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지선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오늘날 MBA 출신이 늘어나면서 MBA 출신이 경쟁력이 없다든지, 심지어는 한물갔다는 지적도 나오는 형편이다. 최근 국내 각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많다. 청년구직난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많은 학비를 들여 MBA 졸업장을 받아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하소연도 들린다. 하지만 MBA 출신들은 단지 MBA가 ‘몸값’을 올리기 위한 것만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다양한 경영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적 무장과 다양한 분야 인사들과의 광범위한 네트워크, 수업을 준비하면서 보인 열정과 성취감 등은 직장 및 사회생활을 하는 데 남다른 자산이 된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MBA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표를 받은 국내 MBA가 속속 나타나면서 해외 MBA에 비해 실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섣불리 하기 어려워졌다. 국내 MBA와 해외 MBA를 연계한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이 등장해 글로벌 체험폭도 넓어지고 있다. 해외 유학생들이 국내 MBA를 찾는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국내 MBA가 전문성과 글로벌 감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대 후반 혹은 30대 직장인들의 MBA과정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면서 미국을 비롯한 서구의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아니면 국내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고민하고 MBA를 선택하는 분들이 여전히 많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MBA를 준비하는 분들이 외국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아니면 국내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국내 MBA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외국 MBA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국내 MBA냐, 외국 MBA냐’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MBA과정을 잘 선택할 수 있도록 참고가 될 사항을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중요한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에 외국 MBA 교육이 도입된 지 12년이 흐른 지금 국내 MBA 교육이 더 경쟁력 있게 발전 할 수 있도록 외국 유수 대학들의 MBA 교육을 분석해보고 우리나라 MBA 교육을 검토해 볼 것이다. 첫째, 경영전문대학원의 도입배경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경영전문대학원(MBA)의 현황을 분석한다. 둘째, 외국대학의 MBA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본다. 셋째, 국내대학의 MBA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본다. 넷째, 국내대학과 외국대학의 MBA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정서와 운영여건 속에서 국내대학의 MBA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는 고려대를 외국대학은 파이낸셜 타임스 순위를 고려하여 미국의 펜실베니아 대학, 시카고 대학을 선정하였다. 국내외 MBA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위해 경영학 교육, 경영전문대학원 프로그램, MBA 교육과정 보고서, 연구 논문, 참고자료 등을 참고하였고, 조사대상 경영대학 홈페이지, 파이낸셜 타임스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정보를 얻었으며, 각 대학들의 MBA 프로그램 안내 책자를 참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BA 교육과정은 국제적으로 검증되고 표준화된 인증을 취득해야한다. 둘째, MBA 교육과정은 살아있는 학문, 사회의 변동, 변화하는 상황을 공부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셋째, 윤리 및 사회적 책임, 리더십 분야를 필수과목으로 개설해야 한다. 넷째, 인턴십 기간 늘리고 참여율도 높여야한다. 다섯째, 전공과목을 학생들이 원하고, 관심 있는 분야가 다양하듯이 그에 맞게 다양하게 개설해야한다. 여섯째, 실전을 통한 원리 습득이 중요하므로 현장에 직접 투입될 수 있는 외국대학의 MBA 교육 과정 프로그램을 적극 수용하고 국내대학 MBA 교육 과정 여건에서 실현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Today, as the number of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MBA) graduates increases, there is a comment that MBA graduates are not competitive or even they have had their day. Many evaluate that the popularity of MBA courses recently operated by domestic universities is not like it was before. With the ever-increasing youth unemployment, there is a complaint that getting an MBA Diploma, paying much tuition does not help much. However, MBA graduates say that an MBA is not just for making themselves more ‘expensive.’ They explain that theoretical armament through analysis of various management cases, extensive network with personnel from diverse fields, and passion and achievement they have experienced, preparing for classes are unique assets in work and social life. Moreover, as domestic MBA courses have received excellent transcripts in the evaluation of MBA courses one after another, it came to be difficult to evaluate them to be poorer than overseas MBA courses. As various degree programs that link domestic MBA and overseas MBA appear, the global experience gets broader. Gradually more overseas students come to domestic MBA courses. The domestic MBA courses hunt two hares at once, expertise and global mindset. As employees in their late 20s or 30s are increasingly more interested in MBA courses, many of them still are concerned about whether to apply for a Western MBA course, including that in the U.S. or a domestic MBA course in choosing to proceed to an MBA course. Thu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about how domestic MBA courses and overseas MBA courses are operated for the decision of those who prepare MBA whether they would apply for an overseas MBA course or a domestic one and help their important choi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tters that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whether to go to a domestic MBA or an overseas MBA, could refer to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choose the MBA course right for them. In addition, now, when 12 years have passed since overseas MBA education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would analyze MBA education in leading foreign universities and discuss Korean MBA education so that the domestic MBA education would be able to make more competitive developmen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MBA and analyzes the status of MBA in South Korea.