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SVM 기반 야간 전방 차량 검출

        정정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Driver assistance system is very crucial to improv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driving. It is already commercialized in several systems such as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and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etc. Traffic jam assistant system and Stop and Go system are considered for complex driving situations. Efficient vehicle detect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driver assistance system. Most of the existing vehicle detection systems are based on radar system. It is possible to measure distance without knowledge of weather conditions by using radar. However, it has higher deployment cost and complexity overheads when there are many vehicles. Camera sensors are used to solve these problems due to radar system. Night time vehicle detection is more complicated than day time vehicle detection, since it is much more difficult in low light intensity environment to distinguish the vehicle’s features such as outline, color etc. This thesis proposes method to detect vehicles at night time by analyzing the color space to reduce reflection and blur from the images. Fisher’s score is used to evaluate each feature vectors to reduce not effective features. Performance of the four colors’ space aspects, namely RGB, YCbCr, normalized RGB and Ruta transform color domain are compared and evaluated. The optimal threshold value is obtained by otsu algorithm. Morphological features are used in the previous learning feature for support vector machine, however, these features cannot be used in various distances. The propose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mean, variance, skewness, kurtosis etc.) extracted from the histogram can be used to various distanc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pport vector machines classifier, this thesis proposes reduction method using feature vector by Fisher's criterion. The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the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to rank the fisher’s score are used to determine the order. The proposed method has less overhead and complexity.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existing methods in precision rate and recall rate.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형 순항제어 (Adaptive Cruise Control)와 전방충돌경고 (Forward Collision Warning)와 같은 운전자 보조시스템 (Driver Assistance System)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복잡한 주행 상황을 고려한 교통체증보조 (Traffic Jam Assistant)나 전방 주행속도를 고려한 Stop & Go 적응형 순항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자 보조시스템을 위해 강인하고 신뢰도 높은 주변 차량 검지 및 장애물 인지는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적응형 순항제어나 전방충돌경고 시스템의 경우 고속도로 환경에서 날씨에 상관없이 종방향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강인한 레이더를 기반으로 대부분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레이더의 경우 고가이며 센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전방 다중 차량이 근접하여 동일한 속도로 주행 시 이를 구분하지 못하며 정지된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는 등 복잡한 주행 환경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방 차량인식에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야간 환경에서는 주간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변 환경이 어둡고 빛에 의해 산란 및 반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의 외곽선, 색상 등을 추출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 논문의 주요목적은 야간 환경에서 전방 차량 인식을 위해 영상의 산란 및 반사 효과를 줄이기 위한 색상 개선 방법을 제안하고 실시간 시스템을 위해 차량 인식에 필요한 특징 벡터들의 개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후미등 특징 추출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RGB 컬러 분포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YCbCr 컬러 분포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Normalized RGB를 사용하는 방법, Ruta 변환을 사용하여 색상 추출 방법을 비교한다. Otsu 알고리즘을 이용한 임계값 선택 방법과 평균-표준편차를 이용한 적응형 임계값 선택 방법을 통해 최적의 임계값을 구한다. 전방 차량을 인식하기 위해 채널 별 히스토그램을 사용하는 방법과 제안된 통계적 특징(평균, 분산, 왜도, 첨도, 엔트로피)을 사용하는 방법을 비교하고 이를 서포트벡터머신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이때 서포트벡터머신의 성능 개선을 위해 피셔 기준을 사용한 특징 벡터의 차원 감소 방법을 제안한다. 후미등 특징 추출을 위한 전처리 방법은 각 컬러 채널의 분포를 분석하고 최적 임계값 선택 방법과 서포트벡터머신 분류기를 통해 프리시젼 (Precision)율, 리콜 (Recall)율, 알고리즘 처리시간을 비교한다. 특징 추출 방법은 히스토그램 방법과 제안된 통계적 특징 방법을 서포트벡터머신 분류기를 통해 프리시젼율, 리콜율, 알고리즘 처리시간을 비교하고, 서포트벡터머신의 성능 개선을 피셔 기준을 사용하여 각 특징 벡터의 중요도(Rank)를 판단하여 높은 중요도를 가진 특징 순으로 추출하여 서포트벡터머신 분류기를 통해 프리시젼율, 리콜율, 알고리즘 처리시간을 비교한다. 제안하는 방법들은 프리시젼율, 리콜율, 알고리즘 처리시간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낸다.

