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구시대 한미관계와 한국민족주의 : 성찰적 민족주의를 위하여

        鄭一畯(Chung Il-joon) 역사교육연구회 2005 역사교육 Vol.94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ROK-U. S. relationships over the last 60 years. It delves into ROK-U. S. relationships in three levels: first, sovereign state relation (inter-national level), second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global level), and subject formation (cultural level).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ism toward the U. S., we can identify three different kinds of nationalism. First. "Anti" nationalism of 1945-1960. second. "Positive" nationalism of 1961-1997. and third. "Reflexive" nationalism of 1997- Present. By applying "reflexivity" in ROK-U. S. relationships, we can restructure them on behalf not of ourselves but also of Americans.

      • KCI등재

        지엠 정권과 미국의 동맹 -상이한 국가건설 전망과 제한적 협력관계, 1954-1963

        정일준 ( Il Joon Ch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8

        이 글은 탈냉전 이후 축적된 지엠 정권 시기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사건과 복합 국면에 주목하면서 행위자 중심으로 남베트남과 미국의 관계를 재정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지엠 정권 시기를 미국의 외교사와 베트남사와의 교차점에 위치시켜 베트남연구를 베트남화하고자 한다. 남베트남은 냉전기 공산주의의 확산을 봉쇄하기 위한 미국의 동북아 전초기지였다. 그런데 미국은 반공정책만 추구한 게 아니고 사회주의 혁명에 맞서는 총체적인 사회변형 작업으로 국가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여기서는 지엠 정권의 국가건설 프로젝트가 미국과의 이견 속에서 어떻게 좌절했는지를 지엠 정권의 입장에서 재해석하고자 했다. 지엠 정권은 미국의 꼭두각시거나 반동적 독재정권이 아니었다. 지엠 정권은 북베트남의 호치민 정권과 경쟁하면서 민족주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자 했다. 미국과는 ‘제한된 협력관계’만을 추구했다. 지엠 대통령이 암살되자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적극적 직접개입을 할 수밖에 없었고 수렁에 빠져들게 되었다. For decades, the most common interpretation of the Diem Regime-U.S.A. alliance depicts it as a product of American Cold War geostrategies, economic interests, and cultural prejudices. Taking into considerations on events and conjunctures , this paper tries to reinterpret Diem-American relationship agency centered, based on new research results. By positioning the era of Diem regime on the crossroads of American diplomatic history and Vietnamese history, we try to Vietnamize Vietnam Studies . During the Cold War era, South Vietnam was an outpost of American Empire containing the spread of Communism all over Asia. Americans pursued in South Vietnam not only anticommunism but also nation building as a total transformation project against socialist revolution. However, Diem regime and America had different nation building vision that caused serious disputes between allies. Although Diem initiated nation building projects such as Land Reform, Land Development, and Strategic Hamlets in turn, it could not yield positive results. The failure of these projects does not mean Diem regime had any innate deficiency. Diem was neither puppet of America nor reactive dictator. He was a Catholic Nationalist who pursued his own version of nation building including national reunification under his leadership. He permitted only ‘Limited Partnership’ with America. After his assassination, America had to have ‘active direct intervention’ over Vietnam which drew her into quagmire.

      • KCI등재

        전두환·노태우 정권과 한미관계

        정일준(Chung Il Joon) 역사비평사 2010 역사비평 Vol.- No.90

        This paper examines the rise and fall of 5th Republic headed by Doo Hwan Chun and the birth of 6th Republic led by Tae Woo Roh focusing on the role played by the U.S. during this period. There has been wide spread suspicion in South Korea over the U.S. position taken during 12·12 mutiny in 1979 and Kwangju massacre in May 1980. Through declassified U.S. governmental documents, American News Papers and the memoirs of former U.S. ambassador William H. Gleysteen Jr. and general John A. Wickham, the commander of American military forces in South Korea, this paper compares the selectivity of the U.S.'s mode of interven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draw the line between 'positive support' and 'interference' in South Korean politics by America. It is one thing the U.S. had intelligence over South Korean military maneuvering in 12·12 incident and Kwangju massacre, and it is quite another whether Americans had any leverages and time to intervene in those processes, In order to contain the wide spread Anti-American sentiments that could develop into Anti-Americanism in South Korea, Americans both in Washington and Seoul directly and openly intervened in the 'civilianizing' Korean politics. Kwangju uprising taught us that only vehement and endless struggle could guarantee internal and external freedom. In order to consolidate South Korean democracy, it is necessary to normalize relations with U.S. as well as with Nor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참여정부의 국정운영 평가와 국가기관 신뢰에 대한 실증적 분석 :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 분석