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status of MBA in foreign universities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MBA curricula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Fourth,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MBA curricula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and foreign universities. Fifth,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MBA curricula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in emotional and operational conditions of South Korea. This study selected Korea University for South Korean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US for foreign universities, considering the Financial Times ranking as the subject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MBA curricula, this study referred to the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MBA programs, MBA curriculum reports, research papers and references. This study got information, searching the web pages of the Business Schools and the Financial Times and referred to the Information Brochure of the MBA program in each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BA curriculum should obtain internationally verified and standardized certification. Second, since MBA curriculum is involved in the living studies of changes in society and the changing situations, it should be a flexible curriculum that could flexibly cope with changes. Third, it should set up the fields of ethics, social responsibility, and leadership as its required subjects. Fourth, it should increase the internship period and participation rate as well. Fifth, it should set up various major courses in the various fields that students want and are interested in. Sixth, since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principles through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accept programs of MBA curriculum of foreign universities, which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 field and actively consider if they could be realized in the circumstances of MBA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일반교사 양성과정에서 특수교육과 관련된 교과목 및 교직소양 과목 운영의 실태
박석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fostering system and structure conforming to the site demand and circumstance by investigat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in the general teacher fostering institute and by reflecting the alte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s environmen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fostering structu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it through the questionnaire, consulting by phone and visitation to the homepage per organization. The results acquir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s for teaching profession are established in all the fostering institute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before and after announcement/revision of the detailed standards for acquirement of the qualific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reliminary teachers have taken such course, but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was established as the compulsory course for teaching profession in most of the fostering institute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only such announcement/revision. As they shall legally take the subject for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in most of the teacher fostering institutes after its revision, it could confirm the change of the special education's position and all the fostering institutes for elementary/secondary school teacher formally taught the vast contents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a short period, which is 2 credits within 16 weeks. Secondly, looking into the teacher fostering institutes establishing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and the ones not establishing it, even if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is established,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before announcement/revision was not established in most of the teacher fostering institutes, and they established and taught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children and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etc. by utilizing the full-time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after announcement/revision. And in the fostering institutes without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the part-time lecturer, who is majored in the special education, taught most of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after announcement/revision. Thirdly, looking into the undergraduate studies and the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the fostering institut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bove the second students take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before announcement/revision of the detailed standards for acquirement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during the undergraduate studies as the optional course with 2 or 3 credits, but as for the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ost of them can not acquire the full-time instructors and the part-time instructors are teaching it as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were established after announcement/revision. Some proposals are presented as follows, being based on the results appeared through this research. Firstly, it shall be systematically supported as the preliminary general teachers can be put in the integrated educational site with the actual and essential knowledge by increasing the compulsory completion credit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Secondly, the teacher fostering institute not acquiring the full-time instructor shall surely acquire the one majored in the special education. Thirdly, at the time when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for teaching profession is completed in all the teacher fostering institutes, the comprehensive research shall be made with the more various contents and objective.
