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의 여성건강 기반 구축 현황

        정진주(Chung, Jinjoo)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1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는 달리 여성의 요구와 젠더 관점을 수용한 건강정책이 매우 부족한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젠더관점의 건강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성(젠더)건강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데, 한국의 경우 그 인프라는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선진국의 여성건강 기반 구축의 경험을 살펴보아 한국의 미래 청사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여성건강 인프라 구축과 정책실행이 상대적으로 잘 수행된 경험이 있는 캐나다를 사례로 선정하여 여성건강 기반 구축 현황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캐나다의 여성건강정책에 대한 기존문헌 및 인터넷 자료의 검토, 캐나다 현지 기관 방문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캐나다의 인프라 구축에서 정부 단위의 여성건강 전략 및 종합계획의 수립 및 실행, 여성건강정책의 사회적 모델 채택, 여성건강 예산의 확보, 여성건강 담당부서와 인력 마련, 여성건강 정보생산 및 모니터링 체계마련, 여성건강연구 지원의 확대, 여성건강에 대한 지식통역과 교육, 여성건강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사회에서의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foundation of women’s health policy and infrastructure in Canada.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actively prepared for women’s health policy,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Canadian case to understand components and porcess of women’s health infrastructure. Literature review and 10 days of visit to Canadian organizations related to women’s health help to grasp the nature of structural formation of women’s health policy.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women’s health plan and budget for women’s health policy, adopt social model of health policy and increase women’s health research, women’s health network and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탈북 학생들의 고등학교와 그 이후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능동적 노력과 구조적 제약의 상호작용 -

        정진주(Pearl J. Chung),손다(Dajung Sohn),김효선(Hyo-Sun Kim),홍원표(Won-Pyo H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탈북 학생들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의 학습경험을 능동적인 학습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들의 노력과 그 결과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를 다닌 경험이 있는 11명의 탈북 학생들로부터 수집된 질적 면담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탈북 학생들은 학업, 진로,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형성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반면, 구조적·제도적 한계가 그들의 학업과 적응을 가로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학생들보다 제한된 교육기회와 여건, 입시에 대한 정보 부족, 탈북자들에 대한 편견 등이 연구에 참여한 탈북 학생들의 교육과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탈북 학생들의 교육을 가로막고 있는 구조적 제약을 완화하기 위하여 일반 학교에서의 교육 문화와 여건의 개선, 대안고등학교의 교사 훈련과 교육과정의 체계화, 대학교에서의 탈북 학생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을 주요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of eleven North Koreans, this research examined how school curriculum, post-secondary paths, and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affect their experiences in South Korea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North Korean students make efforts as active agents to overcome diverse obstacles they encounter in schools, yet structural limitations continued to hinder their academic success. In particular, lack of authentic learning opportunitie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post-secondary opportunities, biases about North Koreans appeared to influence their experiences in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at making public schools more accessibl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alternative high schools, assisting North Korean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more systematically are necessary for their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n schools.

      • KCI등재

        Intervention Approaches to Reverse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정진주(Pearl J. Ch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학업부진 학생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업의 접근 방법과 배경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연구를 기반으로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업에 대한 분석틀을 도출하고, 사회 정서적 접근, 사회 구조적 접근, 학문적 접근, 결과 지향적 접근, 종합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업의 배경 및 현재 접근 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과 미국은 학업부진 학생의 교육 기회를 늘리고 학업성취도 격차를 줄이고자 학문적 및 사회 구조적 접근 방법의 기초학력 보장 사업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신자유주의적 정책으로 인해 결과 지향적인 접근 방법이 도입되고, 성과에 주안점을 둔 사업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한국의 경우 2013년 학업성취도 평가와 결과 지향적 접근의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업을 중단하였다. 2014년 이후 한국은 두드림학교를 운영하고 있고, 미국은 대표적으로 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종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교사들의 협업을 도모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한국과 미국은 표준화된 학업성취도 평가 및 책무성 관련 교육 정책의 방향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past and current intervention approaches to reverse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terventions are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five intervention approaches; social-emotional approach, socio-structural approach, academic approach, outcomes-oriented approach, and holistic approach. Findings show that interventions in the two countries had taken the academic and socio-structural approach aiming to support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from the aspect of increas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losing the achievement gap. Heavy emphasis on standardized tests in the 2000s, however, shifted the approach towards outcomes-oriented interventions, inducing side effects yet showing trivial quantitative gains in academics. Current interventions, namely the Do-Dream school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ppear to be taking a more holistic approach, where teachers provide enriched curriculum through shared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on. The two countries, however, show differences in educational policies, particularly on the level of accountability measures and the use of standardized test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의 일과 건강

