since China's will and capacity to exercise its influence toward North Korea is limited, it is not so good for Korea to expect too much from China in security matters. Since 1992,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has improved quickly making China Korea’s number one trade partner. Now Korea finds itself so vulnerable to China's Sino-centrism. In order to balance its vulnerability, Korea should strengthen the mutual aid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accomplish the FTA negotiation with the U.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South Korea failed to deter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is that Korean government has underestimated the North Korea’s will and capacity of developing nuclear weapons programs over-emphasizing its engagement policy toward the North. Furthermore from the first nuclear crisis in 1993, Korea also lost its initiative in dealing with the North in the nuclear issues. Taking the initiative, America has dealing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as absorbed to engagement policy towards the North. South Korea should change its security policy priority from engagement toward the North to deterrence to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try to recover its initiative on the security matters and have its voice in the six-party talks.

      • KCI등재

        화쟁사상의 분쟁해결 적용 가능성 연구

        정천구(Jeong Chun-Koo) 21세기정치학회 2003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3 No.2

        Wonhyo (617-686) has been one of the greatest thinkers of the indigenous Korean philosophical tradition. Throughout his works, one of his main aims was to reconcile the doctrinal controversies among the schools of the Indian and Chinese Buddhism. His idea of Reconciliation has been inspired major subsequent Korean thoughts and become one of the main currents of Korean thoughts. This work aims at defining the core of the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and its implication to the conflict and dispute resolution in the real world. It seems that the basic ideas and methods of the theory of reconciliation of doctrinal controversies can be applied to the conflict and dispute resolution. I found that the core concepts in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are one-mind and greed-free behavior. According to Wonhyo, there is no controversy that can not be reconcile if we recover our one-mind. His notion is that one-mind transcends the subject and object and all kinds of oppositions. There are two sides in the one-mind, one being the mind of absolute truth and the other the mind of rebirth. With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des, they recover one-mind and thereby realize reconciliation. We can apply the idea of reconciliation through finding a common ground like one-mind to the dispute resolution. Whether they are political conflicts or international disputes, if they find their common interests and goals, they can easily find the ways of harmonization. In Wonhyo's works, we can find several specific methods of reconciliation. The first thing is to free conflicting sides from their extreme attachment to their arguments or positions. Those extremist attitudes, in Wonhyo's theory, come from their cling to their perception of a person or a dharma. Perception of a person is developed to the group egoism or extreme nationalism while a perception of a Dharma is apt to be the extreme devote to their one-side truth. Wonhyo's notion advises us to realize the reality and to free ourselves from our extreme attachment to our position in order to achieve reconciliation. Secondly, Wonhyo's concept of one-mind hints us to find a common interest and a goal among the disputed parties. Finding common ground, one can easily develope a sense of community and a way to live and prosper together. What Wonhyo teaches us is, however, that we should not be seized again by the concept of oneness. We should be flexible and free from being seized again on a common interest or a goal. Finally, Wonhyo advises the reconciliator how to behave between the conflicting parties. Agreeing with one party's position, there will be no solution. At the same time if he agrees with all the parties, they quarrel more seriously. On the contrary if he disagrees with both, he may become their common enemy. Do not agree and do not oppose to any party is Wonhyo's wisdom of reconciliator. It means that the reconciliator can disagree with any party's argument for he can easily find false notion in their words, while he can agree if he tries to find the real meaning of the words. This wisdom in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can be used by the negotiator in the international disputes. In conclusion, I realized that even if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dealt with the doctrinal controversies among Buddhist schools it can be used as a wisdom of dispute resolution. His philosophy and way of thinking give us very important insights in our efforts to resolve internal and international disputes alike. In this respect I propose that the basic idea of Wonhyo's theory of reconciliation be one of the Korea's external policy principles just as India made its foreign policy guidelines from its traditional thoughts like non-violence and right pa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