오스트리아 국립예술대학교 음악전공 교육과정 연구 : 학사학위 과정을 중심으로
김소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한국의 서양음악 교육은 제도와 그에 따른 운영에 있어서 서양의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다. 서양은 19세기 이후에 음악의 학문적인 연구와 음악교육학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한국은 20세기 초에 서양음악을 도입하게 되면서 해방 전후 대학의 음악교육과 서양 음악교육이 이루어 졌다. 음악 교육은 실기교육과 이론교육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국과는 다르게 유럽에서는 실기 위주의 교육을 콘서바토리에서 중점적으로 배우고 이론 교육과 실기교육을 중점으로 배우는 곳을 우니버시티 라고 부른다. 유럽의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음악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습득하고 배우고 있는데 이 논문은 서유럽에 한정지어 오스트리아 국립음악대학교를 위주로 비엔나국립음악대학교와, 그라츠국립음악대학교, 잘츠모차르테움에 대한 학사과정에 대하여 입학정보와 교육과정 졸업과정에 대하여 조사 연구를 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고등 음악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졸업생과의 인터뷰 또는 뉴스와 해당 학교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조사 연구가 이루어 졌다. 본 연구자는 후학들이 직접 유럽으로 유학을 가지 않고서도 오스트리아의 국립음악대학에 대한 교육과정과 국내 음악대학들의 학사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인식을 가져 올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Western music education in Korea leads to think about Western history in the system and its operation. While the academic research and eduction of Western music developed after 19th century, Korea introduced Western music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western music education of before and after liberation. Music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practical and theoretical education. Unlike in Korea, in Europe, students are focusing on practical education in conservatory and universit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s. Based on long history of Europe, this thesis is limited into research study for Austria’s National Music Universities, such as Vienna National Music University, Graz National Music University, Mozarteum University Salzburg bachelor’s degree, admission, graduation and curriculum inform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interviews with graduated students or media and the website of the school due to the unavailability of precedent research on the existing high school music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ers are expecting to provide information for current students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Music University of Austria and the curriculum of the bachelor’s education in domestic music colleges without having to study abroad to Europe.
광주지역 특수학교 중등교사의 ICT 활용수업 인식 및 실태
윤혁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지역 특수학교 중등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장애영역별, 정보자격증의 유무, 연수경험 유무의 따라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ICT 활용 교육 실태 및 문제점의 인식, ICT 활용 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지역 특수학교 중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ICT 활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광주지역 특수학교 중등교사의 ICT 활용 실태 및 문제점의 인식 차이가 있는가? 셋째, 광주지역 특수학교 중등교사의 ICT 활용 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관내 4개 특수학교 중등교사 22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60부를 회수, 155부를 가지고 다음과 같이 자료를 처리 및 분석하였다. 첫째,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정보자격증 유무, 연수유무별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경력별, 장애영역별로는 F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ICT 활용 실태 및 문제점의 인식, ICT 활용 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문제 중 남자교사들이 여자교사보다, 연수를 받은 교사와 교육경력이 21년 이상 교사가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ICT 활용에 대한 중요성에서는 정보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교사들, 경력이 0-5년 미만 교사들이 중요성을 더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ICT 활용에 대한 학교의 지원정도에서는 여자교사들이 남자교사보다, 연수를 받은 교사들이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보다, 교육경력이 21년 이상 교사가 0-5년 미만 교사보다, 장애영역이 지체장애 담당교사가 정신지체 담당교사보다 학교의 지원정도에 대한 인식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ICT 활용에 대한 학교장의 관심 정도에서는 지체장애 담당교사가 정신지체, 시각장애 담당교사보다 관리자의 관심 정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ICT 활용 연수의 기회에서는 연수를 받은 교사들이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보다, 교육경력별로는 0-5년 미만 제외한 교사들, 장애영역별로는 지체장애 담당교사가 정신지체, 시각장애 담당교사보다 연수의 기회가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ICT 활용 실태 및 문제점의 인식 차이 중 ICT 활용 횟수는 주 1-3회 정도에, ICT 활용 수업을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ICT 활용 수업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수업 자료를 제작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서가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다음으로 수업상황에서 ICT를 활용하는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위해서, ICT 활용을 수업에서 적용하는 방법은 수업보조 도구(문서작성, 파워 포인트 등으로 자료제작)만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수업 시간 중 ICT 활용 시간은 5-10분 이하에, ICT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과는 사회에, ICT 활용을 적용하는 단계는 도입 단계에, ICT 활용에서 사용하는 자료는 인터넷에서 수집하여 부분 편집한 자료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직접 ICT 자료를 제작하는 비율은 70%이상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위의 결과 중에서 주목할 점은 동료교사가 제작하여 공유한 자료에 대해서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교사가 직접 ICT 자료를 제작하는 비율에서는 좀 더 조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ICT 활용 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 중 장애특성에 맞는 S/W의 개발 및 보급에, ICT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연수는 ICT 활용을 위한 자료 제작 연수에, ICT 활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여건은 교사 간 ICT 활용 자료 공유체계 마련에,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은 장애영역별로 ICT 활용을 위한 전담하는 기구 확대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ICT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행정기관의 지원은 장애영역에 맞는 콘텐츠 개발에, 특수아동을 위해 바람직한 ICT 자료 제작은 전문 개발업체에 위탁하여 장애영역별로 개발에, 효과적인 ICT 활용에 필요한 교사를 위한 지원은 특수교육에서의 ICT 활용에 관한 정보를 상시 제공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위의 결과 중에서 주목할 점은 ICT 활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여건에서 교사 간 ICT 활용 자료 공유체계 마련을 원하고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효과적인 ICT 활용에 필요한 교사를 위한 지원은 장애영역별로 ICT 활용을 위한 전담하는 기구 확대에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 비교 연구 : 한문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홍자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New education curriculum has announced in september, 2015.