      • 대기업 아웃소싱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정정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의 아웃소싱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기업 아웃소싱 근로자를 대상으로 2020년 5월 25일부터 29일까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명에게 온라인으로 설문을 배포하였고, 그 결과 236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7부의 응답을 제외한 유효설문지 229부가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하기 위해 Windows용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구성요소 중 자기주도성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지향성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아웃소싱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사지원을 통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자연의 상징적 의미. 표현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정은 덕성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자연은 인간에게 있어서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었고, 인간 삶의 근간을 이루는 모태였다. 그런 자연의 신비하고 장엄함은 인간으로 하여금 표현하고 싶은 대상으로써 자연을 바라보게 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자연을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시각적인 표현으로써의 그림(회화)과 문학(글)을 들 수 있다. 이 둘의 관계는 동양회화(東洋繪畵)에 있어서 시화일체사상(詩畵一體思想)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은 공통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문학과 그림은 원류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원시시대부터 인간의 의사소통(意思疏通)을 담당하고 후세에 남길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 그림이었는데, 그 당시에는 그림이 문자와 같은 용도로 수용되었다. 인간은 상징(象徵)을 사용하는 상징적 동물(象徵的 動物)이며, 상징으로 복잡 미묘한 개념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 인간이 그린 회화 속에는 모든 인류, 민족, 시대를 거쳐가는 의사소통(意思疏通)적이고 자기 목적(目的)적인 상징적 기호로써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술가들은 그들의 표현 속에 자신만이 지각하는 수많은 경험들을 본인만의 조형언어로써 재해석하고 표현한다. 그리고 그 표현의 일환(一環)으로 상징을 사용한다. 전통회화의 소재인 꽃과 식물 등 모든 자연물은 본래의 자연이 아닌 화가의 정서와 사상을 통해 인간적으로 해석되어지고 탈바꿈된 자연으로 나타난다. 즉, 동양의 예술관은 자연의 사실적인 면을 재현하기보다는 자연 속에 자신을 투영시킨 주관적이며 직관적인 정신세계를 표현하여, 사물의 외형을 통해 그 내적인 것을 찾으려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상징(象徵)의 의미와 전통회화(傳統繪畵)에서 나타난 사군자와 화훼의 상징적 의미를 찾아보고, 본인의 작품 속에 등장한 식물들의 모습을 인간군상에 빗대어 본인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해 보았다. 또한 김수영 시인의 1968년 작(作)인『풀』의 상징적 의미와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내고자 했던 풀(식물) 속의 의미를 연관지어 생각해보고, 문학과 그림의 원류가 예술의 한 분야로써 인간의 감정을 노래한다는 근본적인 사실을 재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Nature has been the endless interest of human beings and the womb of the basis of human life. Such mystery and grandeur of nature have been attracting humans to see nature as an object which they want to express.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express nature, and pictures (painting) and literatures (writing) are included among them. These two methods have many common features so that the idea of unifying poetry and painting appeared. The reason for so many common features is that the origins of painting and writing are similar to each other. Pictures have been painted for peop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o leave them to their offspring since the primitive age. At that time, the pictures were used like characters. Human is animal symbolieum who uses symbols and human beings sometimes express symbolic and complicated concepts effectively. What humans paint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communicative and self-obj ective symbol which has been used through all human beings, races and ages. So, artists reinterpret and express various experiences whish they perceive only in their expressions with their own formative language. And they use the symbol as a method of expression. All nature including the flowers and plants which have been the subject matters of traditional paintings appears as changed and reinterpreted nature, not real nature, through artists emotions and ideas. Namely, the oriental artistic viewpoint was not the reappearance of real nature but the internal expression of external nature by expressing subjective and eidetic spiritual world which artists project in their mind.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ymbols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our Gracious Plants and flowers in traditional paintings were explained, and artists viewpoints which were expressed toward the group of people through the plants in their paintings were present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ymbolic meaning of Grass which Soo-Yong Kim, a poet, made in 1968 and the meaning of grass (plant) which he really wanted to express in the work was presented.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nfirm that the basis of literature and picture is an expression of human emotions as a part of art.

