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통령선거를 통해 본 지역주의의 시작과 그 변화 양상

        정준표 ( Joon Pyo Ju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2

        이 논문은 정치의 전국화와 더불어 정당(후보)별 득표의 지역(광역지역 혹은 지방)적 분포를 활용하여 두 정당(후보) 간 및 두 광역지역(지방) 간의 동질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를 개발하고, 이 지수들을 활용하여 역대 국민직선에 의한 경쟁적 대통령선거 에서의 지역주의의 유형과 그 강도, 그리고 지역주의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서술하고 분석한다. 이 논문의 여러 분석결과 중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당체계의 변화를 초래한 요인으로서의 지역주의는 제7대 대통령선거가 아니라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시작되었다. 둘째, 지역주의의 유형과 그 강도는 유권자의 지역주의적 투표 행태에도 좌우되지만 유권자에게 제공되는 선택지의 내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셋째, 많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출생지는 지역주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정치의 전국화라는 시각에서 보면 제13대 대선 이후 지역주의는 점차 완화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The paper develops indices for measuring nationalization of politics and degrees of homogeneity between two regions/localities as well as between two parties/candidates based on the distributions of votes for parties/candidates across different regions/ localities. It uses these indice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pattern and strength of regionalism in each competitive election where the president was directly elected by voters and how regionalism has evolved through these presidential elect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mong others, are as follows. First, as a significant factor effecting changes in the party system, regionalism in Korea originated not from the 7th but from the 13th Presidential Election. Second, the pattern and strength of regionalism in elections were dependent not only on individual regional voting behavior but also on the content of alternatives offered to voters. Third, as man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birth place of voters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gionalism. Last, at least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zation of politics, there has been a general downward trend in the strength of regionalism after the 13th Presidential Election.

      • KCI등재

        한국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본 선거제도와 지역주의의 효과

        정준표 ( Joon Pyo Ju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2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선거결과의 비교 및 한국의 제6대부터 19대까지의 국회의원 선거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주의가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소선거구 최다득표제(single-member plurality system)가 정당의 수를 줄이고 선거의 득표와 의석 사이의 비례성을 왜곡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소위 “뒤베르제의 법칙”(Duverger’s law)을 통하여 잘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민주주의에 미치는 지역주의의 부정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지역주의가 소선거구 최다득표제에서 흔히 나타나기 쉬운 부정적 효과를 막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한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지역주의 때문에 한국의 선거결과는 통상 소선거구 최다득표제에서 기대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비례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지역주의는 선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당간의 급격한 의석의 변화를 일정 부분 방지함으로써 정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도 기여했다. This paper analyzes how regionalism in Korea affects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electoral system by using Japanese election results as well as Korean election results from the 6th 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t is well known from the so-called “Duverger`s law” that the single-member plurality system tend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ies and can lead to a significant distortion between the percentages of votes and the percentage of seats a party wins. This paper shows, despite its negative implications for democracy in general, that Korean regionalism served to check some negative consequences that are most likely to be produced under the single-member plurality system. For example, because of regionalism, Korean election results show a much higher level of proportionality than that is expected under the single-member plurality system. Korean regionalism also helped to prevent radical changes in seat distribution among parties, thereby promoting political stability.