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became student-centered education, focusing more on the basic knowledge education in real life. In those points, the papers of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suggest five things; domain, main concept, basic knowledge, content elements, function. It is noticeable that has changed more systematic and analytic than previous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wo points; domain and content elements.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is changed from the 2009 education curriculum of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The name had changed. It did not only change the name, but categorized 'language life' into high rank which was in low in previous education curriculum. It shows wise revision comparing between the 2009 and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of Chinese charact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of Chinese character is core competency comparing to the previous 2009 curriculum. This is the first time that curriculum ability introduced in new curriculum revision. 'Chinese character and core competency' explained more detail of the Chinese character's feature and also telling the necessary ability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life. In four core competency,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can be found. Other goals were remained as it was, but the middle school-centere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hich are 900 words has added, so that goal of studies emphasized o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are newly formed. As the content elements are consist of 3 things; the everyday words, terms of studying and old-saying, it shows the actua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The main textbooks of Chinese character published with the as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apply to the textbook. Analyzing each changes through the 5 text books of Chinese Characters, many chapters are decreased overall, the small unit related to vocabulary has in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increased by each publishing companies, so the small units which are composed of the everyday words, terms of studying and old-saying has also increased.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900 words of the middle school-centered chinese character has increased 2 to 20 in Darawon and decreased 14 to 1 in Donghwa. Mirae-n had 8 words before, but in 2015 nothing has mentioned. On the contrary to this, Visang had nothing before, but 1 word had added in 2009. In Jangwon, nothing had written in both 2009 and 2015. It shows variations of each publishing companies. The number of vocabulary i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has increased in this revised curriculum. It also produced various vocabularies focusing on the everyday words and studying words which are more helpful for real life. Even though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chose the everyday words, terms of studying and old-saying, the usage rate of real life has decreased than the previous 2009 curriculum. The revision aspect of the reflection in textbook are searched. Each textbooks had the different amounts of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ies. The way telling each words are also different. It motivated student's interest through the many examples. It focused not the problem-solving but the student's experience. The 2015 curriculum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showed importance of vocabulary, and suggested the advantages of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The study of the Chinese character would be needed for the level of new curriculum such as everyday words and studying terms. 2015년 9월 새로운 교육과정이 발표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이 배경이 되어, 기초 소양 교육 강화 및 실생활 연계형 학습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는 ‘영역,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5가지로 제시했다. ‘영역, 내용요소’로 제시했던 이전 교육과정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2009 교육과정의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에서 변화한 것이다. 이름이 변화할 뿐 아니라 이전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하위영역이었던 ‘언어생활’을 상위 영역으로 범주화시킨 것이다. 2009 한문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하며 특징을 잘 반영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리하여 2009 한문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 비교를 통해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한문과 핵심역량을 제시하여 성격을 강화하였다. ‘한문과 핵심역량’은 한문과의 특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한문 교과에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계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말한다. 4가지 핵심역량에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핵심개념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다른 목표들은 그대로 유지되고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로 이루어진 한자 어휘를 익혀’가 추가되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을 강조한 목표가 새롭게 생겼다. 또한 내용 요소를 ‘일상용어’, ‘학습 용어’, ‘성어’의 세 가지로 구성한 것을 보았을 때,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에서 말하는 ‘한자 어휘’의 대상을 구체화시켜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변화한 교육과정을 교과서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2009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한문 교과서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한문 교과서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5종의 한문 교과서를 선택하여 교과서의 변화한 구성을 살펴본바, 전체적으로 단원과 분량이 감소하였지만 한자 어휘에 관련된 소단원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출판사별로 한자 어휘의 수가 많아지고 학습용어, 일상용어, 성어를 학습할 수 있는 소단원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속하지 않는 한자는 다락원은 2개에서 20개로 증가하였고, 동화사 교과서는 14개에서 1개로 감소하였다. 미래엔 교과서는 8개에서 2015년에는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비상교육 교과서에서는 2009년에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가 1개로 증가하였다. 장원교육 교과서는 2009년, 2015년 둘다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출판사별로 감소, 증가한 것을 찾을 수 있었다. 