      • 금속과 옻칠을 혼용(混用)한 장신구 연구

        정정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장신구는 착용자의 치장 욕구 해소와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의 표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신구 재료인 금속과 함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재료의 혼용으로 새로운 장신구가 속속 나타나고 있듯 장신구는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옻칠은 기존과 차별화된 장신구를 제작하기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옻칠의 풍부한 색감과 장식기법과 함께 금태칠(金胎漆)기법, 여러 형태로 가공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금속과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었던 옻칠 개체와 금속 개체를 접합하는 방법을 해결함으로 새로운 조형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곡선미의 형태를 중심으로 총 7점의 작품을 브로치(Broach), 펜던트(Pendant), 반지(Ring) 세 가지 품목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장신구 개념의 변화에 따라 장신구 제작에 있어, 일반적인 재료인 금속과 다른 공예재료의 결합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장신구에 있어 재료의 혼용에서 오는 장점을 알고, 금속에 옻칠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용하여 나타나는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 기존과 차별화된 현대적이고 세련된 장신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옻칠을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하여 나타나는 장점을 통해 보다 대중적이고 친근한 장신구 재료로 옻칠의 사용 범위를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금속과 옻칠이 결합된 장신구 개발이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장신구로의 발전을 기대하며, 장신구의 재료로 옻칠을 사용하여 옻칠의 사용범위를 확장하고 시장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Modern ornaments try to meet both the desire dissolution of a wearer's adornment and a creator's desires to express him[her]self. Like new assortments of ornament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with the mix of diverse materials that can make the most of personality together with the existing ornamental material-metal, ornaments are demanding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tream. Viewed as such phenomena, Ottchil is a kind of material suited for making ornaments distinct from the previous ones. This researcher attempted at the combination with metal using a technique of varnishing metal with Ottchil and processed metallic materials in diverse forms,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of a color and decorative technique of Ottchil. In addition, this researcher could get a new design characteristic by finding a solution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individual for Ottchil with the metallic individual, which made the precedent research works undergo trial and error. As a result, centering on curvaceous forms, this research developed the three items-a broach, pendant and ring. This research, in the making of orna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ornaments, took a look at a variety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crafts materials different from general metallic materials. In such wise, being aware of the merit from the mix of materials in ornaments,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esign representation appearing by mixing the Ottchil with metal in diverse way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create modern and refined ornament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aimed at widening the using scope of Ottchil as a more popular and intimate ornamental material through the merits appearing with the use of the Ottchil as a material of ornament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revitalization of Ottchil market by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Ottchil by using Ottchil as a material for ornaments while hoping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combined with metal and Ottchil will be an impetus to the progress in the ornaments that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which modern people tend to pursue.

      • 초등학교 한국화 교육의 실태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정정은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Diverse art activities and education express the beauty of the world, and develoop the esthetical attitude to enjoy creativity, imagination and critical thinking power. Besides, it's intention is to uplift the human being who has ability to understand and succeed and to develop artistic culture. Preserving and developing a cultural heritage within national life guarantees nations existence and prosperity. Korean Art has the potential cultural power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at Korean Art represents a part of our creative heritage. Study and development of high valves and a comparison of contemporary pictures allows to apply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Art education. At this point, education on Korean Art is performed in education places in order to develop knowledge of our cultural heritage. But analysis of problems on Korean Art education show that it is handled roughly. I tried to collect precedence theses and docu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refer to new contents in Korean Art class. I also analyze questionaires which were sent to 246 teachers in schools located in Chungnam, to help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 education and the problems of teaching guides, and then presented the improvements based on these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ne of the biggest things is that teachers and students find the Korean Art class difficult and avoid it. This showed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Korean Art, and the goal of the curriculum should aim to inspire the national conscious with knowledge of Korean Art heritage. These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is then passed on to the student. Therefore, to avoid continuation of this problem teachers who have the exclusive charge of art need to be employed urgently. 2.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art curriculum, they're only 20(4.2%) pictures that express Korean Art techniques in the total 472 pictures on a textbook. New edition textbooks should place more weight on Korean Art. 3. Many teachers said(50%) that school hours of Korean Art are relatively destitute. Lack of knowledge on Korean Art is reflected in the lack of school hours. Korean Art education should be changed to create equal hours in comparison to Western Art, which currently represents of the painting field. 4. Financial aid from the nation and schools for art courses is lacking. At the least adequate room and the develop

      • 무용 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정정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s on exploring activation methods of performance art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questionnaire with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According to the types of seeing dance performance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83% of them saw performance, frequency of seeing it for late one year was once, their companion was friend of the same sex and they saw ballet performance most frequently. Standard of choice in seeing dance performance was ticket price, period of seeing was holiday or weekend and information of performance was collected from acquaintance. 2. Standard of choice in seeing dance performance was theme and motive of seeing performance was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reason to see it was just for pleasure. 3. Concerns on seeing dance perform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rect participation type, the sub-factor of concerns, depending on demographical factors such as year, pocket money and frequency of seeing performanc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factors, but subjects had high interests in all factors. 4. Satisfaction in seeing dance performance was higher in content of work according to grade and in price according to pocket money, but satisfaction by frequency of seeing performa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and all sub-factors of satisfaction showed low satisfaction. 5. Activation methods of seeing dance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duct factor of dance performance by grade, in product and sale promotion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by pocket money and in product and price factors by frequency of seeing dance performance. 6. In correlation analysis of activation methods according to satisfaction in seeing dance performance, convenience facilities and staffs' kindness which are sub-factors of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activation factors of products, all sub-factors of satisfaction, price, convenience facilities, staffs' kindness, public relations and price factor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ctivation of place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ther satisfaction factors and activation methods. Accordingly, girls' high school students' concerns on dance were higher, but their satisfaction after seeing performance was veery low. Therefore, for the activation of dance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more efforts on selecting the theme of performance works and performers should be made and PR and event should be considered for sales promotion. In addition, if admission fee of dance performance is reduced for students and additional services such as discount are given, more students can see dance performance and dance performance can be also activated.