        정진주(Chung Jinjoo) 한국여성학회 2002 한국여성학 Vol.18 No.1

        사무직은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은 직종이나 이 집단의 건강에 대한 실태파악이나 정책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사무직의 노동환경은 전통적인 물리적, 화학적 요인과는 다른 요인이 더욱 중시되고 장기간 누적되어 나타나는 직업성 질환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건강현황을 파악하고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방향제시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사무직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구, 사회적 요인, 작업환경의 제반 요인과 근골격계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작업적 요인을 포함한 질문지를 작성, 872부의 질문지를 대상으로 집단간 교차비(odds ratio)를 분석하였다. 미국산업안전보건기구가 규정하고 있는 기준에 따를 때 전체 응답자의 62.5%인 545명이 질환을 호소하였다. 근골격계질환 발생과 관련된 요인은 평균근무시간, 잔업/특근 여부, 작업 중 휴식시간, 작업량 조절가능, 작업강도, 직무의 요구량, 동료와 상사로부터의 정서적인 지원, 스트레스, 피로, 음주회수로 나타났다. 근골격계질환을 호소함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질병을 보고하지 않은 사람은 83.4%였고, 근골격계질환에 관한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는 노동자가 95%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심각한 근골격계질환발생의 감소를 위해서는 현재의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을 권고수준에서 사업주의 강제사항으로의 변경과 성인지적 관점에서 성별 노동환경과 질환에 대한 자료 구축, 보건관리의 혜택이 성평등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Concerns of women's health have mostly focused on women's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recently on women workers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omen's absorption into clerical work has rapidly increased, yet their health conditions in relation to working environment have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In fact, clerical workers work in the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from what tradition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law has covered. In the office working setting, physical and chemical risk factors are not so much important as factories and occupational disease, not injuries, recognized after long-term, is preval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nditions of female clerical worker's health paying special attention to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and suggest a way to improve health of those workers. To understand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SDs among female clerical workers, we used a questionnaire containing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various dimensions of working environment and non-occupational variables. 8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odds ratio was obtained to understand group difference by each variable. According to NIOSH definition of MSDs, 62.5% of workers had symptoms at least one part of body. Workers had the most severe symptoms on shoulder and hick, wrist/hands/fingers, knee/ankle/, ann/elbow in order. Factors affecting prevalence of MSDs were average working hours, overtime work, duration of break time during working tim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job demand, labour intensity, social support, stress, level of tiredness and alcohol drinking. In spite of recognizing MSDs, 83.4% of workers did not report their symptoms to the company or trade union. Thus workers did not have opportunities to have appropriate treatment and ask for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n addition, 95% of workers have never had education on MSDs. Since many female clerical workers had MSDs, several measures should be suggested. First, currently Korea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OHS) law regulates MSDs only through various recommendations that company owner should take. Thus the recommendations should be at the level of law giving more responsibility of company owner to take substantial actions at the workplace. In addition to the reform of law, every workplace should establish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analyze health problems, make changes and evaluate those changes for the following changes of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se measures, clerical workers could have education on work-related diseases and make changes of various dimens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특집/동강댐의 환경사회학]환경분쟁에 있어서 지역운동사의 전개 - 동강댐 건설을 중심으로