이번 교육과정에서 한문 교과 교과서의 어휘 량이 늘어나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상용어, 학습용어로 대상을 두어 감소한 본문보다 다양한 어휘가 제시되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일상용어’, ‘학습용어’, ‘성어’로 한자 어휘들을 선정하였는데 오히려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한자 어휘의 비율은 2009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보다 감소하였다는 문제점을 보인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이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영역과 관련된 심사 항목 위주로 살폈다. 2015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한자 어휘의 중요성을 일깨웠고, 다른 과목과 연계시켜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하였다. 이번 교육과정 특징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상용어, 학습용어, 성어로 대상을 구체화하였다.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것이 중점으로 하여 실용적인 언어생활을 강조한 것과 한자어를 통해 원활한 언어 소통과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자어 교육이 학업 성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한문 교과서는 본문의 양이 감소하고 다양한 어휘가 제시되었다. 그만큼 다양한 어휘가 제시된 만큼 한문 과목이 앞으로 ‘일상용어’, ‘학습용어’와 ‘성어’의 어휘 구성과 난이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할 것이라 보여 진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김승연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이해도, 운영실태와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알아보고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2015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전체 운영·실태를 보려는 것은 아님을 전제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도, 운영실태, 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원요구가 성별, 교육경력, 근무지역 등에 의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조사 대상은 광주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 25개 학교와 고등학교 31개 학교, 전라남도 교육청 소속 중학교 62학교와 고등학교 43개 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총160명을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137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특수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전반적인 이해도는 20대, 5년 미만의 초임교사들의 이해도가 가장 높았고, 전라남도 교사가 대도시인 광주 광역시 교사보다 이해도가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에 대한 홍보와 연수가 일괄적으로 이뤄지기 보다 경력별로 차등을 두고, 지역별 학급 수에 따라 연수기회의 횟수를 다양하게 제공해 주는 방안을 마련해야함을 시사한다. 둘째, 2015 특수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는 주요 개정된 영역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교과 운영면에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타학년군의 교과내용을 사용하고 있었고 수준별 수업이 가능해져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은 절반 이상이 통합학급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특수학급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이루어질 경우 교사는 별도의 지침에 근거하지 않고 본인이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매시간 다양하게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특수학급 내에서 운영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교사들 간의 자료 공유와 교사연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유학기 활동은 특수교육 대상학생 대부분이 완전 통합되어 활동하고 있었고, 흥미도와 참여도도 높았다. 자유학기 활동 영역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대부분은 진로탐색활동 영역을 선택하였다. 이에 자유학기 활동 차원에서 특수학급 대상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직업교육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스포츠 클럽활동은 역시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가 높았다. 따라서 특수교육 대상학생까지 아우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강사의 확보, 또 실효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교육과정 안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진로·직업교육 및 현장실습 영역은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취업정보나 취업처 발굴 그리고 사후관리까지 책임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영역에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 특수교사가 교육과정 위원회에 참석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특수학급 교사의 80%이상은 참석하고 있지 않았다. 이유는 학교의 여건과 학교 관계자의 인식이 부족해서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였다. 반면, 66%이상의 교사가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 참석하여 평가조정에 관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통합학급 교사와 잘 협력하고 있었으며, 학교 내에 대안·대체평가 지침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영역별로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지원하는 것이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관심이 많은 20대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교육 대상학생에 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 클럽활동은 전라남도 지역의 교사가, 학급별로 3학급 이상을 지도하는 특수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행동 지원과 보조공학 기기 및 의사소통 지원 방안에 관한 수긍정도는 남자교사가, 근무지역별로는 전라남도 교사가 더욱 관심을 가지고 참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앞으로 긍정적 행동지원과 보조기기나 의사소통 지원 방안을 계획하고 활용하려는 의지를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understanding, the actual operating status, and needs for support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argeting special class teachers, and also to seek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However, this thesis does not aim to examine the whole actual operating statu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set up research questions about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the actual operating status, and needs for support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argeting special class teachers in accordance with sex, teaching experience, and working area. Selecting total 160 special class teachers of 25 middle schools and 31 high schools belonging to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62 middle schools and 43 high schools belonging to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as samples, total 137 questionnaires of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class teachers'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the highest in teachers in their 20s and newly-appointed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s for five years or less. The teachers in Jeollanam-do showed the higher understanding than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ch results imply that there should be the measures for providing the differential promotion/training of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eaching experience, and for providing various times of training opportunity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lassroom in each region. Second, this thesis examined the actual operating statu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the main revised areas. In the aspect of operating subjects, most of the special teachers were using the subject contents of other grade groups for teaching by level, which was positively evaluated. More than half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rea was performed in the integrated class. In cas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t special class, the teachers provided teaching diversely each time by selecting programs without additional guidelines. Thus,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t could be operated within special class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share materials between teachers, and also to provide the training for teachers. Regarding the free semester activities, most of the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were completely integrated for participation, and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were also high.