      • 대학의 VI(Visual Identity)를 반영한 QR코드 활용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정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Recently, we can often see, on TV or advertisements and in subways or bus stops, square-shaped boxes with black and white grid patterns that induce us to scan them with our smart phones. This square-shaped barcode with black and white grid patterns is the QR code (Quick Response code), one of the three major elements of mobile marketing, which is a two dimensional barcode that was developed by Denso Wave in Japan in 1994. A QR code is identifiable despite its color deterioration or 30% damage, and therefore more and more companies are adopting the QR code and designing it to incorporate the company identity. As recently smart phones are widely used in our nation and QR code scan apps are provided, the QR code is also being widely recognized and used in mobile marketing. In wide variety of fields including self-government, corporations, colleges, product promotion, etc., QR Code marketing is being adopted in a way to impress people with their brand images. That is,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identity on a QR code is an important factor in QR code marketing, and the scope of applying a QR code is expected to cover extensive areas of products promotion, giveaway events, payments, product information, etc. In this trend, colleges are also demanded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society’s view and perception and prepare countermeasures overcoming conventional fixed frameworks in a proactive and efficient wa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applying a QR code that incorporates Visual Identity (VI) of colleges. For this, in the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etical discussion, first the definition of QR code was reviewed, and cases of applying QR codes in corporate or other fields are analyzed. Through analyses of the cases, this study searche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QR code, then suggests the needs of QR code in colleges, draws out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 and the logo type building among the elements of the college VI, and then applies these findings to producing a QR code. Lastly, by providing cases of using QR code in accordance with college circumstances, this study intends to approach QR code applications in a comprehensive way.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a long-term plan to approach QR code applications for establishment of college identity in the mobile environment. Above al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college identity by comprehensive management rather than individual management in the mobile environment. 최근 티비나 광고, 지하철, 버스정류장등을 보면, 흑백격자무늬의 사각모양박스를 지칭하여 스마트폰으로 스캔을 유도하는 광고를 자주 볼 수 있다. 모바일 마케팅에 3대 요소중에 하나인 흑백격자무늬의 사각모양 바코드가 QR코드 'Qick Response 코드'의 약자로 일본의 덴소웨이브(DENSO WAVE)사가 1994년에 개발한 2차원 바코드이다. QR코드는 색상변경과 30%훼손이 되어도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자사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디자인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최근 국내에서는 불기 시작한 스마트폰에 QR코드 스캔앱이 보급되면서 QR코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모바일마케팅에 사용되었다. 그러면서 행정 지자체, 기업, 대학, 제품홍보 등 분야를 막론하고 QR코드마케팅에 사용되면서 사람들에게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친밀하게 느낄 수 있도록 각인되고 있다. 즉, QR코드에 자사의 아이덴티티확립은 QR코드마케팅에 중요한 요소로 QR코드의 활용 범위는 제품을 홍보하거나, 경품, 결재, 제품 정보제공 등 활용가치의 기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변화의 흐름속에 대학도 사회의 시선과 인식의 변화에 대응하고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기존의 정형화된 틀에 벗어나는 강력한 대안이 요구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VI(Visual Identity)를 반영한 QR코드 활용 가치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측면의 문헌연구에서는 QR코드에 대한 개념정의를 먼저하고 기업이나 타 분야의 QR코드 활용과 디자인에 대해서 사례분석을 한다. 분석사례를 통해 앞으로 QR코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그리고 대학에서 QR코드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대학의 VI(Visual Identity) 구성요소 중 심벌(Symbol) 로고타입(Logo type) 건물의 시각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QR코드에 반영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보았던응용형으로 QR코드를 디자인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환경에 맞게 QR코드를 활용 사례를 제시하므로 대학에서 QR코드 활용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환경에서 대학의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해 QR코드활용에 대한 장기적인 플랜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앞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VI(Visual Identity)측면에서 총체적으로 관리되어 대학 아이덴티티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ere is no surprise to see sever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annual report for special education of 2011,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room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e recent 70.1% of them has been placed in local school classroom. However, the quality of growth is not totally guaranteed while inclusive educational system is growing statistically. Approaching to the gener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be more accomplish into instructional inclusion and academic education in the boundaries. Even worse, although there are lots of activities that they have got some of appropriate instructional supports, many of them are ignored or isolated in the general classroom due to learned helpless or teacher’s ignorance.