        정일준(Chung Il Joon),김상돈(Kim Sang Do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1 공공사회연구 Vol.1 No.2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계층의식, 국정운영 평가, 국가기관 신뢰에 대해 참여정부 5년(2003~2007)을 비교의 대상으로 경험적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형검증의 추정결과, 첫째, 주관적 계층의식의 인과변인에 있어 2003년도에는 수학년수와 직업위세라는 두 가지 변인이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도에는 사회경제적 지위변인이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정운영 평가의 인과변인에 있어, 2003년도에는 수학년수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로그소득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도에는 수학년수가 부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기관 신뢰의 인과변인으로 2003년도에는 직업위세가 부의 영향인 데 비해 로그소득은 정의 영향으로, 2004년도에는 수학년수가 부의 영향으로, 2005년도에는 수학년수가 정의 영향으로, 2007년도에는 직업위세가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계층의식이 국가기관 신뢰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은 2003년과 2004년, 2006년과 2007년도에는 밀접한 관련성을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정운영 평가가 국가기관 신뢰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은 참여정부 5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 직업, 소득변인이 국정운영 평가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이 참여정부 5년 모두 주관적 계층의식에 전혀 매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2006년 자료에서는 수학년수는 주관적 계층의식에 의해 부정적으로 매개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government evaluation, trust in state institution. A set of hypotheses we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ment by using KGSS(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3-2007) Module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t effects of schooling years, occupation prestige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 in 2003, while,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s such as education, occupational prestige, income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 in 2004 and 2005, 2006 and 2007. Second, the unit effects of schooling years on Government evaluation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2003. The unit effects of schooling years and incom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in 2003. Third, The unit effects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n state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in 2003, 2004, 2006 and 2007. The unit effects of government evaluation on state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in all 5 years of participatory government. Lastly,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s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trust in national institutions, and its indirect effect via schooling years is also on government evaluation and trust in state institutions all through participatory government’s rule.

      • KCI우수등재

        최문환과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

        정일준(Il Joon Chung)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1

        최문환은 한국 사회학 건설기의 1세대 사회학자로서 1950년부터 1961년까지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제 3, 4대 한국 사회학회 회장도 역임했다. 이후 서울대 상대교수 및 학장(1961-1966)을 거쳐 제10대 서울대총장(1966-1970)을 지냈다. 그는 사회학자였지만 사회학자이지만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최문환의 일본 유학시절을 돌아보고, 월러스틴의 사회과학 분과와 연구영역에 대한 분류와 부라보이의 공공사회학 논의를 기반으로 그의 사회학을 자리매김한다. 둘째, 그의 사회학을 사회사상(민족주의)과 베버연구(자본주의)로 나누어 구체적 내용을 고찰한다. 셋째, 시기별로 대학안팎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전문사회학자를 넘어서 비판사회학자, 정책사회학자 그리고 전통적 공공사회학자로서의 다양한 면모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문환이 한국 사회학에 끼친 가장 큰 공헌은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을 제시한 것이다. 이상백이 분과학문으로서 사회학의 뿌리를 내렸다면, 최문환은 한국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한국 사회학의 문제의식이라는 씨앗을 뿌렸다. 그는 베버를 통해 한국 사회를 조망하는 문제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리고 베버와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주어진 역사적, 사회적 과제를 피하지 않았다. 이 점이 그를 사회학자이면서 동시에 사회학을 넘어선 활동에 나서게 만들었다. Choe Mun-Whan, one of the leading 1<SUP>st</SUP> generation Korean sociologists, served as the professor in sociolog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1950 to 1961. He served as the 3<SUP>rd</SUP> and 4<SUP>th</SUP> president of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s well. In 1961 he moved to economics department and became the dean of a College of Commerce from 1961 to 1966. And he also was appointed as the 10<SUP>th</SUP> president of SNU from 1966 to 1970. Dr. Choe was a distinguished sociologist in his era, but his role as an intellectual was not confined in a narrow disciplinary boundary. In this article, first, his academic careers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studies was reviewed, analyzing his sociological position. By charting the social areas and corresponding social science disciplines by Wallerstein and by classifying division of labor among four different sociologies including professional, policy, critical and public sociology identified by Burawoy, Choe’s unique career as a professor and intellectual could be understood. Secondly, his two major research topics were substantially reviewed. One is main trends of Western Social Thoughts mainly focusing on Nationalism, while the other is introducing the problematique of Max Weber into Korea. Thirdly, his activities in and out of academia during the 1950s and 1960s were recognizable as that of ‘the traditional public sociologist.’ Dr. Choe’s major contribution to Korean Sociology is that he raised ‘the problematic of Korean Sociology.’ If Lee Sang-Beck institutionalized sociology as a professional discipline in Korean social science discipline, Choe pioneered establishing the Soci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by confronting contemporary Korea through the eyes of Weber. Moreover, same as Weber, he never had avoided any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him so that his attitude drove him to fulfill professional as well as political functions as an intellectual.