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area, most of the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selected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rea. Thus, it would be needed to have researches on the effective career/vocation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special class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dimension. The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showed the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erefore, the concret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embracing even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the securement of instructors, and the effective oper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In the career/vocational education & field practice area, the special class teachers were responsible for the excavation of employment information or employers and even follow-up management for the students of special class. Lastly,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ing/learning & evaluation area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was recommend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ttend the curriculum committee while more than 80%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were not attending it. It was mostly because of external factors such as school conditions and school interested parties' insufficient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more than 66% teachers presented their opinions about the evaluation adjustment by attending the school record management committee, and fully cooperated with the integrated class teachers while there have been guidelines for the alternative/substitute evaluation in school. Third, this thesis examined if the special class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supporting the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variable. First, the newly-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in their 20s with great interest in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supported the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with interes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teachers in Jeollanam-do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ng three classes or more positively perceived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Lastly, regarding the degree of assent to the measures for supporting the positive behavior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communication, the male teachers and Jeollanam-do teachers aim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with greater interest. This thesis also verified their will to plan/utilize the measures for supporting the positive behaviors, assistive devices, or communication in the future.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예비음악교사 양성과정 연구 : 교육대학원을 대상으로
김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analysis for curriculum training excellent teach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ining program for would-be music teach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reorganized curriculum training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fter comparing educational objectives of eve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it has combined both retraining for existing teachers and training for would-be teachers. However, its curriculum could not reflect educational objectives properly and just focused the latter. Because the status quo is overflowing with resource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reeducation for music teachers and capacity building for music education experts and provide curriculums for establishing academic identities and specialties. Second, courses in teaching that must be completed as corequisit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not seemed to be different highly in subjects organization, but problems are found in aspect of training music teachers. As teaching training theory courses are overly weighted toward only theories, they lack connectivity with on-the-spot classrooms, so subjects considered connections with a field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opened. Third, because of a deviation in the result of music education majors from school to school, all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granting same teaching certificates need to have a common curriculum. Moreover, in order to enhance major identity and specialty as "music education", courses associated with a sphere of subject matter teaching rather than a sphere of subject matter contents should be given more weight, and subjec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deal with subdivided and thoughtful contents unlike those in undergraduate school. Subjects related with multicultural musics reflecting current various phenomena, subjects introducing styles of pop musics and subjects of educational technologies related with computer musics should be also placed, and subjects rel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is currently vastly insufficient should be build up in order to meet the nee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occupies more than 40% in the actual music education field of schools.