        정진주(Jinjoo Chu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 No.-

        동강댐 건설에 관한 논쟁은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과 활동을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 또한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개입하여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조직적이고 구제적인 활동을 한 환경사안으로 역사적 획을 긋게 된다. 공동조사단의 결정으로 일단은 댐의 백지화라는 결론이 내려진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의 동강댐에 관한 역시를 4시기로 나누어 지역주민의 댐 논의를 운동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br/> 1990년의 홍수로 댐의 필요성이 제기된 이래 동강댐에 관한 논의는 4시기로 구분될 수 있다. 199 년-1996년 시기에는 동강댐의 영향권에 있던 영월과 정선에서 각기 댐 건설에 관한 상반된 입장을 갖게 된다. 영월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가 심했던 만큼 댐 건설의 필요성이 댐의 안정성 문제나 자연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한 소수의 의견에도 불구하고 지배적이었다. 정선은 댐의 안정성과 군의 침몰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지역유지를 중심으로 주민이 참여하여 결사적인 반대운동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96년 후반과 98년 초반에는 각 지역 에서 댐 건설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양극화되어 갈등적이고 대립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양분화는 수자원공사의 댐 예정지 고시와 함께 사업단의 영윌 진출에 따라 댐 건설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수몰민 지역주민은 경제적 보상에 대한 우려로 기존의 반대의 입장에서 댐 건설 찬성으로 선회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각 이해당사자는 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적인 기반을 다지게 된다. 또한 이 시기는 환경단체가 댐 건설 반대운동에 적극적으로 연합하기 위한 전초전을 갖게 된다.<br/> 제 3시기인 98년초반 99년중반에 이르면 특히 영월지역의 반대운동은 환경단제의 적극적인 개입, 전국적인 시민의 동조, 이에 따른 군과 도의 정치적 차원의 댐 건설 반대의 공식적 선언으로 운동이 최고지점에 이르게 된다. 반면 수몰민 중심의 댐 건설 찬성 입장은 반대운동과의 선을 명확히 긋지만 계층적인 한계와 생태가치를 주요 운동가치로 내세우는 반대운동의 수세에 몰리게 된다. 전반적으로 댐 건설 반대운동이 우위를 점하면서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제까지 소외되었던 수몰민의 보상, 지역경제의 활성화 등이 다시 해결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일기 시작하면서 조사단의 결정으로 댐 건설은 백지화된다. 댐은 백지화되 었지만 그동안의 논쟁으로 지역공동체는 결렬되었고 향후 동강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는 아직도 미해결의 과제인 셈이다.<br/> <br/> <br/> <br/> <br/> The environmental movement against the construction of Dong-Gang Dam has gamed national attention, thereby helping Koreans to become more aware of environmental Issues Various interest groups m the affected area held different views about the proposed construction of the dam, organizing themselves in support of or opposition to the plan.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s, organization and strategies of the movement at the local level as well as examining the nature of conflict among the interest groups m the area.<br/> The flood in 1990, which marks the beginning of the debate over the dam, provoked different reactions from the people living m the area Many people were in support of the dam since they thought the dam would prevent future floods Those hying m the area that Will be submerged upon the construction of the dam also welcomed the proposed construction, demanding appropriate economic compensation in return. Campaigning against these advocates of the dam were those who opposed m the belief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and m the area was not stable enough to build a dam. The opponents of the dam also argued that the dam would leave people With nothing Due to such divergent views about the dam, the two parties were m serious conflicts for a long time Breaking such stalemate was the involvement in the matter by national and regional environment groups Their Involvement generated interests among urban residents, turning what was once a local and non-environmental Issue into a national and environmental one In the process, the party that opposed the building of the dam earned support from indirect interest groups, and subsequently, public opinion favoring the preservation of the area won, at least for now, because the plan has been put on hold<br/>