      •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와 미국 -박정희 정권시기 한국 정치변동에 대한 미국의 공개 개입과 불개입을 통한 개입을 중심으로-

        정일준 ( Il Joon Chu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기억과 전망 Vol.17 No.-

        This paper analyses American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From the 5·16 Coup of 1961 to the 10·26 incident of 1979, this study covers whole Park Chung Hee era focusing on the American mode of intervention in South Korean politics. Based on the archival researches on recently declassified American government documents, this paper finds following patterns in the American mode of intervention. If American national interest is compatible with Korean political change, American intervention occurs(April Revolution of 1960) or American prefers non-intervention(5·16 coup of 1961). If American national interest is incompatible with Korean political change, American intervention occurs(Attempt to extend military regime in 1963) or American prefers non-intervention. (Establishing Yushin Regime in 1972). In order to understand American intervention and non-intervention in behavioral level, we should take American transformation of Korea on the one hand and Korean people`s estimation of American Intervention ont the other hand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한국의 현 단계 특집 민주주의 진단 ; 한국 민주주의의 사회적 구성 -자유주의 통치성과 시민형성 프로젝트

        정일준 ( Il Joon Chu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5 기억과 전망 Vol.0 No.33

        민주화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불만이 높다. 근본적으로는 1987년 민주주의로의 이행 이후 기대했던 것만큼 삶의 질이 나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탈민주화``냐 ``재민주화``냐의 갈림길이라고도 한다. 이 글에서는 민주주의를 이념이나 제도보다는 행위자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성, 지구성, 성찰성을 축으로 삼아자유주의 통치성을 중심으로 민주 시민의 형성/비형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2차 대전 이후 미국에 의해 한국에 부과된 자유주의 통치성이 현재 한국 사회에 어떤 정치주체를 형성했는가이다. ``48년 체제``, ``61년 체제``, ``87년 체제``, ``97년 체제`` 등을 거치면서 각기 상이한 주체형식들이 부과되었다. 정치주체는 타고난 것이거나 주어진 것이 아니고 각 체제의 권력관계 안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먼저, 한국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통치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다음으로, 지구 자본주의와 한국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적 동향을 살펴본다. 끝으로 자유주의 통치성과 한국의 민주시민형성/비형성에 대한 간략한 반성과 전망을 제시한다. There are growing concerns over the deteriorating quality of democracy in South Korea. People wonder whether democracy in South Korea retreats to authoritarian rule. It is because the quality of life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1987 is getting worse. We might encounter a crossroad between dedemocratization and re-democratization. In this article we t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outh Korean democracy focusing on agency rather than idea or institutional arrangement of democracy. By approaching democracy from the triple angle of historicity, globality and reflexivity, we can understand the making/unmaking of democratic citizen in South Korea. What kind of political subject was produced under the liberal governmentality which was imposed by American Empire after the WWII? And different regime types such as ``48 regime``, ``61 regime``, ``87 regime``, ``97 regime`` impose how many different political forms upon South Koreans? First,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given to democracy in ROK and liberal governmentality. Second, tracing back the historical trends of South Korean democracy focusing on global capitalism and South Korean state. Finally, some reflections and prospects were suggested over liberal governmentality and the making/unmaking of democratic citizen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