나은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중 민요를 분석하여 균형적인 향토민요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민요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이해하며,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공통교육과정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국악내용을 고찰 할 수 있는 항목으로 ‘중학교 내용 체계’, ‘성취기준’,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14종이며, 각 교과서의 출판사는 금성, 비상교육, 세광음악, 성안당, 아침나라, 박영사, 와이비엠, 동아출판, 천재교과서, 교학사, 지학사, 미래엔, 음악과생활, 다락원이다. 먼저 출판사별 음악 교과서 민요 부분에서 향토민요와 통속민요가 적절하게 나뉘어 실려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민요의 구성현황 및 비중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과서별로 민요 제재곡 들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별, 장단별, 지도내용 등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별 향토민요와 통속민요의 수록곡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는 217곡으로 통속민요는 173곡인 반면 향토민요는 44곡에 머물렀다. 또한 향토민요 중 유희요가 30곡, 노동요가 12곡, 의식요는 2곡으로 향토민요 중에서도 민요의 기능에 따라 영역별 불균형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뿐 아니라 교과서에 수록된 장단의 편차가 크고, 교과서 마다 장단표기가 조금씩 다르게 되어 있어 학생들에게 민요 장단에 대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교과서 지도 내용이 너무 획일화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향토민요는 그 음악적 가치 뿐 아니라 삶의 현장 곳곳에서 불리며 우리 민족의 가치관과 삶에 대한 태도가 반영되어 있어 사회·문화적 가치까지 지도할 수 있는 아주 훌륭한 제재이다. 이러한 향토민요가 지닌 다양한 측면의 교육적 의의를 이해하고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면, 교과를 넘나드는 통합적 교육은 물론 우리 음악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학교 교육을 통해 교과서에 다양한 악곡을 수록하여 향토민요를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학생들이 민요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계획해야 한다. 음악 교사들 또한 향토민요 수업을 위한 교재연구나 수업자료 준비를 철저히 하여 더 다양하고 풍성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이 앞으로 더 활발한 향토민요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민요교육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국악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이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balancing local folk songs educational research by analysing folk songs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the music curriculum in revision 2015 which is newly implemented on March, 2018. To perform this purpose, considering the advance research,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olk songs, and comparing the common curriculum of music in revision 2009 and 2015 were researched. Also ‘The system of content of middle school’,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music elements and concept frameworks’ were comparatively analysed as an article to consider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are composed by 14 types, and the publishers are Kumsung, Visang, Sekwangmusic, Sungandang, Achimnara, Parkyoungsa, YBM, Dongapublishing, Chunjae, Kyohaksa, Jihaksa, Mirae-n, Eumakgwasaenghwal, and Darakwon. First of all, the present condition and relative importance of folk songs were irradiated to realize that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have been appropriately reported in each publishers of the music textbooks. Also folk songs were examined by the textbooks, and classified by regions, rhythms, and contents of guidance. In consequence, the numbers of containing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have high deviance. Among 217 folk songs which are contained in all of the music textbooks, there are only 44 local folk songs, while 173 popular folk songs are contained. Also unbalance by functions of folk songs was found where are only 2 livelihood songs, when 30 entertaining songs, 12 working songs are contained. In additional, students can be confused about rhythms of folk songs by the high deviance and the difference in each textbooks. Local folk songs are the excellent material to supervising not only the musical values, but also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which reflects the national value and the attitude to the life by sang in many places. Local folk songs can be an important background to understanding and studying the essential of our music by deeply understanding the various educational meanings and teaching efficiently at school. To do so, many chances to learn local folk songs should be provided by containing various musics in the textbooks and school education, and the class that various activities are syntagmatically composed should be planned, so that students participating local folk songs class with more interest and attention. Also music teachers should extensively prepare a study of teaching and teaching material for local folk songs class to make it more variety and plentiful. Anticipate that this thesis will make the local folk songs class more lively, and be used by not only the folk songs education more efficient, but also a base line data for the education of Korean music.