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has performed many experiments so students are able to interact with all classmates rather than other formal lectu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been chosen the science class, a researcher has done instructional supports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 the middle school with SDLMI,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ve supports with SDLMI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belonged to the special classroom in the public middle schools in Seoul. The setting of this study was in the local school, specifically in general classroom, laboratory and resource room of the schools. This study was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It has taken through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eriod for 3 participants. Effects of generalization of intervention were also examined in othe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below; Firs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 on science of 3 participants was zero. However, it had been surprisingly improved during intervention, comparing with the baseline score. Furthermore, the objective of 2 participants was completed through goal achievement scale. Second,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3 participants was improved after intervention. All the participants were participated in more than 90% of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in the last 2 weeks and it was also still maintained 2 weeks later after intervention was over. In addition, both students’ performa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in science class were generalized into other subject are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supports with SDLMI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middle school.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ould be able to enhance their potential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academic engagement in class along with achieving their goals by using various student-directed instructional strategies. 일반 중․ 고등학교 교실에서 장애학생을 만나는 것은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2011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의하면 일반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은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전체 특수교육 대상자 중 70.1%가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이렇게 통합교육은 양적으로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지만 질적인 성장은 그만큼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같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는 물리적 통합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일반교육과정에 접근하여 공동의 교육적 틀 안에서 교육받는 교육과정적 통합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적절한 교수적 지원이 있으면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활동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무관심 혹은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으로 통합된 장애학생들이 일반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교실 안에서 방치되고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중학교 과학수업은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주가 되는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와 학생 상호간의 협동이 주가 되는 실험 위주로 이루어지기에 장애학생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교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과를 선택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과제 완수, 의사소통 기술 수행률,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수업참여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을 실시하여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들의 과학과 수행평가 성취도와 수업참여행동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시내 공립중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 3명이며, 실험은 연구 참여자가 소속되어 있는 학교의 일반교실, 과학실 및 개별학습실에서 실시되었다. 실험은 단일대상연구방법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3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시되었고, 일반화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기간동안 A학생은 영어시간에, B와 C학생은 도덕시간에 수업참여행동과 수행평가 성취도의 향상 여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SDLMI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 중재를 시작한 이후, 수업참여행동이 기초선 구간보다 향상하였고, 중재 종료 직후 마지막 2회기에서는 세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90% 이상의 높은 수업참여행동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재 종료 2주 후,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한 결과 세 학생 모두 기초선 구간보다 높은 수업참여행동 발생률을 보여 중재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를 위해 측정한 다른 과목의 수업참여행동도 세 명 모두 기초선 구간에 비해 향상하였으며, 이는 중재 종료 2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SDLMI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 실시 전에는 과학과 수행평가 점수가 0점이었는데, 중재 기간동안 실시된 과학과 수행평가에서는 모두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일반화를 위해 측정된 다른 과목의 수행평가 점수도 모두 중재 실시 전보다 향상하였다. 또한 목표도달척도(GAS)를 통해 연구참여자 본인이 스스로 세운 수행평가 점수 목표에도 2명의 학생이 도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SDLMI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과 수행평가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된 장애학생들이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잠재력이 발현되고, 기존의 교사 주도적 학습전략이 아닌 학생 주도적인 학습전략의 활용으로 통합된 장애 학생들의 일반학급에서의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