      • KCI우수등재

        민주화 이후의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본 정치의 전국화

        정준표(Joon Pyo Jung),김정도(Jung Do Kim)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정당의 전국화와 지역의 전국화를 포함하는 정치의 전국화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1985년의 제1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2012년의 제19대 국회의원선거를 포함하는 8차례의 선거를 분석함으로써 이 지수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정치의 전국화에는 특정 시점에서의 선거결과의 지리적 동질성의 정도에 주목하는“정태적/분포적 전국화”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선거결과의 안정성에 주목하는“동태적 전국화”라는 두 차원이 존재하는데,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는 정태적 전국화의“확산”측면이다. 이는 정당의 전국화와 관련해서는 정당들이 한 국가의 여러 다른 지역적 단위에서 유사한 수준의 선거상 지지를 받는가에 주목하는 것이고 지역의 전국화와 관련해서는 특정 지역에서의 정당지지의 분포가 전국 차원에서의 정당지지의 분포와 어느 정도 동질적인가에 주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PNS<sub>θ</sub>, PSN<sub>θ</sub>, RNS<sub>θ</sub>, RSN<sub>θ</sub> 등의 다양한 지수는 전국화 지수가 만족해야 할 여러 바람직한 특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대 국회의원선거부터 8차례의 국회의 원선거에 적용해 본 결과 정당(체계)의 전국화 지수(PNS<sub>θ</sub>과 PNS<sub>θ</sub>)의 경우 지니계수에 근거한 이미 개발된 다른 지수와 크게 다르지 않은 지수값을 산출하였다. 이 지수들은 그 계산도 지니계수에 근거한 지수보다 훨씬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역(체계)의 전국화 지수는 아애 지니계수에 근거할 수 없다는 점에서도 더욱 의미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수들은 적절한 주의만 한다면 지역주의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수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민주화 이후의 선거에서 정당체계의 전국화 및 지역체계의 전국화 지수값은 예상대로 그 이전 제12대 국회의원선거의 전국화 지수값보다 훨씬 낮게 나올 뿐만 아니라, 이 지수들에 근거한 분석이 지역주의 현상에 대해 흔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 대체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we develope indices for measuring nationalization of politics which includes region nationalization as well as party nationalization and test the adequacy of these indices by applying them to the 8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s from 1985 to 2012. There are two dimensions of nationalization. The first dimension to which we limit our discussion, static or distributional nationalization, considers the extent of geographic homogeneity of electoral results at a single point in time. The second dimension, dynamic nationalization, considers the extent of stability of electoral results across time. Our main focus is the dispersion aspect of the first dimension. Regarding party nationalization, this considers the extent to which parties receive similar levels of electoral support across different geographic units in a country. Regarding region nationalization, this considers the homogeneity of levels of support for parties in a region and in the whole country. We show by analysing National Assembly Election since 1985 using various measures of nationalization that the indices(PNS<sub>θ</sub>, PSN<sub>θ</sub>, RNS<sub>θ</sub>, RSN<sub>θ</sub> ) we developed, in addition to having various properties that a nationalization measure should satisfy, produce score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cores using previously developed indices based on the Gini coefficient. We also show that these indices, with due caution, can be used as indices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regionalism in Korea. As exp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both the scores of party system nationalization and those of region system nationalization in the elections after democratization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in the 12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 KCI등재

        한국 정당개혁의 모델

        정준표(Jung Joon Pyo) 21세기정치학회 200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8 No.2

        Despite recent party reforms, old problems of Korean party politics have persisted such as unstable party system characterized by repeated creations and disappearances of parties, personalized party politics, parties based on the regional cleavage, and wide-spread public distrust in parties. The reforms based on the catch-all or electoral-professional party models could not ameliorate these problems since they sought efficiency at the expense of the democratic values of fair representation, participation and political freedom. Even there exists some empirical evidence that these reforms have distorted the representativeness of elections in the direction of disadvantaging peopl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The question is: where can we find an alternative party model that can be utilized to reform Korean parties? This paper proposes, as a model for party reform for Korean politics, the programmatic party which has a distinct, consistent and coherent programmatic or ideological agenda. It tries to show the potentials of the programmatic party model in solving problems of Korean party politics by comparing it with the electoral-professional party model and the mass party model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the programmatic distinctiveness, the size and character of party members, the nature of party's connection with the civil society, and the level of democratization in intra-party decision-making including nomination of party candidates. In addition, it claims that the Korean presidential system can operate more smoothly with programmatic parties with distinct programmatic agenda than with electoral-professional parties which are prone to degenerate into power-seeking pragmatic par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선거와 정치자금: 제19대 총선의 정치자금 결정요인 분석

        정준표(Joon Pyo Jung),김진하(Jin-Ha Kim),김정도(Jung Do Kim)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3 국제정치연구 Vol.16 No.1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mount of political funds available to candidates in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s? Using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s official political finance data for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e paper tri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sults based on b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whether a candidates ran in a rural district or not, whether he won the election or not, whether he had previously won any election or not, whether he belonged to the regional hegemonic parties or not, which ranking he had in terms of votes won and to which party he belonged all made, as exp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results based o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candidate’s share of the vote as the proxy for his prospect of winning show that once the number of towns and population of the electoral districts are controlled whether a candidate ran in a rural district or not no long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candidate’s share of the vote was most important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a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as candidate’s share of the vote increased, his political funds in case when he had previously won any election and/or belonged to the regional hegemonic parties increased less steeply than in case when he had neither won any election nor belonged to the regional hegemonic parties or even decreased.