      • KCI등재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정진주(Chung Jin-Joo)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지난 몇 달간 우리 사회에 낙태가 쟁점이 되고 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낙태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한편,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산부인과 의사 간의 낙태 논쟁 및 고발이 진행 중이고 여성계와 정부도 이에 대한 대응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낙태의 정책방향을 여성건강의 관점에서 제시하기 위해 유럽의 사례를 고찰하는 데 있다. 낙태의 법적·사회적 수용도 및 안전한 낙태시스템 보장 수준을 기준 삼아 아일랜드, 영국, 네덜란드 세 국가를 선정하여, 개별 국가의 낙태에 관한 국가정책, 법적 기준, 의료체계, 시민사회 등의 역학이 여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들 국가의 경험은 여성의 요청에 의한 낙태 시행, 낙태를 위한 의사의 복잡한 입증을 전제로 하지 않는 낙태제도, 투명하고 익명성이 보장되는 정보제공 및 상담, 임신 초기단계의 빠른 낙태 결정, 의료진의 질 높은 낙태를 위한 교육 및 훈련, 낙태 서비스의 공공지원을 통한 모든 여성의 낙태 접근도 향상, 안전한 낙태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체계구축 등과 같은 장치가 안전한 낙태를 위해 한국 사회에서도 시급하다는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여성의 요청에 의한 ‘안전한 낙태’와 원치 않는 임신의 예방정책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통해 건강한 여성과 사회가 재생산될 수 있다. For the last several months, abortion debates have sparkled in Korea. The government has escalated the need of active punishment of illegal abortions to solve low fertility problems, while some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 have proclaimed stoppage of illegal abortions suing colleague doctors who has conducted illegal abortions. Women’s rights groups and researchers have also responded to the abortion debate claiming that women’s decisions over their pregnancy are important in making of abortion policies. To contribute to Korean abortion debates, his paper aims to analyze European experiences of abortion polices in relation to the consequences on women’s health. For the analysis of European abortion experiences, three countries ? Ireland, U.K, and Netherland ?are chosen. These three countries are selected since their legal and social acceptance of abortion and the level of safe abortion system are different. Each country is reviewed by national abortion policy, legal regulation, medical system and the role of civil society. The analysis shows several implications for abortion debates occurring in Korea. Various systematic policy mechanisms - abortion on women’ request, abortions without complicated doctor’s referrals, transparent and anonymous counsel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regarding abortion, training and education for medical professionals to guarantee high quality abortion, abortions funded publicly for women to improve their access to abortions, steady monitoring and auditing abortion procedures and outcomes for safe abortion and so on ? are required in Korean society. Two track procedures - safe abortion on women’s request and prevention of unwanted pregnancy ? are needed for reproduction of healthy women and society.

      • KCI등재

        Reexamining Textbooks as a Gender Tex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정진주(Pearl Jinjoo Chu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미래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실과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실과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화보를 분석하고 그 안에 내재된 성역할 고정관념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실과교과서의 화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그림과 사진이 묘사하고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을 분석하고, 둘째, 직업과 관련된 화보를 점검하고 성역할 고정관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과 여성의 화보 출현비율은 비슷했으나, 남자는 남성다움을 드러나거나 활발한 운동을 하는 것으로 표현되었고, 또한 집안의 경제원을 갖고 있는 회사원으로 묘사되었다. 반면, 여자는 애정을 주는 부모의 역할로 표현되거나 여자 아이들은 자신의 외모에 신경 쓰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남녀 성역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사활동 및 학교활동에 평등하고 균형적인 남녀 화보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과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남성이 공학이나 의사 등 전문적인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패션과 관련된 직업이 가장 많이 출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회활동 및 직업적인 영역에서도 남녀 화보를 결정하는데 있어 더 깊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presentations of gender stereotypes in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identify undergirded conceptions that influence students’ formation of gender roles. For this research,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from Gyo-hak-sa and Chun-jae Education, a total of 4 textbooks are examined in the following areas: 1) frequency of male and female depictions in textbooks, 2) portrayal of gender stereotypes in illustrations, and 3) gender stereotypes depicted in vocations. From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illustrations are almost identical. However, more males are represented as masculine and active who financially support a family while females are portrayed as care-providers and nurturers. Second, more males are projected to have higher status jobs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medicine whereas more females are illustrated in fashion and beauty related fields. As a result, a balanced delineation as well as careful selections of male and female illustr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gender roles, identity, and gender equit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