평생교육 측면에서 본 무용프로그램의 현황과 인식도 조사 연구
정선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Continuing education is aimed to enhance individual potentials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social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t focuses on the purpose of increasing continuous self-attainment and social developmental ability. Therefore, continuing education means that one does have a constant learning opportunity under one's direction and many people have participated in a large number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a wealth of cultural facilities to satisfy their needs. Dance education has been almost exclud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due to the college entrance-oriented education and it has been held temporarily during the athletic meetings. On the contrary, dance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limitedly through the education curriculum of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special arts middle & high schools and the dance education for women has been done rather actively. As a part of a project to preserve our culture, dance has been inherited and educated by region and women's living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in the country as a cultural campaign for Gu-district citizens. Furthermore, female-oriented dance education with the operation of cultural centers and physical centers has been conducted actively and dance education has been proceeded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of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s a part of college educational policies or college management guidelines. In addition, various women's gymnastics and dance have been distributed through private dance schools or health clubs thanks to recent losing-weight tendency. As such, it has been found that dance distribution focusing on women has been increasing and widespread unlike what people expected. At present, various cultural centers or cultural institutes that have supervised such leisure time and cultural activities have implemented educational programs while accepting a wide range of age groups such as children to middle- and elderly-aged people. Of course, the ultimate goal of each cultural center or cultural institute could be varied, but their common goal would be the pursuit of rich human life. Especially, sports dance, yoga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primarily with regards to leisure activities and health and they have met the needs of people today for limited exercises. Dance lectures that have been firmly established in cultural centers have been expended at rapid speeds;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upport their quantitative expansion qualitatively. With such sincere efforts, dance would play its role and function as one of the social education facilities that could embody the ideology of continu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dance educational programs of dance lectures in current cultural centers through their trainees and attempted to find out what to supplement or revise an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al programs appropriate to future trainees in a more developmental form; furthermore, it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ance cultural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dance trainees. 평생교육은 개인의 잠재능력의 신장과 사회발전에 참여하는 능력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적인 자아실현과 사회발전 능력의 신장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평생교육은 자기 주도하에 지속적인 학습기회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사람들은 각종 문화시설을 통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중·고등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은 거의 제외되었고 체육대회 등을 계기로 일시적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반면에 유치부, 초등부, 특수 예술 중·고등과정을 통하여 제한적으로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성을 위한 무용교육이 오히려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문화 보존사업의 일환으로 지역별로 무용이 계승, 교육되며 구민문화정책으로 여성의 생활무용, 체육 등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문화센터, 체육센터 등의 운영으로 역시 여성 중심의 무용교육이 전개되고 있으며, 대학교육정책 또는 대학운영방침의 일환으로 대학평생교육원의 건립에 따라 무용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근간의 다이어트 풍조로 인해 여성의 각종체조와 무용이 무용학원이나 헬스클럽을 통하여 보급되어 가고 있다. 이렇듯 시대적으로 여성 중심의 무용보급이 의외로 급증, 확산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여가 및 문화 활동 을 관장하는 각종 문화센터나 문화원에서는 아동 및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령층을 수용하며 교육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물론 각 문화센터나 문화원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각기 다르나 이들이 표방하고 있는 공통의 목적은 풍요로운 인간 삶의 추구라는 양상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여가활동 중 건강과 관련해서는 스포츠댄스 및 요가 그리고 한국무용의 교육프로그램이 주를 이루며 현대인들의 제한된 운동욕구를 충족시켜 나가고 있다. 문화센터에서 이미 확고한 중심 강좌로 자리 잡은 무용 강좌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나 그 양적인 팽창을 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노력이 동반되어야만 무용이 평생교육 이념을 구현하는 사회교육의 하나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문화센터에 개설되어 있는 무용 강좌의 수강생들을 통해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재검토하게 함으로써 보완 또는 수정되어야할 부분을 밝혀내어 보다 발전된 형태로써 수강생들에게 적합한 무용교육프로그램개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무용의 저변확대를 통한 무용문화의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