      • KCI등재후보

        5ㆍ31 기초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선거제도의 효과

        정준표(Joon Pyo Jung) 한국정당학회 2007 한국정당학회보 Vol.6 No.2

        5ㆍ31 기초의원선거는 여러 측면에서 그 이전의 선거와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첫째, 정당공천이 허용되었다. 둘째, 후보자의 기호를 배정하는 데 있어‘가나다’순이 사용되었다. 셋째, 지역구 기초의원선거에서 중선거구제를 전면적으로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약 10%를 상회하는 기초의원은 정당명부에 의한 비례대표제에 의해 선출했다. 본 논문은 주로 대구 및 경북지역의 선거결과를 사용하여 이 같은 제도상의 변화의 결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거구의 크기가 충분히 작을 경우, 선거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1당이 항상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다. (2) 도시화의 수준이 높아지거나 선거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무소속후보는 더욱 불리해진다. (3) 도시화의 수준이 높아지거나 선거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기호의 효과가 커진다. (4) 정당공천의 금지는 많은 대도시 유권자에게 후보자 선호의 유일한 실질적 근거마저 제공하지 않는 것에 해당한다. The 5ㆍ31 Municipal Council Elections we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lections in several respects. First, parties were allowed to nominate their candidates. Second, Korean alphabetical order was used in positioning candidates in the ballot. Third, all regional districts were multi-member districts. Last, a little over 10% of the council members were elected b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from party lists. This paper analyzes the consequences of these institutional changes using mainly the election results of Daegu and Gyungbuk reg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long as the district magnitude is small enough, increasing the district magnitude does not necessarily hurt the largest party in the district. (2) Independent candidates are hurt as the level of urbanization goes up and as the district magnitude increases. (3) The effect of the ballot order increases as the level of urbanization goes up and as the district magnitude increases. (4) Prohibiting party nomination of candidates amounts to not even providing many voters in metropolitan area with the sole substantive basis for candidate preferences.

      • KCI등재

        독일선거제도

        정준표(JUNG Joon Pyo)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2

        이 논문은 2013년 선거법 개정 이전과 이후의 독일선거제도의 작동원리를 비교·분석하고 독일식 선거제도의 한국 도입이 과연 바람직한가를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의 주요 주장은 다음과 같다: (1) 소선거구 최다득표제에 의한 한국의 지역구선거는 지역주의 때문에 이미 상당히 높은 비례성을 보인다. 따라서 비례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독일식 선거제도를 도입하자는 주장의 설득력은 그렇게 강하지 않다. (2) 독일식 선거제도는 지역별로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의석분포와 관련된 ?지역구도?는 완화하겠지만 득표분포와 관련된 ?지역주의?도 완화할지는 의문이다. (3) 독일식 선거제도는 초과의석 그리고 2013년 독일식 선거제도의 경우에는 이에 더해 보상의석의 존재로 인하여 총의석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4) 따라서 독일식 선거제도를 도입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병립형 선거제도를 유지하되 비례의석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per compares the German electoral system before the 18th German federal election in 2013 and that used in the 18th election and analyses how the two systems operate. Then it discusses whether it is desirable to import German style electoral system into Korea. The main claim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Constituency election results under the single-member plurality system currently show, because of regionalism, a rather high level of proportionality, weakening the persuasiveness of the claim that German style system should be imported into Korea to produce more proportionate results. (2) Though German style electoral system may ameliorate regionalism in seat distribution, it is very doubtful whether it can also ameliorate regionalism in vote distribution. (3) German style electoral system, if applied to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s, may greatly increase the number of total seats because it admits the existence of overhang seats and in addition, if it is a variant of 2013 German electoral system, compensatory seats. (4) Consequently,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portional seats in the current Korean parallel mixed-member electoral system before we adopt and experiment with the German style electoral system.

      • KCI등재

        5·31 기초의원선거에서 나타난 후보자 게재순위의 효과와 그 함의

        정준표 ( Joon Pyo Jung ) 대한정치학회 2010 大韓政治學會報 Vol.17 No.2

        모든 선거구가 중선거구였고 정당의 복수후보 공천이 허용되었던 5·31 기초의원선거에서는, 동일 정당의 후보자는 성명의 ‘가나다’ 순에 따라 ‘가’, ‘나’, ‘다’, 혹은 ‘라’ 기호를 받고 이 순서에 따라 투표용지에도 기재되었다. 그 결과 다른 기호를 받은 후보보다 ‘가’ 기호를 받은 후보가 압도적으로 많이 당선되었다. 이런 기호의 효과(후보자 개재순위의 효과)는 실제 어느 정도로 강한가? 기호 효과의 방향과 그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논문은 회귀분석을 비롯한 여러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이런 의문에 답을 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본 논문은 중선거구제와 정당공천제로 특징져지는 현행 기초의원 선거제도의 변경이 필요한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와 관련시켜 그 분석결과의 함의를 논의한다. In the 2006 Municipal Council Elections where all electoral districts were multi- membered and parties were allowed to nominate more than one candidates, candidates in the same party were numbered ``ga``(가), ``na``(나), ``da``(다), or ``ra``(라) according to the Korean alphabetical order of their names and were listed on the ballot in the same order. The major consequence of it was that much more candidates numbered ``ga`` were elected than candidates numbered ``na``, ``da``, or ``ra``. How strong was this ballot order effect? What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is ballot order effect? This paper t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the regression analysis. It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its findings with regard to whether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characterized by multi-member districts and party nomination of candidates should be changed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